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239U - 학습용 물로켓 - Google Patents

학습용 물로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239U
KR20090000239U KR2020070011074U KR20070011074U KR20090000239U KR 20090000239 U KR20090000239 U KR 20090000239U KR 2020070011074 U KR2020070011074 U KR 2020070011074U KR 20070011074 U KR20070011074 U KR 20070011074U KR 20090000239 U KR20090000239 U KR 200900002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head
rocket
learning
bottleneck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157Y1 (ko
Inventor
박노봉
Original Assignee
박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봉 filed Critical 박노봉
Priority to KR202007001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5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6Jet-propelled flying toys, e.g. aeropl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liquids or g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n outer spac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는 학습용 물로켓의 고무헤드 구조를 개선하여 로켓 발사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로켓 발사 시 로켓이 한층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물로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입구(11)가 구비된 연료통(10), 연료통(10)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다수의 날개(20), 연료통(10)의 상부에 끼워지는 앞탱크(30), 앞탱크(30)의 상부에 끼워지는 고무헤드(40)로 구성된 학습용 물로켓에 있어서, 상기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50)를 내장하되, 상기 중량체(50)의 중앙부에 병목삽입공(51)을 형성하여, 상기 앞탱크(30)의 병목(31)이 병목삽입공(51)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학습용, 물로켓, 고무헤드, 중량체, 병목삽입공

Description

학습용 물로켓{water rocket for learning}
도 1은 종래 학습용 물로켓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고무헤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4b는 종래 고무헤드의 분리 및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물로켓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헤드의 내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헤드의 분리 및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헤드와 중량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a,11b는 도 10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연료통 11 : 주입구
20 : 날개 30 : 앞탱크
31 : 병목 40 : 고무헤드
41 : 고정편 50 : 중량체
51 : 병목삽입공 52 : 고정홀
본 고안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는 학습용 물로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무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로켓 발사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로켓 발사 시 로켓이 한층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물로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로켓은 주로 음료수병으로 사용되는 페트(P.E.T)병을 재활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물로켓은 최근 들어 청소년의 과학교육용 기구 및 놀이기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페트병으로 제작되는 학습용 물로켓은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a)가 구비된 연료통(1)과, 상기 연료통(1)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테이프(T) 등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날개(2)와, 상기 연료통(1)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이프(T) 등으로 부착되는 앞탱크(3)와, 상기 앞탱크(3)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이프(T) 등으로 부착되는 고무헤드(4)로 구성된다.
이러한 학습용 물로켓은 연료통(1)에 일정량의 물을 채우고, 물이 주입된 연료통(1)에 압축 공기를 주입한 후, 연료통(1)의 주입구(1a)를 열어주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물의 분출로 로킷이 발사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각 부위의 조립과정에서 중심선 일치와 부착되는 날개 각도의 균형 등이 전제되지 않으면 정확한 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한편 고무헤드(4)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형성되어야 로켓 발사 시 로켓이 멀리 날아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용 물로켓에 있어서는 도 3과 도 4a,4b에서와 같이 앞탱크(3)에 끼워지는 고무헤드(4)가 단순히 탄두형상의 구조로만 형성되었기 때문에, 즉 앞탱크(3)에 고무헤드(4)를 끼워서 조립할 때 중심선을 잡아주는 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특히 앞탱크(3)에 고무헤드(4)를 끼울 때 고무헤드(4)가 좌우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무헤드(4)를 앞탱크(3)에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끼울 수 없어 로켓 발사 시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학습용 물로켓에 있어서는 고무헤드(4)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있지 않고 전체적으로 퍼져있기 때문에, 로켓 발사 시 구조적으로 로켓이 멀리 날아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앞탱크에 고무헤드를 끼울 때 좌우 쏠림 없이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끼워 로켓 발사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무헤드의 무게중심을 상부에 형성하여 로켓 발사 시 로켓이 한층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물로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고무헤드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를 내장하여 무게중심을 고무헤드의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중량체의 중앙부에 앞탱크의 병목이 끼워지는 병목삽입공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학습용 물로켓은 도 5 내지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입구(11)가 구비된 연료통(10), 연료통(10)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다수의 날개(20), 연료통(10)의 상부에 끼워지는 앞탱크(30), 앞탱크(30)의 상부에 끼워지는 고무헤드(40)로 구성된 학습용 물로켓에 있어서, 상기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50)를 내장하되, 상기 중량체(50)의 중앙부에 병목삽입공(51)을 형성하여, 상기 앞탱크(30)의 병목(31)이 병목삽입공(51)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통(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페트병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연료통(10)에는 물과 압축 공기를 넣을 수 있도록 주입구(11)가 구비되고, 연료통(10)의 외면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날개(20)가 부착되며, 연료통(10)의 상부에는 앞탱크(30)가 끼워진다.
상기 날개(20)는 연료통(10)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날개(20)는 날아가는 로켓의 균형을 잡아준다. 이때, 상기 날개(20)는 연료통(20)의 외면에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된다.
상기 앞탱크(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페트병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앞탱크(30)는 연료통(10)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앞탱크(30)의 상부에는 고무헤드(4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앞탱크(30)는 연료통(10)의 상부에 끼워 진 상태에서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무헤드(4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고무헤드(40)는 탄두형으로 형성되어 앞탱크(30)의 상부에 끼워지고,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는 무게중심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중량체(5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무헤드(40)는 앞탱크(30)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중량체(50)는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중량체(50)는 고무헤드(40)의 상부에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중량체(50)는 고무헤드(40)를 앞탱크(30)에 끼울 때 좌우 쏠림 없이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무헤드(40)를 앞탱크(30)에 정확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량체(50)의 중앙부에 병목삽입공(51)을 형성하여, 조립 시 상기 앞탱크(30)의 병목(31)이 중량체(50)의 병목삽입공(51)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라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50)를 내장하여 고무헤드(40)의 무게중심을 상부에 형성하면, 로켓 발사 시 중력가속도가 커져 로켓의 비행속도가 커지고, 또한 추진력을 계속 유지하면서 로켓이 방향을 잃지 않고 곧은 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더 멀리 날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체(50)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고정홀(5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무헤드(40)의 내측에는 성형 시 고정홀(52)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이탈방지용 고정편(4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홀(52)이 구비된 중량체(50)를 제작한 후, 헤드성형틀에 중량체(50)를 넣고, 이 상태에서 고무헤드(40)를 성형하면 고정홀(52)내로 고무가 인서트되면서 고정편(41)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무헤드(40)를 성형하면 중량체(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a,11b는 본 고안에 따른 중량체(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5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병목삽입공(51)의 내경에는 병목(31)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조립으로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중량체(5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시 병목삽입공(51)의 암나사와 병목(31)의 수나사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고무헤드(40)를 앞탱크(30)에 끼워 고정함에 있어서 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무헤드(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학습용 물로켓도 연료통(10)에 일정량의 물을 채우고, 일정량의 물이 주입된 연료통(10)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물과 공기를 압축시킨 후, 순간적으로 연료통(10)의 주입구(11)를 개방하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물의 분출로 로킷이 발사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심선을 잡아주는 병목삽입공(51)이 형성된 중량체(50)가 내장되었기 때문에, 앞탱크(30)에 고무헤드(40)를 끼워서 조립할 때 앞탱크(30)의 병목(31)이 중심선을 잡아주는 중량체(50)의 병목삽입공(51)에 끼워지게 되고, 고무헤드(40)의 무게중심은 중량체(50)에 의해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무헤드(40)를 앞탱크(30)에 끼울 때 중량체(50)의 병목삽입공(51)으로 앞탱크(30)의 병목(31)이 끼워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무헤드(40)를 앞탱크(30)에 좌우 쏠림 없이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끼워 로켓 발사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50)가 내장되고, 이러한 중량체(50)에 의해 고무헤드(40)의 무게중심이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로켓 발사 시 로켓을 한층 더 멀리 날려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학습용 물로켓은 앞탱크에 고무헤드를 끼울 때 좌우 쏠림 없이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끼워 로켓 발사 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고무헤드의 무게중심을 상부에 형성하여 로켓 발사 시 로켓을 한층 더 멀리 날려보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주입구(11)가 구비된 연료통(10), 연료통(10)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다수의 날개(20), 연료통(10)의 상부에 끼워지는 앞탱크(30), 앞탱크(30)의 상부에 끼워지는 고무헤드(40)로 구성된 학습용 물로켓에 있어서, 상기 고무헤드(40)의 내측 상부에 중량체(50)를 내장하되, 상기 중량체(50)의 중앙부에 병목삽입공(51)을 형성하여, 상기 앞탱크(30)의 병목(31)이 병목삽입공(51)에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물로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50)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고정홀(5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무헤드(40)의 내측에는 성형 시 고정홀(52)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이탈방지용 고정편(4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물로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삽입공(51)의 내경에는 병목(31)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조립으로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물로켓.
KR2020070011074U 2007-07-05 2007-07-05 학습용 물로켓 KR200443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074U KR200443157Y1 (ko) 2007-07-05 2007-07-05 학습용 물로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074U KR200443157Y1 (ko) 2007-07-05 2007-07-05 학습용 물로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39U true KR20090000239U (ko) 2009-01-08
KR200443157Y1 KR200443157Y1 (ko) 2009-01-16

Family

ID=4127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074U KR200443157Y1 (ko) 2007-07-05 2007-07-05 학습용 물로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91Y1 (ko) * 2011-08-04 2014-01-24 김대영 학습용 물로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91Y1 (ko) * 2011-08-04 2014-01-24 김대영 학습용 물로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157Y1 (ko)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1214A1 (en) Foam dart having a safety cap
US7775918B2 (en) Soft projectile
US7789080B2 (en) Underwater target game apparatus
EP1630517A2 (en) Toy projectile
US8702459B2 (en) Floating technical hollow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805755B2 (en) Safe launcher-projectile assembly for pets
US10295319B2 (en) Aerodynamic projectile
KR200443157Y1 (ko) 학습용 물로켓
US6149488A (en) Water balloon dart
US20070119440A1 (en) Projectile shooting device
CN203060813U (zh) 娱乐装置
JP2007301267A (ja) ゴルフティー
US20020123278A1 (en) Recreational floating device having underwater projectile dispensing feature
KR100772805B1 (ko) 물로케트의 조립구조
KR200236415Y1 (ko)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사되는 학습용 물로켓
KR200420995Y1 (ko) 물로케트의 조립구조
KR200232680Y1 (ko) 고공 비행이 가능한 완구용 로켓트
KR200470991Y1 (ko) 학습용 물로켓
US20230249092A1 (en) Model Rockets with Divisible Nose Cones
US20210069606A1 (en) Devices that are thrown or launched
JP3062359U (ja) 水ロケット
CN201643701U (zh) 吹射飞行器
JP2000271352A (ja) 水ロケット
KR200299551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고무패킹이 끼워진 물로켓 발사장치
KR200455744Y1 (ko) 물로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