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364B1 -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364B1
KR100990364B1 KR1020030049317A KR20030049317A KR100990364B1 KR 100990364 B1 KR100990364 B1 KR 100990364B1 KR 1020030049317 A KR1020030049317 A KR 1020030049317A KR 20030049317 A KR20030049317 A KR 20030049317A KR 100990364 B1 KR100990364 B1 KR 10099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signal
additional 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nit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271A (ko
Inventor
이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3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기능의 온/오프시 착신신호가 자동 전환 또는 송출 차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의 부가기능이 호 수신 등의 경우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신신호 송출 기능이 있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에 연결되어 통신이외의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기능부와, 상기 부가기능부의 온 또는 오프 시 착신신호 송출을 자동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착신신호를 송출하는 착신신호 송출부와,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모드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부로 구성되며, 통신기기의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 경우, 초기 착신신호와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서 다른 경우, 초기 착신신호를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 신호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을 호 수신 등의 경우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Method of Automatic Conversion of Receiving Signal for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가기능 동작 온의 경우,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과정의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가기능 동작 오프의 경우,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과정의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제어부 102 ; 메모리부
104 ; 키버튼부 106 ; 착신신호제어부
110 ; 착신신호송출부 112 ; 스피커
114 ; 진동자 116 ; LED
118 ; 화면디스플레이부 119 ; 이어폰
120 ; 부가기능부 130 ; 통신모듈부
140 ; 무선송수신부
본 발명은 착신신호 송출 기능이 있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가기능의 온/오프시 착신신호가 자동 전환 또는 송출 차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의 부가기능이 호 수신 등의 경우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발명은 착신신호 송출 기능과 부가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이하에서는, ‘휴대폰’이라고도 칭함)를 예를 들어서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교환국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대국과 음성데이터를 주고 받는 외에,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단순히 음성만을 송수신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비하여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이하, 단순히, ‘카메라’라고 함)를 구비하여 정지 또는 동영상 촬영기능, 방송수신장치를 구비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 MP(Media Player)3 플레이어, MPs4 플레이어가 구비되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기능외에, 전자상거래, 게임 등의 부가기능이 있다.
한편, 휴대폰에 연결된 부가기능부 작동 중에 호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동작 중인 부가기능부의 동작을 우선 정지시키고, 호 착신 또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알리기 위한 착신 신호, 예컨대 진동자의 진동, 벨소리, LED(Light Emitted Diode,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을 송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가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에 연결된 부가기능부 사용 중, 예컨대 카메라 사용 중, 호가 착신되어 착신 신호인 진동자가 진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카메라의 동작이 일시 정지되고, 이 때 사용자가 진동이나 벨소리에 놀라서 카메라를 떨어뜨려서 충격을 가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착신 신호인 진동 또는 벨소리 때문에 그 순간에 해야 할 중요 동작을 부가기능부의 일시 정지 때문에 놓쳐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즉, 통신기기의 부가기능을 효과적이고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없게되어, 부가기능 사용상의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의 목적은, 부가기능의 온/오프시 착신신호가 자동 전환 또는 송출 차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의 부가기능이 호 수신 등의 경우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착신신호 송출 기능이 있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에 연결 되어 통신이외의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기능부와, 상기 부가기능부의 온 또는 오프 시 착신신호 송출을 자동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착신신호를 송출하는 착신신호 송출부와,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모드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 동작 중 호 착신시에도 부가기능부가 착신신호 송출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부가기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기기에 연결된 카메라 사용 중 호 착신시에도 착신신호 송출의 방해를 받지 않고 카메라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는, 진동자와 발광소자와 스피커와 화면 디스플레이부와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동자, 발광소자 스피커, 화면 디스플레이부, 이어폰 각각의 착신신호 송출 장치 간에 자동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는, 초기 착신신호와 상기 부가기능부 동작시의 착신신호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이 동작 온되면, 착신신호가 초기 착신신호에서 부가기능부 동작시의 착신신호로 자동 전환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는, 착신신호 송출 차단 모드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 동작 중에는 호가 수신되더라도 착신신호의 송출을 차단함으로써 부가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통신기기는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국과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부가기능부 사용 중 호 착신시에도 착신신호 송출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은, 통신기기의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 경우, 초기 착신신호와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서 다른 경우, 초기 착신신호를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 신호로 전환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 동작 중 호 착신시에도 부가기능부 착신신호 송출 장치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은,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부가기능부가 동작 오프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부가기능부가 동작 오프인 경우, 현재착신신호와 초기착신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 의해서 다른 경우, 현재착신신호를 초기착신신호로 전환하는 제6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가 동작 오프되면, 착신신호가 초기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은,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부가기능부 동작 중 사용자가 착신신호를 변경했는지를 판단하는 제3-A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착신신호를 변경한 경우, 현재 착신신호를 사용자가 변경한 착신신호로 전환하는 제3-B단계와, 상기 제3-B단계 수행 후, 초기착신신호를 사용자가 변경한 착신신호로 변경하는 제3-C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가기능부 동작 중이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착신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원발명은 착신신호 송출 기능과 부가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기기 에 관한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을 예를 들어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가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의 착신 신호 자동 전환 장치는, 부가기능부(120)와 메인제어부(100)와 메모리부(102)와 착신신호 송출부(110)와, 키버튼부(104)와 착신신호 제어부(106)와 통신모듈부(130)와 무선송수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가기능부(120)는, 휴대폰(10)에 연결되어 부가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부가기능부는 예컨대, 카메라, AOD(Audio On Demand), 방송수신부, MP3, MP4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에는 전자상거래, 게임, 자바 어플리케이션, 채팅 등이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상기 부가기능부(120)의 온 또는 오프 시 착신신호 송출을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하기 착신신호 제어부(106)와 착신신호 송출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CPU(Central Processor Uint)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착신신호 제어부(106)는 상기 메인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착신신호를 하기 착신신호 송출부(110) 중에서 어느 착신신호 송출장치로 경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100)와 착신신호 제어부(106)는 하나의 구성요소, 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110)는, 상기 메인제어부(100)와 착신신호 제어부(106)의 제어에 의해 착신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110)는, 진동자(114)와 LED(Light Emitted Diode)(116)와 스피커(112)와 화면 디스플레이부(118)와 이어폰(1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자(114)와 LED(Light Emitted Diode)(116)와 스피커(112)와 화면 디스플레이부(118)와 이어폰(119)은 각각 본원 발명 출원 전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화면 디스플레이부(118)는 LCD(Liquid Crystal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2)에는, 상기 착신신호 송출부(110)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모드가 기억되어 있고, 초기 착신신호와 상기 부가기능부(120) 동작시의 착신신호가 기억되어 있고, 착신신호 송출 차단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초기 착신신호는, 부가기능부(120)가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의 착신신호이고, 착신시호 송출 차단 모드라 함은, 부가기능부(120)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 수신이 되더라도 착신 신호의 송출이 없게 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부(130)는 휴대폰(10)의 통신 수행 기능을 하는 모듈로서, 호 수신대기 상태에 있으면서 콜 신호 수신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부(130)가 수행하는 통신은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유선통신까지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임은 물론이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는 무선 처리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상기 키버튼부(1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착신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을 하는 입력수단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가기능 동작 온의 경우,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과정의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가기능 동작 오프의 경우,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과정의 플로차트이다.
초기 상태에서, 메인제어부(100)는 부가기능부(120)가 동작 온(on) 상태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210단계, 제2212단계). 상기 초기상태라 함은, 부가기능부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제212단계의 판단 결과, 부가기능부(120)가 동작 온 상태로 된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착신 신호 자동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메모리부(102)를 읽어 들인다(제214단계).
상기 제214단계의 판단 결과, 착신신호 자동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초기 착신신호(예컨대, 진동모드)와 부가기능 동작시의 착신신호(예컨대, LED모드)가 동일한지를 판단(제215단계)한 후,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신호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착신 신호를 전환한다(제216단계).
상기 제216단계에서의 착신 신호 전환은, 초기 착신신호(예컨대, 진동모드)에서 부가기능 동작시의 착신신호(예컨대, LED모드)로의 전환이다.
그리고, 상기 부가기능 동작시의 착신신호(예컨대, LED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키버튼부(104)를 통해서 설정해 둔 착신신호이다.
상기와 같이 착신 신호가 초기 착신신호(예컨대, 진동모드)에서 부가기능 동작시의 착신신호(예컨대, LED모드)로 전환되면, 부가기능부(120)(예컨대, 카메라)가 동작시에 호가 수신되더라도 착신신호가 LED모드이므로 부가기능부(120)(예컨대, 카메라)를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16단계에서의, 초기 착신신호에서 부가기능 동작시의 착신신호의 전환의 다른 예로서, 스피커(112)에 의한 벨소리모드에서 LED모드로, 진동모드 및 벨소리모드에서 화면 디스플레이모드로, 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 또는 LED 모드에서 이어폰모드가 있다.
상기 제216단계에서 착신신호가 전환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서 현재의 착신신호가 어떤 모드인지를 알게 한다(제218단계). 상기 제218단계의 알림은 예컨대, LED 발광, 화면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통한 벨소리 등이다.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부가기능 사용중 사용자가 착신 신호를 변경하였는지를 판단하여(제220단계), 사용자가 현재의 착신 신호를 변경한 경우(즉, 착신신호 변경을 키버튼부를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경우)에는, 현재 착신신호(상기 예에서, LED 발광)를 사용자가 변경 설정한 착신신호(예컨대, 화면 디스플레이)로 전환하고(제222단계), 초기 착신신호(상기 예에서 진동모드)를 사용자가 변경 설정한 착신신호(화면 디스플레이)로 변경한다(제224단계). 물론 이 때, 호가 수신되면, 착신 신호는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된다.
부가 기능 종료 대기(제226단계)에서,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부가기능부 (120)의 동작이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여(제228단계), 동작이 오프된 경우에는, 착신신호 자동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230단계).
상기 제23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착신신호 자동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 착신신호(상기 예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초기 착신신호(상기 예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모드)와 같은지를 판단하여(제232단계), 같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착신신호를 초기 착신신호로 변경하고(제234단계) 착신신호 변경을 사용자에게 알린다(제236단계). 상기 제236단계의 알림은, 예컨대, LED 발광, 화면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통한 벨소리 등에 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기능부(120)는 착신신호의 전환과 동시에 동작하므로, 호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사용자는 원활한 부가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화 연결 또는 부가기능 동작 계속 사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 과정을 가지는 본 발명인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가기능의 온/오프시 착신신호가 자동 전환 또는 송출 차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의 부가기능을 호 수신 등의 경우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부가기능부(120)는 착신신호의 전환과 동시에 동작하므로, 호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사용자는 원활한 부가기능을 계속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화 연결 또는 부가기능 동작 계속 사용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기기의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부가기능부가 동작 온인 경우, 초기 착신신호와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서 다른 경우, 초기 착신신호를 부가기능 동작시 착신 신호로 전환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부가기능부 동작 중 사용자가 착신신호를 변경했는지를 판단하는 제3-A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착신신호를 변경한 경우, 현재 착신신호를 사용자가 변경한 착신신호로 전환하는 제3-B단계와;
    상기 제3-B단계 수행 후, 초기착신신호를 사용자가 변경한 착신신호로 변경하는 제3-C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부가기능부가 동작 오프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부가기능부가 동작 오프인 경우, 현재착신신호와 초기착신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 의해서 다른 경우, 현재착신신호를 초기착신신호로 전환하는 제6단계가 더 부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9. 삭제
KR1020030049317A 2003-07-18 2003-07-18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99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7A KR100990364B1 (ko) 2003-07-18 2003-07-18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17A KR100990364B1 (ko) 2003-07-18 2003-07-18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271A KR20050010271A (ko) 2005-01-27
KR100990364B1 true KR100990364B1 (ko) 2010-10-29

Family

ID=3722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317A KR100990364B1 (ko) 2003-07-18 2003-07-18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414B1 (ko) * 2004-08-31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알람 방식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690807B1 (ko) * 2005-06-1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드상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콜 전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271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205A (en) Telephone set for handling a call
KR100605990B1 (ko) 상태정보를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시스템
JP2007135009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限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制限方法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KR101294293B1 (ko)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06375B1 (ko) 헤드셋과 이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90364B1 (ko)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US7519377B2 (en) Calling system from accessory to portable device
KR101128200B1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100727080B1 (ko) 착신 호 종류 구별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088007B2 (ja) 選択呼出受信機およびその呼出報知方法並びに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着信報知方法
JPH1117780A (ja) 携帯通信装置
KR200600728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 응답 기능 설정에 따른메신저 제어 방법
KR100602716B1 (ko) 통화시 출력 데이터 제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4207857A (ja) 携帯端末制御方法/システム/サーバ、携帯端末
KR100538616B1 (ko) 단말기의 수신 모드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03386B1 (ko) 외부장치에서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장치 및 방법
JPH11205863A (ja) 通話状態報知機能付き移動無線装置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800803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