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188A -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188A
KR20090000188A KR1020070008100A KR20070008100A KR20090000188A KR 20090000188 A KR20090000188 A KR 20090000188A KR 1020070008100 A KR1020070008100 A KR 1020070008100A KR 20070008100 A KR20070008100 A KR 20070008100A KR 20090000188 A KR20090000188 A KR 2009000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able
terminal
function
de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288B1 (ko
Inventor
전해영
금지은
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288B1/ko
Priority to US12/020,125 priority patent/US9426253B2/en
Priority to PCT/KR2008/000479 priority patent/WO2008091133A1/en
Priority to EP08712201.6A priority patent/EP2115626B1/en
Publication of KR2009000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가 관리 서버에 의해 디스에이블 상태가 된 자신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미리 정해진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였으면, 인에이블 요청과 관련한 정보가 위치하는 관리 오브젝트(MO: Management Object)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MA, DM 트리, DCMO

Description

관리 서버에 의해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Method of re-enable device capability disabled by management server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 단말기 및 관리 권한 서버(MA: Management Authority)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OMA DM 에서 DM 트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OMA DM 표준에서 정의된 Generic Alert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서버가 원격으로 무선 단말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디바이스 관리 (DM: Device Management) 시스템 및 DM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수 많은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OMA(Open Mobile Alliance) DM(Device Management (DM)에 대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DM 시스템에서, DM 서버는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에게 DM 메시지를 전달하여 단말기 내부의 파라미터 또는 실행 파일 등을 나타내는 Management Object (MO)를 읽어 들이거나 (Get), 변경하거나 (Replace), 실행 (Exec)함으로써 펌웨어(Firmware) 다운로드/갱신(download/update),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다운로드/설치/갱신/제거(Software component download/install/update/remove)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DM 서버가 수행하는 관리 기능 중의 하나로, 단말의 특정 기능(capability) (e.g. 카메라, WLAN, GPS, DMB 등)의 사용 허가 여부를 관리하는 Device Capability Management 기능이 있다.
장치 기능 관리(Device Capability Management)는 예컨대, 특수 사업장과 같은 곳에서 영역 내 단말기의 기능(capability)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 관리 주체인 관리 권한자(Management authority)가 DM 서버를 통해 사업장 내 특정 제한 구역의 출입자들의 무선 단말기의 기능들(e.g. 카메라, WLAN, Bluetooth 등)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설정 값이 저장된 실행 노드 등을 나타내는 Device Capability Management Object (DCMO)가 정의된다. DM 서버는 DCMO의 노드의 값을 획득, 변경 또는 실행함으로써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DM 서버는 예를 들어, Camera 노드의 하위 노드인 enable/disable 등의 실행 노드를 실행하거나, enable 노드 값을 TRUE 또는 FALSE 등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카메라 기능을 enable 시키거나 disable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DM 서버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시킬 수 있는 권한을 주지 않으며 DM 서버를 통해서만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시킬 수 있다.
즉, 관리 권한(Management Authority: MA) 서버가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출입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에게 특정 기능의 enable/disable 명령을 DM 서버를 통해 전달함으로써만 해당 기능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자는 DM 서버에 의하여 디스에이블되어 있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DM 서버로부터 해당 기능에 대한 enable 명령을 기다려야 한다.
실제적으로, DM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가 제한 구역에 출입 하는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체크함으로써 단말기의 출입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DM 서버로 하여금 단말의 기능을 디스에이블하거나 인에이블하기 위한 명령을 단말기에 전달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기능 관리 시스템은 특정 보안 구역의 출입구에서 사용자의 신분증 등을 체크하고 그 정보를 MA에 전달함으로써 MA로 하여금 DM 서버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등록 무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disable 또는 enable 시킬 수 있다. 또한, DM 시스템은 특정 보안 구역의 방문자의 경우 입문 시에 방문자의 무선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고, MA가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DM 서버를 통해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방문자가 특정 보안 구역을 떠나는 것을 체크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출입 정보가 체크 불량 등에 의해 자동으로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체크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벗어날 때에 등록 장소에서 다시 출문 확인을 하지 않는 경우, 또는 기타 전파 상의 이유에 의하여 DM 서버가 단말기의 클라이언트와 DM 세션을 형성하지 못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enable 명령을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이 제한 영역을 벗어났음에도 단말기의 특정 기능은 여전히 disable인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급하게 사용하고자 하여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 할 수 있는 어떠한 권한도 없기 때문에 DM 서버가 다시 DM 세션을 형성하고 enable 명령을 보내주기 이전까지는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제한 구역 이내, 즉 작업장 내부에 존재한다 하여도 업무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특정 기능 (e.g. 카메라)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기능을 인에이블할 수 있는 권한이 일시적으로 주어져야만 한다. 하지만, 누군가가 해당 기능이 인에이블되어야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일일이 DM 시스템에 입력하여 해당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enable 시켜주는 데에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많은 수의 단말기를 관리할 때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요약하면, DM 시스템이 단말기의 제한 구역 이탈을 감지하지 못하여 DM 서버가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기능들을 다시 인에이블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계속해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가 제한 구역 이내에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특정 기능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DM 서버가 해당 단말기에게 해당 기능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기 이전에는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인에이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게 특정 기능의 사용 허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와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가 자신의 기능을 인에이블하는 방법으로서 디바이스 관 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미리 정해진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였으면, 인에이블 요청과 관련한 정보가 위치하는 관리 오브젝트(MO: Management Object)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도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Device Management Server, 이하 “DM 서버”라 함.)(200)와, 디바이스 관리 클라이언트(Device Management client, 이하 “DM 클라이언트”라 함)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100)와, 관리 권한 서버 (Management Authority)(300)를 포함한다.
DM 서버(200)에 의해 특정 기능이 제한된 (disabled) 단말기(100)가 해당 구역을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DM 서버로부터 다시 인에이블 명령을 받지 못하여 계속해서 특정 기능이 disable 되어 있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나, 제한 구역 내에 있음에도 업무상 또는 응급 상황 때문에 불가피하게 해당 기능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응급상황의 경우에 무선 단말기(100)는 해당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DM서버(200)를 통해 관리 권한 서버로 전달한다. 관리 권한 서버(200)는 관련 상황을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enable 시켜 주거나 해당 요청(request)를 거절(reject)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기(100)는 DM 서버(200)에게 해당 기능에 대한 enable 요청 메시지를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 DM 프로토콜의 Generic Alert (또는 기타 DM 메시지)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DM 서버(200)는 해당 요청 메시지와 부가 정보를 확인하여, 요청 단말이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 시켜줄 요건을 충족하는가를 판단한 후, 단말에게 enable 명령을 내리거나 reject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때, DM 서버가 해당 기능의 인에이블을 허용할 것인지는 다음과 실시예들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는 제한 구역을 벗어난 경우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의 인에이블을 허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 2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는 사용 권한을 위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을 요청하는 경우 전송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의 인에이블을 허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관리 권한 서버(300)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코드가 정당한 것인지를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확인한다.
제3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10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DM 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 권한 서버(300)는 무선 단말기가 긴급 상황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 해당 기능의 인에이블을 허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설명한 무선 단말기(100), 관리 권한 서버(300)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관리 권한 서버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DCMO 에이전트(110) 및 DM 클라이언트(120)를 포함한다. DCMO 에이전트(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출력 처리부(111),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수행부(113) 및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 요청부(115)를 포함한다.
DCMO 에이전트(110)는 일반적인 무선 단말기의 구성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DCMO 에이전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출력 처리부(111)는 일반적인 키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키패드는 푸시 버튼 숫자 다이얼링 패드, 멀티-키 키보드이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이 무선 단말기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출력 처리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통지(notification) 등을 입력받아 처리한다.
또한,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수행부(113)는 무선 단말기 내의 기능들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명령을 수행한다.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수행부(113)는 예컨대,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 요청부(115)는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고,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DM 클라이언트(120)로 전달한다.
DM 클라이언트(120)는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을 수신하면 이러한 요청을 포함하는 DM 메시지 또는 제너릭 얼러트를 생성한다. 이어서, DM 클라이언트(120)는 생성한 DM 메시지 또는 제너릭 얼러트를 DM 프로토콜을 통해 DM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DM 클라이언트(120)는 DM 서버로부터 DM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처리한다. 예컨대, DM 클라이언트(120)는 DM 서버로부터 전송된 DM 메시지를 분석하여 DM 메시지에서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이 허용되었는지 또는 거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DCMO 에이전트(110)는 해당 기능을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한다.
무선 단말기(100)는 또한, 디스플레이, 메모리, 무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권한 서버(110)는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판단부(310),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명령부(320) 및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 요청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판단부(310)는 사용자의 구역 출입 정책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기의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 또는 디스에이블 요청에 따라 소정 기능을 인에이블 시킬지 또는 디스에이블 시킬 지를 판단한다. 이 때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판단부(310)는 해당 단말에 관한 정보, 예컨대, 단말의 위치 정보, 단말의 등록 정보 등을 참조한다.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명령부(320)는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판단부(310)에서 해당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지 인에이블할 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할 명령을 생성하여 DM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 디바이스 기능 인에이블 요청 처리부(330)는 DM 서버를 통해 전송된 무선 단말기(100)의 인에이블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단말기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따라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는 단계 410에서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100)는 무선 단말기(100)가 제한 구역을 벗어난 후, 사용자가 디스에이블된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그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제한 구역을 벗어나면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한 구역 내에서 디스에이블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여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무선 단말기(100)은 해당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100)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420으로 진행하여 관련 정보가 위치하는 MO(Management Object)을 가리키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는 인에이블 요청(enable-request)을 생성한다.
도 4에는 무선 단말기의 기능들을 관리하기 위한 파라미터들,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MO들을 entities로 하는 DM 트리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의 기능들을 관리하기 위한 파라미터들, 즉 관리 오브젝트들은 무선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데, 그 데이터 저장 구조를 DM 트리라고 한다. 이 DM 트리의 엔티티들이 MO(Management Object)들이다.
DM 서버는 MO(Management Object)을 가리키는 URI를 참조하여, 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에이블 요청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가 위치하는 MO을 가리키는 URI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에이블 요청은 기존의 DM 메시지 또는 제너릭 Alert 메시지에 포함되어 DM 서버로 전송된다.
즉, 단말기가 DM 서버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DM protocol 상의 Generic Alert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 Generic Alert 메시지는 source LocURI, Meta, Da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OMA DM 표준에서 정의된 Generic Alert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LocURI 값은 Generic Alert에 참조가 필요한 Management Object (MO) 상의 노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Meta 값은 Generic Alert Data 의 type과 format을 정의한다. 또한 Data 값은 각 DM enabler에서 필요에 의해 Alert Data 값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enable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data 값으로 201이라는 값을 정의한다면, Data 값에 201을 넣어 전송하였다면 이는 단말의 클라이언트가 특정 기능에 대하여 enable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Generic Alert Data 값에 해당 기능의 enable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request를 정의하는 값을 넣고,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MO 내에 저장한 후 해당 부가 정보를 담고 있는 MO의 URI를 Alert Data와 함께 전달함으로써 단말기가 서버에게 enable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사용자가 UI를 통해 단말기의 특정 기능에 대한 enable을 요청하면, 무선 단말기는DM 서버와 DM 세션을 열고, Generic Alert message를 전달한다. 이 때, 무선 단말기는 Generic Alert에 들어가는 Alert Data 값에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enable 해달라는 request를 의미하는 값을 미리 정의하여 (위의 예에 따르면 ‘201’) 그 값을 삽입하여 전달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Generic Alert message에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의 부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MO의 위치를 지시하는 LocURI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DM 서버 및 관리 권한 서버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 구성) Generic Alert를 확인한 후 해당 단말기가 Device capability를 다시 enable 시켜달라는 것임을 인지하고 부가 정보를 담고 있는 LocURI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서버의 판단 기준에 따라 해당 기능을 enable 시켜주거나 해당 request를 reject할 것을 결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DM 메시지를 다 시 단말기로 전달한다. 서버의 판단 기준은 자신이 DM 세션을 열어 Device capability를 다시 enable 하려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저장 기록, 또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가 DM 서버로 보내는 Generic Alert의 LocURI에 특정 단말 기능을 가리킴으로써 enable 시키고자 하는 특정 기능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모든 기능에 대해 다시 enable 시켜줄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을 나타내는 DM 메시지 또는 Generic Alert 메시지를 송신한 후, 단계 430에서 DM 서버(200)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허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DM 서버(200)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허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450에서 소정 기능을 인에이블시킨다.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허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소정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허용 불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440으로 진행하여 소정 기능의 디스에이블을 유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2,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들을 도 6 내지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무선 단말기가 제한 구역을 벗어났음에도 소정 Device Capability를 사용할 수 없는 disabled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무선 단말기(100)는 해당 기능은 특정 DM 서버에 의해 disable 된 상태이므로 사용할 수 없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해당 기능에 대해 인에이블을 요청하면 무선 단말기(100)은 단계 610에서 해당 DM 서버(200)와 세션을 형성한다.
이어서,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620에서 Generic Alert 또는 DM message에 DM 서버에 의해 disable 된 기능을 다시 enable 시켜줄 것을 요청하는 Alert data를 DM 서버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별하여 지정하는 URI, DM 서버가 단말기의 해당 기능 enable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하는 MO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DM 서버(200)는 해당 Alert 또는 메시지를 받은 후, 단계 630에서 부가적인 정보 또는 그 외의 방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기능을 enable해도 되는 상태인지를 관리 권한 서버(도시 생략)를 통해(제한 구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실함을) 확인한다. 이 때, 관리 권한 서버는 무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권한 서버는 이전에 enable 시도 실패 기록 등과 비교하여 자신이 해당 단말의 영역 이탈을 확인하여 단말 기능에 대한 enable을 시도했었으나 성공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DM 서버(200)는 관리 권한 서버로부터 단말기의 기능을 인에이블해도 되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640에서 DM 세션을 통해 단말기에게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 시키도록 DM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이 DM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기 능을 다시 enable 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무선 단말기가 제한 구역에 위치하여 소정 Device Capability를 사용할 수 없는 disabled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한 구역에서 디스에이블된 기능을 사용하려는 경우, 감독관 또는 권한자를 통해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 허가 인증 코드(authorization code)를 무선 단말기(100)에 입력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업무상 필요에 의해 카메라 기능을 enable 하고자 할 경우, 해당 제한 구역의 감독관 또는 권한자에게 요청하여 카메라 기능을 enable 시킬 수 있는 authorization code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가 UI를 통해 해당 권한을 갖는 authorization code를 입력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710에서 이를 수신한다. authorization code는 특정 password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715에서 DM 서버와 DM 세션을 형성하여 Generic Alert 또는 DM 메시지를 이용하여 disable된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 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720에서 해당 authorization code 값을 DCMO 내 특정 노드에 저장한 후, Generic Alert 또는 DM 메시지 내부에 해당 기능의 enable을 요청하는 Alert 메시지와 함께 해당 authorization code 값이 있는 MO를 가리키는 URI를 포함하여 DM 서버에게 enabl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authorization code 값을 나타내는 URI 대신에 authorization code 값을 직접 포함시킬 수도 있다. Authorization code는 사전에 관리 권한 서버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가지고 있는 값이어야 하며, 제한 구역 내에 제한 해제 권한을 갖는 책임자 등에 의해 해당 기능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349829 이라는 코드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내는 authorization code라고 약속하면 이를 관리 권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제한 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이 필요한 사용자는 해당 구역에서 이와 관련된 책임자로부터 해당 코드를 전달받아 자신의 단말기에 입력한 후 이를 DM 서버로 전달 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 시킬 수 있다.
그러면, DM 서버(200)는 단계 730에서 enabl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관리 권한 서버가 해당 URI가 가리키는 code 값을 인증하여 인증된 경우 단계 740에서 해당 단말기의 기능을 enable 시키는 DM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달한다. 만약 authorization code가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단말기에 reject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의 경우 해당 authorization code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사용할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발생할 때마다 단말기 정보를 일일이 DM 서버에 입력하여 DM 서버가 enable 명령을 주는 것에 비하여 해당 단말기의 수가 많아질 경우에 전체 프로세스가 간략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M 서버가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disable 시킬 경우 이를 다시 enable 시킬 수 있는 인증 코드값 또는 인증 코드를 인증할 수 있는 해쉬(Hash) 값이 단말기의 DCMO 내의 특정 노드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추후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무선 단말기는DM 서버와의 DM 세션을 형성하지 않고 해당 노드의 값을 이용하여 인증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 시켜줄 수 있다. 이 때, 해당 인증 코드값은 단말 사용자에 의해 판독될 수 없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DM 서버와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응급 상의 이유 등 긴급 상황의 경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DM 시스템이 특정 이유로 인하여 제한 구역 내에서는 단말기의GPS장치 또는 WLAN 관련 기능을 디스에이블 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긴급 구조 등을 요청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GPS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그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로 전송해야 한다. 또는 GPS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나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WLAN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810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긴급 전화번호(예컨대, 119)에 따라 호가 발신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0)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면 단계 815에서 DM 서버와의 세션을 형성한다. 이어서, 무선 단말기(100)는 단계 820에서 디스에이블되어 있는 단말기의 기능들의 인에이블 을 요청하는 request 메시지를 Generic alert 또는 DM 메시지를 이용하여 DM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필요하다면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사용자의 단말기 MO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DM 서버로 enable request 메시지를 발송할 때 긴급 상황을 알리는 indicator가 저장되어 있는 MO를 가리키는 URI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인 enable 요청 메시지와 다른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enable 요청 메시지를 별도로 정의하여 Generic Alert 메시지에 포함시켜 보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DM 서버(200)는 단계 830에서 관리 권한 서버를 통해 현재의 상황이 긴급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 상황은 긴급 전화번호에 따른 호 발신, 또는 재해 관리 센터로부터의 위급 상황 발생 통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단말의 모든 기능에 대하여 disable 상태가 enable 상태로 바뀌도록 할 수도 있다. 위급 상황의 발생시 DM 서버(200)는 단계 840에서 해당 단말기의 기능을 enable 시키는 DM 메시지를 단말기에 전달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기능이 DM 서버에 의하여 디스에이블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DM 서버에 특정 기능을 enable 시켜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DM 서버는 그 메시지 및 그에 따른 부가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기에 enable 명령을 제공할 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다시 enable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 관리 주체 서버(Authority)의 정책(policy)에 의해 허용되는 상황이라면 직접 DM 서버로 enable을 요청하여 해당 기능에 대한 사용 허가를 받을 수 있다.

Claims (18)

  1. 단말기와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가 자신의 기능을 인에이블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미리 정해진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면, 인에이블 요청과 관련한 정보가 위치하는 관리 오브젝트(MO: Management Object)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DM 메시지 형태인 것을 특징을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 형태인 것을 특징을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는 상기 관리 오브젝트의 디바이스 관리 트리 상에서 인에이블 요청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LocU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는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Da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요청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단말기의 제한 구역 이탈 및 긴급 상황의 발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의 인에이블을 요청하기 위한 인증 코드 (authorization code)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인에이블 방법.
  10. 단말기의 기능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기능들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와,
    디바이스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미리 정해진 기능이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이 발생하면, 인에이블 요청과 관련한 정보가 위치하는 관리 오브젝트(MO: Management Object)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DM 메시지인 것을 특징을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인 것을 특징을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는 상기 관리 오브젝트의 디바이스 관리 트리 상에서 인에이블 요청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노드 위치를 나타내는 LocU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릭 얼러트(Generic Alert) 메시지는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에 대한 인에이블 요청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Da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요청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단말기의 제한 구역 이탈 및 긴급 상황의 발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디스에이블된 기능의 인에이블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20070008100A 2007-01-25 2007-01-25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132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00A KR101321288B1 (ko) 2007-01-25 2007-01-25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US12/020,125 US9426253B2 (en) 2007-01-25 2008-01-25 Method for re-enabling a disabled capability of a terminal and a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PCT/KR2008/000479 WO2008091133A1 (en) 2007-01-25 2008-01-25 Method for re-enabling a disabled capability of a terminal and a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EP08712201.6A EP2115626B1 (en) 2007-01-25 2008-01-25 Method for re-enabling a disabled capability of a terminal and a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00A KR101321288B1 (ko) 2007-01-25 2007-01-25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88A true KR20090000188A (ko) 2009-01-07
KR101321288B1 KR101321288B1 (ko) 2013-10-25

Family

ID=3964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100A KR101321288B1 (ko) 2007-01-25 2007-01-25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6253B2 (ko)
EP (1) EP2115626B1 (ko)
KR (1) KR101321288B1 (ko)
WO (1) WO2008091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9418A1 (en) * 2009-05-22 2010-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ve control over notification processing in oma dm
EP2866379B1 (en) * 2012-06-22 2018-1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or disabling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0646B1 (en) * 2013-03-15 2016-03-29 Microstrategy Incorporated Logging location and time data associated with a credential
CN104185161B (zh) * 2014-09-11 2018-05-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嵌入式通用集成电路卡、用户签约信息的切换方法和系统
US9602346B1 (en) * 2014-12-11 2017-03-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figuration data ha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209A (en) 1995-02-27 1996-06-04 Parker; Robert F.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petition between processors, in an at-compatible multiprocessor array, to initialize a test sequence
US6363421B2 (en) 1998-05-31 2002-03-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mputer internet remote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US6643517B1 (en) * 1999-10-15 2003-11-0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protection
EP1433030A2 (en) 2001-07-31 2004-06-30 Endress + Hauser GmbH + Co. K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interface for tank or process monitor
DE60228989D1 (de) * 2001-09-25 2008-10-30 Yashpal Singh System, das ein mobiltelefon automatisch sperrt oder ausschaltet
CA2410118C (en) * 2001-10-26 2007-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setting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services
US20040005876A1 (en) * 2002-07-03 2004-01-08 Samuli Tuoriniemi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nd controlling capabilities of a mobile device
JP4610872B2 (ja) 2002-09-05 2011-0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グループ形成管理システム、グループ管理機器及びメンバー機器
FI116426B (fi) * 2003-05-02 2005-11-15 Nokia Corp Laitteenhallinnan aloittaminen hallintapalvelimen ja asiakkaan välillä
FI116958B (fi) * 2003-07-01 2006-04-13 Nokia Corp Hallintasolmujen määrittäminen laitteenhallintajärjestelmässä
FI20031047A (fi) * 2003-07-09 2005-01-10 Nokia Corp Elektronisen laitteen konfiguroiminen
ATE477561T1 (de) * 2004-01-06 2010-08-15 Kaba Ag Zutrittskontroll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US7551912B2 (en) * 2004-02-12 2009-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management network that facilitates selective billing
US7162223B2 (en) * 2004-02-17 2007-01-09 Team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users of an event using alerts
US7523155B2 (en) * 2004-03-18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using open mobile alliance (OMA) alerts to send client commands/requests to an OMA DM server
US20050277428A1 (en) * 2004-05-13 2005-1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based control of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features
FI20040742A0 (fi) * 2004-05-31 2004-05-31 Nokia Corp Ohjaustiedon toimittaminen protokollaa varten
US8392545B2 (en) * 2004-07-01 2013-03-05 Nokia Corpora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US7889869B2 (en) * 2004-08-20 2011-02-1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integrat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management with web browsing
US7873357B2 (en) * 2004-11-04 2011-01-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ve disabl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apabilities
US7400891B2 (en) * 2004-11-10 2008-07-15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ls
US8180927B2 (en) * 2004-12-14 2012-05-1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Transaction control arrangement for device management system
US20060200814A1 (en) * 2005-03-02 2006-09-07 Nokia Corporation Software distribution with activation control
US20060200658A1 (en) * 2005-03-07 2006-09-07 Bitfone Corporation Agent framework for mobile devices
US20060205394A1 (en) * 2005-03-10 2006-09-14 Vesterinen Matti I Mobile device, a network element and a method of adjusting a setting associated with a mobile device
EP1713206A1 (en) * 2005-04-11 2006-10-18 Last Mile Communications/Tivis Limited A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wirelessly linked base stations
CN100521616C (zh) 2005-05-19 2009-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在设备管理中上报终端信息的方法及系统
US8315615B2 (en) * 2005-05-23 2012-11-20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027971A1 (en) * 2005-07-26 2007-02-01 Sunil Marolia Device management network with notifications comprising multiple choice prompts
KR100653207B1 (ko) 2005-12-0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축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0407656C (zh) * 2005-12-09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终端设备进行管理的方法和系统
ZA200806190B (en) * 2006-01-18 2009-10-28 Ericsson Telefon Ab L M Dependency not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5626A1 (en) 2009-11-11
KR101321288B1 (ko) 2013-10-25
US9426253B2 (en) 2016-08-23
EP2115626B1 (en) 2019-06-12
US20080184261A1 (en) 2008-07-31
EP2115626A4 (en) 2012-11-07
WO2008091133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8993A1 (en) Integrated physical and logical security management via a portable device
CA2884224C (en) Secure distribution of electronic content
US8789156B2 (en) Data management with a networked mobile device
US2006009996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motely controlling wireless terminals
KR20160030470A (ko) 액세스 인증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TW201706895A (zh) 基於行動裝置之備援門禁管制系統的系統與方法
JP2012506594A (ja) ユーザ認証の管理
US10904735B2 (en) Emergency reporting application
GB2516939A (en) Access authorisation system and secure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20150143486A1 (en) Simplified Wi-Fi Setup
JP2007286879A (ja) 医用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医用機器、及び医用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101321288B1 (ko) 디스에이블된 단말기의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CN110930561B (zh) 智能锁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5131642A1 (zh) 一种控制终端设备上的访问权限的方法及装置
US966100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30305331A1 (en) Authentication and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2008217598A (ja) 入室管理システム、入室管理サーバ、入室管理方法
JP2007172039A (ja) ユーザの位置情報を利用したログイン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102758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84139B1 (ko) 위치정보 제공 인증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제공 방법
JP2007053454A (ja) 認証デバイスおよび認証方法
KR102365675B1 (ko) 복합 IoT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
JP2007172176A (ja) 認証装置
JP2007310661A (ja) ユーザ認証装置及びユーザ認証方法
JP4366125B2 (ja) 認証システム、サーバ装置、認証側装置、ユーザ側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