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752U -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752U
KR20090000752U KR2020070012037U KR20070012037U KR20090000752U KR 20090000752 U KR20090000752 U KR 20090000752U KR 2020070012037 U KR2020070012037 U KR 2020070012037U KR 20070012037 U KR20070012037 U KR 20070012037U KR 20090000752 U KR20090000752 U KR 200900007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diameter portion
connector
veh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255Y1 (ko
Inventor
고석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to KR2020070012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5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외부 진동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시 텅 다운(toung down)이 방지되며 도통 검사, 정렬 검사, 등 별도의 검사가 생략되더라도 전기적 접속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70012037
정션박스, 연결핀, 커넥터, 플랜지부, 리셉터클

Description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HOLDING PINS OF JUNCTION BOX AND COMBINATION STRUCTURE THEREOF WITH CONNECTER}
본 고안은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시 외부 진동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시 텅 다운(toung down)이 방지되어 도통 검사, 정렬 검사, 등 별도의 검사가 정렬 검사, 등 별도의 검사가 생략되더라도 전기적 접속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측 전기장치와 차체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기관측 전기장치는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로 되어 있고, 차체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냉/난방장치 등이 있 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에 의해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고 함)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박스
(Junction Box)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정션박스의 내부에는 퓨즈(Fuse)와 각종 단자 및 릴레이(Relay)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정션박스의 하부에는 이들 퓨즈와 각종 단자 및 릴레이 등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접속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연결핀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정션박스의 연결핀(10)은 양방향으로 길게 도출되는 세장형의 제 1 단부(10a)와 제 2 단부(10b)를 구비하여, 커넥터의 리셉터클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자동차에서 발생 되는 진동 등에 의해서 커넥터가 정션박스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션박스와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었으며,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각각 너트나 기타 다른 수단을 부가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커넥터의 리셉터클 내부라는 좁은 공간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 각각에 대해서 수작업으로 너트를 끼우는 작업은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정션박스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결합될 연결핀은 세장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커넥터와 반복된 결합작업에 의해서 구브러지거나 텅 다운(toung down)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정션박스의 연결핀 각각이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면,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상기 정션박스의 연결핀 및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불량은 없는지, 일일이 도통검사를 하거나, 작업자의 눈으로 확인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에 있어 많은 작업시간의 지연과 비효율이 발생 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정션박스의 연결핀과 커넥터의 체결 확인 작업은 실제 그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어 잦은 삽입 오류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 완제품에 대한 신뢰도 역시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의 각각의 리셉터클에 삽입 오류 없이 체결될 수 있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 진동에 의해서 커넥터와 잘 탈착되지 않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와 결합 및 탈착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핀의 불량위험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체결확인 검사 없이 각각의 커넥터의 리셉터클에 신뢰할 수 있게 체결될 수 있는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은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고 푸션핀으로 구성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대향하여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끝단부가 라운드형이고 외주부 둘레에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에 따른 작업공정의 효율과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며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자동차에서 발생 되는 진동 등에 의해서도 안전하게 정션박스의 연결핀에 체결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의 체결확인 작업시에 연결핀이 오히려 구브러지거나 텅다운(tung down)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연결핀이 커넥터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탄발작용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어서,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연결핀과 커넥터의 잦은 결합 및 탈착에도 불구하고 연결핀 불량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1)에 있어서, 정션박스(100)는 일면에 일정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110)와, 상기 정션박스(100)의 커넥터 수용부(110)에 커넥터(200)가 수용될 때, 상승되어 상기 커넥터(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200)를 상기 정션박스(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렬지그(120), 상기 정션박스(100)의 커넥터 수용부(110)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정렬지그(120)를 안내하는 재치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정션박스(100)의 커넥터 수용부(110)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2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수용홀(210)과, 상기 리셉터클 수용홀(210)에 설치되며 전도성 판재를 호형상으로 구브려 구성하여 외부 와이어와 상기 정션박스(100)의 커넥터 수용부(110)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111)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리셉터클(111)과, 상기 리셉터클 수용홀(210)이 형성된 커넥터 일면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정션박스(100)의 정렬지그(110)를 상승시켰을 때, 상기 정렬지그(110)과 대면하여 상기 정션박스(100)와 상기 커넥터(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정렬지그(110)를 하강시켰을 때, 상기 커넥터(200)가 분리되도록 구성된 가이드턱(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1)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100)의 커넥터 수용부(110)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푸셔핀인 제 1 단부(111a)와 상기 제 1 단부(111a)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단부(1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부(111a)가 상기 리셉터클(211) 내부로 인서트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단부(111a)는 끝단부가 완전히 라운드 형이므로, 와이어와 전기적 접속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111a)는 제 1 직경부(111aa), 상기 제 1 직경부(111aa)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 2 직경부(111ab)와 제 3 직경부(111ac)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직경부(111aa)와 상기 제 2 직경부(111ab) 사이의 경계에 플랜지부(112)를 더 구비하여, 상기 리셉터클(211)에 내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12)의 직경은 상기 제 3 직경부(111ac)의 직경과 거희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연결핀(111)의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상기 플랜지부(112)는 약 1mm 정도의 두께를 가져서 쉽게 구브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셉터클(211) 중앙부위에 형성된 개구부(212)에 인서트되고 상기 개구부(212)를 이루는 턱(213)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부(111a)가 상기 리셉터클(21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제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 직경부(111aa), 플랜지부(112), 및 상기 제 2 직경부(111ab)가 상기 정션박스(100) 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직경부(111aa)의 길이는 약 2 내지 4mm, 바람직하게는 3mm 정도이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커넥터(200)와의 반복 결합시 구브러지거나 텅 다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12)가 제 3 직경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112)가 상기 연결핀(111)의 외주부이면서 제 1 직경부(111aa)와 제 2 직경부(111ab)의 경계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정션박스(100)와 상기 커넥터(200)의 안전한 결합을 위하여 별도로 고정수단을 부가할 필요가 없으며, 1차적으로 정렬지그(130)에 의해서, 2차적으로 정션박스(100)의 연결핀(111)과 커넥터(200)의 리셉터클(211)에 의해서 체결 유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핀(111)의 플랜지부(112)에 의해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211)이 판상부재가 호형상으로 구브러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결핀(111)을 삽입하는 것은 쉬워도 빼는 것은 일정한 힘을 가여야만 빠지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플랜지부(112)가 일정한 힘을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서 가하기 때문에 상기 정렬지그(130)의 승하강에 따른 상기 커넥터(200)와의 결합과 해제가 보다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연결핀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3)

  1.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고 푸션핀으로 구성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대향하여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끝단부가 라운드형이고 외주부 둘레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제 1 직경부와, 상기 제 1 직경부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 2 직경부 및 제 3 직경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의 경계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경부의 길이는 끝단부로부터 약 2 내지 4 mm 인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은 상기 제 3 직경부의 직경이 동일한 자동차용 정션박 스 연결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약 1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정션박스로부터 상기 제 2 직경부부터 돌출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 연결핀.
  7. 상기 정션박스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을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갖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핀은 푸셔핀이고, 그 제 1 단부의 끝단이 완전히 라운드형이고 외주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리셉터클은 판상의 부재를 호 형상으로 안으로 구브려 접속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핀의 플랜지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접속홀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터클은 중간부위에 개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턱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턱에 의해서 지지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제 1 직경부와, 상기 제 1 직경부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제 2 직경부 및 제 3 직경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의 경계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경부의 길이는 끝단부로부터 약 2 내지 4 mm 인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은 상기 제 3 직경부의 직경이 동일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약 1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정션박스로부터 상기 제 2 직경부부터 돌출되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 결합구조.
KR2020070012037U 2007-07-20 2007-07-20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KR200443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37U KR200443255Y1 (ko) 2007-07-20 2007-07-20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37U KR200443255Y1 (ko) 2007-07-20 2007-07-20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52U true KR20090000752U (ko) 2009-01-23
KR200443255Y1 KR200443255Y1 (ko) 2009-02-04

Family

ID=4129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037U KR200443255Y1 (ko) 2007-07-20 2007-07-20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74A (ko) 2017-12-14 2019-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블록 단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74A (ko) 2017-12-14 2019-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블록 단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255Y1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190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CN101669255A (zh) 电连接器与连接器组件
EP2453542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relay module
CN104779467B (zh) 带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US20170338520A1 (en) Battery device and battery connection module
CN105612670A (zh) 具有电阻编码的插拔连接器部件
US7497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lip for vehicular use
EP1962385A2 (en) Female terminal for connector,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N106898905A (zh) 一种稳定端子位置度的电气盒
CN106463882A (zh) 线缆应变消除
US7922510B2 (en) Electronic module having a prestressed flat plug connection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n electronic module
CN207559179U (zh) 汇流条连接用连接器和包含该连接器的电池组
KR200443255Y1 (ko)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CA2930710C (en) Electronic corrosion protection device
US20010007802A1 (en) Dummy plug for wiring harness
KR200479370Y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잭
JP2015005514A (ja) コネクタ
US8231404B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US8158894B2 (en) Housing having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n electrical feed line
CN105849978A (zh)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US10096925B2 (en) Connector
KR100351106B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립 및 회로검사 지그
CN111313171B (zh) 用于车辆的电线连接器
CN111293654B (zh) 连接设备、连接元件、系统和方法
CN107453075A (zh) 用于气囊应用的插塞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