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304A -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304A
KR20090000304A KR1020070064272A KR20070064272A KR20090000304A KR 20090000304 A KR20090000304 A KR 20090000304A KR 1020070064272 A KR1020070064272 A KR 1020070064272A KR 20070064272 A KR20070064272 A KR 20070064272A KR 20090000304 A KR20090000304 A KR 2009000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wi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호
이정숙
나관상
진영환
윤경림
이보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6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304A/ko
Publication of KR2009000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04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저장된 사업자 제공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및 사업자 제공 콘텐츠,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가입 정보―텔레비젼(TV) 채널 콘텐츠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유형을 포함함―가 저장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서버에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서버 콘텐츠를 검색하고,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대한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원격 접속하여 저장된 피씨(PC) 콘텐츠를 검색하며, 검색한 서버 콘텐츠 또는 검색한 피씨(PC)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 원격 IP 단말을 이용하여 TV 채널 시청이나 원격 PC 접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테이크 아웃 서비스, 콘텐츠 제공 장치, 유무선 원격 IP 단말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 서비스 중 유무선 원격 IP 단말을 통해 TV 채널을 서비스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접속할 수 있는 지역에서 유무선 원격 IP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크 아웃(Take-Out) 서비스는 댁내 특정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테이크 아웃 서비스는 고객이 댁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TV, PC의 콘텐츠(TV 채널, 동영상 음악 파일, 문서 등)을 외부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콘텐츠 유형에 따라 크게 2가지 서비스 유형으로 구분한다.
첫 번째 유형인 테이크 아웃 TV는 가정에서 사용 중인 TV 채널의 채널 신호를 기존의 TV 단말 외에 셋탑 박스 또는 PC에 장착된 TV 수신 카드로 수신하고 수신된 TV 채널을 IP 신호로 변환하여 다시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한다. 이로 인해 테이크 아웃 TV는 댁내 TV 채널을 외부에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인터페이스 내 메뉴를 통하여 댁내에서의 TV 시청과 별도의 채널 변경, 음량 변경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인 테이크 아웃 PC는 전원이 켜져 있는 댁내 PC를 IP 기반의 원격 접속 기술을 통해 접속하여 댁내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다른 단말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테이크 아웃 서비스는 테이크 아웃 TV나 테이크 아웃 PC를 단말 상에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없어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테이크 아웃 TV는 별도의 물리적인 장치(셋탑 박스, TV 수신 카드 등)를 고객의 가정에 설치해야 하며, 가정에서 이용하고 있는 TV 채널만을 테이크 아웃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테이크 아웃 PC는 댁내 PC의 전원이 항상 켜져 있어야만 외부에서 해당 PC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댁내 TV 채널, 댁내 PC에 있는 콘텐츠 및 사업자 제공 콘텐츠를 인터넷 접속할 수 있는 지역에서 유무선 원격 IP 단말을 통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업자 제공 콘텐츠와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가입 정보―텔레비젼(TV) 채널 콘텐츠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유형을 포함함―가 저장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 서버에서 상기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서버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대한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원격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피씨(PC) 콘텐츠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한 서버 콘텐츠 또는 상기 검색한 피씨(PC)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테이크 아웃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인증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와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제공받을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가입 정보와 아이피 주소를 포함한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선택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이용 권한을 가졌는지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증 처리하고, 적법한 등록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상기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통해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테이크 아웃 서비스 방법은 (a)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가입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 인증 과정을 거쳐 적법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용 정보―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가입 정보와 아이피 주소를 포함한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를 포함함―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를 질의어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통해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테이크 아웃(Take-Out) 서비스 시스템(100) 및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CP)(400)를 포함한다. 이외에 댁내 PC와 댁내 TV를 의미하는 댁내 단말(500)과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위젯 형태의 메뉴를 통해 TV 채널, 원격 PC 접속, 사업자 제공 콘텐츠 등의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단일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프로바이더(400)와 댁내 단말(50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TV 채널 콘텐츠, 사업자 제공 콘텐츠 및 댁내 PC에 저장된 콘텐츠 등)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 또는 댁내 단말(500)로부터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TV 채널 콘텐츠, 사업자 제공 콘텐츠, 댁내 PC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선택 콘텐츠를 검색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 또는 댁내 단말(500)로 전송한다. 또한,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기저장된 원격 접속 대상 PC 정보를 통해 사용자 PC와 원격 접속하여 사용자 PC에 저장된 PC 콘텐츠를 검색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TV 채널 콘텐츠, 사업자 제공 콘텐츠 및 댁내 PC에 저장된 콘텐츠 등을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저장 서버와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 댁내 단말(500)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예를 들어, TV 채널 변경, 콘텐츠 변경 등)를 처리하는 제어 서버와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 댁내 단말(500)과 원격 통신 연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콘텐츠 이 용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검색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TV 채널 정보, 사업자 제공 콘텐츠의 이용 요청 또는 댁내 PC의 원격 접속 요청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의 단말 정보(단말 유형, 해상도 등)를 기초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에 최적화된 형태의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테이크 아웃 서비스의 신규 가입, 삭제, 등록을 처리하기 위해 유무선 웹 사이트를 운용하고 있다. 여기서, 유무선 웹사이트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을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가입, 설정, 변경 등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유선 웹사이트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등을 기반으로 제작된 다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웹사이트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을 기반으로 제작된 다수의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테이크 아웃 서비스의 가입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테이크 아웃 서비스에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이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콘텐츠 프로바이더(400)는 동영상, 음악, TV 채널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를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전술한 댁내 단말(500)은 댁내 PC와 댁내 TV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물리적인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댁내 PC의 원격 접속이나 댁내 TV 채널 시청이 가능하다. 여기서, 댁내 PC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되어 있는 댁내 PC 콘텐츠(멀티미디어 파일, 문서 등)을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저장한다.
전술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유선 단말인 컴퓨터 시스템와 노트북, 무선 단말인 이동통신 단말기, PDA, PSP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테이크 아웃 서비스는 TV 채널, 댁내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PC 이용 환경 및 사업자 제공 콘텐츠를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댁내 단말(500)과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을 모두 합쳐 사용자 단말로 명명하기도 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 중 콘텐츠 제공 장치(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통신 연결 처리부(220), 인코딩부(23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사용자 인증부(260) 및 콘텐츠 제공부(27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과의 사용자 인증, 콘텐츠 요청/응답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10)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용 요청을 입력받아 콘텐츠 제공부(270)로 전송하고, 특정 콘텐츠를 검색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
통신 연결 처리부(220)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과의 통신 연결 설정 및 유지 기능을 하고,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의 단말 정보(단말 유형, 해상도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인코딩부(2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인터넷망(300)을 통해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전달 속도의 최소화 및 품질 보장을 수행하는 압축 기술을 제공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는 사용자의 인증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 및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를 통해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 이용 정보는 콘텐츠 가입 정보(가입 TV 채널 정보, 이용 가능한 콘텐츠 정보 등), IP 주소를 포함한 원격 접속 대상 PC 정보, 가입자별 저장 서버 정보(할당 공간, 사용 중 공간, 가용 공간 등)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26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 을 입력받은 경우, 콘텐츠를 요청한 사용자가 정당한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260)는 사용자가 정당한 이용 권한을 가진 적법한 등록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콘텐츠 제공부(270)로 전송한다.
콘텐츠 제공부(27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또는 원격 접속 대상 PC 정보의 원격 접속 요청을 사용자 인증부(26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서비스 이용 정보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인코딩부(230)를 통해 압축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
콘텐츠 제공부(270)는 통신 연결 처리부(220)에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의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된 콘텐츠를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가공하여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270)는 TV 채널, 원격 접속 PC, 사업자 제공 콘텐츠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으며, 사업자 제공 콘텐츠의 경우 콘텐츠 자체일 수 있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접속 사이트(URL)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부(270)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원격 PC의 콘텐츠를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의 저장 서버에 업로드하여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테이크 아웃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 아웃 서비스 중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을 통해 TV 채널을 서비스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프로바이더(400)로부터 TV 채널 콘텐츠 및 사업자 제공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업자 제공 콘텐츠는 동영상, 음악/사진 파일 등을 포함한다.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실행시켜 사용자 인증 및 서비스 활성화를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 요청한다(S100).
인터페이스부(210)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부터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부(260)로 전송한다(S102). 여기서,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는 가입자 정보 및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260)는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를 검색하여 테이크 아웃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04). 이어서, 사용자 인증부(260)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검색하여 콘텐츠 제공부(270)로 전송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S106). 또한, 콘텐츠 제공부(270)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인터넷망(300)을 통해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콘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인증이 성공한 경우,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한다. 이어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활성화한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출력한다(S108).
또한,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활성화된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선택 TV 채널 정보를 포함한 TV 채널 메뉴 선택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TV 채널 메뉴 선택 신호를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콘텐츠 제공부(270)로 전송한다(S110).
이어서, 콘텐츠 제공부(270)는 수신한 TV 채널 메뉴 선택 신호에 포함된 제1 선택 TV 채널 정보를 질의어로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를 검색하여 제1 선택 TV 채널 정보와 매칭되는 TV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TV 채널 정보를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S112). 여기서, TV 채널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TV 채널의 종류를 의미한다.
그리고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TV 채널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선택 TV 채널 정보를 포함한 TV 채널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TV 채널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콘텐츠 제공부(270)로 전송한다(S114).
콘텐츠 제공부(270)는 사용자가 요청한 TV 채널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2 선택 TV 채널 정보가 이용한 가능한 채널인지 판단하여 적법한 TV 채널인 경우, 해당하는 최종 TV 채널 정보를 인코딩부(230)로 전송한다(S116).
인코딩부(2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제2 선택 TV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최종 TV 채널 정보를 압축 기술(MPEG4, H.264 등)을 이용하여 압축한 후,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로 전송한다(S118).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은 압축된 최종 TV 채널 정보를 디코딩하여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S12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유무선 원격 IP 단말(6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TV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에서 언급한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TV 채널 정보를 선택하여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로 들고 있다. 이외에 사업자 제공 콘텐츠, PC 콘텐츠 등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는 어떤 것이든 테이크 아웃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무선 원격 IP 단말을 이용하여 TV 채널 시청이나 원격 PC 접 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별도의 물리적인 장치를 구매/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상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On-Demand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PC에 있는 콘텐츠를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에 수신하여 관리함으로써 접속하고자 하는 원격 PC의 전원이 꺼져 있어도 원격 PC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물리적인 장치의 추가 설치없이 인터넷상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테이크 아웃 TV, 테이크 아웃 PC, 사업자 제공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1)

  1. 사업자 제공 콘텐츠와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가입 정보―텔레비젼(TV) 채널 콘텐츠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유형을 포함함―가 저장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 서버에서 상기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서버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대한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원격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피씨(PC) 콘텐츠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한 서버 콘텐츠 또는 상기 검색한 피씨(PC)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
    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텔레비젼(TV) 채널 콘텐츠, 상기 사업자 제공 콘텐츠 및 상기 피씨(PC)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저장 서버;
    상기 저장한 콘텐츠의 선택 및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저장 서버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 또는 댁내 단말을 포함함―로 전송하도록 관리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 또는 상기 댁내 단말과 원격 통신 연결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서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테이크 아웃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서버 콘텐츠를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텔레비젼(TV) 채널 콘텐츠, 상기 사업자 제공 콘텐츠 및 상기 피씨(PC) 콘텐츠를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의 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에 이용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은 위젯 형태의 메뉴를 통해 상기 텔레비 젼(TV) 채널 콘텐츠, 상기 사업자 제공 콘텐츠 및 상기 피씨(PC) 콘텐츠를 단일 클라이언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사용자의 인증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와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제공받을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가입 정보와 아이피 주소를 포함한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선택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이용 권한을 가졌는지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증 처리하고, 적법한 등록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상기 가입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통해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과의 통신 연결 설정 및 유지를 위한 통신 연결 처리부에서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의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한 콘텐츠를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가공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 사업자 제공 콘텐츠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 또는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의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의 단말 정보에 따라 상기 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 사업자 제공 콘텐츠,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저장된 피씨(PC) 콘텐 츠를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10. (a)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가입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 인증 과정을 거쳐 적법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이용 정보―가입 텔레비젼(TV) 채널 정보와 이용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가입 정보와 아이피 주소를 포함한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를 포함함―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를 질의어로 상기 서비스 이용 정보를 통해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부터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대한 원격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 접속 대상 피씨(PC) 정보에 원격 접속하여 저장된 피씨(PC) 콘텐츠 중 상기 선택 콘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콘텐츠를 상기 유무선 원격 아이피(IP)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70064272A 2007-06-28 2007-06-2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90000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72A KR20090000304A (ko) 2007-06-28 2007-06-2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72A KR20090000304A (ko) 2007-06-28 2007-06-2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04A true KR20090000304A (ko) 2009-01-07

Family

ID=4048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272A KR20090000304A (ko) 2007-06-28 2007-06-28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3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9744B2 (en) 2011-02-11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in a proces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9744B2 (en) 2011-02-11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in a proces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2767B2 (en) Mobile content service
US97062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of a mobile device to a display screen associated with a set-top-box device
US9106709B2 (en) Server side mobile audience intelligence creation
JP5218080B2 (ja) 電子クーポン処理システム、ユーザ管理サーバ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13924B2 (en) Providing distributed online services for mobile devices
JP5237461B2 (ja) メディアファイルを移動デバイスに送信する方法およびそのエンティティ
US20050149850A1 (en)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accounting method, and scrip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US20080016177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JP2005531789A (ja) 特定インターネット利用者対象広告取替え方法及びシステム
JP543378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4041060A (zh) 用于内容目录服务器呈现的设备和方法
JP5487299B2 (ja) 操作情報生成装置および操作情報生成方法
JP2007115260A (ja) 情報提供方法、表示制御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端末装置、設定装置、アタッチメント及び記録媒体
KR100675130B1 (ko)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를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US8306944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f media server
KR20070083263A (ko) 사용자 단말의 특성에 따른 웹 표현 처리 시스템, 방법, 및그 기록매체
KR101356836B1 (ko)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90000304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00024370A (ko) 통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6270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복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공유장치 및 방법
KR101117575B1 (ko) Rss를 이용하여 디지털 tv에 vod를 전송하는 방법
KR101715171B1 (ko) 이기종 단말기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4443A (ko) 사용자의 즐겨찾기 주소를 서버에서 관리하는 즐겨찾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즐겨찾기 관리 방법
KR20090054740A (ko)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