KR20090001768U -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768U KR20090001768U KR2020070013838U KR20070013838U KR20090001768U KR 20090001768 U KR20090001768 U KR 20090001768U KR 2020070013838 U KR2020070013838 U KR 2020070013838U KR 20070013838 U KR20070013838 U KR 20070013838U KR 20090001768 U KR20090001768 U KR 2009000176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itting diode
- light emitting
- wire
- fastening
- fasten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발광다이오드 구조에서 탈피하여 전선에 직접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조사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전선과의 체결성을 증진시킨 체결수단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과 각각 결합되고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발광다이오드, LED, 전선, 나사, 수용부, 돌기, 조임부재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발광다이오드 구조에서 탈피하여 전선에 직접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조사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전선과의 체결성을 증진시킨 체결수단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C, luminescent diode)는 반도체다이오드의 pn접합에 전류가 흐르면 n형반도체의 전자는 p형반도체 영역으로, p형반도체의 양공은 n형반도체 영역으로 확산되는데, 이들 전자 및 양공은 각각의 영역에 있는 양공 및 전자와 재결합하게 되고, 이때 반도체의 금지대 폭에 맞는 에너지에 대응하는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전력 소비가 적으므로 각광받고 있으며, 광고, 조명, 교통신호를 위한 표시장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머, 그 적용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는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의 인테리어용으로도 그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는 실정인데, 통상적으로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PCB(인쇄회로기판)는 조립성 향상을 통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발광다이오드에 전원공급을 위한 두 연결핀(리드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핀(리드선)이 PCB 기판본체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공에 박히고, 각 발광다이오드 연결핀의 상호 연결은 땜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이 PCB에 체결된 발광다이오드는 간판 조명, 교통 신호 등을 비롯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구성으로는 전선에 직접 발광다이오드를 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건물 또는 다리 등의 구조체의 특정 부분에 부착되어 이를 디자인적으로 조명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기에는 설치상에 한계가 있었으며,
나아가 장식적인 용도로 크리스마스에 사용되는 트리용 전구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발광다이오드를 케이블(전선)에 연결하기에는 설치상에 있어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7886호에 "결합성이 증진된 연등"에서 개시된 형태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07886호에 개시된 도 1을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를 케이블(전선)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억지끼움식의 별도의 체결수단(200, 300)의 구성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시도된 바가 있고,
상기 개시된 방법 이외에도 전선에 직접적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체결하여 조명 장식으로 사용하는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발광다이오드와 전선간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 후 작업자가 원하는 조사 각도를 수정할 수 없게 된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전선에 직접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기하고자 하는 것을 그 첫째 목적으로 한다.
둘째, 발광다이오드 체결에 있어서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전선과도 쉽게 체결될 수 있는 체결수단을 지닌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발광다이오드 체결 후, 바람, 외부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서 발광다이오드가 쉽게 흔들리지 않는 등 체결성능이 우수하고, 작업자가 전선에 발광다이오드 체결 시 빛이 조사되는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가진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과 각각 결합되고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삽입된 전선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밀착을 위한 다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체결수단에는 삽입된 전선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과 체결되는 조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중공 내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나선홈과 대응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에 의하면, 억지 끼움방식의 소켓이나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전선에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발광다이오드가 전선에 밀착 고정되는 등 그 체결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 한번 전선에 체결되면 원하는 조사 각도를 수정할 수 없었거나 수정할 수 있다 하더라도 조사각 수정 작업이 복잡했던 종전 구성들에 비하여, 본 고안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에 의하면 전선 체결 후에도 손쉽게 원하는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선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의 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소켓형의 발광다이오드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소켓(70')의 내부에는 베이스(30')와 전기적 결합을 위한 두 접점(71', 72')이 있다. 이 두 접점은 각각 케이블의 두 도선에 연결되고, 베이스에 형성된 두 접점(31', 32')과 접촉된다. 물론, 상기 두 접점 중에 소켓의 내측면 및 베이스의 외측면에 도시된 접점(71', 31')은 설명을 위해 도시된 것으로 소켓의 내측면 및 베이스의 외측면 자체가 접점의 역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0')는 소켓(70')과 나사식으로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내측에는 하우징(10')이 안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두 리드선(21', 22')이 상기 베이스의 두 접점(31', 32')에 각각 연결되고, 두 리드선 중 어느 하나에는 보호저항(80')이 연결된다. 상기 보호저항은 서지전압에 의해 엘이디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통상적인 구성으로, 그 설치 위치는 문제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두 리드선 중 하나는 (+) 극과의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 극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보호 저항이 연결되어 베이스 외측면에 접점이 이루어지는 리드선(21')을 제 1 리드선, 나머지 리드선(22')을 제 2 리드선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상기에서 언급된 소켓은 발광다이오드의 베이스와 체결되는 것으로 전선 구조의 일부로 이루어져야 발광다이오드를 전선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을 전선에 별도 형성시키는 작업이 복잡하며, 형성시킬 수 있다하더라도 소켓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베이스가 체결되게 되면 이후 조사 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진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종래 발광다이오드의 구성에서 하우징(10)과, 제 1 및 제 2 리드선(21, 22)의 구성은 그대로 체결하게 되나, 도 2에 첨부된 바와 같은, 전선(C)이 수용되는 수용부(31)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중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30)을 제 1 및 제 2 리드선(21, 22) 각각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21, 22)과, 그리고 제 1 및 제 2 리드선과 결합되는 체결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전선(C)이 수용되는 수용부(31)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중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체결수단(30)을 제 1 및 제 2 리드선 각각에 결합되는 두 개의 체결수단으로 도시하였으나, 구성에 따라서는 두 개의 구조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리드선(21)과 제 2 리드선(22)은 체결수단(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체결수단에 제 1 및 제 2 리드선이 삽입되는 관통공(3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3)을 따라 제 1 및 제 2 리드선(21, 22)이 삽입되어 이후 수용부(31)에 삽입되는 전선(C)과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후 작업자는 납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리드선(21, 22)과 체결수단(30)의 결합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합된 체결수단(3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부에는 전선(C)이 수용되는 수용부(31)가 구비되고, 수 용부 일측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중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C)은 상기 중공(32)을 통하여 삽입되고, 이후 수용부(31)에 안치되게 된다.
물론, 수용부(31)에 안치된 전선(C)의 크기 및 모양과 수용부(31) 크기 및 모양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선이 수용부 내부를 이동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문제를 상기 중공(32)에 체결되는 조임부재(40)를 사용하여 전선을 위치 고정시킨다.
즉, 상기 중공(32) 내주면에는 나선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40) 외주면에는 상기 나선홈과 대응되는 나선돌기(40a)가 형성되어, 작업자는 조임부재(40)를 회전시키면서 중공(32) 내부에 삽입하게 되고, 이로써 조임부재는 중공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물론, 수용부 내부에 삽입된 전선의 두께가 수용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조임부재를 계속 회전시켜 전선을 수용부 내부에 고정시키게 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35)가 형성되어있는데 이는 상기 조임부재(40)와 함께 삽입된 전선(C)이 수용부(31) 내주면에서 미끄러지거나 위치가 이동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에서는 수용부 내주면의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즉,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을 전선(C)에 체결시키기 위한 작업을 설명하면,
상기 체결수단(30)에 형성된 중공(32)을 통하여 각각의 전선(C)을 삽입하게 되고 삽입 후 조임부재(40)를 이용하여 전선(C)을 수용부(3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수용부 내주면에는 다수 돌기(35)가 형성되어 있기에 전선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용부(31)에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물론, 작업 도중 발광다이오드의 조사 각도가 원하는 각이 아닌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중공(32)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된 조임부재(40)를 해제시켜 분리시킨 후 원하는 각도로 발광다이오드를 전선을 기준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조임부재(40)를 중공(32)에 삽입하여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전선에 여러 발광다이오드가 손쉽게 체결될 수 있어 이를 건물 외벽이나, 다리 등에 설치하여 화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발광다이오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1; 제1리드선 22: 제2리드선 C: 전선
30: 체결수단 31: 수용부 32: 중공
40: 조임부재
Claims (5)
- 하우징;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 및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과 결합되고,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삽입된 전선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밀착을 위한 다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수단에는 삽입된 전선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과 체결되는 조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중공 내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나선홈과 대응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838U KR200457461Y1 (ko) | 2007-08-21 | 2007-08-21 |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838U KR200457461Y1 (ko) | 2007-08-21 | 2007-08-21 |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768U true KR20090001768U (ko) | 2009-02-25 |
KR200457461Y1 KR200457461Y1 (ko) | 2011-12-22 |
Family
ID=4129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3838U KR200457461Y1 (ko) | 2007-08-21 | 2007-08-21 |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461Y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886Y1 (ko) | 2005-11-22 | 2006-02-06 | 왕재학 | 결합성이 증진된 연등 |
-
2007
- 2007-08-21 KR KR2020070013838U patent/KR2004574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7461Y1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24712B2 (en) | Modular LED lighting systems, including flexible, rigid, and waterproof lighting strips and connectors | |
CN103097801B (zh) | 灯泡形灯及照明器具 | |
CA2623604C (en) | Socket for fairy light | |
JP2006012859A (ja) | 表示・照明装置 | |
US8277095B2 (en) | Light emitting diode lamp | |
US20130100668A1 (en) | Light bar structure | |
JP2013528894A (ja) | 点灯装置及び他の電気装置のためのインタフェイス及び製造方法 | |
KR100913832B1 (ko) | 엘이디 램프의 구조 | |
US20080106430A1 (en) | Modular LED warning lamp | |
KR101375630B1 (ko) | 접촉불량 방지용 y핀 구조를 가진 엘이디 경관조명 | |
JP2011233445A (ja) | モジュール基板と回路基板の接続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 | |
KR20110022262A (ko) | 접이식 조명장치 | |
KR200457461Y1 (ko) | 전선과의 체결이 용이한 발광다이오드 | |
KR200379827Y1 (ko) | 간판용 광고조명장치 | |
KR200421286Y1 (ko) | 엘이디 램프의 구조 | |
KR200466811Y1 (ko) | 조명장치용 벽부 고정 브라켓 | |
WO2005001333A3 (en) | Floodlight and spotlight adapter and enclosure | |
KR20180000174U (ko) | 엘이디 조명등의 컨버터 | |
KR20220102760A (ko) | 합성수지 투과식 led 집단형 조명 장치 | |
KR101479544B1 (ko) | 엘이디조명장치 | |
KR101226673B1 (ko) | 퓨즈타입의 엘이디램프 | |
KR200432703Y1 (ko) | 엘이디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고판 | |
JP7160379B2 (ja) | 照明装置 | |
KR101724579B1 (ko) | 스위치가 장착된 led 형광등 | |
JP5789743B2 (ja) | 防水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