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658A -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658A
KR20090001658A KR1020070044736A KR20070044736A KR20090001658A KR 20090001658 A KR20090001658 A KR 20090001658A KR 1020070044736 A KR1020070044736 A KR 1020070044736A KR 20070044736 A KR20070044736 A KR 20070044736A KR 20090001658 A KR20090001658 A KR 2009000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shared product
shopping mall
shared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혁
Original Assignee
임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혁 filed Critical 임정혁
Priority to KR102007004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658A/ko
Publication of KR2009000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판매자별로 각각 판매자별 웹페이지를 갖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공유상품이 온라인쇼핑몰에 등록한 모든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구매를 신청하면 공유상품을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에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공유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각 판매자는 개별적인 제품 확보의 노력 없이도 여러 다양한 상품들을 취급함으로써 제품 공급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는 상품 판매를 위한 별도의 광고나 마케팅 없이도 자신이 등록한 공유상품이 다른 판매자의 웹페이지를 통해 판매되도록 할 수 있고 구매자의 경우 한 판매자의 사이트에서 관련 업종의 여러 상품을 동시에 구매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상품 구매를 위해 여러 사이트를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온라인 쇼핑몰 사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온라인, 쇼핑몰, 상품, 공유.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Online Shopping Mall Manag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의 웹페이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된 공유상품이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된 여러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가 손쉽게 여러 가지 상품을 자신의 판매 사이트에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이 연령, 지역 등을 불문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됨에 따라, 이러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이 출현하고 또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자상거래 시스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이 각종포털 사이트를 비롯하여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
특히 단순히 여러 상품들이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되어 구매자가 이를 보고 그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인터넷 쇼핑몰 외에도 다양한 영업 내지 마켓팅 능력 및 자본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사업 방식의 쇼핑몰들이 생겨나고 있다.
예컨대,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판매자가 입점을 하여 물품을 팔고 판매 수수료를 결재하는 방식의 모델, 인터넷 사이트 내에 쇼핑몰을 원하는 사업자에게 분배하고, 회원 매출을 통해 수당을 지급하는 사업 모델, 인터넷 상에서 독립적인 소호몰을 구축하여 개별 운영하는 모델, 특정의 포털 사이트에 단순히 자신의 쇼핑몰 사이트를 링크하여 인지도가 높은 포털 사이트에 들어온 소비자가 상품을 검색하여 구매하도록 하는 모델 등 다양한 쇼핑몰 운영 방식이 제안되고 또 운용되고있다.
상기 첫번째 모델은 회원 가입을 하면 바로 물품을 팔 수 있고 입점 심사가 없기 때문에 온라인 창업 초보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쇼핑몰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사업자 자신은 특정 사이트의 인지도나 판매 방식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유 제품이 없을 경우, 즉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또 사업자 자신이 제품을 선정해야 하고 물품을 보유해야 하는 문제 등이 있다.
상기 두번째 모델의 경우, 분배받은 자신의 쇼핑몰에 스스로 계속하여 제품을 공급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또 자신의 쇼핑몰을 홍보하고 마케팅하여야 하며, 제품 공급에서 판매관리, 배송 관리 등을 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상기 세번째 모델의 경우, EC 호스팅을 이용해 독립 소호몰을 구축하는 것인데, 미개척 상권에 덩그러니 독립 상점을 내는 것과 같은 방식이며, 물품 수급에서 배송까지 모든 관리 업무를 직접해야 하므로, 시스템 구축 등에 많은 조직 내지 자금이 소요되고, 홍보가 잘 되어야 쇼핑몰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네번째 모델의 경우, 인지도가 있는 사이트에 자신의 쇼핑몰을 연계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홍보나 마케팅 등의 면에서는 유리한 점이 있지만, 자신의 쇼핑몰에 지속적으로 상품을 업데이트 하여야 하고, 직접 배송관리, 결재 관리 등을 하여야 하는 부담감이 있으며, 하나의 포털 사이트에 비슷한 품목을 취급하는 쇼핑몰이 많아져 출혈 경쟁이 될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 대기업과 같이 조직이나 자금이 풍부한 사업자가 운영하기에는 큰 무리가 없는 사업 방식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금이나 홍보, 마케팅 능력 등이 부족한 일반 개인은 인터넷 쇼핑몰을 직접 운영하기에는 여러 가지 곤란한 점이 많다.
특히, 근래에 조기 퇴직자, 미취업자 또는 투잡족(two-jobs) 등이 증가하고 있는 바, 이들은 일정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사업 모델로 인터넷 쇼핑몰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는 있지만,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수익성 있는 경제 활동을 영위하기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곤란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정리하면,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반 개인이 판매자가 되어 쇼핑몰을 운영하는 경우, 판매자는 관련 업종에서 취급되는 모든 상품을 구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원스탑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케팅의 측면에서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홍보하는 데에 많은 광고 및 홍보 비용이 요구되었으며, 자신의 상품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품의 판매처를 확보하기 위해 인터넷 상의 수많은 판매자와 일일이 접촉하여 물품을 납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의 경우 원하는 상품 구매를 위해서는 여러 쇼핑몰에서 상품을 검색하여 따로따로 구매해야 하였으며, 특히 동종 상품에 대하여도 각 판매자별로 가격을 비교하여 구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에 등록된 공유상품이 온라인쇼핑몰에 등록한 모든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구매를 신청하면 공유상품이 게시된 웹페이지의 판매자가 아니라 공유상품을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에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동일한 공유상품에 대해서는 최저가격의 공유상품만이 먼저 출력이 되도록 하고, 또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는 공유상품 이외에도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될 수 있는 비공유상품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판매자별로 각각 판매자별 웹페이지를 갖도록 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공유상품과 비공유상품이 등록되도록 하고 공유상품은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며, 비공유상품은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되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도 1, 도 2,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은 판매자A의 웹페이지(120), 판매자B의 웹페이지(130) 및 판매자C의 웹페이지(140)를 포함하며, 소비자는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120, 130, 140)에 접속하여 물건을 구매한다.
판매자A와 판매자B 및 판매자C가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 판매자로 등록이 되면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서는 각 판매자별로 웹페이지가 생성되도록 한다.
각 판매자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 공유상품 또는 비공유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공유상품은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 등록된 각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는 상품을 말하고, 비공유상품은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 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될 수 있는 상품을 말한다.
도 1에서는 판매자A에 의해 공유상품1과 공유상품2와 비공유상품1이 등록되었고, 판매자B에 의해 비공유상품2가 등록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판매자A의 웹페이지(120)에는 자신이 등록한 상품들인 공유상품1(121), 공유상품2(123) 및 비공유상품1(122)에 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소비자(150)로부터 판매자A의 웹페이지(120)에 출력된 상품들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판매자A의 상품들이 판매되게 된다.
판매자B의 웹페이지(130)에는 판매자B가 등록한 상품인 비공유상품2(132)가 출력될 수 있다. 판매자A가 공유상품으로 등록한 공유상품1과 공유상품2의 경우, 판매자B의 웹페이지(130)에는 공유상품1과 공유상품2가 모두 출력될 수도 있고, 판매자B의 선택에 따라 판매자B가 필요로 하는 공유상품만이 판매자B의 웹페이지(130)에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판매자B의 선택에 따라 판매자A가 등록한 공유상품 가운데 공유상품2(131)가 출력되어 있다. 그러나 판매자B의 웹페이지에는 비공유상품1(122)은 출력될 수 없다.
판매자B의 웹페이지(130)에 소비자(150)로부터 비공유상품2(132)의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면 비공유상품2(132)를 등록한 판매자B로부터 비공유상품2가 판매된다. 그러나 소비자(150)로부터 공유상품2(131)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면 공유상품2를 등록한 판매자A로부터 공유상품2가 판매된다.
판매자C의 웹페이지(140)에는 다른 판매자가 등록한 공유상품들이 선택적으 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이 가운데 공유상품1(141)과 공유상품2(142)가 출력되어 있다. 그러나 비공유상품에 해당되는 비공유상품1(122)과 비공유상품2(132)는 판매자C의 웹페이지(140)에 출력될 수 없다.
판매자C의 웹페이지(140)에 대하여 소비자(150)로부터 공유상품1(141)과 공유상품2(142)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면 각 공유상품1과 공유상품2를 등록한 판매자A와 판매자B로부터 공유상품1과 공유상품2가 각각 소비자(150)에 판매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는 온라인쇼핑몰관리자시스템(210)과 온라인쇼핑몰데이터베이스(220)가 포함된다.
온라인쇼핑몰관리자시스템(210)에는 공유상품등록부(211), 출력부(212), 판매부(213), 비공유상품등록부(214), 비공유상품출력부(215), 쇼핑몰구축관리부(216), 소비자관리부(217), 판매자관리부(218)가 포함된다.
온라인쇼핑몰데이터베이스(220)에는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 판매자데이터베이스(223), 쇼핑몰구축데이터베이스(224), 소비자데이터베이스(225)가 포함된다.
공유상품등록부(211)는 판매자로부터 공유상품의 명칭, 사진, 특징, 가격, 판매 가능 수량 등 공유상품에 대한 등록을 받아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한다. 이러한 공유상품들은 일련번호를 붙여 공유상품에 관한 정보가 관리 및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212)는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공유상품에 관한 정보가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를 포함한 온라인쇼핑몰의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한다.
출력부(212)는 또한 온라인쇼핑몰에 미리 등록되어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동종의 공유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판매가격의 공유상품만이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종의 공유상품에 대하여 가장 낮은 판매가격으로 등록된 공유상품이 먼저 웹페이지에 출력된 경우, 먼저 출력되었던 공유상품이 모두 판매되어 재고가 더 이상 없게 되면, 나머지 동종의 공유상품 가운에 가장 낮은 판매가격의 공유상품이 웹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다.
판매부(213)는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로부터 수신되면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소비자에게 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구매선택정보는 소비자가 공유상품의 구매를 신청하는 정보로 구매선택정보에는 선택된 공유상품의 일련번호, 구매신청수량, 공유상품이 배송될 배송지, 기타 주의사항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매선택정보는 구매를 신청하는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판매부(213)로 직접 수신될 수도 있고, 구매선택정보가 먼저 공유상품이 게시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판매자를 거쳐서 판매부(213)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매선택정보는 판매부(213)를 통해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에게 전달된다.
비공유상품등록부(214)는 판매자로부터 비공유상품의 명칭, 사진, 특징, 가 격, 판매 가능 수량 등 비공유상품에 대한 등록을 받아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한다. 이러한 비공유상품들은 일련번호를 붙여 비공유상품에 대한 정보가 관리 및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공유상품출력부(215)는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된 비공유상품에 관한 정보가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되도록 한다.
판매부(213)는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된 비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로부터 수신되면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비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이러한 비공유상품의 구매선택정보는 소비자가 비공유상품의 구매를 신청하는 정보로 구매선택정보에는 선택된 비공유상품의 일련번호, 구매신청수량, 비공유상품이 배송될 배송지, 기타 주의사항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관리부(218)는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자로 등록을 신청하는 판매자등록정보를 수신하여 판매자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한다. 이러한 판매자등록정보에는 판매자의 성명, 주소, 주요 관심 업종, 입출금 계좌 번호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쇼핑몰구축관리부(216)는 판매자관리부(218)에 의해 자신의 고유한 쇼핑몰을 운영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에 판매자로 등록된 경우 등록된 각 판매자의 판매자별 쇼핑몰 웹페이지가 생성 및 관리되도록 한다.
쇼핑몰구축관리부(216)는 개별 고유 도메인이 없는 판매자에게 개별 쇼핑몰 웹페이지를 생성해준다. 판매자의 개별 쇼핑몰 웹페이지는 온라인쇼핑몰의 범용 도 메인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쇼핑몰구축관리부(216)는 판매자의 개별 쇼핑몰의 웹페이지가 판매자에 의해 등록된 비공유상품이 출력되는 부분과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공유상품이 출력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의 디스플레이는 비공유상품에 관한 정보와 공유상품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서 상품 카테고리 배열과 판매상품의 디스플레이가 각 판매자에 의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만약 판매자가 이를 직접 웹페이지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 쇼핑몰구축데이터베이스(224)에 미리 저장된 쇼핑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의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소비자관리부(217)는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소비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소비자데이터베이스(225)에 저장한다. 저장되는 소비자의 정보에는 소비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소비자의 정보는 일련번호 등에 의해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경우, 소비자는 각 판매자별 사이트 또는 온라인쇼핑몰운영사이트에서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소비자관리부(217)는 각 판매자별 사이트에서 구입한 실적을 소비자별로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별 통합 마일리지를 소비자데이터베이스(225)에 저장하고 적립된 마일리지의 양에 따라 소비자에게 상품이 무료로 배송되게 하거나 상품 할인혜택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자에 의해 관리되는 웹페이지의 관리 화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각 판매자에 의해 관리되는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300)에는 일반 쇼핑몰 웹페이지 관리창(310), 공유상품관리창(320) 비공유상품관리창(330), 각 웹페이지의 주소 표시창(340)이 포함된다.
일반 쇼핑몰 웹페이지 관리창(310)에서는 각 판매자별 쇼핑몰이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정보가 입력 및 출력된다. 예를 들어 일반 쇼핑몰 웹페이지 관리창(310)에서는 소비자 관리부(217)에 의해 쇼핑몰의 회원 정보가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쇼핑몰 웹페이지 관리창(310)을 통해 상품의 배송에 관한 정보 등이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다.
공유상품관리창(320)에는 공유상품검색창(321), 공유상품검색결과창(322), 공유상품등록창(323), 공유상품게시창(324)이 포함된다.
공유상품등록창(323)은 판매자로부터 판매자가 온라인쇼핑몰에 등록하고자 하는 공유상품에 대한 공유상품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공유상품등록부(211)는 공유상품등록창(323)에 입력되는 공유상품등록정보를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한다.
공유상품검색창(321)은 각 판매자로부터 각 판매자가 여러 등록된 공유상품 가운데 자신의 웹페이지에 출력하고자 하는 공유상품을 검색하는 공유상품검색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공유상품검색결과창(322)은 검색된 공유상품의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여러 공유상품이 검색된 경우 판매자는 그 가운데 자신의 쇼핑몰의 웹페이지에 출력하고자 하는 일부 공유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상품게시창(324)은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될 공유상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출력부(212)는 공유상품검색창(321)에 입력된 공유상품검색정보와 일치하는 공유상품을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서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공유상품검색결과창(322)에 출력한다.
출력부(212)는 공유상품검색결과창(322)에 출력된 공유상품가운데 일부 공유상품에 대한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출력부(212)는 선택된 공유상품의 정보가 판매자별 웹페이지의 공유상품게시창(324)에 출력되도록 한다.
비공유상품관리창(330)에는 비공유상품등록창(331)과 비공유상품게시창(332)이 포함된다.
비공유상품등록창(331)은 판매자로부터 판매자가 온라인쇼핑몰에 등록하고자 하는 비공유상품에 대한 비공유상품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비공유상품등록부(214)는 비공유상품등록창(331)에 입력되는 비공유상품등록정보를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한다.
비공유상품게시창(332)은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될 비공유상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비공유상품출력부(215)는 각 판매자별 비공유상품에 관한 정보를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서 검색하여 비공유상품게시창(332)에 출력한다.
각 웹페이지의 주소 표시창(340)은 각 판매자별 쇼핑몰 웹페이지의 주소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자로 등록을 신청하는 자가 개별 고유 도메인을 소유한 경우 판매자의 개별 고유 도메인에 관한 정보가 판매자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되고 출력부(212)는 공유상품에 관한 정보가 판매자의 개별 고유 도메인의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의 쇼핑몰구축관리부(216)에서 생성된 각 판매자별 쇼핑몰 웹페이지는 해당 판매자의 개별 고유도메인에 링크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별 쇼핑몰 웹페이지 전부가 판매자의 개별 고유도메인으로 포워딩될 수도 있으며, 판매자의 개별 고유도메인의 일부 프레임에 판매자별 쇼핑몰의 웹페이지 중 공유상품을 출력하는 부분이 포워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판매자의 개별 고유 도메인의 웹페이지 전부 또는 일부에 공유상품에 관한 정보가 자동으로 출력되고 출력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판매자의 웹페이지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의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판매자별로 각각 판매자별 웹페이지를 갖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자로부터 공유상품의 등록을 신청하는 정보가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110)의 공유상품등록부(211)에 수신되면 공유상품등록부(211)는 공유상품의 정보를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함으로써 공유상품이 온라인쇼핑 몰에 등록되도록 한다(401).
비공유상품등록부(214)는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자로부터 비공유상품등록창(331)에 입력되는 비공유상품의 등록을 신청하는 비공유상품등록정보를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하여 비공유상품이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되도록 한다(402).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여러 공유상품 중 일부 공유상품을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시키고자 하는 선택정보가 공유상품검색결과창(322)에 입력되면, 출력부(212)는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동종의 공유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판매가격의 공유상품을 검색한다.(403)
검색된 공유상품이 최저가격의 공유상품인 경우에는 출력부(212)는 검색된 공유상품의 정보가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한다(404). 그러나 검색된 공유상품이 최저가격의 공유상품이 아닌 경우에 출력부(212)는 최저가격의 공유상품이 검색될 때까지 검색을 계속한다.
비공유상품출력부(215)는 각 판매자별 비공유상품에 관한 정보를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222)에서 검색하여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 출력한다(405).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소비자데이터베이스(225)에 등록된 소비자로부터 판매부(213)에 수신되면 판매부(213)는 구매선택정보의 대상이 되는 공유상품이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판매되도록 한다. 비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판매부(213)에 수신되면 판매부(213)는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비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406).
이렇게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들에 대하여는 결제 및 배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결제의 경우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판매부(213)에 수신되면 판매부(213)는 구매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 후 그 중 일정액을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에게 지급하고, 일정액을 제외한 금액 중 일부를 공유상품이 출력되었던 웹페이지의 판매자에게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은 수수료로 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쇼핑몰에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배송의 경우 판매부(213)는 공유상품 또는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와 연계하여 온라인쇼핑몰의 소비자에게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업체의 배송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소바자가 자신이 구매한 물품의 배송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된 공유상품은 판매자별 쇼핑몰의 웹페이지를 통해 판매하는 인터넷쇼핑 방법 외에도 TV 홈쇼핑 등을 통해서도 판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된 공유상품에 대하여 판매 카탈로그 등이 제작되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및 시스템에 의할 경우,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과는 달리,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는 각 판매자가 보유하여 등록한 상품뿐 아니라 판매자가 보유하지 않는 상품 및 판매자가 상품에 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상품들도 출력될 수 있어 자금력이 부족한 일반개인판매자도 개별적인 제품 확보의 노력 없이도 관련 업종의 여러 다양한 상품들을 취급함으로써 제품 공급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판매자는 또한 공유상품 및 비공유상품을 포함하는 각 판매자별 사이트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품 판매를 위한 별도의 광고나 마케팅 없이도 자신이 등록한 공유상품이 다른 판매자의 웹페이지를 통해 판매되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의 경우 한 판매자의 사이트에서 관련 업종의 여러 상품을 동시에 구매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상품 구매를 위해 여러 사이트를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최저가격의 공유상품만이 출력되는 경우 가격 비교를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여러 판매자와 소비자 및 판매과정이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므로 인터넷 쇼핑에서 안전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터넷 쇼핑 사기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판매자별로 각각 판매자별 웹페이지를 갖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자에 의해 공유상품이 등록되는 등록단계;
    상기 등록된 공유상품이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는 출력단계; 및
    상기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상기 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하는 판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되어 있는 동종의 공유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판매가격의 공유상품만이 상기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은
    상기 온라인쇼핑몰의 판매자에 의해 비공유상품이 등록되는 비공유상품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된 비공유상품이 상기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되는 비공유상품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별 웹페이지는 상기 판매자의 개별 고유도메인의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
  5. 복수의 판매자별로 각각 판매자별 웹페이지를 갖도록 하는 온라인쇼핑몰의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에 의해 등록되는 공유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
    상기 등록된 공유상품이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상기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된 공유상품에 대한 구매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로부터 상기 공유상품이 판매되도록 하는 판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온라인쇼핑몰에 등록되어 있는 동종의 공유상품 가운데 가장 낮은 판매가격의 공유상품만이 상기 각 판매자별 웹페이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에 의해 등록되는 비공유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비공유상품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등록된 비공유상품이 상기 비공유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웹페이지에만 출력되도록 하는 비공유상품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별 웹페이지는 상기 판매자의 개별 고유도메인의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쇼핑몰운영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라인쇼핑몰운영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기록매체.
KR1020070044736A 2007-05-08 2007-05-08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36A KR20090001658A (ko) 2007-05-08 2007-05-08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36A KR20090001658A (ko) 2007-05-08 2007-05-08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58A true KR20090001658A (ko) 2009-01-09

Family

ID=4048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736A KR20090001658A (ko) 2007-05-08 2007-05-08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6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031A (ko) * 2009-11-06 2011-05-13 (주)유비랩아이앤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0031A (ko) * 2009-11-06 2011-05-13 (주)유비랩아이앤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821B2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KR100828881B1 (ko) 웹 사이트 상에서 추천 컨텐츠를 통한 수익배분 시스템 및방법
KR2000005828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프렌차이즈 방법 및 그 광고 수단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KR20000024149A (ko)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CN110415064A (zh) 一种整合零售供应链与销售链的利益共同体系统
KR20110055472A (ko) 상품 정보 공유를 이용한 진보된 전자상거래 시스템
JP2011198277A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企業ポイント管理サーバならびに企業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KR20020064683A (ko) 이-마켓플레이스에서의 입점 업체간 재고 공유 방법
KR20090001658A (ko)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8714A (ko) 전국적인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한 전자상거래의 네트워크
TWI804270B (zh) 商品與服務自動販賣系統與方法
US20180232777A1 (en) Method and Apparatus Selling Internet Products and Services via Retail locations
KR20060016874A (ko) 복합형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2007140812A (ja) 商品宣伝システム、商品販売促進システム
KR102237215B1 (ko) 인터넷 공유몰 운영 방법
KR102482099B1 (ko)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1108A (ko) 구매지 기반 수익 분배 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
KR20090114244A (ko) 몰인몰 방식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회원제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시스템
KR20130108008A (ko) 이벤트 상품 생성을 통한 수익 사업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044294A1 (en) Retail store that also sells internet items
Soegoto et al. Design of Web-based Information System Sales
JP6174549B2 (ja) 販売店舗一体型通信販売のための情報処理装置
KR20060065974A (ko) 상품 조달/배송과 쇼핑몰 운영/마케팅/영업을 분리한 몰인몰 형태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