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867A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867A
KR20090000867A KR1020070064741A KR20070064741A KR20090000867A KR 20090000867 A KR20090000867 A KR 20090000867A KR 1020070064741 A KR1020070064741 A KR 1020070064741A KR 20070064741 A KR20070064741 A KR 20070064741A KR 20090000867 A KR20090000867 A KR 20090000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unction
external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534B1 (ko
Inventor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의 알람 설정 시 외부 전자 기기를 연계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알람기능 활성화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70064741
휴대 단말기, 알람, 외부 전자 기기, 조명, 오디오, 비디오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ALARM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휴대 단말기의 기능 또한 다양해졌다. 상기 다양한 기능 중 알람기능은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 기능으로 일정관리, 시간 알림, 모닝콜 등이 있다. 특히 모닝콜 기능은 사용자가 기상하고 싶은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벨소리, 진동 등을 발생하여 수면 중인 사용자가 기상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종래의 모닝콜 기능은 벨소리나 진동으로 사용자가 설정된 알람 시간임을 감지하게 하며, 사용자가 간단한 키(종료키 등)를 입력하거나, 폴더를 열었다 닫으면 설정되었던 모닝콜 기능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모닝콜 기능의 해제가 쉽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닝콜을 중복 설정하지만 종료키가 입력되면 다시 간단하게 모닝콜이 해제될 수 있어 사용자가 모닝콜을 해제한 후 다시 잠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벨소리 설정이나 진동 설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제안이 있었으나, 휴대 단말기의 벨소리 및 진동의 미약함으로 인하여, 단말기 사용자를 깨우는 근본적인 알람기능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알람 시간에 미리 설정된 외부 전자기기를 활성화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자체 알람 뿐만 아니라, 주변 외부 전자기기를 이용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은, 알람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알람 시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과 동일한 외부의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은, 알람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 상기 알람 설정 시, 외부 전자 기기를 연계하여 설정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에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활성화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알람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과 설정된 기능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기능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근거리통신 송신부를 통해 동작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전자기기를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 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전자 기기를 외부 조명 기기, 외부 비디오 기기 및 외부 오디오 기기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외부 전자 기기는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제어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하에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라면 어떠한 전자기기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알람 설정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전자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진동이나 벨 등을 이용하여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알람 제어 시스템은 상기 알람 시간에 주변에 배치된 외부 전자 기기(200)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를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기기(200)로부터 알람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화송수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코덱(140), 메모리(150), 제어부(160),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 및 센서부(190)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화송수신부(110)는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신호, 통화 채널 형성 시 전송되는 정보 예를 들면 음성, 문자, 영상 등을 타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화송수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화송수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알람 설정에 필요한 벨 소리를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상기 통화송수신부(110)는 상기 알람 설정 시 사용자가 설정하게 되는 다양한 벨 소리를 외부 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알람기능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 제어 설정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알람기능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 및 알람 설정 화면 등을 제공한다.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을 위한 화면으로서, 년, 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과, 알람 반복 횟수 등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기능을 연계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하며, MP3 재생 기능 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알람 설정에 따른 알람 시간에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활성화 및 상기 MP3 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화면 및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에 해당하는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가 조명기기, 비디오 기기 및 오디오 기기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조명기기, 비디오 기기 및 오디오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을 통하여, 기상하고자 하는 알람 시간과,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화상 통화 목록을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코덱(14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에 따라 알람 시간에 특정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벨소리, MP3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파일에 따른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코덱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덱(14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 로그램을 비롯하여, 화상 통화 시 생성되는 영상을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며, 화상 통화 중 송수신되는 신호를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알람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알람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상기 알람 설정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각 기능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상기 표시부(130)상에서 알람 설정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상기 알람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정보는 벨 소리 정보, MP3 파일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알람 설정이 가능한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한 리스트 정보 및 각 외부 전자 기기(200)를 이용한 알람 설정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알람 설정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및 알람 설정을 위한 키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알람 설정에 따라,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코덱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 활성화 시, 기 설정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가 표시할 채널을 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이 오디오 신호 재생으로 설정된 경우, MP3 재생 기능 또는 벨소리 재생 기능을 활성화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를 활성화하여 주변을 검색하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기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에 포함된 외부 전자 기기(200)가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알람 설정에 포함된 외부 전자 기기(200)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설정된 알람 시간에 해당 외부 전자 기기(200)를 활성화할 수 있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정된 알람 시간에 활성화 되어 알람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의 운용은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는 외부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 하도록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 설정에 해당하는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 항목에 포함된 경우,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주변을 검색하고,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자 기기(200)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는 설정된 알람 시간에 외부 전자 기기(200)를 검색하고, 상기 알람 설정 항목에 포함된 외부 전자 기기(200)에 대하여 기기를 활성화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는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부(190)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의 알람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가 조명 기기일 경우, 상기 센서부(190)는 조도 센서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부는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조명 기기가 턴-온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턴-온되지 않은 경우,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조명 기기가 턴-온 되도록 필요한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기기(200)는 외부 조명 기기(210), 외부 비디오 기기(220) 및 외부 오디오 기기(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배치되는 조명 기기이며,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취침하는 영역 근처에 배치되는 조명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설정한 알람 시간에 상기 제어부(160)와 통신하여 일정 조도 이상의 조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외부 조명 기기(210)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취침하는 영역 인근에 배치된 다수개의 조명이 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상기 알람 설정의 제어가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비디오 기기(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데스크 탑 컴퓨터 등 비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는 알람 설정 시간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외부 비디오 기기(220)를 활성화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 중 특정 기기는 오디오 신호 재생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 중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에 세팅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와 함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상기 외부 디지털 방송 수신기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상기 알람 설정의 제어가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테잎 재생 기기, 디스크 재생 기기, MP3 파일 재생 기기 등 다양한 오디오 신호 재생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카 오디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설정한 알람 시간에 활성화되기 위한 신호 수신을 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 및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데스크 탑 컴퓨터 등과 같이 동일 기기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시스템이 상술한 외부 전자 기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외부 전자 기기(200)는 청소기, 세탁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어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에 설정된 알람기능에 따라 외부 전자 기기(200)를 활성화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의 기상 상태를 보다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부 전자 기기(200)의 알람 연계 설정에 있어서, 외부 전자 기기(200)는 외부 조명 기기(210), 외부 비디오 기기(220) 및 외부 오디오 기기(230)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알람 제어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S1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알람 시간을 검색하여, 현재 시간이 알람 시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S101 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알람 시간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3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이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기기(200)의 알람 연동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3 단계에서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5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에 따른 알람기능을 동작시킨다.
상기 알람기능은 벨소리 또는 진동이 설정된 시간에 활성화되도록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가지는 옵션 기능의 활성화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를 상기 알람 설정과 연계하여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를 활성화 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방송 청취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 뿐만 아니라, MP3 기능 도 상기 알람 설정과 연계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S107 단계에서 상기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이 A/V(Audio/Video) 기기 설정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S107 단계에서 알람 설정이 A/V 기기 설정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상기 S109 단계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S111 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S113 단계에서 알람 기능과 연계된 상기 A/V 기기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A/V 기기 설정에 대한 정보는 외부 비디오 기기(220) 및 외부 오디오 기기(230)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설정 및 상기 오디오 비디오 기기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170)에서 세팅된 채널 주파수를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오디오 정보 예를 들면, 라디오 등의 오디오 채널, 특정 파일명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의 재생을 세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S115 단계에서, 오디오 채널 설정이 없는 경우, S117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기기 켜기 및 채널 지정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S115 단계에서, A/V 기기 설정 중 오디오 채널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오디오 채널 설정이 있는 경우, S119 단계에서 외부 오디오 기기 켜기 및 채널 지정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오디오 기기(23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채널 설정의 구분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오디오 설정 및 비디오 설정이 함께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비디오 기기(220) 및 외부 오디오 기기(230)를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S107 단계에서, 다른 기기 설정이 A/V 기기 설정이 아닌 경우, S121 단계에서 근거리 통신 송신부(180)를 활성화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S123 단계에서 다른 기기 제어 설정이 외부 조명 기기(210) 설정으로 판단하고, S125 단계에서 센서부(190)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의 조도를 센싱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S125 단계에서, 센서부(19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27 단계에서 조명 켜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가 정상적으로 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S129 단계에서 센서부(190)를 이용한 조도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S129 단계에서 센서부(190)를 이용하여 조도를 센싱하고, 상기 조도가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 활성화에 따른 조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조도 값이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S127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데이터 생성 및 전송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S125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90)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S131 단계에서, 조명 켜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에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는 상기 외부 조명 기기(210)와의 통신 에러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가 취침하는 영역 주변에 배치된 외부 전자 기기(200)를 상기 알람 설정 시각에 맞추어 활성화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기상을 보다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 및 외부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보다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Claims (10)

  1. 알람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알람시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시간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과 동일한 외부의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이 조명기능일 경우, 외부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조명기능을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조명기능이 동작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센서를 통해 입력된 조도를 판단하는 과정과,
    일정량 이상의 조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조명기능 동작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이 디지털방송의 비디오 채널일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비디오 채널을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지정한 비디오 채널 정보를 포함한 동작정보를 외부에 있는 비디오기기에 전송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능이 디지털방송의 오디오 채널일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오디오 채널을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지정한 오디오 채널 정보를 포함한 동작정보를 외부에 있는 비디오기기 또는 오디오기기에 전송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가 없거나 디지털방송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과 동일한 외부의 전자기기만을 동작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기기의 기능 제어는 적외선 통신을 포함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알람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
    상기 알람 설정 시, 외부 전자 기기를 연계하여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에 상기 외부 전자 기기를 활성화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알람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기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알람 시각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통신부에 세팅된 채널 주파수를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알람 제어 방법.
  10.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알람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과 설정된 기능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기능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근거리통신 송신부를 통해 동작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전자기기를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부를 포함하는 알람 제어 시스템.
KR1020070064741A 2007-06-28 2007-06-28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101450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41A KR101450534B1 (ko) 2007-06-28 2007-06-28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41A KR101450534B1 (ko) 2007-06-28 2007-06-28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867A true KR20090000867A (ko) 2009-01-08
KR101450534B1 KR101450534B1 (ko) 2014-10-15

Family

ID=404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41A KR101450534B1 (ko) 2007-06-28 2007-06-28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5629A (zh) * 2013-10-28 2014-03-1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闹钟定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891Y1 (ko) * 2002-05-22 2002-08-24 고재천 원격제어방식의 시간표시 및 알람기능을 갖춘 탁상용조명장치
KR20060120910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멀티 알람 기능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06032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기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5629A (zh) * 2013-10-28 2014-03-1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闹钟定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34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6494B2 (ja) 通勤時間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8046030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KR100677382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US20150172878A1 (en) Acoustic environments and awareness user interfaces for media devices
US20120122396A1 (en) Method for fast device search based on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device for supporting the method
EP241883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1662313A (zh) 利用蓝牙搜寻通讯装置的系统及方法
KR1007831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단축 저장 방법
JP2007036911A (ja) 携帯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放送受信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放送受信方法
US731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 detection
US8700100B2 (en) Headset, opera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00132187A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화 제어 시스템
CN107846646A (zh) 智能音箱的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WO2023011370A1 (zh) 音频播放方法、装置
KR10145053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20090008063A (ko) 개인 정보를 이용한 av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av기기
KR1014558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KR20130030022A (ko) 휴대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KR100656670B1 (ko) 음원의 유효기간 알림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US2009000512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essage alert management
KR101452719B1 (ko)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60055738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90364B1 (ko)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630099B1 (ko) 휴대폰에서 스케쥴 표시 방법
KR1005571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수업 시간표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