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326A - 비만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326A
KR20080113326A KR1020080114891A KR20080114891A KR20080113326A KR 20080113326 A KR20080113326 A KR 20080113326A KR 1020080114891 A KR1020080114891 A KR 1020080114891A KR 20080114891 A KR20080114891 A KR 20080114891A KR 20080113326 A KR20080113326 A KR 2008011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besity
ome
present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243B1 (ko
Inventor
김세제
고희철
진영준
강성일
최수연
박지권
정완석
황준호
박덕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11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폴리메톡시플라본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비만, 개선, 폴리메톡시플라본

Description

비만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Obesity}
본 발명은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톡시플라본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음식 문화가 고열량 위주의 식단으로 서구화되면서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서구에서는 과체중을 포함하여 비만 인구가 7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으며(Colditz 등 199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우리나라에서도 성인 인구의 25%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라는 보고가 있다(보건산업진흥원 2001).
비만이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과잉된 열량으로 인해 지방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Kopelman 및 Stock, 1998).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5.0 내지 30.0를 과체중으로 정의하고 30.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이 발생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그러한 질환으로서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 무호흡증,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이홍규, 1992).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Frankel 및 Scho가, 1996),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3가지의 범주 즉 식욕 억제제, 체내 에너지 대사 촉진제 및 소화 흡수 억제제로 구분된다.
식욕을 억제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리덕틸(Reductil™, 애보트사, 미국)을 들 수 있고, 체내 에너지를 촉진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엑소리제(Exorise™,아코파마사, 프랑스)를 들 수 있으며, 지방의 소화 흡수를 억제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메톡시플라본(polymethoxyflavone)은 플라본에 하이드록시기OH)나 메톡시기(OMe)가 하나 이상 결합된 화합물을 총칭하는데, 감귤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며, 항암, 항염, 면역조절, 신경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Li, R. W., Theriault, A. G., Au, K., Douglas, T. D., Casaschi, A., Kurowska, E. M. and Mukherjee, R., Citrus polymethoxylated flavones improve lipid and glucose homeostasis and modulate adipocytokines in fructose-induced insulin resistant hamsters., Life Sciences 79: 365-373, 2006).
본 발명자들은 감귤의 비만 억제 활성을 연구하던 중 진귤, 홍귤, 당유자, 병귤, 청귤, 세토카 등의 감귤류에서 비만 억제 활성을 지니는 순수 물질을 분리·동정하게 되었고, 그 동정된 물질이 폴리메톡시플라본에 속하는 화합물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폴리메톡시플라본 계열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비만 억제 활성을 연구하던 중, 비만 억제 활성을 지니는 폴리메톡시플라본 계열의 화합물 5가지 즉 5,6,7,8,3',4'-헥사메톡시플라본(5,6,7,8,3',4'-hexamethoxyflavone)(nobiletin, 노빌레틴), 5,6,7,3'4'-펜타메톡시플라본(5,6,7,3'4'-pentamethoxyflavone)(sinensetin, 시넨세틴), 5,6,7,8,4'-펜타메톡시플라본(5,6,7,8,4'-pentamethoxyflavone)(tangeretin, 탄저레틴),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3,5,6,7,8,3',4'-heptamethoxyflavone) 및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5-hydoxy-6,7,8,3',4'-pentamethoxyflavone)을 순수 분리하게 되었고(이들 화합물은 모두 공지의 화합물이며 그 분리방법 또는 제조방법 등은 "<Wang, X., Li, F., Zhang, H., Geng, Y., Yuna, J., Jiang, T. Preparativ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olymethoxylated flavones from Tangeretine peel using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ournal od Chromatography A, 1090:188-192, 2005; Roman, G., Jayaprakasha, G. K., Cho, M. H., Brodbelt, J., Patil, B. S., Rapid adsorptive separation of citrus polymethoxylated flavones in non-aqueous condition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45: 147-152, 2005> " 등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그 순수 분리된 각 화합물이 지방세포의 분화 기작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3T3-L1 지방전구세포(Bart A Jessen et al., Gene, 299, pp95-100, 2002; Darlington et al., J . Biol. Chem., 273, pp30057-30060, 1998; Brun R.P et al., Curr. Opin. Cell. Biol., 8, pp826-832, 1996)가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활성촉진을 통한 중성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9585286-PAT00001
상기에서 R1은 H 또는 OMe(메톡시기)이고, R2는 OH(하이드록시기) 또는 OMe이며, R3는 OMe이며, R4는 OMe이며, R5는 H 또는 OMe이며, R6는 H 또는 OMe이며, R7은 OMe이며, R8은 H를 가르킨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섯 가지의 각 화합물을 가르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5~30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 개선"이란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여,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조 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비만 개선 효과를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비만 개선 효과가 알려진 공지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는 상기의 리덕틸, 엑소리제 및 제니칼 이외에, 진세노사이드 또는 그것의 대사산물인 화합물 K(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42755호), 제니스테인과 L-카르니틴(대한민국 특허 제0520408호),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9341호), 치환 3-페닐-5-알콕시-3H-(1,3,4)-옥사디아졸-2-온(Substituted 3-phenyl-5-alkoxy-3H-(1,3,4)-oxadiazol-2-ones)(미국 특허 제6,900,233호), 1-3,4-트란스-2,2-다이메티-3-페닐-4-[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7-메톡시크로만(1-3,4-trans-2,2-dimethy-3-phenyl-4-[4-(2-(pyrrolidin-1-yl)ethoxy)phenyl]-7-methoxychroman)(미국 특허 제6,008,242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그것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 등과 관 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이지만, 비만이 지속되면 비만이 원인이 되어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등이 발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란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무호흡증 및 당뇨병 중 하나로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고지방 사료가 급여된 실험동물의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방 함량을 낮추는 활성을 갖고 있다.
지방간은 알코올, 당뇨, 비만, 영양불량증(장기간의 저단백식, 고지방식, 기아.비타민 부족, 과잉의 당질섭취), 약물의 남용 등이 원인이 되어(김성훈 외, "복부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원인" 가정의학회지 175('95.12) pp.785-794), 정상적인 지방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증상을 말하며, 임상적으로 지방이 간 무게의 5%가 넘을 때 지방간으로 분류한다.
지방간은 크게 콜레스테롤 지방간과 중성지방 지방간으로 분류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지방간은 중성지방이 간 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경우의 지방간이다.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실험동물의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방 함량을 낮추는 활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콜레스테롤 지방간과 중성지방 지방간 모두에 그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방간이 원인에 따라 구분할 때는 알콜성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결국 알콜성 지방간이든 비알콜성 지방간이든 간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축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지방간에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발병하든 즉 알콜성 지방간이든 비알콜성 지방간이든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알콜성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에 모두 그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한편, 지방간은 방치될 경우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간염, 간경병증 또는 간암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음 후 경험하게 되는 매스꺼움, 두통 등의 숙취(hangover) 현상은 알콜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데히드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간에는 알콜분해효소(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ALDH)가 존재하여 알콜이 인체에 유입되면 인체에 무해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게 된다.
하기 실시에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ADH 활성과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숙취 해소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 다이어트용 조성물,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하 통칭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이란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 습윤제 등 각 용도에 적합한 성분들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성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85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구 또는 직장에의 직접 투여되거나,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등에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 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특히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경우)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포함되는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고,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도 추가로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만 억제 활성, 지방간 억제 활성 및 숙취 해소 활성 실험
<실시예 1> 비만 억제 활성 실험
<실시예 1-1> 노빌레틴의 비만 억제 활성 실험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중성지방 분해 활성 실험을 통하여, 노빌레틴의 비만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Collection)에서 구입하여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 FBS, 페니실린(100 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을 함유)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으며 2~3일을 주기로 계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3T3-L1 전구지방세포를 1 x 105/ml 세포수로 분주하고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후에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고 다시 2일을 더 배양하였다. 2일 후 post-confluence 상태에서 분화유도물질인 5㎍/㎖ 인슐린 (Sigma, USA), 1 u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Sigma, USA), 0.5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Sigma, USA)와 5μM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이 함유된 배지로 교환하고 2일 동안 분화 유도를 촉진시켰다. 2일 후 기존 배지를 제거하고 5㎍/㎖ 인슐린만 처리한 배지로 교환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는 일반 DMEM/10%FBS 배지에서 4일간 더 배양하여 총 8일 동안 분화를 유도하였다.
8 ∼ 12일후 중성지방이 100% 채워져 있는 상태로 분화된 세포에 시료(노빌레틴)를 농도별로 72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2 번 세척하고 10% formalin으로 1시간 동안 고정한 후, 증류수로 3번 세척하였다. 그리고 isopropanol로 희석한 0.6% Oil Red O (Sigma, USA)와 증류수를 6:4로 희석시킨 후 여과하여 배지에 처리하고 약 1시간 동안 염색하여 중성지방 분해 활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중성지방 분해 정도의 정량 분석은 "ADIPOCYTE LIPOLYSIS ASSAY KIT"(Zen-Bio)를 사용하여 노빌레틴 처리 24시간 후 측정하였다.
Oil Red O 결과를 도 1a, 정량 분석 결과는 1b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참조하여 보면 0μM, 20μM, 40μM 농도에서 72시간 후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1b에서는 노빌레틴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중성지방을 분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시넨세틴의 비만 억제 활성 실험
시넨세틴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중성지방 분해 활성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며, 실험 결과는 도 2a 내지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를 참조하여 보면 0μM, 20μM, 40μM 농도에서 72시간 후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2b는 시넨세틴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중성지방을 분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탄저레틴의 비만 억제 활성 실험
탄저레틴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실험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를 참조하여 보면 0μM, 20μM, 40μM 농도에서 72시간 후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3b는 탄저레틴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중성지방을 분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 실험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다.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실험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를 참조하여 보면 0μM, 20μM, 40μM 농도에서 72시간 후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4b는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중성지방을 분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 실험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내었다.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비만 억제 활성도, 상기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고 실험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a를 참조하여 보면 0μM, 20μM, 40μM 농도에서 72시간 후 중성지방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5b는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중성지방을 분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지방간 억제 활성 실험
체중이 약 15g 전후인 생후 4주령의 C57BL/6계 웅성 마우스를 1주일간의 순화 사육 과정을 거친 후, 10마리를 하나의 군으로 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의 군에 8주간 노빌레틴 등의 폴리메톡시블라본 시료를 시료에 섞어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의 환경은 22±0.5℃의 온도와 55±5%의 습도, 12시간 명암조절을 유지하였으며, 물은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군의 분류와 투여한 사료/실험물질
구분 투여 사료 실험물질 투여량
정상 식이군 ND(Normal Diet) 투여 없음
고지방 식이군 HFD(High Fat Diet) 투여 없음
실험군 1 HFD 투여 노빌레틴, 50mg/kg/day
실험군 2 HFD 투여 시넨세틴, 50mg/kg/day
실험군 3 HFD 투여 탄저레틴, 50mg/kg/day
실험군 4 HFD 투여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 50mg/kg/day
실험군 5 HFD 투여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 50mg/kg/day
상기 <표 1>에서 ND로서는 Harlan(Harlan teklad, USA)사료를 사용하였고, HFD는 Harlan 사료를 기본사료로 하여 40 중량 %(기본사료 대비)의 라드(lard)를 첨가한 사료(중앙실험동물, 한국)를 사용하였다.
실험물질 투여에 따른 간의 지질 농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의 마우스를 도살하여 간을 적출한 다음 상기 적출한 간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폴치 등의 방법(Folch J. et al., J. Biol. Chem., 226:497-509, 1957)에 따라, 간을 곱게 갈아 균질용 튜브에 넣고 초음파 세포막 분쇄기로 세포막을 파괴하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클로로포름:메탄올=2:1)의 혼합액으로 지질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추출액을 2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시료로 하여 간에 함유된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판 키트(AM202-K, 아산제약 (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중성지방 함량은 시판 키트(AM 157S-K, 아산제약 (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
구분 총 콜레스테롤 농도 ㎎/㎗
정상군 3.2± 1.2
고지방 식이군 7.1± 0.7
실험군 1 3.7± 0.5**
실험군 2 3.9±1.4**
실험군 3 3.8±0.7**
실험군 4 4.1± 0.7**
실험군 5 4.0±1.4**
상기 수치는 MEAN±SD로 나타낸 것임(n=10) *p<0.05, *p<0.01
중성지방 함량
구분 중성지방 ㎎/㎗
정상군 39.84±3.24
고지방 식이군 68.55±3.76
실험군 1 42.32±5.32**
실험군 2 43.24±4.39**
실험군 3 46.87±4.37**
실험군 4 45.22±2.67**
실험군 5 44.91±3.63**
상기 수치는 MEAN±SD로 나타낸 것임(n=10) *p<0.05, *p<0.01
상기 <표 2> 및 <표 3>은 노빌레틴 등의 폴리메톡시플라본의 시료 모두가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을 낮추는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숙취 해소 활성 실험
노빌레틴 등이 숙취 해소 활성을 가지는가를 알콜탈수소화효소(ADH)와 알데히드탈수소화효소(ALDH) 활성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ADH 및 ALDH의 활성은 보스티안 등의 방법(Bostian KA, Betts GF.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 of potassium-activated aldehyde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iochem. J. 173:787-798(1978))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ADH 분획 및 ALDH 분획을 S9 랫드 간 균질화물(Moltox Co., Boone, Nc, USA)로부터 얻었고, A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1.4 ㎖의 증류수, 0.75 ㎖의 1M Tris-HCl(pH 8.8), 0.3 ㎖의 20mM NAD+, 0.3 ㎖의 에탄올, 0.15 ㎖의 ADH 분획, 및 노빌레틴의 시료 500ng로 이루어져 있고, AL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2.1 ㎖의 증류수, 0.3 ㎖의 1M Tris-HCl(pH 8.8), 0.1 ㎖의 20mM NAD+, 0.1 ㎖의 3M KCl, 0.1 ㎖의 0.33 M 2-머르캅토에탄올, 0.1 ㎖의 ALDH 분획, 및 노빌레틴 등의 시료 500ng로 이루어져 있다.
활성의 측정은 30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NAD+로부터 NADH의 생성 비율을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ADH 및 ALDH 활성
구분 ADH 활성 ALDH 활성
무처리 1.0 ± 0.12 1.0 ± 0.12
노빌레틴 1.92 ± 0.11** 1.72 ± 0.14**
시넨세틴 1.85 ± 0.07** 1.63 ± 0.22*
탄저레틴 1.82 ± 0.21** 1.57 ± 0.17*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 1.67 ± 0.32* 1.53 ± 0.14*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 1.69 ± 0.24* 1.43 ± 0.15*
상기 수치는 MEAN±SD로 나타낸 것임 *p<0.05, *p<0.01
<표 4>를 참조하며 보면 노빌레틴 등이 ADH 및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은 3번 반복 실험 결과를, 상기 <실시예 2>는 10 마리의 마우스 실험 결과를 MEAN±SD로 나타냈다. 통계학적 분석은 Student's t-test로 수행하였다.
도 1은 노빌레틴의 3T3-L1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축적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넨세틴의 3T3-L1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축적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탄저레틴의 3T3-L1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축적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의 3T3-L1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축적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3T3-L1 지방세포의 중성 지방축적 분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79585286-PAT00002
    상기에서 R1은 H 또는 OMe(메톡시기)이고, R2는 OH(하이드록시기) 또는 OMe이며, R3는 OMe이며, R4는 OMe이며, R5는 H 또는 OMe이며, R6는 H 또는 OMe이며, R7은 OMe이며 R8은 H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노빌레틴, 시넨세틴, 탄저레틴, 3,5,6,7,8,3'4'-헵타메톡시플라본, 또는 5-하이드록시-6,7,8,3',4'-펜타메톡시플라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080114891A 2006-08-16 2008-11-18 숙취 해소용 개선제 조성물 KR100912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944 2006-08-16
KR20060076944 2006-08-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74A Division KR100883356B1 (ko) 2006-08-16 2007-08-16 비만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326A true KR20080113326A (ko) 2008-12-30
KR100912243B1 KR100912243B1 (ko) 2009-08-14

Family

ID=3938410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74A KR100883356B1 (ko) 2006-08-16 2007-08-16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20070082475A KR100883357B1 (ko) 2006-08-16 2007-08-16 멜라닌 저색소증 질환 개선제 조성물
KR1020080114891A KR100912243B1 (ko) 2006-08-16 2008-11-18 숙취 해소용 개선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74A KR100883356B1 (ko) 2006-08-16 2007-08-16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20070082475A KR100883357B1 (ko) 2006-08-16 2007-08-16 멜라닌 저색소증 질환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0883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682A1 (ko) * 2012-05-16 2013-11-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본계 화합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51B1 (ko) * 2015-03-20 2016-11-17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389455B (zh) * 2016-09-18 2019-04-23 中国药科大学 一种用于预防或治疗非酒精性脂肪肝的多甲氧基黄酮、组合物及其药物制剂
CN106389408B (zh) * 2016-09-18 2018-11-27 中国药科大学 一种多甲氧基黄酮、组合物及其制剂在预防或治疗高脂血症中的应用
CN106420696B (zh) * 2016-09-18 2019-04-30 中国药科大学 一种用于预防或治疗肥胖的多甲氧基黄酮、组合物及其药物制剂
KR101865189B1 (ko) * 2016-11-04 2018-06-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저색소 침착에 기인하는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20153466A1 (ja) * 2019-01-25 2021-12-02 株式会社 沖縄リサーチセンター 美容用組成物
KR102279861B1 (ko) * 2019-04-26 2021-07-20 박재규 청귤류로부터 5-o-디메틸노빌레틴의 추출/분리 및 만성 알코올성 지방간 손상보호 조성물
CN113398115A (zh) * 2021-06-18 2021-09-17 澳门科技大学 5-去甲基川陈皮素在制备治疗色素性皮肤病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880A (ja) * 1999-02-26 2000-09-12 Nagase & Co Ltd 脂肪分解促進剤
KR100833805B1 (ko) * 2000-04-19 2008-05-30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조성물
JP4325908B2 (ja) 2002-10-18 2009-09-02 長瀬産業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および飲食物
EP1829542B1 (en) 2004-11-08 2012-07-18 ARKRAY, In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ctivator and drug, supplement, functional food and food additive using the same
KR100798853B1 (ko) * 2005-02-15 2008-01-28 (주)한국스티펠 레티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반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585913B2 (ja) 2005-05-27 2010-11-24 学校法人中村学園 カンキツ抽出液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7252B1 (ko) * 2005-10-19 2008-07-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682A1 (ko) * 2012-05-16 2013-11-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본계 화합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도
US9511048B2 (en) 2012-05-16 2016-12-06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Use of flavone compoun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762A (ko) 2008-02-20
KR100883356B1 (ko) 2009-02-11
KR100883357B1 (ko) 2009-02-16
KR20080015761A (ko) 2008-02-20
KR100912243B1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43B1 (ko) 숙취 해소용 개선제 조성물
Elsebai et al. Cynaropicrin: A comprehensive research review and therapeutic potential as an anti-hepatitis C virus agent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226459B2 (ja) Fraxinusexcelsior種子の抽出物とその治療適用
EP2077851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rdycepi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Maeda-Yamamoto Human clinical studies of tea polyphenols in allergy or life style-related diseases
KR102013457B1 (ko) 에이엠피케이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Sharma et al. attenuates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cardiomyopathy via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rats
KR100969170B1 (ko) 여지핵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 et al.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potential uses of Portulaca oleracea L.
KR20090094614A (ko) 연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성 예방 및 치료효능을 갖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Park et al. Traditional medicine Taeeumjowitangkagambang exerts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via antioxidant enzyme enhancement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0473530B1 (ko)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090133B1 (ko)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WO2011090265A2 (ko) 신코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6367A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Ye et al. Effects of Fermented Extracts of Wuniuzao Dark Loose Tea on Hepatic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Pathway and Gut Microbiota Disorder in Obese Mice
JP2014155489A (ja) サルトリイバラ葉抽出物を含有する糖尿予防及び治療用の組成物
Goel et al. Estimation of anti-obesity potential of Tribulus terrestris in Wistar rats (high fat diet inducted obesity)
JP2015078140A (ja) アルコール性脂肪肝予防・治療剤
KR102154284B1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