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243A -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243A
KR20080113243A KR1020087025515A KR20087025515A KR20080113243A KR 20080113243 A KR20080113243 A KR 20080113243A KR 1020087025515 A KR1020087025515 A KR 1020087025515A KR 20087025515 A KR20087025515 A KR 20087025515A KR 20080113243 A KR20080113243 A KR 2008011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ribbon
edge
gui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럴드 이. 뮬러
조이 에이. 팩카드
스코트 디. 페어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408,781 external-priority patent/US8176640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1/560,901 external-priority patent/US8006390B2/en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8011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3/00Shop or like accessories
    • A47F13/04Twine holder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4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for performing several incisions simultaneously; Multiple-blad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8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5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는 2개의 측부 에지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구비한다. 장치는 커버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안내부 - 상기 안내부는 부착된 단부와 자유 단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함 - 를 포함하는 헤드; 및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i)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ii)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컬링 에지를 구비하는 리본 컬링 영역 - 상기 리본 컬링 영역은 그의 제2 단부에서 테이퍼짐 - 을 포함하는 긴 손잡이를 포함한다.
절단 장치, 컬링 장치, 절단 에지, 헤드, 블레이드

Description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MEDIA CUTTING AND RIBBON CURLING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4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408781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매체 절단(media cutting) 및 리본 컬링(ribbon curling)의 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필름, 직물 및 판지(cardboard) 상자와 같은 매체를 절단하는 데 아주 적합하며 통상 선물 포장에 사용되는 리본을 컬링하는 데 아주 적합한 경량의 소형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종이, 플라스틱 시트, 알루미늄 포일, 펠트(felt) 및 사진과 같은 매체를 절단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아마도, 이러한 매체를 절단하는 데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가위이다. 가위가 통상적이지만, 이는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위는 노출된 절단 에지(cutting edge)를 구비하는데, 이는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무딘 가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몇몇 경우에서, 매체가 모여질 수 있으며, 가위 절단부에 의해 형성된 최종 에지가 들쭉날쭉해지면서 보기 흉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들쭉날쭉한 에지는, 예컨대 선물 포장 패키지와 같은 몇몇 적용 분야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매가능한 봉투 개봉기(envelope opener)에 대한 다양한 설계가 있다. 이들 장치는 봉투 개봉기와 같이 절첩선을 따라 절단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이들은 절첩선을 포함하지 않는 매체를 절단하는 데에는 잘 맞지 않는다. 다른 유형의 절단기는 절단된 에지 부근에 스크래치 및 절첩선과 같은 마크를 매체 상에 남길 수 있다. 이들 마크는 대개 소비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리본을 컬링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있다. 리본은 전형적으로 인장력 또는 전단력이 표면에 가해질 때 컬링되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부직 재료이다. 소비자는 리본을 컬링하기 위해 가위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였다. 전형적으로, 손가락(대개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소비자는 리본을 가위 블레이드에 대해 누르고 리본을 당겨서 리본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리본을 컬링한다.
리본 컬링 및 리본 쉬레딩(shredding)을 조합한 장치가, 예컨대 컬링 및 쉬레딩 과정이 하나의 단계로 조합된 미국 특허 제5,232,132호(브로우사드(Broussard) 등) 및 제3,883,953호(사울로(Saullo) 등)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054,699호(드제인스(DeJaynes))에서, 리본 컬링 과정은 리본 쉬레딩 과정과는 분리되어 있다. 가위 외에, 리본의 절단 및 컬링을 조합한 장치가 또한, 예컨대 미국 특허 제5,205,007호(골드스타인(Goldstein))와 국제 출원 공개 WO95/35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매체 상에서 직선, 패턴 또는 곡선으로 절단하고 리본을 컬링하는 경량의 소형 휴대용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매체는 종이(예컨대, 선물 포장지, 왁스 페이퍼(wax paper), 사진 용지), 플라스틱,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금속 필름, 펠트(felt)와 같은 직물, 및 판지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자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해 매체에 최소한의 힘을 가하며, 이는 사용 중에 사용자가 단지 매체를 절단하는 데 필요한 힘만을 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체에 과도한 압축력을 가하여 장치를 매체 내로 밀어 넣을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 매트(mat)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 전형적으로, 절단 매트는 절단 장치가 노출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절단 매트의 제거는 특히 공예(crafting) 분야에 유용하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측벽이 연장하는 본체; 및 (b) 본체 내에 배치되며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구비한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벽은 절단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싼다. 절단 에지와 관련하여, 측벽은 후단 에지로부터 선단 에지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매체 접촉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은 절단 에지의 선단 에지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는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손잡이, 손잡이로부터 연장하는 커버, 및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 (b) 일반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며 손잡이로부터 연장하는 안내부, 및 (c) 안내부 내에 배치되고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매체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벽은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싼다. 블레이드와 관련하여, 측벽은 후단 에지로부터 선단 에지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매체 접촉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은 블레이드의 선단 에지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는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교체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매체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정한 장치는 커버,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측벽,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고 블레이드가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헤드; 헤드에 부착되는 손잡이; 및 헤드와 손잡이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측벽이 연장하는 본체; 및 본체 내에 배치되며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구비한 절단 에지를 포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 - 상기 측벽은 절단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상기 측벽은 후단 에지로부터 선단 에지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매체 접촉점을 포함함 - 를 제공하는 단계; (b) 매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장치를 매체를 통해 활주시켜서 매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단 작용 중에, 측벽과 절단 에지는 절단 에지의 선단 에지 부근에서 매체에 국소 변형부를 형성시킨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2개의 측부 에지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구비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a) 커버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안내부 - 상기 안내부는 부착된 단부와 자유 단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함 - 를 포함하는 헤드; 및 (b)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i)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ii)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컬링 에지를 구비하는 리본 컬링 영역 - 상기 리본 컬링 영역은 그의 제2 단부에서 테이퍼짐 - 을 포함하는 긴 손잡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본 컬링 영역의 제2 단부는 테이퍼진다. 조합된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한 가지 이점은 사용자가 매체를 절단할 수 있게 하고 추가로 손가락, 전형적으로는 엄지손가락의 편안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리본 컬링 영역이 설계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리본을 컬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i) 소정 길이의 리본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단락의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iii)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iv) 손가락을 장치 상에서 컬링 에지를 가로질러 배치하여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누르는 단계; 및 (v)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유지하면서 상기 길이의 리본을 당기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절단 에지"는 사용 중에 매체를 절단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의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블레이드 또는 와이어이다. 절단 에지는 연속적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절단 에지의 전체 길이가 절단 중에 사용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선단 에지"는 장치가 매체를 절단하는 데 사용될 때 매체와 처음으로 만나는 절단 에지 상의 위치를 설명한다. "후단 에지"는 선단 에지로부터 가장 큰 높이 변화를 갖는 절단 에지 상의 위치를 설명한다. 매체는 2개의 주 표면, 즉 제1 표면 및 반대편의 제2 표면을 구비한다. 측벽의 "매체 접촉점"은 측벽이 매체의 제1 주 표면과 접촉하는 한편 절단 에지가 매체의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는 개략적인 위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이점은 사용의 용이성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단순히 장치를 매체를 통해 밀면 되기 때문에, 가위에서와 같은 개폐 동작이 없으며,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매체를 절단하는 데 보다 덜한 노력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점은 예컨대 관절염을 앓았을 수 있는 사용자와 특히 어린 사용자와 같이 가위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질 수 있는 사용자에게 아주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교체가능하지만, 많은 실시예에서 절단 에지는 장치가 그의 의도한 적용 분야에 사용될 때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에지는 기존 영역이 무뎌진 때 절단 에지의 새로운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용도가 다양하다는 것인데, 이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도 절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점은, 예컨대 선물 포장지, 판지 상자, 직물, 상자 밀봉 테이프 등의 절단과 같은 많은 적용 분야에서 장치가 유용함을 의미한다. 장치는 사용자의 주머니, 지갑 또는 백에 쉽게 넣어지며, 사용자가 장치를 잡으려고 손을 뻗을 때 장치의 설계로 인해 그 또는 그녀는 장치에 의해 우발적으로 베이지 않을 것이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장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부를 구비하고 평탄한 저부에 대해 절단 에지가 적게 드러나기 때문에, 장치는 테이블 윗면(tabletop) 등에 의해 지지되는 매체를 절단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설명의 목적으로 측벽의 일부분을 절개한,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배면도.
도 8은 가려진 특징부를 점선으로 도시한, 도 5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가려진 특징부를 점선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교체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11은 교체가능한 안내부 및 블레이드를 구비한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저면도.
도 14는 교체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5는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저면도.
도 16은 다른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다른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18은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매체 절단 장치와 별도로 형성되고 그 후에 매체 절단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리본 컬링 영역의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장치를 사용하는 리본을 컬링하는 방법의 개략도.
도면들은 이상적으로 도시되었으며, 축척대로 도시되지는 않았고,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5의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10, 60)는 본체(22, 62) 및 측벽(28, 68)을 포함한다. 측벽은 본체로부터 연장한다. 두 실시예 모두 2개의 측벽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측벽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장치는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블레이드(50, 70)의 형태이다. 도 1 및 도 5의 실시예는 본체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도록 된 길고 가느다란 손잡이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체가 다른 설계의 것인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를 들어, 본체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파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체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T"자형 바아의 형태일 수 있다. 제한적인 아닌 예로서 몇 가지 치수를 제시하면, 본체는 길이가 약 102 내지 152 ㎜ (4 내지 6 인치)이고, 그의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이 약 6 내지 19 ㎜ (0.25 내지 0.75 인치)일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는 본체(22), 및 선택적인 안내부(40) 내에 배치된 블레이드(50)를 포함한다. 본체는 긴 손잡이(24), 손잡이로부터 연장하는 커버(25), 및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측벽(28)을 포함한다. 커버는 노출된 단부(26)를 구비한다. 안내부(40)는 자유 단부(42)를 포함한다. 장치는 그의 절단 배향으로, 즉 매체를 절단할 때의 그의 의도된 배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 측벽 및 안내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3개의 구성요소 각각이 별도로 형성되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커버 및/또는 안내부는 정확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장치를 매체와 정렬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기준 마크를 구비할 수 있다. 기준 마크는 특히 매체가 사용자가 따를 선 또는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기준 마크들(27, 41)은 각각 커버 및 안내부 상의 중간에 놓이지만, 기준 마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으로 안내되는 마크는 매체 상으로 광 빔을 비추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 지시 수단의 형태이다. 광 지시 수단은 절단 장치 상에 스냅 체 결(snapped)될 수 있거나, 또는 절단 장치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매체 상으로 비춰지는 광 빔은, 예컨대 적색 또는 녹색 광 빔과 같이 착색될 수 있다.
본체는 일반적으로 참조선 "x"로 나타낸 중심선을 구비한다. 커버(25)의 일부분은 평면이다. 커버의 평면은 장치가 매체와 맞물린 위치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 매체의 평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커버에 대한 다른 설계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에, 안내부는 측벽 아래에 놓인다. 측벽(28)이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측벽은 도면 부호 28a로 나타낸 매체 접촉점을 구비하는 한 임의의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측벽은 하나 초과의 매체 접촉점을 구비할 수 있다. 측벽은 블레이드(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커버로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측벽은 커버 부근의 영역에서 곡선부(curve)를 포함한다. 측벽이 커버의 평면과 대략 직교하기 때문에, 곡선부의 곡률 반경은 비교적 급한데(sharp), 즉 반경이 작다. 측벽이 매체 접촉점을 구비하는 한, 도 1에 도시된 것에 비해 더 큰 곡률 반경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가 수평으로 놓인 때, 장치는 그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작동가능하여, 장치와 매체가 서로 직각을 이룰 필요가 없다. 또한, 도 2는 장치가 매체와 맞물릴 때, 절단 과정 중의 어떤 시점에서, 측벽의 매체 접촉점(28a)이 매체의 제1 주 표면(81)과 접촉하는 한편,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51)가 매체의 반대편 제2 주 표면(82)과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특히 그의 저부 표면(40b)이 독자에게 노출된 선택적인 안내부(40)와 함께 커버의 내측 표면(25a)을 도시하는 장치의 저면도이다. 안내부의 자유 단부(42)는 커버의 노출된 단부(26)를 넘어서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안내부는 뾰족한 단부를 가진 긴 목부(neck)를 구비하지만, 안내부에 대한 다른 설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유 단부는 커버의 노출된 단부에 이르지 않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비해 더 짧은 길이의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c"로 나타낸, 커버의 노출된 단부 부근에서 측정된 자유 단부의 폭은 동일 지점 부근의 측벽의 폭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두고 취한 안내부의 폭은 측벽의 가장 넓은 폭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28)의 내측 표면(28b)에서 안내부의 에지(40c)까지 사이의 최장 거리는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그 영역 내로 집어넣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히 작다. 이러한 설계 특징은 사용자가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내부의 자유 단부는 매체의 천공을 가능하게 하도록 뾰족하다. 이러한 천공은 절단 과정을 시작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부착된 단부(44) 부근에서, 안내부는 테이퍼진다. 부착된 단부는 또한 안내부의 잔여부에 비해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특징은 테이퍼진 또는 좁아진 영역에 의해 매체가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쉽게 통과되도록 하여, 절단된 매체의 진행 방해(hang up) 및/또는 비틀림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절단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부의 저부 표면(40b)은 리브(rib)(도 13)와 같은 연장부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절단 표면 상의 대응하는 체결 채널 내로 끼워진다. 예를 들어, 몇몇 직물 상점에서, 점원은 가능한 한 곧은 선으로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단 장치를 안내하는 홈 또는 채널을 구비한 카운터톱(countertop) 상에서 한 장의 직물을 절단한다. 역시 가능한 한 곧은 선으로 절단하기 위해, 리브는 또한 안내부의 일 측부에 부착되어 이를 하나의 에지로부터 바르게 맞출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은 단면이 곡선형이다. 따라서, 측벽은 복합 곡선부를 구비하며, 첫번째 것은 커버 부근의 곡선형 표면이고 두번째 것은 측벽의 단면 곡률부이다. 측벽은 강성이고 사용시 휘어지지 않도록 강직성일 수 있거나, 또는 매체와의 사용시 편향되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도 4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측벽의 일부분을 절개한 절단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선택적인 안내부(40)는 매체의 수평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저부 표면(40b) 반대편의 상부 표면(40a)을 구비한다. 안내부는 매체의 포착(pick up)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를 매체와 정렬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시각적 보조 기구의 기능할 수 있다.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44)는 손잡이로부터 연장한다. 블레이드(50)는 그의 절단 에지(51)가 매체에 노출되도록 안내부 내에 배치된다. 절단 에지는 선단 에지(52) 및 후단 에지(54)를 구비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선단 에지(52)는 상부 표면(40a)에 인접하게 놓이는 한편, 후단 에지(54)는 부착된 단부(44) 부근에 놓인다. 측벽의 매체 접촉점은 후단 에지(54)로부터 선단 에지(52)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측벽 상의 매체 접촉점은 선단 에지와 후단 에지 사이에 놓인다. 다 른 실시예에서, 측벽의 매체 접촉점은 블레이드의 선단 에지를 넘어서 연장하지만, 안내부의 저부 표면(40b)을 넘어서 연장하지는 않는다.
도 4는 또한 매체(80)가 절단 에지(51)와 접촉할 때, 매체의 제2 주 표면(82)과 절단 에지 사이에 각도 α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장치는 각도 α가, 절단 에지가 매체의 수평면에 평행한 경우인 약 180°를 제외한 임의의 값일 때 작동가능하다.
참고 목적으로, 직교 좌표계가 도 4에 제공되어 있으며, 여기서 교차하는 축 x 및 z는 평면을 한정하고 축 y는 x 및 z축에 직교한다. 원점 O는 3개 축의 교차점을 한정한다. x-z 평면이 표면(40a)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인 상태에서, 원점이 선단 에지(52)와 일치할 때, 후단 에지(54)는 도 4에서 x-z 평면의 위인 것으로 도시된 양의 y(+y) 방향으로 놓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절단 장치(310)는 손잡이(324) 및 하우징(326)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커버(325) 및 측벽(328)을 포함한다. 장치가 매체와 맞물릴 때, 절단 과정 중의 어떤 시점에서, 측벽의 제1 매체 접촉점(328a)이 매체(80)의 제1 주 표면(81)과 접촉하는 한편, 절단 에지(351)가 반대편 제2 주 표면(82)과 접촉한다. 장치가 절단 중에 매체를 통해 활주함에 따라, 매체는 절단 에지를 따라 이동하여 결국 제2 매체 접촉점(329)과 만날 수 있다. 제2 매체 접촉점의 여러 기능 중에서, 제2 매체 접촉점은 절단되지 않은 매체가 블레이드의 후단 에지에 모여 매체의 찢어짐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 수단의 역할을 한다. 즉, 제2 매체 접촉점의 사용에 의해서, 매체는 블레이드의 후단 에지에 도달되기 전에 절단될 가능성이 가장 높아질 것이다.
도 13은 안내부(340) 및 하우징의 내측 표면(323a)을 도시하는 도 12의 장치의 저면도이다. 안내부는 실질적으로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344)로부터 자유 단부(342)로 연장하는 리브(34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매체 접촉점은 하우징의 내측 표면 상에 배치된다. 제2 매체 접촉점은 커버로부터, 측벽으로부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절단 작업 중에 매체가 제2 매체 접촉점과 만나는지의 여부는, 매체의 중량 및/또는 두께, 절단 속도, 및 매체에 대한 절단 에지의 배향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러 인자에 좌우된다.
도 5 내지 도 8은 장치(60)가 그의 절단 배향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는 본체(62) 및 본체 내에 배치된 블레이드(70)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본체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기부(65)를 구비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손잡이(64)의 형태이다. 본체는 또한 손잡이를 기부에 연결시키는 전이 구역(63)(도 7)을 포함한다. 기부를 형성하는 평면은 매체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측벽(68)은 블레이드의 절단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기부로부터 연장한다. 측벽은 도면 부호 68a로 나타낸 매체 접촉점을 구비하는 한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부는 사용자가 장치를 매체와 정렬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기준 마크(67)를 포함한다. 도 5에서, 기준 마크(67)는 기부 상의 중간에 놓이지만, 기준 마크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전이 구역 및 기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구성요소가 별도로 형성되고 그 후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기부는 또한 절단 에지로의 직접적인 시선(direct line of sight)을 포함하는 단부인 노출된 제1 단부(66)를 구비한다. 장치는 또한 도 7의 배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출된 제2 단부를 구비한다. 본체는 일반적으로 참조선 "y"로 나타낸 중심선을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가 매체(80)와 맞물릴 때, 절단 공정 중의 어떤 시점에서, 측벽의 매체 접촉점(68a)이 매체(80)의 제2 주 표면(82)과 접촉하는 한편, 절단 에지(71)가 반대편 제1 주 표면(81)과 접촉한다. 도 7은 전이 구역(63)이 테이퍼진 또는 좁아진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의 실시예의 안내부의 테이퍼진 또는 좁아진 부착된 단부와 유사하게, 테이퍼진 또는 좁아진 전이 구역은 매체가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쉽게 통과되도록 하여, 절단된 매체의 진행 방해 및/또는 비틀림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70)는 전이 구역 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는 절단 에지(71), 선단 에지(72) 및 후단 에지(74)를 구비한다. 측벽의 매체 접촉점(68a)은 후단 에지(74)로부터 선단 에지(72)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매체 접촉점은 선단 에지와 후단 에지 사이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 상의 매체 접촉점은 선단 에지를 넘어서 연장한다. 참고 목적으로, 직교 좌표계가 도 8에 제공되어 있다. 원점이 선단 에지(72)와 일치하도록 직교 좌표계가 배치된 때, 후단 에지(74)는 양의 y(+y) 방향으로 놓인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실시예는 본체(82), 및 본체 내에 배치된 블레이드(9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절단 에지(91) 및 비절단 부분(95)를 구비한다. 절단 에지는 선단 에지(92), 및 커버의 내측 표면(85a) 부근에 배치된 후단 에지(91)를 구비한다. 블레이드 캡(cab)의 비절단 부분은 매체를 장치의 절단 에지 내로 들어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시, 전형적으로 장치는 매체의 에지와 맞물린다. 장치가 매체로 더욱 활주함에 따라, 측벽, 특히 측벽 상의 매체 접촉점과 조합되는 절단 에지는 매체를 변형시켜서, 매체가 더 이상 장치의 일 측부로부터 장치의 다른 측부로의 하나의 연속적인 평면 내에 놓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변형은 절단 에지에 제공되는 매체의 영역("제공 영역") 내에서 일어난다. 도 1, 도 5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제공 영역은 측벽들 사이 그리고 매체와 접촉하는 절단 에지의 그러한 부분 상의 영역이다. 단지 하나의 측벽만이 존재하는 실시예에서, 제공 영역은 매체와 접촉된 절단 에지와 측벽 사이의 영역이다. 변형의 크기는, 예컨대 매체의 중량, 강성 및 두께와 후단 에지에 대한 매체 접촉점의 위치와 같은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변형의 크기를 결정하는 다른 인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 과정 중에, 매체는 각각 도 3 및 도 8의 2개의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25a 및 65a로 도시된 커버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절단 과정 중에, 측벽은 매체에 다양한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매체가 절단 에지에서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가지 마찰력이 존재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교체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절단 장치에 관한 것 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서, 커버와 측벽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은 상이한 유형의 매체를 수용하도록 교체가능하다. 안내부는 새로운 절단 에지를 도입하도록 교체가능할 수 있다. 손잡이가 교체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기부와 측벽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은 상이한 유형의 매체를 수용하도록 교체될 수 있다. 전이 구역이 새로운 절단 에지를 도입하도록 교체가능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교체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예시적인 절단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A에서, 절단 장치(110)는 손잡이(124) 및 하우징(126)을 포함하며, 이들은 손잡이 내의 수형 부분(170)과 하우징 내의 암형 부분(도시 안됨)을 사용하여 함께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커버 및 측벽(128a)과 선택적으로 안내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임의의 다양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손잡이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도 10A는 사용자가 헤드를 손잡이로부터 분해시키기 위한 간편한 방식으로서 탭(160)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B에서, 절단 장치(210)는 손잡이(224) 및 하우징(226)을 포함하며, 이들은 헤드 상에 배치된 나사 스크류(270)와 나사 스크류를 수용하는 손잡이 상의 리셉터클(260)의 조합을 사용하여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볼 및 소켓 또는 키이 웨이(key way)와 같은 다른 기계적 장치가 2개의 부분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어, 이들이 함께 스냅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안내부가 교체가능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절단 장치(310)는 손잡이(324), 및 블레이드(350)를 구비한 교체가능한 안내부(340)를 포 함한다. 사용시, 블레이드가 무뎌지거나 또는 새로운 매체를 절단하기 위해 인해 블레이드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안내부를 손잡이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또는 상이한 안내부를 설치할 것이다. 교체가능한 안내부는 부착된 단부(344)에서 손잡이로부터 분해될 수 있으며, 손잡이는 안내부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수단을 구비할 것이다.
도 14는 안내부가 교체가능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절단 장치(410)는 손잡이(424), 및 블레이드(450)를 구비한 교체가능한 안내부(440)를 포함한다. 교체가능한 안내부는 제2 매체 접촉점(423a)을 추가로 포함한다. 안내부가 하우징(426)에 부착되면, 제2 매체 접촉점은 하우징의 커버에 인접하게 놓인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 하우징 및 안내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구성요소들이 별도로 형성되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일체로 형성되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본체는 금속, 목재, 중합체, 세라믹 및 이들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가능한 중합체가 또한 유용하다.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는 중합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본체는 2개의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드러운 터치 효과를 제공하도록 경도면에서 본체의 잔여부에 비해 더 연성이다. 2개의 중합체는 또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금속, 세라믹 및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블레이드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적합한 금속은 스테인레스강, 냉간 압연강, 냉간 압연 니켈 도금강, 구리 및 황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단 에지는 직선형 에지일 수 있거나, 또는 경사형(beveled), 끌형(chiseled), 톱니형(serrated), 주름형(corrugated), 부채꼴형(scalloped), 또는 곡선형일 수 있다.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예컨대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많은 기하학적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원형의 기하학적 형상은 절단 에지가 무뎌진 경우, 장치가 새로운 절단 에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단 에지를 회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특징은 블레이드 또는 와이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블레이드 또는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절단 에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진 기구(advancing mechanism)가 본체 내에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는 볼 조인트(ball joint) 및 잠금 장치(lock)를 구비한 선회 블레이드(swivel blade)를 포함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서로 접촉하는 2개의 둥근 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휠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절단 작용이 일어난다.
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은 복수의 블레이드 또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2.54 ㎜ (¼ 인치)와 같은 원하는 간격을 두고 이격된 2개의 블레이드가 매체의 미리설정된 폭의 스트립을 절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스트립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제,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의 조합(때로는 본 명세서에서 "조합 장치"로 지칭됨)을 참조하면, 도 15 내지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의 태양을 더욱 잘 설명한다. 이러한 조합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손잡이는 헤드 부근에 위치된 리본 컬링 영역을 포함한다.
도 15는 헤드(525)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52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51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손잡이는 후단부(524a)를 구비한다. 헤드는, 측벽(528)이 연장하는 커버(도면 부호 없음),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안내부(540)를 포함한다. 안내부는 손잡이에 가장 근접한 부착된 단부(544), 및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넘어서 연장하는 자유 단부(542)를 구비한다. 블레이드와 같은 절단 장치가 안내부 내에 배치된다. 조합 장치는 2개의 측부 에지(510e, 510f)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표면(도시 안됨) 및 제2 표면(510b)을 포함한다. 장치의 제2 표면은 안내부와 동일측 상에 놓인다. 손잡이 상에, 그리고 조합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제1 단부(560a) 및 테이퍼진 제2 단부(560b), 즉 장치의 저면도로부터 볼 때 제1 단부에 비해 더 좁은 치수를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리본 컬링 영역(560)이 존재한다. 리본 컬링 영역의 제1 단부는 헤드에 인접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한다. 리본 컬링 영역은 본 경우에 장치의 제2 표면과 측부 에지들 중 하나의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컬링 에지(562)를 구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합 장치는 하나 초과의 컬링 에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 장치는 장치 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컬링 에지를 포함하며, 이는 리본 컬링 중 왼손뿐만 아니라 오른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특히 편리하다. 또한, 다수의 컬링 에지는 하나의 에지가 마모된 때 다른 에지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장치의 리본 컬링 특징부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컬링 에지 및/또는 전체 리본 컬링 영역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다른 방법은 개선된 경성(hardness) 및 내마모성을 가진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로써 수회의 사용 후에 컬링 에지의 곡률 반경(이하 설명됨)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기술한 한계치 내에 있게 된다. 컬링 에지에 적합한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및 세라믹을 포함한다. 적합한 플라스틱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ABS 및 아세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의 장치의 측면도인 도 16은 리본 컬링 영역이 두께면에서 손잡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좁아진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본 컬링 영역은 장치의 목(throat)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7은 헤드(625)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손잡이(624)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61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손잡이는 후단부(624a)를 구비한다. 헤드는, 측벽(628)이 연장하는 커버(도면 부호 없음),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안내부(640)를 포함한다. 안내부는 손잡이에 가장 근접한 부착된 단부(644), 및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넘어서 연장하는 자유 단부(642)를 구비한다. 블레이드와 같은 절단 장치가 안내부 내에 배치된다. 조합 장치는 2개의 측부 에지(610e, 610f)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표면(도시 안됨) 및 제2 표면(610b)을 포함한다. 장치의 제2 표면은 안내부와 동일측 상에 놓인다. 손잡이 상에, 그리고 조합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제1 단부(660a) 및 테이퍼진 제2 단부(660b), 즉 장치의 저면도로부터 볼 때 제1 단부에 비해 더 좁은 치수를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리본 컬링 영역(660)이 존재한다. 리본 컬링 영역의 제1 단부는 헤드에 인접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한다. 리본 컬링 영역은 장치의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레일로부터 형성되는 2개의 컬링 에지(662)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일이 장치의 측부 에지에 바로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레일은 리본 컬링 영역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은 리본 컬링 영역의 중앙을 향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레일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삼각형의 밑변은 장치의 제2 표면 상에 놓이고 삼각형의 정점(tip)은 삼각형의 밑변으로부터 연장한다. 삼각형의 노출된 변(즉, 삼각형의 밑변이 아닌 변)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노출된 변 각각에 대해 하나씩, 각각 삼각형의 정점을 통과하는 2개의 접선을 그리고 이들 2개의 접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각도는 약 90°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는 약 60°미만이다. 삼각형의 정점은 뚜렷하게 뾰족한 점이 아닐 수 있으며 그 대신에 평탄부(plateau)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레일의 정점은 리본 접촉점이다. 정점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면, 이는 약 0.51 ㎜ (0.02 인치)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의 곡률 반경은 약 0.38 ㎜ (0.015 인치) 미만이다. 그러나, 레일의 곡률 반경은 0.025 ㎜ (0.001 인치)보다 큰데, 그 이유는 이러한 한계치 미만에서는 반경이 너무 급하여서 리본을 마멸시키고 리본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한 약 0.51 ㎜ (0.02 인치)의 상한을 초과하는 반경에서는, 리본은 너무 큰 표면적과 접촉하여 효과적인 컬링 을 제공하지 못한다.
2개의 컬링 에지 사이에, 랜드(664)가 놓인다. 랜드에 수직하게 측정한 레일의 높이는 약 5.1 ㎜ (0.2 인치)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 높이는 약 2.9 ㎜ (0.12 인치) 미만이다. 그러나, 레일 높이는 레일이 리본 컬링 에지로서의 특징부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약 0.25 ㎜ (0.01 인치)를 초과하여야 한다. 레일들 사이의 랜드는 사용자가 리본을 컬링하면서 그의 나머지 손가락을 균형잡고, 안착시키며, 지지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하여, 손가락의 임의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 중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레일 높이가 너무 높으면, 즉 약 5.1 ㎜ (0.2 인치)의 상한을 초과하면, 손가락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레일이 컬링 에지로서의 유용성을 제공하지만, 다른 설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지(wedge) 형상 설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예컨대, 테이블 상부) 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인 안내부가 이 평면인 표면에 인접해 있는, 도 17의 조합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 평면이 컬링 에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1 평면은 리본 컬링 영역에서 장치의 제2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제1 평면은 2차원으로, 즉 선 T1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의 손잡이는 평면인 표면 상에 배치된 때, 2개의 안착점(resting point)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곡선형이다. 제1 안착점(R1)은 손잡이의 후방에서 제2 표면 상에 놓인다. 제2 안착점(R2)이 역시 리본 컬링 영역 부근에서 손잡이의 제2 표면 상에 놓인다. 제2 평면은 두 안착점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선 T2로서 나타나 있다. 제1 및 제2 평면들의 교차점은 각도 θ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약 5°초과 및 약 80°미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는 약 10°이다.
특정 곡률을 갖는 손잡이의 설계는 장치를 절단 모드로 또는 리본 컬링 모드로 사용하기에 특히 편안할 수 있게 한다. 절단 모드에서, 사용자는 그녀의 손바닥으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이때 장치의 일 측부, 예컨대 측부(610e)는 엄지손가락과 접촉하고, 반대편 측부인 측부(610f)는 그녀의 집게손가락의 측부와 접촉하며, 손등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향한다. 리본 컬링 모드에서, 동일한 파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녀의 손등은 자신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며, 그녀의 손가락들은 모두 그녀의 직접적인 시선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파지는 각도 θ가 엄지손가락이 리본 컬링 에지에 대해 편안하고 고정되게 안착되는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리본의 컬링에 특히 유용하다. 즉, 각도 θ는 엄지손가락의 가장 큰 부분이 리본 컬링 에지에 대해, 그리고 손의 손가락 관절(knuckle)에 가장 근접한 집게손가락의 측부에 대해 놓이도록 설계된다. 리본의 컬링을 예상하고 장치를 파지할 때, 예컨대 엄지손가락이 "엄지손가락을 위로 세운"(thumbs up) 상태의 손짓일 때와 같이, 엄지손가락이 집게손가락의 측부로부터 멀리 이격된 리본 컬링 영역을 구비하는 것은 단지 최소한의 힘만이 리본에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덜 바람직할 것이다.
조합 장치에서, 헤드 및 손잡이는 리본 컬링 영역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손잡이에 부착될 수 있다. I예시적인 부착 기술은 기계적 수단,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열 용접, 초음파 용접, 스크류 및 대응 나사, 핀 및 대응 구멍과, 접착제 수단,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액체 접착제 및 양면 코팅 테이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9는 별도로 형성되고 매체 절단기에 부착되어 조합 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예시적인 리본 컬링 영역(360)의 사시도이다. 리본 컬링 영역은 제1 및 제2 단부(360a, 360b)를 각각 구비하며, 여기서 제2 단부는 테이퍼지는데, 즉 제1 단부에 비해 치수가 좁아진다. 리본 컬링 영역은 또한 랜드(361)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컬링 에지(362)를 구비한다. 랜드는 대향하는 상부 및 저부 표면을 구비하며, 이 경우 매체 절단기에 부착시 저부 표면은 장치의 제1 또는 제2 표면에 인접하여 아마도 그와 접촉할 것이다.
도 20은 도 17의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 길이의 리본(700)을 컬링하는 예시적인 과정의 개략도이다. 리본은 소비자의 엄지손가락(점선으로 도시됨)과 컬링 에지들 중 하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길이의 리본을 컬링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리본을 화살표 A로 지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지만, 대안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조합 장치는 제1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중합체 재료가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합체 재료는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중 합체 재료는 상이한 특성,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상이한 경성 또는 연성(경도면에서), 상이한 색상, 및 이들 2가지 특성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면 상에 있든지 제2 표면 상에 있든지 간에 손잡이는 2개의 상이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며, 제1 재료는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고 제2 재료는 제1 재료의 일부분 위를 덮으며, 제2 재료는 더 연성이고 상이한 색상의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 장치는 소비자를 위한 훨씬 더 양호한 파지 작용을 제공하는 부드러운 터치 효과를 제공하면서 미적 매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함에 있어서 안출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특정 배열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들 원리에 따라 수많은 다양한 다른 배열들을 안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출원에서 설명된 구조가 아니라, 오직 청구의 범위의 언어에 의해 설명된 구조 및 이들 구조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20)

  1. 2개의 측부 에지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구비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로서,
    커버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안내부 - 상기 안내부는 부착된 단부와 자유 단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함 - 를 포함하는 헤드; 및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i)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ii) 장치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컬링 에지를 구비하는 리본 컬링 영역 - 상기 리본 컬링 영역은 그의 제2 단부에서 테이퍼짐 - 을 포함하는 긴 손잡이
    를 포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리본 컬링 영역의 컬링 에지는 측부 에지들 중 하나와 제1 및 제2 표면들 중 하나의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약 90°각도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컬링 에지는 장치의 제1 또는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레일은 밑변 및 최고점을 구비하고, 밑변은 장치 상에 배치되며 최고점은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컬링 에지는 장치의 측부 에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리본 컬링 영역은 컬링 에지에 인접한 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레일은 최소 높이가 약 0.25 ㎜ 초과이며 최대 높이가 약 5 ㎜ 미만이고, 높이는 레일 상에서 랜드와 최고점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레일의 최고점은 곡률 반경이 약 0.025 ㎜ 초과 및 약 0.51 ㎜ 미만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레일은 장치의 제1 또는 제2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배치된 밑변, 2개의 노출된 변, 및 밑변으로부터 연장하는 정점을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노출된 변 각각에 대해 하나씩, 정점을 통과하는 2개의 접선이 약 90°미만의 각도로 교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노출된 변 각각에 대해 하나씩, 정점을 통과하는 2개의 접 선이 약 60°미만의 각도로 교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컬링 에지는 플라스틱, 금속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세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리본 컬링 영역은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리본 컬링 영역은 손잡이와 별도로 형성되어 기계적 및/또는 접착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손잡이에 부착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헤드와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며, 손잡이의 제1 및 제2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재료보다 낮은 경도, 제1 중합체 재료와 상이한 색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특징을 갖는 제2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컬링 에지는 장치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되며, 각도 θ가 (i) 컬링 에지를 포함하고 리본 컬링 영역에서 장치의 제2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제1 평면과 (ii) 장치가 실질적으로 평면인 표면 상에 배치된 때, 장치의 제2 표면 상의 제1 및 제2 안착점을 포함하는 제2 평면 사이에 형성되며, 각도 θ는 약 5°초과 및 80°미만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각도 θ는 약 10°인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장치가 실질적으로 평면인 표면 상에 배치된 때, 장치가 그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2개의 안착점, 즉 손잡이의 후방의 제1 안착점 및 리본 컬링 영역에 인접한 제2 안착점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곡률을 포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19. 소정 길이의 리본을 제공하는 단계;
    제1항의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엄지손가락을 장치 상에서 컬링 에지를 가로질러 배치하여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누르는 단계; 및
    리본을 컬링 에지에 대해 유지하면서 상기 길이의 리본을 당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본을 컬링하는 방법.
  20. 2개의 측부 에지와 연결된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구비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로서,
    커버 및 실질적으로 커버 아래에 배치되는 안내부 - 상기 안내부는 부착된 단부와 자유 단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장치의 제2 표면은 안내부와 동일측 상에 있음 - 를 포함하는 헤드; 및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i) 안내부의 부착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ii) 장치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컬링 에지를 구비하는 리본 컬링 영역 - 상기 컬링 에지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레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레일은 장치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밑변 및 리본으로부터 연장하는 정점을 구비하고, 상기 리본 컬링 영역은 그의 제2 단부에서 테이퍼짐 - 을 포함하는 긴 손잡이
    를 포함하는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KR1020087025515A 2006-04-21 2007-04-19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KR20080113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08,781 2006-04-21
US11/408,781 US8176640B2 (en) 2005-04-22 2006-04-21 Media cutting device
US11/560,901 2006-11-17
US11/560,901 US8006390B2 (en) 2006-04-21 2006-11-17 Media cutting and ribbon curl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243A true KR20080113243A (ko) 2008-12-29

Family

ID=5629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515A KR20080113243A (ko) 2006-04-21 2007-04-19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10360A4 (ko)
KR (1) KR20080113243A (ko)
CN (1) CN101426622B (ko)
TW (1) TW200812765A (ko)
WO (1) WO20071243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8004D0 (en) * 2006-04-22 2006-05-31 W A 1 Designs Ltd Improvements in relating to knives
MX351923B (es) * 2014-03-25 2017-1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lemento de limpieza de curva continua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CN106945075A (zh) * 2017-01-25 2017-07-14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防划痕的裁纸辅助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4018A (en) * 1941-02-10 1942-08-25 Borst Julius Daniel Paper cutter
US5054699A (en) * 1988-06-10 1991-10-08 Dejaynes Arnold M Ribbon curling and shredding device
JPH05318333A (ja) * 1992-05-22 1993-12-03 Etona Kk 除針器
US5737842A (en) * 1996-03-11 1998-04-14 The Spoilage Cutter Company Cutting tool
JP3048727U (ja) * 1997-11-07 1998-05-22 クロバー株式会社 裁縫用切断具
KR200243780Y1 (ko) * 2000-11-03 2001-09-26 박철우 봉투칼겸용 스크랩커터
KR200240124Y1 (ko) * 2001-03-27 2001-10-18 박철우 봉투칼겸용 스크랩 커터
DE20214317U1 (de) * 2002-09-16 2002-11-28 Rothschild Angelica Spleiss-, Zieh- und Abschneidegerät für Bänder, variabel verstellbar
EP1888305B1 (en) * 2005-04-22 2011-05-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a 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4335A3 (en) 2007-12-27
CN101426622A (zh) 2009-05-06
CN101426622B (zh) 2011-01-26
EP2010360A2 (en) 2009-01-07
WO2007124335A2 (en) 2007-11-01
TW200812765A (en) 2008-03-16
EP2010360A4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640B2 (en) Media cutting device
US8006390B2 (en) Media cutting and ribbon curling device
US20070245571A1 (en) Reinforced media cutting device
US20130340263A1 (en) Cutter with Anvil
GB2437389A (en) Knife with non-deflecting guard
KR20080113243A (ko) 매체 절단 및 리본 컬링 장치
CA2420934A1 (en) Adhesive tape dispenser
US4980942A (en) Shredder/curling device
TWI454352B (zh) 帶狀物捲繞裝置
CN101426623B (zh) 增强的介质切割设备
US5471755A (en) Hand protection device
US4205438A (en) Scoring tool
US5287625A (en) Sandpaper cutting guide
US20050274026A1 (en) Vinyl pack opener
AU2006240121A2 (en) Media cutting device
WO2015031656A1 (en) Cutting apparatus
JP3141639U (ja) 容器解体装置
JPS6346068Y2 (ko)
JP2002284177A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CN2879767Y (zh) 新型指甲刀
KR20180051018A (ko) 곡선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