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50A -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650A
KR20090000650A KR1020070025804A KR20070025804A KR20090000650A KR 20090000650 A KR20090000650 A KR 20090000650A KR 1020070025804 A KR1020070025804 A KR 1020070025804A KR 20070025804 A KR20070025804 A KR 20070025804A KR 20090000650 A KR20090000650 A KR 2009000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ransportation
arrival notification
user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이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태 filed Critical 이성태
Priority to KR102007002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650A/ko
Publication of KR2009000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승차하고 있는 교통수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번호로 현재 탑승하고 있는 대중교통의 종류, 노선, 현위치 및 목적지, 알람방식 및 준비시간 등을 입력하면,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사용자의 휴대전화가 입력되는 시간과 입력되는 내용으로부터 현재 탑승하고 있는 교통수단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휴대전화번호, 목적지, 알람방식, 준비시간 등을 입력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을 때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폰에 알람신호를 송신하는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휴대폰 사용자가 정거장을 지나치거나 당황하여 미리내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초행길이나 야간의 여행에서 창문을 통하여 현재 어디를 가고 있는가를 확인하지 못하여 걱정하며 여행하는 것을 막아주며, 경제성이 뛰어나고 사용이 간편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GPS, 목적지, 알람, 휴대폰, 교통수단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NFORM SYSTEM FOR REACHING STOP USING MOBILE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주요 정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전화망 110: 교환기 120: 기지국
200: 서비스제공시스템 210: 도착알림서버 220: 정보저장DB
230: 위치파악시스템 300: 전철#3 310: 휴대폰1
320: 휴대폰2 330: 휴대폰3 340: 서비스전화번호
350: 위치감지시스템 400: 기차#1 410: 휴대폰4
420: 휴대폰5 430: 휴대폰6 440: GPS수신기
500: 인공위성 600: 교통수단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승차하고 있는 교통수단에서 정거장 알림 서비스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여, 탑승하고 있는 대중교통의 종류(기차, 전철, 버스 등), 노선, 현위치, 목적지, 알람방법 및 준비시간 등을 입력하면 서비스시스템은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한 시간과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간에 그 위치에 있던 교통수단이 어떤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승차하고 있는 교통수단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폰에 알람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종료되는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한두번 또는 여러번에 걸처서 자신이 원하는 정거장을 지나치거나 잘못내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특히 피곤하여 잠을 자는 경우, 술에 취한 경우 그리고 친구들과 대화에 몰두한 경우에는 자주 발생하며, 초행길이거나 야간에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정거장에 내리지 못할까봐 내내 걱정하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지금까지의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을 보면 모두 사용자의 휴대폰에 GPS 장비가 장착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며, 휴대폰에 GPS가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특히 등록번호 10- 0541772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은 본 발명과 목적은 동일하나 그 목적을 추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 기술도 기본적으로 휴대폰에 장착된 GPS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이동전화망으로 알람신호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사용자의 휴대폰이 홈위치등록기에 등록이 되어야 하고 등록이 된 휴대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등 까다로운 절차를 필요로 한다. 특허등록 10-0445779의 “GPS를 이용한 휴대폰의 공간 알림시스템 및 방법” 에서도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이 기술도 모든 사용자의 휴대폰에 GPS가 장착이 되어 있어야 하며, 동시에 휴대폰에 GPS 정보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야 하고, 자신이 원하는 지점을 자신의 휴대폰에 입력하여야 하는 등의 복잡하고도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 아닐 수 없다. 특허등록 10 - 0609846 “ 휴대폰을 이용한 버스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은 승차장에서 기다리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승차하고자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버스에 탑재된 GPS를 사용하여 버스의 현 위치와 이동방향을 계산하고, 여러 대의 버스정보를 종합하여 필요한 정보를 휴대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사용목적이 다르고 구성요소도 상이한 기술이다. 그 외에 휴대폰의 GPS를 이용한 위치 확인 기술과 위치추적 및 네비게이션 기술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 입장에서 GPS 수신가가 내장된 휴대폰을 구비하여야만 하며 사용하기가 복잡하고 또 전체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용료도 고가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도 용이하고 경제적인,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자는 정해진 어떤 특정 대중교통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산가는 새마을호 8시30분 서울역발 기차, 또는 서울 3호선 수서행 15:37분 교대역 통과 전철 등이 될 것이다. 이렇게 자신이 타고 있는 특정의 대중교통이 어느 시간에 어느 위치에 있는가 하는 것은 철도청이나 지하철공사 또는 서울메트로 등에서 모두 감지하고 있으며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 중 한 사람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이러한 정보를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알리면서 서비스를 신청하면 서비스제공시스템은 각종 대중교통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사용자가 신청한 정보를 결합하여 현재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은 무엇이고 어디에 있는가를 결정 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타고 있는 대중교통과 사용자의 정보를 모두 갖고 있는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원하는 조건에 일치할 때 사용자 핸드폰으로 알람신호를 보내어서 사용자가 내리기를 원하는 정거장에 도착하였음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전화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하는 휴대폰과, 휴대폰을 통하여 이동전화망에서 무선통신을 하도록 교환하는 교환기와, 실시간으로 위치를 알 수 있는 교통수단과, 교통수단의 실시간 위치와 사용자가 입 력한 정보 및 요청시간으로부터 대중교통의 현위치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위치파악시스템과, 휴대폰에서 요청한 정보와 교통수단의 실시간 위치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DB와, 교통수단의 GPS 또는 위치 감지 시스템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휴대폰에서 요청한 목적지와 일치할 때 교환기를 통하여 휴대폰으로 도착 알림을 통보하는 도착알림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단계와, 탑승하고 있는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전화번호, 요청시간, 대중교통의 종류, 노선, 현위치 및 도착을 알릴 목적지를 정보저장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탑승차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교통수단의 현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입력된 현위치와 목적지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목적지와 일치할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통보하는 단계와 알람이 울리는 동안 사용자의 확인이 입력될 경우 알람을 중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은 실시간별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감지시스템 또는 GPS수신기를 갖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시간별 위치정보가 서비스제공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교통수단을 탑승을 한 후, 탑승한 차량에 대한 정보( 교통수단의 종류(기차,전철,버스), 노선, 현위치 )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신청한 시간이 휴대폰으로 통화한 시간으로 감지가 되며, 그 시간에 특정 노선에 특정 위치를 지나는 교통수단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이러 한 정보를 입력할 때 정해진 포맷으로 입력이 가능하며, 인터넷이나 네이트와 같은 무선 자료서비스를 통하여 정해진 포맷을 다운받아 사용하면 더욱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문자서비스가 어려운 연령대의 사람들을 ARS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거장 정보 이외에 알람방법 중 음성이나 진동을 선택할 수 있으며, 목적지 도착 5분전, 7분전 또는 10분전 등 준비시간을 신청하게 되면 서비스제공시스템에서는 이를 정보저장DB에 입력하였다가 원하는 조건에 맞을 때 알람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예를 들어 전철#3(300)을 타고 이동중인 사용자들이 각각 휴대폰1(310), 휴대폰2(320) 및 휴대폰3(330)을 휴대하고 탑승한 상태이다. 휴대폰1(310)의 사용자와 휴대폰2(320)의 사용자는 이동전화망(100)을 통하여 서비스를 신청하였고, 휴대폰3(330)의 사용자는 신청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기차#1(400)을 이용하는 휴대폰5(420)는 서비스를 신청하였고 휴대폰4(410)와 휴대폰6(430)은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들은 모든 대중교통에 대한 정거장 알림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전화번호(340)를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서비스제공시스템(200)에 정거장 도착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는 각 전철이나 기차에 특정번호 등을 부여할 필요가 없으며, 전철#3(300)은 위치감지시스템(350)을 탑재하고 있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철#3(300)을 운행하는 승무원에 의하여 수동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정보를 도착 알림서버(210)에 입력할 수도 있겠으나 야간이나 사람의 실수 등을 고려할 때 위치감지시스템(350)을 탑재하고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폰1(310) 및 휴대폰2(320)는 이동전화망(100)과 연결된 교환기(110)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아야 한다. 인공위성(500)은 기차#1(400)이 현재 어디 있는가를 알려주며, 위치감지시스템(350)은 전철#3(300)의 현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여주고 기지국(120)은 이동전화망(100)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제공시스템(200)이 별로도 구성되어 있으면서 여러 교통수단(6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또 동시에 많은 휴대폰들로부터 요구사항을 입력받아 한꺼번에 저장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서비스제공시스템(200)이 각각의 교통수단(600)들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받고 또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교통수단(600)이 무엇이며 현재 어디에 위치하는 가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위치파악시스템(230)을 설치 운영한다. 여기서 교통수단(600)이라 하는 것은 전철#3(300)과 기차#1(400) 등을 포함하는 모든 대중교통수단의 개별 교통수단 각각을 대표적으로 지칭하는 것이다. 전철#3(300)의 위치감지시스템(350) 및 기차#1(400)의 GPS수신기(450)와 위치파악시스템(230)간의 통신은 특정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통신이나 이동전화망(100)을 이용한 무선통신도 가능하다. 전철#3(300)과 기차#1(400)의 사용자 모두는 동일한 서비스전화번호(34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전화번호(340)은 123-4567”로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서비스전화번호(340)는 “010-123-4567” 의 형식을 갖는 휴대전화번호일 수 도 있으며, “#345” 또는 “**345” 등 특수전화번호일 수 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주요 정보 흐름도이다. 사용을 원하는 휴대폰1 (310)로부터 탑승차량인 전철#3(300)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전철#3(300)의 정보는 교통수단(600)의 종류인 전철, 노선인 3호선 수서행, 현재 위치인 교대역을 입력받으면 휴대폰1(310)에서 도착알림서버(210)로 통신한 시간인 15:37분 23초가 입력되면, 서비스시스템(200)은 위치파악시스템(230)에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차량이 무엇인가를( 예를 들면 3호선 전철 3456호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 전철#3(300)이 언제 어디를 지나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원하는 목적지에서 알람을 발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휴대폰1(310)은 탑승차량의 정보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문자로 또는 ARS로 입력이 가능하며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나 네이트와 같은 무선 정보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받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교통수단(600) 중 하나를 승차한 사용자는 서비스전화번호(34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시스템(200)에 전화를 하거나 문자를 송신한다(S1). 이때 휴대전화 사용자는 탑승한 차량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 탑승차량의 종류, 노선 및 방향, 현재위치 등을 입력하게 되며, 목적지, 준비시간 및 알람방법 등 자신이 원하는 정보도 같이 입력된다(S2). 전화는 서비스제공시스템(200)에 연결이 되고 서비스제공시스템(200)은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송신한 탑승차량의 종류, 노선 및 방향, 현재 위치와 정보를 송신한 시간정보로부터 위치파악시스템 (230)을 사용하여 탑승한 교통수단(600)이 무엇이며, 현재 위치는 어디인가를 판단한다(S3). 서비스제공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외에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한 시간을 추가로 알 수 있게 되며, 도착을 알릴 목적지 등을 정보저장DB(220)에 저장하게 된다(S4). 이때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를 동일한 교통수단(600)을 타고 있는 사용자들끼리 분류하여 놓는다. 요청한 목적지로 가는가를 먼저 확인(S5)하여서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폰에 목적지로 가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를 울리게 하고(S6) 사용자가 휴대폰의 “확인” 버튼을 누를 때까지 기다렸다가(S7) "확인 “버튼 누름이 확인 되면, 알람을 중지하고 사용자 정보를 처리한 후(S12) 이 사용자의 상황을 종료한다. 사용자가 탑승한 교통수단(600)이 요청한 목적지로 향한 경우에는 해당 교통수단(600)의 GPS수신기(440) 또는 위치감지시스템(350)을 이용하여 현위치를 파악하게 되며(S8), 현 위치가 알림을 요청한 정거장인가를 확인하여(S9) 아직 정거장에 도착하지 못한 경우에는 S8단계를 반복수행하며, 일치하는 경우에는 요청한 알람방식으로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S10). 사용자가 휴대폰의 “확인” 버튼을 눌렀는가를 확인하여(S11) 안 누른 경우에는 S10번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누른 경우에는 알람을 중지하고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는(S12) 단계를 수행한 후 해당 요청자에 대한 상황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어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을 휴대한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승차하고 있는 교통수단의 정보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문자 또는 ARS를 통하여 입력하면, 서비스제공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각종 교통수단의 현위치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교통수단이 무엇이고, 현위치는 어디 인가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원하는 조건에 맞을 때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폰에 알림신호를 송신을 하여주는 것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휴대폰 사용자가 정거장을 지나치거나 당황하여 미리내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초행길이나 야간의 여행에서 창문을 통하여 현재 어디를 지나가고 있는가를 확인하지 못하여 걱정하며 여행하는 것을 막아주며,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기존의 방식보다 경제성이 뛰어나고 사용이 간편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전화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하는 휴대폰;
    휴대폰을 통하여 이동전화망에서 무선통신을 하도록 교환하는 교환기와;
    시간별로 위치를 알 수 있는 교통수단과;
    휴대폰에서 요청한 목적지를 저장하는 정보저장 DB와;
    휴대폰에서 입력한 정보와 요청시간을 바탕으로 타고 있는 교통수단과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위치파악시스템과;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도착알림서버에 입력하면, 휴대폰에서 요청한 목적지와 일치할 때 교환기를 통하여 휴대폰으로 도착 알림을 통보하는 도착알림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알림서버가 각종 대중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스템과 유선이거나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가 대중교통수단의 정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 DB에 각종 대중교통수단의 실시간별 위치 정 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 DB에 저장하는 정보가 휴대폰번호, 교통수단의 종류, 노선, 수신시간, 현위치, 목적지, 알람방법 및 준비시간 중 하나이거나 이러한 것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도착알림서버에 입력하는 방법이 교통수단에 탑재된 GPS수신기의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를 도착알림서버에 입력하는 방법이 교통수단 내에 탑승한 승무원의 수동입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8.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는 단계와;
    사용자 휴대전화에서 입력되는 전화를 건 시간과 요청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현재 탑승한 교통수단을 정하고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 전화번호 및 도착을 알릴 목적지를 정보저장DB에 저장하는 단계와;
    해당 교통수단의 현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현위치와 목적지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목적지와 일치할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통보하는 단계와;
    알람이 울리는 동안 사용자의 확인이 입력될 경우 알람을 중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70025804A 2007-03-16 2007-03-16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0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04A KR20090000650A (ko) 2007-03-16 2007-03-16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04A KR20090000650A (ko) 2007-03-16 2007-03-16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50A true KR20090000650A (ko) 2009-01-08

Family

ID=4048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804A KR20090000650A (ko) 2007-03-16 2007-03-16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6523A (zh) * 2021-08-17 2021-11-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目的地到达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6523A (zh) * 2021-08-17 2021-11-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目的地到达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56523B (zh) * 2021-08-17 2023-07-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目的地到达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34672B1 (ko) 구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04157162A (zh) 盲人公交语音导引系统
JP7351727B2 (ja) 列車用通話システム
KR20090000650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887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하철 도착역 알림 방법
KR20070039825A (ko) 승객 보호를 위한 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123798A (ko) 단말을 이용한 목적지 접근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4070766A (ja) 車両到着時刻通知システム
KR100541772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3423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33101B2 (ja) 配車システムおよび配車方法
RU2300808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диспетчерск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рожным транспортом
JP2011010044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通知方法ならびに無線基地局
JP2008242538A (ja) Gps内蔵利用者端末を利用したバス運行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41270A (ko) 대중 교통 이용시 목적지 알람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02649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EP3916669A1 (en) Method for an exchange of data
KR20070065473A (ko)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6386B1 (ko) 위치 정보 및 비상 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장치 및 그의 방법
JP2010254024A (ja) 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運行管理装置
KR200700358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교통정보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202144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이동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260182A (ja) バス乗客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バス運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