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626A -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 Google Patents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626A
KR20080113626A KR1020070062355A KR20070062355A KR20080113626A KR 20080113626 A KR20080113626 A KR 20080113626A KR 1020070062355 A KR1020070062355 A KR 1020070062355A KR 20070062355 A KR20070062355 A KR 20070062355A KR 20080113626 A KR20080113626 A KR 2008011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uld
cargo
tag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국
고호정
최영진
윤종환
김남훈
정홍채
윤종섭
서정걸
임동욱
조원상
이경일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빅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빅텍 filed Critical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626A/ko
Priority to PCT/KR2007/005318 priority patent/WO2009001989A1/en
Publication of KR2008011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communicating at a plurality of frequencies, e.g. for managing time multiplexed communication over at least two antennas of different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minimising adverse effects on the data communication capability of the record carrier, e.g. minimi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a proximate metal or otherwise electromagnetically interfering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금속 재질에 둘러싸인 환경에서 리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금속에 의한 신호손실이 적은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하여 리더기와 무선태그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태그가 배터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ULD 팔레트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엣지 레일(edge rails)에 배치함으로써 ULD 팔레트의 수납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때만 배터리를 소모함으로써 통상의 무선태그에 비해 더 오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고, 각각은 항공 화물을 수납 후 항공기에 적재되는 ULD 팔레트에 내장되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ULD 팔레트의 일 영역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ULD 팔레트의 화물 수납에 방해되지 않으며,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후,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웨이크-업, LF, 액티브 방식, 무선태그, 리더기, ULD 팔레트

Description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RFID tag with LF wake up function for ULD palette}
도 1a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리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ULD 팔레트의 일 부분에 대한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가 장착되는 ULD 팔레트가 ULD 팔레트 보관소에 적층 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ULD 팔레트에 무선태그가 삽입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언급할 무선태그의 작동 방식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언급할 무선태그의 작동 방식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의 블록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의 블록개념도,
도 8은 도 2 ∼ 도 7을 통해 설명된 무선태그가 항공화물에 적용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항공사로 반입된 화물을 수납하는 트럭 도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항공 화물터미널내에서 각각에 배치된 리더(고정형 또는 이동형)가 ULD 내장 태그 또는 화물에 부착 된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 AP(Access Point)를 통해 외부망(WiFi망)과 연결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항공 화물을 임시 수납하는 웨어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화물이 무선태그가 장착된 ULD팔레트에 수납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외부 리더기 40 : 무선태그
42, 150 : 프로세서 50 : 배터리
160 : 메모리 170 : 센서
180 : UHF 무선신호 송,수신부 190 : 임피던스 매칭부
본 발명은 무선 태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재질의 ULD 팔레트 내에서 사용되고, 금속 재질에서 투과성이 우수한 장파(Low Frequency)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리더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외부 리더기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때만 배터리를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무선태그의 기대수명을 증가시키는 장파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태그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에 적재되는 화물은 통상 ULD 팔레트라 불리는 금속 재질의 판에 수납되어 항공기에 장착된다. 또한 사용된 ULD팔레트가 도2 와 같이 적층되어 보관시 무선태그와 외부리더의 무선통신은 금속재질인 ULD팔레트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자체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는 패시브 방식의 무선태그는 금속 재질인 ULD 팔레트에 수납될 경우, 외부 리더기와 전파 통신이 어려워 ULD 팔레트에는 패시브 방식의 무선태그를 장착하기 어렵다.
통상 패시브 방식의 무선태그는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전파를 정류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며, 외부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전파에 자신의 데이터를 삽입하여 백 스캐터링(back scattering) 하므로 외부 리더와의 통신거리가 짧다.
따라서, ULD 팔레트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선태그는 자체 배터리에 의해 외부 리더로 무선신호를 전송 가능한 액티브 방식이어야 하나, 통상의 무선태그가 사용하는 UHF 대역의 주파수(300㎒ ∼ 900㎒)은 금속 사이에 배치될 경우, 주변의 ULD 팔레트에 의해 수신, 및 송신 주파수의 출력이 심하게 감소한다.
도 1a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 리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태그(20)는 배터리를 내장하며, MCU(Micro Control Unit)(22), RF 수신부(21), 및 RF 송신부(23)에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태그(20)가 주기적으로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는 배터리(24)의 수명이 곧 무선태그(20)의 수명과 직결된다. 배터리(24)가 완전히 방전되면 무선태그(20)는 그 역할을 지속할 수 없다.
한편, 패시브 방식, 또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는 300㎒ ∼ 900㎒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외부 리더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300㎒ ∼ 900㎒의 주파수 대역은 금속재질의 물품, 또는 금속재질의 구조물에 장착될 때, 금속재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항공화물을 운송하는 ULD(Unit Load Device) 팔레트에 무선태그가 장착되는 경우, 무선태그의 통신거리는 감소한다.
ULD 팔레트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며, 그 절단된 부분 형상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항공화물을 항공기의 화물칸에 탑재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사용후 ULD 팔레트 보관소에 적층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ULD 팔레트에 장착된 무선태그는 외부의 리더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무선태그는 외부 리더로 전송되는 전파의 출력을 상승시켜야 하지만, 이는 무선태그의 배터리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재질에 둘러싸인 환경에서 리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태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재질에 둘러싸인 환경에서도 전파 통신이 가능한 장파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태그를 웨이크-업 하며, 웨이크-업 될 때만 무선태그가 배터리를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극대화하는 무선태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공 화물을 수송하는 ULD 팔레트에 삽입되 어 사용되며, 항공 화물을 수납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금속 재질의 ULD 팔레트 내에서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항공기내에서 상시 웨이크-업 기능에 의해 전파를 방사하지 않는 무선태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고, 각각은 항공 화물을 수납 후 항공기에 적재되는 ULD 팔레트에 내장되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ULD 팔레트의 일 영역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ULD 팔레트의 화물 수납에 방해되지 않으며,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후, 상기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환경 내에서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태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19㎑ ∼ 300㎑ 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더기와 상기 무선태그는, 19㎑ ∼ 300㎑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와 상기 무선태그는, HF ∼ UHF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리더기, 및 상기 무선태그 상호간에 약정된 신 호이며, 양자가 일치될 때, 상기 무선태그가 웨이크-업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LD 팔레트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리더기와 미리 약정된 펄스를 장파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무선태그는,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도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리더기는 상기 화물을 반입, 및 수납하는 트럭 도크(Truck dock)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트럭 도크에 배치된 외부 리더기는 상기 화물에 부착된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화물이 수납될 게이트를 설정한다.
상기 외부 리더기는,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을 임시 수납하는 웨어하우스에 배치되며, 상기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는 상기 무선태그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화물에 부착된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화물의 행선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화물의 출납을 관리하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리더기는, 항공기로 반입되는 루트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며,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 부착되는 상기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무선태그의 이동 경로를 항공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항공사 서버가 상기 화물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태그는 항공기 내에 탑재시 전파를 발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가 장착되는 ULD 팔레트가 ULD 팔레트 보관소에 적층 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ULD 팔레트는 항공 화물을 수납하기 위해 판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ULD 팔레트는 사용 후 ULD보관소에서 적층되어 보관된다. 사용시 각각의 ULD 팔레트에는 항공 화물이 적재되고, 화물이 적재된 ULD 팔레트는 항공기에 수납된다.
한편, ULD 팔레트는 항공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기 위해, 통상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ULD 팔레트에 무선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ULD 팔레트에 부착되는 무선태그는 금속 재질에 의해 전파가 방해를 받아 외부 리더기와의 통신에 지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각각의 ULD 팔레트의 일 측에 삽입되며, 금속재질에 의해 전파가 간섭을 적게 받도록 장파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ULD 팔레트에 무선태그가 삽입된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ULD 팔레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를 수납하기 위해, ULD 팔레트의 일 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무선태그, 및 무선태그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의 무선태그, 즉 HF ∼ UHF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 리더기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태그는 도시된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 데이터 통신에 심각한 장해를 받으며,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 재질의 ULD 팔레트에 적용되는 무선태그는 패시브 방식이 적용되기 어렵고, 고출력의 송수신부를 구현 가능한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가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라 하더라도,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액티브방식의 무선태그가 HF ∼ UHF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가 증가하므로 무선태그의 수명은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환경에서도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리더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때, 이에 응답하여 활성화 상태가 되고, 그 이외에는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언급할 무선태그의 작동 방식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40)는, 외부 리더기(30)가 LF(Low Frequncy, 19㎑ ∼ 300㎑)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태그(40)의 내부 모듈(42, 43)을 활성화한다. LF 주파수 대역은 초음파에 가까운 주파수 대역으로 금속재질의 ULD 팔레트 사이에서도 통신특성 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40)는 LF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30)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에 반응하고, UHF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30)로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40)는 웨이크-업 신호가 전달되기 전까지는 내부 모듈(42, 43)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터리(5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태그이며, 평상시에는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고, 외부 리더기(30)에서 LF(Low Frequency) 주파수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가 전송될 때만 내부 모듈을 활성화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리더기(미도시)가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서 성립한다. 통상의 외부 리더기는 명령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무선태그로 송신하고, 무선태그에서 명령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리더기(30)는 데이타를 송신하기 전, 무선태그(4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며, 무선태그(40)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태그(40)의 모듈(MCU, 및 UHF TX/RX)을 웨이크-업 시킨다.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는 외부 리더기(30)와 무선태그(40) 사이에 미리 약정된 펄스열(pulse train)을 이용한 자계결합 방식으로, 웨이크-업 신호는 자계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태그(40)에 마련되는 안테나에 수신된다.
ULD 팔레트 내부에 무선태그(40)가 장착되더라도 금속환경의 ULD 팔레트 내에서 외부 리더기(3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언급할 무선태그의 작동 방식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40)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무선태그와 그 작동방식이 동일하되, 다만, 무선태그(40)에서 외부 리더기(30)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LF 주파수 대역으로 처리하는 것을 차이점으로 한다.
무선태그(40)가 LF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30)로 무선신호를 전송하면, 금속재질의 ULD 팔레트 내에서 무선태그(40)가 외부 리더기(40)로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LF 주파수 대역이 자계결합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가능하다. 다만, LF 주파수 대역은 단위 시간(예컨데 1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이 UHF 주파수 대역에 비해 적어, 즉 속도가 낮아 배터리 소모를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무선태그는, 공진부(110), 웨이크-업 처리부(140), 프로세서(150), 메모리(160), 센서(170), 배터리(50), UHF 무선신호 송,수신부(180), 및 임피던스 매칭부(190)를 구비한다.
공진부(110)는 안테나와 웨이크-업 처리부(140) 사이에 마련되며, 원하는 LF 신호(웨이크-업 신호)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진부(110)는 웨이크-업 신호의 전송 주파수에 응답하는 공진회로로 구성된다.
웨이크-업 처리부(140)는 공진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를 웨이크-업 처리부(140) 내에 기 마련되는 펄스열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웨이크-업 처리부(140)는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태그 내부에 마련되는 각 모듈(MCU, UHF Transceiver)을 웨이크-업 한다.
웨이크-업 처리부(140)에 의해 각 구성요소(110 ∼ 190, 140은 제외)는 배터리(50)의 전원을 공급받고 활성화 상태가 된다. 프로세서(15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외부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명령어에 응답하며, UHF 무선신호 전송부(180)를 통해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센서(170)에 의해 검출된 값을 외부 리더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서(170)는 ULD 팔레트의 온도, 습도, 및 충격량을 검출하는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웨이크-업 처리부(14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UHF 트랜시버(Transceiver) 모듈을 활성화하고, HF-UHF 사이의 주파수 주파수(3MHz ~ 3000MHz)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금속 재질의 ULD 팔레트에 장착되는 무선태그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 LF 대역의 주파수로 형성되나, 전술한 바와 같이, LF 대역은 단위 시간(예컨대 1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가 극히 적으므로 실제 무선태그로 송,수신되는 명령어(또는 데이터)는 HF ∼ UHF 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무선태그와 외부 리더기가 LF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차이점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 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태그는, LF 주파수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한 후, 외부 리더기에서 LF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명령어를 무선태그로 전송하고, 무선태그가 이에 응답하여 외부 리더기가 요청한 데이터(또는 센서에 의한 검출값)를 LF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한다.
무선태그와 외부 리더가 LF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호 통신하면 HF ∼ UHF의 주파수를 이용하는데 비해 금속환경에서 회로구현이 단순해진다. 다만, 무선태그와 외부 리더기가 단위 시간당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의 량이 감소하여 낮은 속도에 의해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무선태그에서 외부 리더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 적합하다. UHF 무선신호 전송부(180)는 LF 주파수 대역에 따라 외부 리더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변조 후, 공진부(11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두 개의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외부 리더기로 전파를 송출해야 하는 무선태그의 전력소모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2 ∼ 도 7을 통해 설명된 무선태그가 항공화물에 적용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항공화물은 화주는 화물을 포워더에게 넘기며, 통상 포워더는 트럭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트럭 도크(Truck dock)로 화물을 반입한다. 트럭 도크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게이트(gate)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포워더에 의해 화물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트럭 도크에는 무선태그를 감지하기 위한 외부 리더기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태그에는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외부 리더기는 무선태그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따라 포워더가 정차할 게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트럭 도크의 내부는 복수 개로 구획된 게이트로 구성되며, 게이트로 진입한 트럭의 화물을 인식하기 위한 외부 리더기가 배치된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외부 리더기가 각 구역에 설치되어(고정형 또는 이동형) AP를 통해 외부망(WiFi망)과 연결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각 영역에 배치되는 억세스 포인트는 이웃하는 억세스 포인트와 통신영역이 일부 중복되어 격자 형태로 구획된 각 영역에서 사각지대를 제거한다. 각 영역에는 포워더의 트럭에 수납된 화물의 무선태그 및 ULD 팔레트에 내장된 무선태그의 정보, 위치 등을 독출하기 위한 외부 리더기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게이트로 진입한 화물은 게이트 내부에 비치된 포크 리프터(fork lifter)나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하적된 후, 엑스레이 검사기를 통해 위험물, 화물의 팩킹(Packing) 상태 판단, 및 반입 금지물의 포함 여부를 조사한다. 엑스레이 검사기를 통과한 화물은 화물의 크기, 및 중량이 계측되고, 화물의 목적지에 따라 몇 개의 군으로 분류된다.
이때, 화물의 분류는, 화물에 장착된 무선태그를 통해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화물에 부착되는 바코드를 독출하고, 독출된 결과를 참조하여 수작업으로 화물 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방법은 별도의 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화물 분류에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포워더가 화물에 부착한 무선태그를 이용하여 도크 진입, 게이트 선택, 및 목적지에 따른 화물분류가 가능해진다. 외부 리더기는 무선태그에 기록된 목적지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결과를 포크 리프터(fork lifter)에게 통보하거나, 독출된 결과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를 선정하여 화물을 해당 컨베이어 벨트로 진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물의 목적지를 분류하는 작업은 통상 웨어하우스(Warehouse)에서 이루어진다.
웨어하우스는 화물을 임시 수납하는 일종의 창고와 같은 것으로 그 형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웨어하우스는 격자 형상의 수납 공간에 화물을 임시 수납하며, 이곳에는 무선태그를 독출하기 위한 외부 리더기가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후, 화물은 도 12에 도시된 팔레트에 수납되거나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항공기로 이송된다. 도 12에는 하나의 팔레트에 화물이 수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화물의 부피가 작은 경우, 여러개의 팔레트가 적층되고, 적층된 상태로 항공기에 수납된다.
웨어하우스에서 분류된 화물은 ULD 팔레트(또는 컨테이너)에 수납된 후, 항공기로 이송된다. 이때, ULD 팔레트 및 화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가 장착되고, ULD 팔레트나 화물이 이송되는 구간에는 외부 리더기가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가 장착된 화물은 포워더에 의해 게이트로 수납될 때부터 항공기에 수납될 때까지 그 위치와 최종 목적지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된다. 이는 화물이 잘못 분류되거나, 타 항공기에 잘못 수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화물에 부착되는 무선태그는 외부 리더기가 호출할 때만 웨이크-업 하여 배터리를 소모하므로 이를 통해 장시간 구동할 수 있는 신뢰성을 보장하며, LF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차량에 수납되어 항공기로 이송될 때도 외부 리더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ULD 팔레트가 항공기에 수납 될 경우 외부리더기의 웨이크-업신호가 없을 경우 무선태그는 항공기 내에서 전파를 절대 방사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무선태그가 LF 통신을 이용하며, 외부 리더기가 배치된 곳을 지날 때, 웨이크-업 하여 자신의 정보 및 위치를 UHF 통신을 이용 외부 리더기에 알려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금속 재질에 둘러싸인 환경에서 리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금속에 의한 신호손실이 적은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하여 리더기와 무선태그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태그가 배터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 화물을 수납하는 ULD 팔레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엣지레일(edge rails)에 배치함으로써 ULD 팔레트의 고유 기능, 즉 화물 수납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장파 대역을 통해 웨이크-업 되므로 수납 영역 내에서도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때만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동하므로 전력소모가 매우 적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는 통상의 능동형 무선태그에 비해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태그가 금속 ULD팔레트에 직접 내장되므로, 금속 ULD 팔레트의 이동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 또는 위치 이력을 추적할 수 있으며, 금속 ULD 팔레트의 사용에 따른 이력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가 적층되고, 각각은 항공 화물을 수납 후 항공기에 적재되는 ULD 팔레트에 내장되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ULD 팔레트의 일 영역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ULD 팔레트의 화물 수납에 방해되지 않으며,
    리더기에서 전송되는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후, 상기 리더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장파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19㎑ ∼ 300㎑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환경 내에서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와 상기 무선태그는,
    19㎑ ∼ 300㎑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와 상기 무선태그는,
    HF ∼ UHF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리더기, 및 상기 무선태그 상호간에 약정된 신호이며,
    양자가 일치될 때, 상기 무선태그가 웨이크-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LD 팔레트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상기 리더기와 미리 약정된 펄스를 장파 대역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 탑재용 무선태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는,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리더기는 상기 화물을 반입, 및 수납하는 트럭 도크(Truck dock)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트럭 도크에 배치된 외부 리더기는 상기 화물에 부착된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화물이 수납될 게이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태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더기는,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을 임시 수납하는 웨어하우스에 배치되며,
    상기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는 상기 무선태그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화물에 부착된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화물의 행선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화물의 출납을 관리하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태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더기는,
    항공기로 반입되는 루트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며,
    항공사로 반입되는 화물에 부착되는 상기 무선태그를 독출하여 상기 무선태그의 이동 경로를 항공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항공사 서버가 상기 화물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태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는 항공기 내에 탑재시 전파를 발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태그.
KR1020070062355A 2007-06-25 2007-06-25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KR2008011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55A KR20080113626A (ko) 2007-06-25 2007-06-25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PCT/KR2007/005318 WO2009001989A1 (en) 2007-06-25 2007-10-26 Rfid tag with lf wake up function for uld pal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355A KR20080113626A (ko) 2007-06-25 2007-06-25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26A true KR20080113626A (ko) 2008-12-31

Family

ID=4018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55A KR20080113626A (ko) 2007-06-25 2007-06-25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113626A (ko)
WO (1) WO2009001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5782A (en) * 2010-09-20 2012-05-30 Wfs Technologies Ltd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signals are passed through a barrier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electrically insulative layers
WO2018165146A1 (en) 2017-03-06 2018-09-13 Cummins Filtration Ip, Inc. Genuine filter recognition with filter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5107B2 (ja) * 2004-09-28 2011-06-22 ビジブル アセッツ,インク. 旅行バッグの追跡および位置確認を行うためのrfタグ
KR100812994B1 (ko) * 2005-12-09 2008-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이크­업 기능을 가지는 전지 지원형 rfid 태그 장치및 그 방법
KR100692622B1 (ko) * 2006-02-24 2007-03-13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능동형 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1989A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7966B2 (ja) シグナリング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用のトランスポンダ
US8606174B2 (en) Portable radio-frequency repeater
EP1745416B1 (en) Recording of location event information in rfid tags
EP1934638B1 (en) Active logistical tag for cargo
US7030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reliable loading of materials on aricraft and other vehicles
US9307756B2 (en) Portable RFID tagged carrier for sterile implants and biological products
US8922346B2 (en) Masked container RFID tag communications system
US20100289623A1 (en) Interrog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KR20110052192A (ko) 콜드 체인 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
US20070159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battery power prior to deploying an asset tag
CA2731415A1 (en)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cargo hold of an aircraft
JP2007312177A (ja) Rfidシステム
KR20080113626A (ko) Lf 상시 웨이크-업 기능을 구현하는 항공 uld 팔레트탑재용 무선태그
US11348427B2 (en) Active RFID tag and product surveillance method
JP2003226434A (ja) 荷物搬送用ボックス、個数管理システム、廃棄管理システム、および位置管理システム
KR100948990B1 (ko)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JP5164496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
JP6313543B2 (ja) Rfidタグ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管理システム
JP6254472B2 (ja) Rfidタグ
KR100967787B1 (ko) 무선 식별 장치
CN215555736U (zh) 一种标准快递箱
US8319641B2 (en) Article management method including shared memory and reader/writers
CN114418476A (zh) 一种适用于机场冷库物流的货运管理系统
JP2014174949A (ja) Rfidタグ
Nummela et al. Automatic reel identification by RFID technology in paper reel supply chains: examples from paper mill and sea port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