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479A -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479A
KR20090000479A KR1020070064571A KR20070064571A KR20090000479A KR 20090000479 A KR20090000479 A KR 20090000479A KR 1020070064571 A KR1020070064571 A KR 1020070064571A KR 20070064571 A KR20070064571 A KR 20070064571A KR 20090000479 A KR20090000479 A KR 2009000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image
reflect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739B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ewfind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전자식 뷰파인더용 표시부 없이 외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얻어진 이미지를 파인더 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빛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하여 도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외부 표시부의 일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반사하여 접안부로 이끄는 파인더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view finder}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LCD 패널이 카메라 내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LCD 패널의 EVF용 LCD 영역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LCD 패널이 카메라의 외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LCD 패널의 전체 영역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0: 디지털 카메라 110: 렌즈부
121: 조리개 122: 셔터
130: 이미지 센서 140: 윈도우
150: 외부 표시부 151: 디스플레이 패널
153: 디스플레이 패널 케이스 161: 제1광
162: 제2광 163: 재3광
170: 파인더부 171: 제1반사부재
173: 제2반사부재 180: 접안부
181: 접안렌즈 182: 파인더 창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얻어진 이미지를 파인더 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드 등을 포함한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 시키는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영 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모습을 기록하는 장치로서, 눈을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고 피사체를 볼 수 있는 작은 창문과 같은 뷰파인더를 구비하고 있다.
뷰파인더 방식에는, 렌즈와는 별도의 창으로 입사된 빛으로 피사체를 보게 하는 광학식 뷰파인더 방식과,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피사체를 보게 하는 전자식 뷰파인더(Electronic View Finder: EVF) 방식이 있다.
광학식 뷰파인더 방식은 일안 반사식 (single lens reflex: SLR) 카메라와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광학식 뷰파인더 방식은, SLR 카메라 이외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실제 찍히는 렌즈를 통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시야율이 대략 80%로 좁은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별도의 뷰파인더를 구비하지 않고, 라이브 뷰(live view)를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하여 카메라 배면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만으로 피사체를 관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LCD는 햇빛이 강한 낮에는 외광 반사로 인해 화면 판독에 어려움이 따르고, LCD 만을 사용할 경우 배터리 소모가 크며, LCD 모니터를 보느라 카메라를 이리저리로 돌리면서 빠른 촬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고배율 쥼 디지털 카메라 또는 하이앤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LCD 모니터와 별도로 전자식 뷰파인더(EVF)를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1)는, 카메라(1) 배면에 배치된 LCD 모니터(2)와 카메라 상부에 배치된 EVF용 LCD(3)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4)를 통해 입사된 빛은 CCD(5)에 도달한 후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처리되어 LCD 모니터(2)로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EVF용 LCD(3)로도 신호가 전달되어 뷰파인더(6) 내부에 부착하된 접안 렌즈(7)를 통여 사용자의 눈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자식 뷰파인더(6)는 카메라 배면에 배치된 LCD 모니터(2) 외에 별도의 EVF용 LCD(3)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원가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전자식 뷰 파인더용 표시부 없이 외부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얻어진 이미지를 파인더 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빛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하여 도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외부 표시부의 일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반사하여 접안부로 이끄는 파인더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파인더부는,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상기 렌즈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제1광을 상기 제1광에 수직 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제1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제2광을 상기 접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반사부재 및 제2반사부재는 거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빛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하여 도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외부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굴절 및 반사하여 접안부로 이끄는 파인더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파인더부는,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상기 렌즈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제1광을 집광하는 제1굴절렌즈, 상기 제1굴절렌즈에 굴절된 제2광을 상기 제2광에 수직 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면, 상기 제1반사면에서 반사된 제3광을 굴절시키는 제2굴절렌즈, 및 상기 제2굴절렌즈에 굴절된 제4광을 상기 접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면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개폐 및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렌즈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미지가 상기 파인더부에 의해 상기 접안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피사체와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윈도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윈도우는 코팅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이미지 센서(130), 외부 표시부(150) 및 파인더부(170)를 구비한다.
렌즈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며, 줌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프리뷰(Preview)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줌 버튼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미도시)에 입력되고, 마이크로제어기가 렌즈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포커싱 모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미도시)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하여 구동부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가 구동되어 포커스 렌즈가 이동된다.
렌즈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빛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130)에 도달한 다. 렌즈부(110)와 이미지 센서(130) 사이에는 피사체의 밝기에 맞추어 필요한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21) 및 셔터(122)가 구비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조리개(121) 및 셔터(122)의 위치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지 센서(130)에 축적된 광량은 그 세기에 따라 렌즈부(110)에 촬영된 이미지를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미지 센서(130)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고,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배열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미도시)는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RAW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된다. 영상 처리부는, 온도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의 제거,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 및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 등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 및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를 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 등을 생성한다. 생 성된 JPEG 파일 등은 외부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된다.
외부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51)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153)를 포함하며, 외부 표시부(150)를 디지털 카메라(100) 본체로부터 개폐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154, 도 4 참조)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 본체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1)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ssion Display: OLED),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LCD 패널(151)를 채택하고,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LCD 패널(151, 도 2 참조)이 카메라 내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LCD 패널(151)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렌즈부(110)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부에서는 LCD 패널(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관찰할 수 없고, LCD 패널(151)의 케이스(153)만 볼 수 있다. 이때, 카메라(100)는 파인더 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LCD 패널(151)의 일부인 EVF용 영역(152, 도 4참조)에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LCD 패널(151)의 EVF용 영역(152)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표시부(150)가 닫힌 상태에서 광학계(110) 방향을 향하는 LCD 패널(151)에는, 촬영된 피사체의 상하 반전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피사체의 상하 반전 이미지는 LCD 패널(151)의 EVF용 LCD 영역(152)에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서 LCD 패널(151)의 EVF용 LCD 영역(152)은 LCD 패널(151)보다 세밀한 화소 배열을 갖는다. 따라서, LCD 패널(151)보다 EVF용 LCD 영역(152)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EVF용 LCD 영역(152)은 LCD 패널(151)보다 화소가 세밀하게 배열된다. 이 EVF용 LCD 영역(15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후술할 파인더부(170)에 의해 접안부(180)로 전달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LCD 패널(151)이 카메라의 외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들이다. 도 5의 경우는, 도 4의 경우와 달리 LCD 패널(151)의 방향이 반전되어 렌즈부(110)와 반대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을 향하고 있다. 도 6의 경우는 LCD 패널(151)의 방향이 반전되어 카메라(100)의 배면을 향하는 것과 동시에 LCD 패널(151)은 카메라(100) 본체에서 개방되어 있고 또한 회전도 가능한 상태에 있다. 즉, 도 5 및 도 6의 경우, 사용자는 LCD 패널의 케이스는 보이지 않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LCD 패널을 직접 볼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 카메라(100)는 LCD 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카메라 외부를 향한 LCD 패널(151) 전체 영역에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패널(151)을 통하여 촬영 전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촬영 후 즉시 촬영된 결과물의 확인이 가능하며, 또한 LCD 패널(151)을 통해서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메라는 LCD 모드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파인더부(170)를 통해서는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즉,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외부 표시부(150)의 디스플레이 영역인 LCD 패널(151)이 카메라 내부를 향하고 있는지 또는 카메라 외부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파인더 모드를 실행할지 LCD 모드를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방향에 따라 사전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LCD 모드와 파인더 모드를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 없이 LCD 모드와 파인드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LCD 패널(151)의 EVF용 LCD 영역(15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의한 광은 윈도우(140)를 통해 렌즈부(110) 방향으로 방출된다. 윈도우(140)의 외관은 코팅될 수 있다. EVF용 LCD 영역(152)에서 방출되는 광은, 후술할 파인더부(170)를 구성하는 광학계의 반사에 의해 사용자의 눈에 전달되므로, 윈도우(140)의 외벽에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EVF용 LCD 영역(152)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줄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LCD 패널(151)이 개방되었을 경우, 디지털 카메라(100) 외부에서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가 잘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카메라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윈도우(140)를 통과한 광은 파인더부(170) 의해 접안부(180)로 전달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CD 패널(151)의 EVF용 LCD 영역(15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부터 렌즈부(11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된다(제1광, 161). 제1광(161)은 거울과 같은 제1반사부재(172)에 의해 제1광(161)의 광경로에 대해 수직 상 방향으로 반사된다(제2광, 162). 제2광(162)은 다시 제2반사부재(174)에 반사되어 접안부(180) 방향으로 입사된다(제3광, 163). 제3광(163)은 접안부(180)의 접안 렌즈(181) 및 파인더 창(182)을 통과한 후 사용자의 시야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및 제2 반사부재(172, 174)는 다면체 거울의 반사면들 가운데 일 면이거나, 일부 면만 반사 면인 거울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종래의 LCD 창을 별도로 구비한 전자식 뷰 파인더와는 달리, 이미지 센서(13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에 배치된 LCD 패널(151)을 이용하여, 상술한 광학계를 구비한 파인더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뷰파인더용 LCD 창 없이 접안부(180)를 통해 피사체를 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200)는 렌즈부(210), 이미지 센서(230), 외부 표시부(250) 및 파인더부(2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200)의 렌즈부(210) 및 이미지 센서(230)은 전술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렌즈부(110) 및 이미지 센서(130)와 동일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외부 표시부(250)는 디스플레이 패널(2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1)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253)를 포함하며,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외부 표시부(250)를 디지털 카메라(200) 본체로부터 개폐 및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251)로서 LCD 패널(251)를 채택하고,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LCD 패널(251)은 디지털 카메라(200)의 렌즈부(210)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디지털 카메라(200)의 외부에서는 LCD 패널(251)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관찰할 수 없고, LCD 패널(251)의 케이스(253)만 볼 수 있다. 이때, 카메라(200)는 파인더 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LCD 패널(251)의 전체 영역에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은 LCD 패널(251)의 전체 영역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 실시예의 도 4와 비교할 때, 전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LCD 패널(151)의 일부 영역인 EVF용 LCD 영역(152)에 디스플레이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LCD 패널(251)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반면,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LCD 패널(251)에는 피사체의 이미지에 대하여 상하 반전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LCD 패널(25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후술할 파인더부(270)에 의해 접안부(280)로 전달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LCD 패널(25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의한 광은 윈도우(240)를 통해 렌즈부(210)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때 윈도우(240)의 외관은,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카메라의 외관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도 코팅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LCD 패널(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넓어지므로 윈도우(240)도 이에 비례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윈도우(240)를 통과한 광은 파인더부(270) 의해 접안부(280)로 전달된다. 이 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CD 패널(25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부터 렌즈부(21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된다(제1광, 261). 제1광(261)은 제1굴절렌즈(271)에 의해 굴절되어 진행한다(제2광, 262). 제2광(262)은 거울과 같은 제1반사부재(272)에 의해 제2광(162)의 광경로에 대해 수직 상 방향으로 반사된다(제3광, 263). 제3광(162)은 제2굴절렌즈(273)에 굴절된다(제4광, 264). 제4광(264)은 다시 제2반사부재(274)에 반사되어 접안부(280) 방향으로 입사된다(제5광, 265). 제5광(265)은 접안부(280)의 접안 렌즈(281) 및 파인더 창(282)을 통과한 후 사용자의 시야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및 제2 반사부재(272, 274)는 다면체 거울의 반사면들 가운데 일 면이거나, 일부 면만 반사 면인 거울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LCD 패널(251)이 카메라의 외부를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200)는 LCD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패널(251)을 통하여 촬영 전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촬영 후 즉시 촬영된 결과물의 확인이 가능하며, 또한 LCD 패널(251)을 통해서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메라는 LCD 모드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파인더부(170)를 통해서는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200)는 외부 표시부(250)의 디스플레이 영역인 LCD 패널(251)이 카메라 내부를 향하고 있는지 또는 카메라 외부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파인더 모드를 실행할지 LCD 모드를 실 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51)의 방향에 따라 사전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LCD 모드와 파인더 모드를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 없이 LCD 모드와 파인드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종래의 LCD 창을 별도로 구비한 전자식 뷰 파인더와는 달리, 이미지 센서(23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200)의 배면에 배치된 LCD 패널(251)을 이용하여, 상술한 광학계를 구비한 파인더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뷰파인더용 LCD 창 없이 접안부(280)를 통해 피사체를 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EVF용 LCD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한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모드 선택 버튼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빛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하여 도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외부 표시부의 일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반사하여 접안부로 이끄는 파인더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부는,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상기 렌즈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제1광을 상기 제1광에 수직 상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및 상기 제1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제2광을 상기 접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 및 제2반사부재는 거울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빛을 집광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하여 도달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외부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를 굴절 및 반사하여 접안부로 이끄는 파인더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부는,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상기 렌즈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제1광을 집광하는 제1굴절렌즈, 상기 제1굴절렌즈에 굴절된 제2광을 상기 제2광에 수직 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 상기 제1반사부재에서 반사된 제3광을 굴절시키는 제2굴절렌즈, 및 상기 제2굴절렌즈에 굴절된 제4광을 상기 접안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 및 제2반사부재는 거울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개폐 및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래이 패널이 상기 렌즈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미지가 상기 파인더부에 의해 상기 접안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피사체와 상하 반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1.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상기 외부 표시부에서 방출된 광이 통과하는 윈도우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70064571A 2007-06-28 2007-06-28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132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571A KR101323739B1 (ko) 2007-06-28 2007-06-28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571A KR101323739B1 (ko) 2007-06-28 2007-06-28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79A true KR20090000479A (ko) 2009-01-07
KR101323739B1 KR101323739B1 (ko) 2013-10-30

Family

ID=404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571A KR101323739B1 (ko) 2007-06-28 2007-06-28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915A (ja) * 2001-11-27 2003-06-06 Minolta Co Ltd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JP2007036951A (ja) * 2005-07-29 2007-02-08 Olympus Imaging Corp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を有する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739B1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6177B2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for digital camera
JP5538549B2 (ja) ファインダ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214964A (ja) 映像表示装置
US766591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87512B2 (ja) 撮像装置
JP2011059582A (ja) 撮像装置
JP2007060131A (ja) ライブビュー表示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520315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0226185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1463622B2 (en) Image capturing device including superimposed display mode and camera shake correction mode
KR101323739B1 (ko)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JP2004186721A (ja) カメラ
JP2001136429A (ja) 電子カメラ
US9723207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328808B2 (ja) 撮像装置
JP200819362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4048492A (ja) 撮像装置
JP5672922B2 (ja) 撮像装置
US20090079861A1 (en) Digital Camera with Interchangeable Lens and an Electronic Viewfinder
KR10139846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527429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0567662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ing shift direction calculation
JP201014145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010392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018339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