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173A -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Google Patents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3173A KR20080113173A KR1020080114108A KR20080114108A KR20080113173A KR 20080113173 A KR20080113173 A KR 20080113173A KR 1020080114108 A KR1020080114108 A KR 1020080114108A KR 20080114108 A KR20080114108 A KR 20080114108A KR 20080113173 A KR20080113173 A KR 20080113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guage
- switch
- review
- playback
- f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축 음성파일(MP3, WMA 등)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 관절 보호가 가능한 자동 복습기능을 가진 디지털 어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ed voice file player (MP3, WMA, etc.),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language unit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capable of protecting a finger joint.
보다 상세하게는, 어학학습을 위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하루 평균 1시간 이상씩 사용하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어학기에 있어서는, 받아 쓰기 등을 위해 재생 중 빨리 뒤로 보내기(Review; 이후, '재생 중 되감기'라고 약기함) 버튼을 누를 때 약 2.1kgf 정도의 무리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손가락 관절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커다란 압력이 가해지곤 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손가락 관절에 전달되는 힘과 이에 따라 느껴지는 압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복습 시에 최근에 학습했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복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사용횟수를 줄여 손가락 관절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청취학습을 위해 사용자 편의를 최적으로 고려한 어학학습전용의 푸쉬 스위치를 채용한 최적의 디지털 어학기 및 그 스위치의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sette Tape language system, which most learners use for an hour or more per day for language learning, they can be quickly reviewed during playback for dictation or the like.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 excessive force of about 2.1 kgf is applied, so exc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knuckles, and accordingly a large pressure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ignificantly reduc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nger joints and the pressure felt accordingly, by reducing the number of use of the finger to protect the finger joints by automatically reviewing the order recently learned at the time of revie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mal digital language unit employing a push switch for language learning that takes user convenience into consideration for efficient listening learning and an arrangement method of the switch.
오늘날 세계는 바야흐로 무한 경쟁의 시대에 돌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력을 증진시키고 외국과의 무역을 통해서만 나라의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 까닭에 영어 등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외국 사람과 만나서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기회가 나날이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요즈음은 조기 어학교육이 증대되고 있고, 특히 유치원생이나 초등생도 어학을 공부하는 일이 많아졌다Today, the world is entering an era of infinite competition. Needless to say, Korea can only achieve sustainable growth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English is increasing. This is because there are more and more opportunities to meet and communicate with foreign people. In response to this trend, early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especially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studying language.
언어학적으로 보면, 인간은 뇌 구조상 듣지 못하면 말을 할 수 없다고 한다. 마치 갓난 아기가 언어를 배워가는 방법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이 때문에, 선천적인 청각장애인은 말을 배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영어 등 외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받아 쓰기(Dictation)를 포함한 듣기(Listening)라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어학학습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영어 등 외국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학학습기(즉, 받아 쓰기와 듣기에 주로 활용하는 어학기)로서, 아날로그(Analog) 방식의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가 있다.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세대에 아날로그 방식의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를 사용하는 것은 아이러니컬한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는 재생 중 빨리 앞으로 보내기(Cue; 이후, '재생중 빨리 보내기'라고 약기함)/재생 중 되감기(Review)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어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나 직장인들이라면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일명 "찍찍이"라 함)를 대부분 가지고 있다. 물론, 시중에는 MP3 계열의 디지털 어학기와, 카세트 재생기와 음성 메모리 모듈을 이용한 혼합형의 디지털 어학기로 대별되는 디지털 방식의 어학기도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디지털 어학기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날로그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Review/Cue 기능을 작동할 때 버튼을 누르는 감각을 쉽게 인지하여 아주 정확하지는 않지만 원하는 곳을 쉽게 찾아가서 바로 듣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주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필요는 없고,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무방하다.Linguistically, humans cannot speak unless they hear because of the brain structure. It's like how a baby learns language. For this reason, it is known that a native hearing impairment is almost impossible to learn to speak. Therefore,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Listening including Dictation. For this, many people are known to use language learners. Currently, the language learner (ie, the language used mainly for dictation and listening) used by people who are learn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is an analog portable cassette tape language machine. It's ironic to use analog portable cassette tape language in today's digital generation, but cassette tape language is fast forward during playback. / It has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review during playback. For this reason, most students and office workers studying languages have a portable cassette tape language (sometimes called "sticky"). Of course, there are many digital language classes that are generally classified as MP3 series language units and hybrid digital language units using cassette players and voice memory modules. However, despite these digital language devices being used, the main reason for using analog cassette tape language devices is to recognize the feeling of a button press when operating the Review / Cue function, which is not very accurate, Because you can listen immediately. In the case of using an analog cassette tape language in this manner, there is no need to find a very precise position, and there may be some errors.
이러한 어학기는, 주로 듣기(Listening)와 받아 쓰기(Dictation)를 하는데 사용된다. 그 이유는, 듣기가 가장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말하기(Speaking)는 어학기에 의존하기 보다는 수준이 비슷한 3∼4명 정도의 스터디 그룹(Study Group: 공부 그룹)을 통해 일정한 주제를 정해, 영어의 경우 예를 들어 Time지(誌)나 Economist지와 같은 잡지책를 선택해서, 공부할 내용을 미리 나누어 각자 공부한 후 일주일에 2∼3회 정도 모여 1∼2시간 정도 발표를 하는 형식으로 일정기간 반복하여 실력향상을 도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어학기를 사용해 혼자서 말하기 실력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고,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포기하는 사례가 많은데, 그 이유는 말하기는 듣기를 어느 정도나마 완벽하게 소화한 후에나 비로소 가능하기 때문이다.This language term is mainly used for listening and dictation. The reason is that listening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Speaking, on the other hand, rather than relying on a semester, uses a group of three or four study groups of similar levels to define a topic. For English, for example, Time By selecting magazines such as Economist magazines, students can share their study contents in advance, study each time, and gather about 2 ~ 3 times a week to present 1 ~ 2 hours of presentation. . However, there are limits to using language to increase your speaking skills alon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give up shortly after starting, because speaking is only possible after you have fully digested your hearing.
또한, 실력이 비슷한 몇 사람이 어울려서 서로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 줌으로써 서로의 실력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목소리를 자신 이 들어서는 잘못을 교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즉, 다른 사람들의 발음을 듣고 자신의 발음 및 액센트 등을 교정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효율적인 어학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 및 도서, 학습용 파일이 많이 개발되어 있고, 특히 외국어 학습에 투자되는 시간과 비용은 막대하다. 하지만, 듣기가 가장 기본이기 때문에, 듣기 및 받아 쓰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어학기가 있다면, 상당히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In addition, several people with similar skills may be able to improve each other's ability by pointing out each other's faults.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correct a mistake by listening to your own voice. In other words, it is efficient to listen to the pronunciation of others and correct their pronunciation and accents. Various teaching methods, books, and learning files have been developed for efficient language learning. Especially, the time and money invested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re enormous. However, listening is the most basic, so if you have a digital language that can make listening and dictation convenient, I think it is possible to learn foreign languages quite efficiently.
그렇지만, 현재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MP3 계열의 디지털 어학기에서는, 스위치가 눌러진 시간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거나, 선(先)구간 반복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특히 사용자가 받아 쓰기 등을 할 때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은 그 부분으로 되돌아가 알아 들을 때까지 여러 차례(약 7회 정도) 반복해서 청취하곤 한다.However, the MP3 series of language device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can detect the time when the switch is pressed and control the user to quickly move to a desired position or to use the pre-section repeat function. In particular, the part that is hard to hear, especially when the user dictates, returns to that part and listens to it several times (about 7 times) repeatedly.
이와 같이 현재는 아날로그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와 MP3 계열의 디지털 어학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들 어학기에 대해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As such, the analog cassette tape language and the MP3 digital language language are widely used at present.
먼저, 기존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에 있어서는, 재생 중 빨리 보내기(Cue)/재생 중 되감기(Review) 버튼을 주로 사용하여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행정거리(Stroke)가 약 4.0㎜로 크기 때문에, 손끝의 감각에 의해 원하는 위치 근방으로 이동시키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반면에, MP3 등을 채용한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는, 택트(Tactile) 스위치나 소프트 버튼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끝이 감지할 수 있는 행정거리가 0.1∼0.25㎜ 정도로 아주 작아 누르는 시간에 비례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가 상당히 어렵다.First of all, in the existing cassette tape language system, the fast send / replay button is used to move to the desired part during the playback. In this case, the stroke length is about 4.0 mm. Therefore, it is not very difficult to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by the sense of the fingertip. On the other hand, in the digital language system adopting MP3, etc., since the tactile switch or soft button is used, the stroke distance that the fingertip can sense is very small, such as 0.1 to 0.25 mm,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in proportion to the time pressed. It is quite difficult to move.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의 장점을 살려 1.0∼6.0㎜의 행정거리와 50∼800gf의 작동력을 갖는 푸쉬(PUSH) 스위치를 이용한 디지털 어학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렇지만, MP3 등의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는, 재생 중에 되감기나 빨리 보내기 등의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곳을 찾아 가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MP3 어학기 등은 그 크기가 점점 경박단소화되고 있는 추세인 데다가, 이러한 추세에 따라 버튼의 크기도 너무 작아져서 버튼을 누를 때 손끝의 감각을 익히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손끝의 감각을 익히기가 어려워 찾고자 하는 위치를 많이 벗어난 엉뚱한 곳을 재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결국은, 원하는 곳을 너무 지나쳐 버리거나 아예 원하는 곳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디지털 어학기는 어학학습용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음악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상(現狀)이다.Therefore, taking advantage of the cassette tape language machine, the necessity of a digital language machine using a push switch having a stroke distance of 1.0 to 6.0 mm and an operating force of 50 to 800 gf is increasing. However, in a digital language class such as MP3, it is difficult to find a desired place by pressing a button such as rewind or fast forward during playback.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ize of MP3 language schools and the like is becoming smaller and lighter, and the size of the buttons is too small according to this trend,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the sense of the fingertips when the buttons are pressed.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learn the senses of the fingertips, and most of the time, playing the wrong place far beyond the position to find. Eventually, because they often go too far or do not reach the desired place, it is a phenomenon that these digital language devices are mainly used for music rather than for language learning.
또,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어학기에 있어서도, 움직이는 부분을 갖고 있는 물리적 특성상 재생시에는 자기헤드(Magnetic Head)를 테이프의 자성체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로 되고, 재생시에는 테이프를 4.76cm/초의 속도로 강제로 주행시키며, Review/Cue 시에는 정상 재생속도의 10배인 47.6cm/초의 속도로 주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가 크고, 게다가 테이프의 메카니즘에 접촉되는 옆면 등의 면도 장기간 사용시에 이산화철 분말이나 이산화크롬 분말이 주성분으로 된 자성체가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과 박리되어 테이프의 영구보존이 어려우며, 기계적인 접촉이 필요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음질손상이 발생한다. MP3 등 디지털 방식의 플레이어의 경 우는, 재생을 위한 파일의 자체 보존은 영구적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 중에 다시 듣고자 하는 부분(이하, '원하는 부분'이라고도 함)의 위치를 대략적으로나마 찾아가는 것 조차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sette tape type language that is commonly used, the magnetic head is pressed against the magnetic surface of the tape at the time of regeneration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ving part, and the tape is 4.76 cm / It is forced to run at the speed of second and at the time of Review / Cue, it is designed to run at the speed of 47.6cm / sec, which is 10 times the normal playback speed, so that the wear caused by mechanical contact is large, and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pe mechanism In long term use, the magnetic material mainly composed of iron dioxide powder or chromium dioxide powder is peeled off from the polyester base fil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manently preserve the tape. In the case of digital players such as MP3s, the self-preservation of files for playback is permanent, but as mentioned above, even roughly finding the location of the part to be heard ag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sired part') during playback.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디지털 어학기의 블럭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igital languag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디지털 어학기는, RAM을 내장한 제어부(마이컴; 1), 표시기(2), MP3 파일을 기억하는 메모리(3), MP3 디코더[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5], 스피커/이어폰잭(5), 및 주로 재생/빨리 보내기/되감기 등을 전형적인 택트(Tact) 스위치나 소프트 버튼을 활용해서 구현한 일반어학기 버튼(6)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general language controller includes a control unit (microcom) 1 with a built-in RAM, a
이러한 MP3 등과 같은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는,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초소형의 택트 스위치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위치를 찾아가도록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MP3 플레이어의 뒤로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재생위치를 찾아가는 등의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영어 등 외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는, 이렇게 소모되는 시간이 누적되어 학습에 방해를 주게 된다. 학습보다는 버튼조작에 신경이 집중되어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기 등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조작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 형태의 휴대형 어학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의 표시기를 보지 않고 단순히 한쪽 손(대부분의 경우,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재생/일시정지/Review/Cue 기능을 조작하고 다른쪽 손으로는 노트 등에 받아 쓰기를 한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 아직도 아날로그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such a digital language class, such as MP3, because the ultra-small tact switch or the like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light and shor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time to press the switch to find the desired playback pos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er has to repeat the process several times, such as finding the desired playback position by using the send back function of the MP3 play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the time consumed is accumulated to interfere with the learning. The attention is focused on the button operation rather than learning, and the phenomenon that the attendant is inverted occurs. Therefore, the user needs to operate by looking directly at the indicator. However, if you are using a cassette tape type portable language machine, which is the most used type so far, you rarely see the indicator and simply operate the playback / pause / Review / Cue function with the thumb of one hand (in most cases, the left hand). With the other hand, take notes and write them. Due to this convenience, there is still a lot of analog cassette tape language learning.
그런데, 이러한 테이프 어학기는 원하는 재생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단점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기계적인 마모의 문제, 작동시 손가락 관절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에 의한 손가락 관절 손상 가능성의 문제 외에, 테이프의 개당 재생시간이 너무 짧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테이프 어학기의 경우, 총 재생시간이 60분 정도이다. 통상적으로, 한쪽 면당 약 30분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반면에 MP3 어학기의 경우는 용량에 따라 수백배 이상의 재생시간을 가질 수 있음), 이미 학습한 테이프를 복습해야 할 경우 일일이 테이프를 갖고 다녀야 하고, 또 이로 인해 가방을 항시 휴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받아 쓰기 등을 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테이프를 앞뒤로 감기 위해 재생 중에 빨리 되감기, 빨리 보내기 버튼을 자주 누르게 된다. 이때, 마그네틱 테이프가 카세트 어학기의 마그네틱 헤드면과 접촉한 상태로 정상재생시의 속도인 4.76cm/sec의 약 10배의 속도(47.6cm/sec)로 지나가기 때문에, 테이프의 자성체 입자 코팅면이 긁혀 장시간 사용시 테이프의 자화력(磁化力) 특성의 열화 및 테이프의 늘어짐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By the way, such a tape languag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find the desired playback position, but also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The biggest disadvantage is that, in addition to the problems of mechanical wear mentioned above and the possibility of finger joint damage due to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joint during operation, the play time per tape is too short. That is, in the case of the tape language, the total playing time is about 60 minutes. Typically, it's only about 30 minutes per side (on the other hand, MP3 semesters can have hundreds of times more play time depending on their capacity), so if you need to review a tape you've already learned, you'll have to carry it with you. In addition, this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bag at all times. In the case of dictation or the like, in order to wind the tape back and forth from time to time, the fast forward and fast forward buttons are frequently pressed during playback. At this time, since the magnetic tape passes at a speed of about 10 times (47.6 cm / sec) of 4.76 cm / sec, which is normal playback,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head of the cassette language, the magnetic particle coating surface of the tape is scratched. When used for a long time, deterioration of the magnetization force characteristic of the tape and sagging of the tape may occur.
또, 듣기 등을 할 때, 오른손 잡이의 경우는 주로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데, 이때 손가락 관절에 가해지는 과도한 물리적인 힘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손가락 관절에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이유는, 버튼을 누를 때 약 2.1kgf 정도의 상당히 큰 힘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요즈음은 조기 어 학교육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유치원생이나 초등생도 어학을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아직 성장과정에 있기 때문에, 약 2.1kgf 정도의 힘을 손가락에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양손 엄지손가락의 발달이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listening to the right hand, the left hand is mainly used for the thumb of the left hand, at this time, due to excessive physical force applied to the finger joint may cause abnormalities in the finger joints for a long time use. The reason for using the thumb is that when the button is pressed, a considerable force of about 2.1 kgf is required. These days, early language school education is on the rise, an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ten study language. Because they are still in the process of growth, the development of two-handed thumb may lead to an imbalance if the finger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about 2.1 kgf of force.
실제로 가해지는 힘은 약 2.1kgf 정도로서 상당히 큰 힘이다. 또한, 손가락과 접촉하는 버튼의 면적은 0.4㎤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손가락 접촉면이 느끼는 압력은 더 커진다. 이는, 통상적으로는 압력이 접촉면적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굳은 살이 배길 수도 있고, 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학습자들은 하루 평균 30분∼1시간 정도를 사용하고 있는데, 집중적으로 장기간 사용한다면 국부적인 통증을 유발하거나 손가락 마디 관절 및 손목 관절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The actual force applied is about 2.1 kgf, which is quite a large force. 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button in contact with the finger is only about 0.4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에 사용되는 Review/Cue 버튼의 경우는, 행정거리(Stroke)가 약 4.0㎜ 정도로 커서 손끝의 감각에 의해 이동거리를 감지하기도 쉽고 충분히 원하는 위치 근방으로 이동시키기도 쉬운 반면에, MP3 등 디지털 어학기에 사용되는 택트(Tactile) 스위치는 행정거리가 0.1∼0.25㎜ 정도로 아주 작기 때문에 누르는 시간에 비례하여 원하는 위치를 찾아가기가 상당히 어렵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Review / Cue button used in a conventional cassette tape language, the stroke is about 4.0 mm so that it is easy to sense the moving distance by the sense of the fingertips and to move it to the desired position sufficiently. On the other hand, the Tactile switch used in the digital language such as MP3 has a very small stroke distance of 0.1 to 0.25 mm,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desired position in proportion to the pressing time.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의 버튼 사용상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1.0∼6.0㎜(바람직하게는 1.5∼4.0㎜)의 행정거리 및 50∼800gf(바람직하게는 300∼500gf)의 작동력을 갖는 푸쉬 스위치를 사용하여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제어기능을 발휘하 여 손가락 관절에 전달되는 힘과 이에 따라 느껴지는 압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디지털 어학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dvantage of the button use of the cassette tape language unit and overcome the disadvantages. Specifically, by using a push switch having a stroke distance of 1.0 to 6.0 mm (preferably 1.5 to 4.0 mm) and an operating force of 50 to 800 gf (preferably 300 to 500 gf), the pressed time of the switch is sensed.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a digital language unit that can dramatically reduc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knuckle and the pressure felt by exerting proper control functions is increa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가락 관절에 전달되는 힘과 이에 따라 느껴지는 압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복습 시에도 최근에 학습했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복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사용횟수를 줄여 손가락 관절을 보호하며, 효율적인 청취학습을 위해 사용자 편의를 최적으로 고려한 어학학습전용 스위치를 채용한 최적의 디지털 어학기 및 그 스위치의 배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dramatically reduce the force delivered to the finger joints and the pressure felt accordingly, and to review automatically in the order of recent learning even in review By reducing the number of fingers used to protect the finger joints, and to provide an optimal digital language machine employing a switch dedicated to language learning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for efficient listening learning and an arrangement method of the switch.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속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재생속도 조절버튼(15a∼15d) 또는 한 개의 속도조절용 볼륨(Volume;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재생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playback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어학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자동적으로 복습을 하도록 하기 위해 처음 학습할 때 일련의 과정을 기록(Log)파일로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차후 복습시 MP3 등의 파일을 재생할 때 선택적으로 Log 파일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여기서, Log 파일의 형태는 문자(TEXT) 파일 구조를 갖도록 하여 파일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적게 하고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 series of processes as a log file at the time of the first learning in order to automatically review in configuring a digital language semester in a memory, and to play files such as MP3 for later review. It is to be able to repeat automatically by using log file. In this case, the log file has a text file structure to minimize the file siz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어학기능을 가진 MP3 등의 디지털 어학기가 제공되는데, 이 디지털 어학기는 재생 중에 행정거 리(Stroke)가 1.0∼6.0㎜이고 접점의 형태가 전기전자적(電氣電子的), 전자적(電磁的) 또는 광학적(光學的)인 푸쉬 스위치를 사용해서 Cue(재생 중 빨리 보내기) 또는 Review(재생 중 되감기)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일련의 조작이력을 RAM에 임시 저장한 후 최종적으로 플래쉬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며, 어학학습용 재생모드 또는 자동반복 기록모드가 해제되면 RAM 내의 이력정보는 플래쉬 메모리(3a) 또는 하드디스크 상에 최종적인 이력파일(study_1.log)로서 저장되고, 차후 해당 MP3 파일(study_1.mp3)을 재생하는 경우에 별도의 선택 스위치에 의해 복습모드를 선택하면 이력파일에 저장된 순서대로 어학용 MP3 파일(study_1.mp3)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digital language machine such as MP3 having a language function, the digital language machine has a stroke of 1.0 to 6.0 mm during the playback and the shape of the contact The electronic, electronic, or optical push switches are used to implement Cue (fast forward during playback) or Review (rewind during playback) functions, and this series of operation history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flash memory and finally stored permanently in the flash memory. When the play mode for the language learning or the automatic repeat recording mode is released, the history information in the RAM is stored on the flash memory 3a or the hard disk (study_1). .log), and when the MP3 file (study_1.mp3) is played later, the review mode is selected by a separate selection switch. An academic MP3 file (study_1.mp3) is played.
이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는, 상기 푸쉬 스위치의 작동력이 50∼800gf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푸쉬 스위치의 노브(KNOB)와 손가락이 접촉하는 면의 전체 면적이 0.3∼4.0㎤ 이하이면서 노브 사이의 간격이 최소한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digital language, the operating force of the push switch is in the range of 50 to 800 gf,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where the knob KNOB of the push switch contacts with the finger is 0.3 to 4.0
또,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어학기능을 가진 MP3 등의 디지털 어학기 동작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동작방법은 어학학습전용의 재생용 푸쉬 스위치를 눌러 잠긴 상태로 되면 표시기 상에 어학학습 전용모드를 표시하고, Review 스위치나 Cue 스위치를 누르면 Review/Cue 기능을 수행하며, 학습전용의 재생용 푸쉬 스위치가 풀린 상태(OFF 또는 RELEASE)인 일시정지 모드에서는 Review 스위치를 누르면 바로 이전 파일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한 후 바로 재생을 시작하고, Cue 스위치를 누르면 다음 파일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한 후 바로 재생을 시작하며, 이 상태에 서 학습전용의 재생용 푸쉬 스위치를 눌러 잠긴 상태로 되면 Review/Cue 모드로 다시 들어가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operating a digital language unit such as MP3 having a language function, the operation method is a language learning only mode on the display when the state is locked by pressing the playback push switch for language learning only Is displayed, pressing the Review switch or the Cue switch performs the Review / Cue function.In the pause mode when the play-only push switch is released (OFF or RELEASE), pressing the Review switch moves to the beginning of the previous file. Start playback immediately after moving, press the Cue switch to go to the beginning of the next file, and start playing immediately. In this state, press the learning-only playback push switch to lock to the Review / Cue mode. It is characterized by executing the re-entry operation.
또,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학습전용의 재생용 푸쉬 스위치와 바로 인접하는 Review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8.0∼18.0㎜ 사이에 있고, Review 스위치와 Cue 스위치 사이의 간격은 6.0∼16.0㎜ 사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재생용 스위치와 Review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Review 스위치와 Cue 스위치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되어 있고, 이들 3개의 스위치의 상호위치는 어학기의 구조에 따라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치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learning-only playback push switch and the immediately adjacent review switch is between 8.0 and 18.0 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eview switch and the cue switch is between 6.0 and 16.0 mm.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layback switch and the review switch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view switch and the cue switch, and the mutual position of these three switches vari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language. This is provided.
또, 본 발명의 디지털 어학기는, 일반 음악용 버튼과 공용 또는 별도의 푸쉬 스위치 형태로 된 어학학습전용의 재생용 스위치, Review 스위치 및 Cue 스위치를 가진 구성, 일반 음악용 버튼과는 다른 별도의 어학학습전용의 다수개 또는 한 개의 다기능 선구간 반복버튼을 가진 구성, 일반 음악용 버튼과는 다른 별도의 어학학습전용의 다수개의 재생속도 조절버튼 또는 한 개의 속도조절용 볼륨(Volume)을 가진 구성, 또는 자동복습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또는 공용의 다기능 자동복습 전용 선택스위치를 가진 구성의 어느 한 구성 또는 그들의 조합 구성을 갖추어도 좋다.In addition, the digital langu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witch for reviewing language learning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common or separate from a button for general music, a review switch and a cue switch, and a language separate from the button for general music. Configuration with multiple or one multi-function repeat button dedicated to learning, configuration with multiple playback speed control buttons or volume for one speed control, separate from general music buttons, or Either or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having a separate dedicated or common multifunction automatic review dedicated switch for executing the automatic review function may be provided.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자동복습관련 이력파일명 부여시, 어학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며 별도의 확장자를 갖게 하고, 이력파일이 문자(TEXT)파일 구조를 가지며, 파일 내에 저장되는 형식이 메모리 상의 테이블 구조와 동일한 순서 및 배열로 되어 있고, 재생 후 경과시간을 기준으로 각종 스위치 입력상태를 기록하든지 RAM 상의 주소 등을 기준으로 저장되는 파일형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어학기가 제공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iving a history file name related to automatic review, it has the same file name as the language file name and has a separate extension, the history file has a text file structure, the format stored in the file A digital language learner is provided in the same order and arrangement as the table structure on the memory, and has a file format in which various switch input states are recorded on the basis of the elapsed time after playback or stored on the basis of an address on the RAM.
이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는, 자동복습관련 이력파일명 부여시, 실수로 지워지는 경우를 대비해 어학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갖고 bak 또는 기타 확장자명을 갖는 또 하나의 이력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digital language devic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d store another history file having the same file name as the language file name and having a bak or other extension in case of accidental deletion of the history file name for automatic review.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시에 손가락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고 최적의 행정거리와 감지력을 갖는 푸쉬 스위치(도 23 참조)를 찾아내어 본 어학기에 적용하고, 어학기의 음성파일 저장위치(3)와 어학전용 관련 스위치의 동작순서 및 해당 시간을 기록한 이력파일의 저장위치(3a), 및 자동복습방법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학습자가 본 발명의 특징을 선택하는 설정모드와 설정된 모드를 재생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선구간 반복과 일반적인 구간 반복 재생설정시, 실제의 구간보다 앞뒤로 0.5∼1초간의 보호구간(Guard Band)을 추가하여 메모리(7)에 저장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tect the finger joints, the push switch (see Fig. 23) having an optimal stroke and sensing force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finger during operation is found and applied to the language unit, and the audio file storage of the language unit The setting mode and the set mode in which the learner se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rt (3) and the storage location (3a) of the history file recording the corresponding time,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witch related to the language-only switch, and the automatic review method. It is a process of regeneration. In the pre-repeated section and the normal section repeat playback setting, a guard band for 0.5 to 1 second is added and stored in the
또, 어학전용 재생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Review(9)나 Cue 스위치(10)를 누를 때는, 해당 스위치가 눌린 시간을 RAM 메모리(7) 상에 저장하고, 해당 시간의 N배(통상 N=10)의 시간에 해당하는 메모리(7)상의 위치로 이동하여 그 부분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한다(도 12 참조). 전체적으로 어학전용 재생 모드(8)인 경우에는, 실제 메모리에 최종적으로 설정된 대로 재생시에 선택적으로 앞뒤쪽에 묵음부를 0.5∼1.0초 정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이유는, 파일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0.5∼1.0초의 시간은 학습기의 환경설정 메뉴에서 0.0초로부터 10초까지 원하는 대로 가변해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Review (9) or the Cue Switch (10) is pressed while the language exclusive playback switch is pressed, the time when the switch is pressed is stored in the RAM memory (7), and N times the normal time (normally N =). It moves to a position on the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 사용시 가장 큰 문제로 제기되었던 Review/Cue 버튼 작동시 가해지는 2.1kgf 정도의 과도한 힘(도 30)으로부터 손가락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의 연령에 따른 최적의 행정거리(도 3의 18)와 작동력(도 3의 17, 도 23 참조)을 갖는 푸쉬(PUSH) 스위치(8∼10)의 선정 및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의 눌러진 시간을 감지하고, 이를 학습에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는 제어용 마이컴(1)을 통해 최적의 어학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수의 선구간 반복버튼(14a∼14d)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구간 반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어학용 파일 재생시에 연속적으로 재생하지 않고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구간을 재생한 후 직전에 재생했던 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정해진 일정시간만큼 떨어진 시점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하여 몇 차례(본 발명의 경우, 4회) 반복하고 또 일정시간만큼 떨어진 시점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하는 등과 같은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파일의 끝부분까지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um according to the age of the user to protect the finger joints from excessive force of about 2.1kgf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Review / Cue button (Fig. 30), which has been the biggest problem when using a conventional cassette tape language. Detecting the pressed time of the switch used for the selection and learning of the push switches 8 to 10 having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어학기에 있어서 사용 연령대를 고려하여 해당 연령대에 적합한 작동패턴과 적합한 행정거리(18)와 작동력(17; 도 23)의 어학학습 전용 스위치(8∼10)를 선택하여 장시간 사용 시에도 손가락 관절 및 손목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nguage learning dedicated switch (8 to 10) of the operation pattern and the
또, 한번 학습했던 어학파일을 추후에 복습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기록(Log) 된 해당 이력파일을 이용해서 학습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시 스위치조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학습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viewing a language file that was once learned later,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learning by using the corresponding history file which is finally recorded, thus saving time required for switch operation during learning and focusing only on learning. It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아울러, 선구간 반복(14) 및 일반적인 구간 반복 동작시, 실제 재생음이 들리는 구간보다 앞뒤로 약 0.5초∼1.0초(환경설정 메뉴에서 가변해서 설정가능)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구간을 확장하여 재생하면, 출력 시에 원하는 구간이 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듣기 연습시 듣고자 하는 부분이 갑자기 바로 재생되어 버리면 당황해서 그 부분을 제대로 듣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듣고자 하는 구간보다 앞뒤로 여유구간을 두어 학습자에게 준비시간을 제공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학" 또는 "어학기"라는 용어는 영어, 중국어, 일어 등과 같은 외국어를 학습하는 기기에 대한 총칭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또, "RAM"이라는 용어는 SDRAM, DRAM, SRAM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를 의미하고, "ROM"이라는 용어는 NAND FLASH, NOR FLASH, EEPROM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가 소 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의미한다. 광범위하게는, 하드 디스크와 광자기 디스크 등에 기록된 데이터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또, "MP3 파일"이라는 용어는 MP3 포맷은 물론, WMA, WAV 등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의미한다.First,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the term "language" or "language term" is to be understood as meaning a generic term for a device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Chinese, Japanese. In addition, the term "RAM" refers to volatile memory that loses data when power is not supplied, such as SDRAM, DRAM, and SRAM, and the term "ROM"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such as NAND FLASH, NOR FLASH, or EEPROM. It means non-volatile memory that does not lose data. Broadly speaking, data recorded on hard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the like can also be included. The term " MP3 file " means not only the MP3 format but also digital audio files such as WMA and WAV.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구성을 적용한 디지탈 어학기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language unit to which the conceptu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탈 어학기는, 기존의 디지털 어학기(도 1)에, 어학학습에 필요한 구성부분(16)을 추가하였다. 추가된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디지탈 어학기는, 어학학습 전용 스위치(8∼13) 및 어학학습 전용 버튼(14∼15)을 구비하고, MP3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는 플래쉬 메모리 영역 중 특정영역(3a)을 할당하여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어학기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igital languag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ded a
기존의 일반적인 어학기(도 1)의 경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공간의 제약상 주로 재생/빨리 보내기/되감기 등을 전형적인 택트 스위치나 소프트 버튼와 같은 일반버튼(6)을 활용해서 구현하였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general language (FIG. 1), as a user interface, the play / fast forward / rewind etc. are mainly implemented by using a
본 발명의 디지탈 어학기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기본적인 MP3 어학기 또는 MP3 재생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해 왔던 재생 버튼, 빨리 보내기 버튼, 되감기 버튼 등과 같은 일반버튼(6)은 그대로 사용하되, 추가로 3.5㎜ 정도의 큰 행정거리를 갖는 푸쉬 스위치로 된 어학학습 전용 스위치를 설치한다. 디지탈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하여 이러한 역발상을 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어학기를 사용하는 학습자의 편의성을 먼저 고려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터넷 등을 통해 디지털 방식의 어학기 사용시의 불편사항을 검색해 보면, 가장 불편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이 "찍찍이" 기능이 없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어학기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은 소형의 버튼을 사용하는데 상당히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이 해결되지 않아 아직까지도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In the digital langu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재생 시에는 기존의 일반버튼(6)을 사용하지만, 어학학습 시에는 푸쉬(PUSH) 스위치 형태로 된 어학학습 전용의 재생스위치(8), 되감기 스위치(9) 및 빨리 보내기 스위치(10)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어학학습 전용의 재생스위치(8)를 누르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스위치(8)의 섭동자(8d)가 2개의 접점(8a와 8b)과 접촉되어 전기가 통하는 단락(Short)상태로 된다. 어학학습 시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3a)에 저장된 하나의 어학용 MP3 파일을 재생 중에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이나, 또는 받아 쓰기 중에 미쳐 듣지 못한 부분이나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을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를 눌러서 여러 번 되감기하면서 학습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the conventional general button (6) is used when playing music, the language learning dedicated playback switch (8), rewind switch in the form of a push (PUSH) switch when learning (9) and the
재생 중에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를 누르면, 경과시간이 메모리(7) 상에 기억되고,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가 복귀(OFF)되면, 메모리(7)에 저장된 경과시간의 N배(통상적으로 N=10)에 해당하는 전(前) 또는 후의 위치로 이동하여 재생을 시작한다. 예를 들면, 눌러진 시간이 1초라면 10초 전 또는 10초 후 부분으로 이동하여 재생을 시작한다. 아직까지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카세트 테이프 어학기의 경우, Review와 Cue 동작시 손으로 누른 경우의 경과시간과 실제 테이프가 주행한 시간을 실측한 후 계산해보면, 약 10배만큼 빨리 주행하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N을 10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Review/Cue 버튼은 아주 짧게 누른다고 하더라도 약 0.1초 정도는 눌려지게 되고, 실제로 테이프는 1초 정도 진행하게 된다. 행정거리가 3.5㎜인 푸쉬 스위치를 사용하면 테이프 어학기의 동작과 거의 비슷한 동작을 하게 되고, 행정거리가 4.0㎜인 푸쉬 스위치를 사용하면 거리가 길기 때문에 N의 값을 12∼13 정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물론, 스위치에 사용되는 용수철의 작동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해서 행정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있다.When the
도 12는 Review 및 Cue 버튼을 누른 경우의 동작에 대한 예를 나타내고, 도 18 및 도 19는 Review 및 Cue 버튼을 누른 경우의 동작에 대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를 나타낸다.12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when the Review and Cue buttons are pressed. 18 and 19 show flow charts for operations when the Review and Cue buttons are pressed.
예를 들면, 미국의 가수 엘비스 프레슬리의 "Can't Falling In Love With You"라는 노래가 study_1.mp3라는 파일명을 갖는 어학학습용 파일로서 플래쉬(FLASH)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자.For example, suppose that the song "Can't Falling In Love With You" by the American singer Elvis Presley is stored in the
도 12의 동작을, 메모리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 11과 연계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어학전용 재생스위치(8)가 ON 상태로 되면 어학용 파일을 재생하기 시작한다. 재생시작 후 4초가 경과한 시점(도 11의 메모리 내용중 "SAY"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Cue 스위치(10)를 1초간 누른 후 복귀시키면, 재생시점보다 10초를 더 지난 15초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동해서 메모리 내용 중 "CAN'T"로부터 재생을 시작해 28초에 해당하는 부분("YOU")까지 재생을 진행하게 된다. 또, 재생 중 24초가 경과한 시점("LOVE"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Review 스위치(9)를 2초간 누른 후 복귀시키면, 누른 시간(2초)의 10배에 해당하는 20초 전의 시점("ONLY"라는 부분)으로 되돌아가서 재생을 시작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Fig.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tents of the memory. When the language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N의 값은 가변이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어학기의 환경설정 메뉴 상에서 설정할 수 있다. 3.5㎜의 행정거리를 가진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가 끝까지 깊이 눌러진 경우(약 3.0∼3.5㎜)도 있지만, 살짝 눌러진 경우(1.0∼2.0㎜)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살짝 눌러진 경우(1.0∼2.0㎜)는, 학습자가 순간적으로 살짝 누른 상태[하프 터치(Half-Touch) 상태]에 해당하므로, 그에 걸맞는 동작을 하게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alue of N is variable and can be set on the configuration menu of the digital language sem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switch with a stroke length of 3.5 mm, the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는 각각 2개의 접점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Review 스위치(9)의 동작은, 평상 시에는 섭동자(攝動子: Slider)(9d)가 접점(9b)과 접점(9c)에 붙어 있고, 살짝 누르면 반정도 눌린 상태(하프 터치)로 되어 섭동자(9d)가 접점(9b)에만 붙어 있고 접점(9a)이나 접점(9c)에는 붙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때, 접점이 떨어진 상태에서의 경과시간을 마이컴(1) 내의 RAM 메모리(7)에 저장한 후, 스위치(9)가 원위치되면(섭동자가 다시 접점(9b)과 접점(9c)에 붙은 상태(단락상태))로 되면, 메모리(7)에 저장된 시간의 N배(N=5)에 해당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재생을 시작하게 된다.The
Cue 스위치(10)를 이용한 반정도 눌린 상태(하프 터치 상태)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즉, Cue 스위치(10)의 동작은, 평상시에는 섭동자(10d)가 접점(10b)과 접점(10c)에 붙어 있고, 살짝 누르면 반정도 눌린 상태(하프 터치 상태)로 되어 섭동자(10d)가 접점(10b)에만 붙어 있고 접점(10a)이나 접점(10c)에는 붙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때, 접점이 떨어진 상태에서의 경과시간을 마이컴(1) 내의 RAM 메모리(7)에 저장한 후, 스위치(10)가 원위치되면(섭동자가 다시 접점(10b)과 접점(10c)에 붙은 상태(단락상태))로 되면, 메모리(7)에 저장된 시간의 N배(N=5)에 해당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재생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N의 값은 가변이고, 본 발명에 따른 어학기의 환경설정 메뉴 상에서 설정할 수 있다.The same applies to the operation in the half-pressed state (half touch state) using the
하프 터치 동작을 도 11과 연계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재생 중 19초 부분("HELP"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Cue 스위치(10)를 1초간 반정도 누른 후(하프 터치한 후) 복귀시키면, 1초의 5배에 해당하는 시점으로 이동해서 25초 부분("WITH"의 시작점)에서 재생을 시작하고, 재생 중에 24초 부분("LOVE"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이 끝난 시점에서 Review 스위치(9)를 2초간 반정도 누른 후(하프 터치한 후) 복귀시키면, 2초의 5배에 해당하는 시점인 15초 부분("CAN'T"의 시작점)으로 되돌아가 재생을 하게 된다.The half touch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After the
여기서, 향후 복습 시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자동복습 선택스위치를 기록위치(11)로 해 놓으면, 학습 중에 발생하는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의 동작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Log 파일로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기록모드에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재생스위치(8)를 한번 더 눌러서 일시정지모드로 하거나 또는 자동복습 선택스위치를 정지위치(12)로 해 놓으면 되는데, 이때 최종적으로 문자(TEXT)파일 형식의 이력파일(Log파일)이 생성되어 플래쉬 메모리(3a)에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문자(TEXT)파일 형식으로 한 이유는, 가장 용량이 작을뿐만 아니라 파일압축 시의 효율이 가장 좋다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Here, if the automatic review selection switch is set to the
도 16은 이력파일의 저장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저장된 이력파일(Log 파일)을 study_1.log라고 가정하면, 이력파일(Log 파일) 내부구조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된다. 이력파일명을 부여하는 방법은 어학파일명을 부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되, 파일의 확장자(Extension)를 log로 한다. 이는, 자동복습 시에 파일을 찾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만일의 경우, 실수로 log 파일이 지워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백업용으로 예를 들면 확장자가 bak라는 이력파일을 추가로 생성시킬 수도 있다.Fig. 16 show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storage of the history file. In this case, assuming that the stored history file (Log file) is study_1.lo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istory file (Log file) is as shown in FIG. The method of giving the history file name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giving the language file name, but the extension of the file is log.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find the file during the automatic review. In addition, in case of accidental deletion of the log file, a backup file, for example, an extension of bak, may be additionally created for backup purposes.
차후에 study_1.mp3라는 MP3 어학파일(3)을 복습하고자 할 때, 자동복습 선택스위치를 자동복습 위치(13)로 해 놓고 어학전용 재생스위치(8)를 눌러서 재생모드로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통상의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MP3 파일에 대응하는 이력파일인 study_1.log라는 Log 파일을 메모리(3a) 내에서 찾고, 이 study_1.log이 실수로 지워져 없는 경우에는 study_1.bak이라는 파일을 RAM 메모리(7)로 불러들여 RAM 메모리(7)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후, 이 테이블에 저장된 순서대로 마이컴(1)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자동복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전형적인 테이블의 예를 도 15에 나타낸다.Later, when you want to review the MP3 language file (3) called study_1.mp3, set the automatic review selection switch to the automatic review position (13) and press the language playback switch (8) to enter the playback mode. 3) A log file called study_1.log, which is a history fil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P3 file stored in 3), is searched in the memory 3a. If the study_1.log is not deleted by mistake, the file called study_1.bak is stored in RAM memory ( 7), the memory is stored in the
참고로, 어학학습의 특성상 한번 알아듣지 못한 부분은 추후에 복습을 하더라도 또 다시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일이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를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복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도 17은 이 자동복습동작에 대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를 나타낸다.For referen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learning, the part which is not understood once is often not understood again even if reviewed later. Therefore, even if you do not press the
자동복습 중에 복습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는, 복습선택 스위치를 정지 위치(12)로 해 놓으면 되는 바, 자동복습 모드가 해제되고, 어학학습 전용 재생모드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review mode is to be canceled during the automatic review, the review selection switch may be set to the
또한, 일반적으로 받아 쓰기나 듣기를 할 때,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은 여러 차례(본 발명의 경우는 4∼7회 정도) 반복해서 듣는 경우가 많다. 뉴스 등에서 나오는 음성은, 일반적으로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받아 쓰기를 하는 경우에 손으로 받아 쓰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느껴진다. 이러한 경우는, 같은 구간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청취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MP3 어학기의 경우는, 원하는 구간반복을 설정하려면 단순히 구간반복(보통 A<--->B) 전용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서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도 어렵고, 또 대부분은 구간반복 전용 버튼이 아주 작기 때문에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정확히 확인하려면 LCD 표시기 상의 해당 플래그(Flag)를 보지 않으면 안된다.In general, when receiving or writing, the parts which are hard to hear are often repeatedly heard several times (about 4 to 7 time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oices from news and the like are generally very fast, the speed of handwriting in the case of dictation is relatively slow.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same section repeatedly. However, in the case of general MP3 language language, to set the desired section repetition, it is simply set by using a section repeat (usually A <---> B) dedicated button (not shown). In such a cas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setting is made properly, and in most cases, the section repeat-only button is so small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rresponding flag on the LCD display to make sure that the setting is made correctly. .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학기에서는 별도의 어학학습용 선구간 반복 전용버튼(14)을 4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이미 지나간 2초 전의 시점으로부터 7회 반복해서 재생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2초의 선구간 버튼(14a)과, 이미 지나간 4초 전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구간을 7회 반복해서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4초의 선구간 버튼(14b), 10초 전의 시점으로부터 7회 반복해서 재생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10초의 선구간 버튼(14c) 및, 20초 전의 시점으로부터 7회 반복해서 재생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20초의 선구간 버튼(14d)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구간반복 재생이 모두 끝나면, 정상 재생모드 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도, 메모리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 11 및 선구간 반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과 연계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현재 재생위치가 18초 부분이 막 끝난 시점("HELP"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인 경우, 4초의 선구간 버튼(14b)을 누르면, 4초 전의 시점으로 되돌아가 15초 부분("CAN'T"의 부분)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해서 18초 부분("HELP")까지 7회 반복하고 재생모드로 돌아간다. 이러한 선구간 반복모드를 해제하고자 할 때는, 어학학습 전용의 Review 스위치(9)나 Cue 스위치(10)를 누르면 된다. 여기서, 각각의 선구간 버튼(14a∼14d)의 시간설정은 본 어학기의 환경설정 메뉴 상에서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drawbacks, the langu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our separate
또 하나의 자동반복 재생방법으로서는, 하나의 어학파일에 대해 일정 시간구간을 N회(N=4가 기본설정이고, N의 값은 임의로 변경 가능함) 반복해서 재생하고, 일정시간 구간의 4/5만큼 되감은 다음 다시 그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구간을 다시 N회 반복해서 재생하면서, 이러한 동작을 파일의 끝부분으로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학습자가 듣기나 받아 쓰기를 할 때 왼손을 사용해 기기를 조작하는 일이 없어 귀로 듣는 일에 집중할 수 있고, 오른손으로는 받아 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As another automatic repeat playback method, a language file is repeatedly played N times (N = 4 is the default setting and the value of N can be arbitrarily changed) repeatedly for one language file. There is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this operation until the end of the file, while rewinding and replaying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from that point again N times. By adopting this method, the learner can concentrate on listening by listening to the ear without using the left hand to operate the device while listening or writing. Rather,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선구간 반복버튼(14)을 길게 누르면, 이 자동반복 재생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기본 설정에 따라, 예를 들면 재생후 4초를 경과한 시점에서 버튼(14a)를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5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4초를 되감고 곧바로 5 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고, 또 4초를 되감고 곧바로 5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는 … 방식으로 계속해서 재생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버튼(14b)을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1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8초를 되감고 1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고, 또 8초를 되감고 1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는 방식으로 파일 끝부분까지 진행한다. 또, 버튼(14c)를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15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12초를 되감고 15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게 된다. 또, 버튼(14d)를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16초를 되감고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게 된다.Press and hold the line
여기서, 버튼(14d)을 누른 경우의 동작을 RAM 내용(도 11)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재생후 4초가 경과한 시점("SAY"라는 부분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버튼(14d)을 1초간 누른 경우, "ONLY FOOL RUSH-IN BUT I CAN'T HELP" 구간(5초∼19초)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고 나서, "FOOL RUSH-IN BUT I CAN'T HELP FALLING IN" 구간(8초∼22초)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고, 또 "BUT I CAN'T HELP FALLING IN LOVE" 구간(11초∼25초)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며, 또 "I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 구간(14초∼28초)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정지한다.Herein,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버튼(14d)을 0.5초 이상 길게 누르면,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한 후, 16초를 되감고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후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고, 16초를 되감고 20초 구간을 4회 반복해서 재생하는 등과 같이 하여 파일의 끝부분까지 같은 동작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Press and hold
어학학습 시에 있어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재생속도이다. 경우에 따라서 는, 천천히 또는 빨리 재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빠른 뉴스나 대화의 경우는, 천천히 들으면 들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면, 정상속도보다 더 빠르게 들을 필요도 있을 수 있다. 기존의 디지털 어학기의 경우는, 이러한 기능을 갖고는 있지만, 대부분 하나의 버튼으로 되어 있어 이 버튼을 누를 때마다 속도를 가변하면서 듣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도, LCD 표시기 내의 해당 플래그(Flag)를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서는 속도가 몇 배속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One of the important things in language learning is the speed of reproduction.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play slowly or quickly.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fast news or conversation, you may hear it slowly. In addition, if you have some skill, you may need to hear faster than normal speed. Conventional digital language units have this function, but most of them have only one button, so each time you press this button, you hear the variable speed.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how many times the speed is achieved without directly looking at a corresponding flag in the LCD display.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디지탈 어학기에서는 재생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재생속도 조절버튼(15a∼15d)를 별도로 구비하고서, 원터치로 원하는 재생속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튼(5a)의 경우는 0.7배속, 버튼(15b)의 경우는 1배속(정상속도), 버튼(15c)의 경우는 1.3배속, 및 버튼(15d)의 경우는 1.8배속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재생속도 조절버튼(15a∼15d)의 속도설정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기의 환경설정 메뉴 상에서 임의의 속도로 설정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the digital langu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our playback
한편, 듣기 연습시, 듣고자 하는 부분으로부터 곧바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면, 학습자가 당황해서 그 시작부분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선구간 반복(14) 및 일반적인 구간 반복(도시하지 않음)을 실행할 때, 실제 재생음이 기록되어 있는 구간보다 앞뒤로 약 0.5초∼1.0초 정도(물론, 이 시간도 환경설정 메뉴에서 설정변경이 가능함) 여유구간을 두고 구간을 확대하여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래 구간보다 앞뒤로 여유구간을 삽입함으로써, 출력시에 원하는 구간이 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학습자에게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istening practice is set to play directly from the part to be listened t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is embarrassed and cannot understand the beginning part properly. For this reason, when performing
추가적으로, 선구간 반복모드 및 일반 구간 반복모드(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실제 메모리(7)에 최종적으로 설정된 대로 재생시에 선택적으로 앞뒤부분에 묵음부를 0.5∼1.0초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묵음부를 삽입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디지털적인 방법이고, 나머지 하나는 아날로그적인 방법이다. 우선, 디지털적인 방법은, MP3 등 압축된 파일을 해제시키는 기능을 하는 디코더(Decoder: 복호기)의 출력이 DAC로 넘어가기 전에 거치는 버퍼(Buffer)단에 있어서 지연(Delay)을 주는 방법이다. 아날로그적인 방법은, DAC 출력단 또는 오디오(Audio) 최종출력단(이어폰 또는 스피커단)에 트랜지스터(Transisto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나 계전기(RELAY) 등을 사용해서 뮤트(Mute)를 잡는 방법이다. 그 이유는, 파일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0.5∼1.0초의 시간은 학습기의 환경설정 메뉴에서 0.0초로부터 10.0초까지 원하는 대로 가변해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line segment repeat mode and the normal segment repeat mode (not shown), a silent portion may be inserted at the front and back portions 0.5 to 1.0 seconds selectively during playback as finally set i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관절에 전달되는 힘과 이에 따라 느껴지는 압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복습 시에도 최근에 학습했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복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사용횟수를 줄여 손가락 관절을 보호하며, 효율적인 청취학습을 위해 사용자 편의를 최적으로 고려한 어학학습전용 스위치를 채용한 최적의 디지털 어학기 및 그 스위치의 배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nger joints and the pressure f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the finger joints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of finger use by automatically reviewing the order recently learned even during the review.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digital language machine employing a switch for language learning that optimally considers user convenience for protecting and efficiently listening learning and an arrangement method of the switch.
또, 재생속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재생속도 조절버튼(15a∼15d)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재생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layback
또, 디지털 어학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자동적으로 복습을 하도록 하기 위해 처음 학습할 때 일련의 과정을 기록(Log)파일로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차후 복습시 MP3 등의 파일을 재생할 때 선택적으로 Log 파일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utomatically review the digital language semester, a series of processes are stored in the memory as a log file at the time of the first study, and a log file is selectively used when playing a file such as MP3 for later review. It is also possible to repeat automatical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어학기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languag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구성을 적용한 디지털 어학기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language unit to which the conceptu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는 어학학습전용의 푸쉬 스위치(재생상태).3 is a push switch (playback state) dedicated to language learning.
도 4는 어학학습전용 푸쉬스위치(Review상태).4 is a push switch dedicated to language learning (Review state).
도 5는 어학학습전용 푸쉬스위치(Cue상태).Figure 5 is a push switch dedicated to language learning (Cue state).
도 6은 어학학습전용 푸쉬스위치(Review 하프 터치 상태).Figure 6 is a language switch dedicated push switch (Review half touch state).
도 7은 어학학습전용 푸쉬스위치(Cue 하프 터치 상태).Figure 7 is a language learning dedicated push switch (Cue half touch state).
도 8은 자동복습 선택스위치.8 is an automatic review selection switch.
도 9은 어학학습전용 선구간 반복버튼.9 is a line section repeat button for language learning only.
도 10은 어학학습전용 재생속도 버튼.10 is a play speed button dedicated to language learning.
도 11은 메모리(RAM) 내용의 일례.11 is an example of the contents of a memory (RAM).
도 12은 Review/Cue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view / Cue operation in detail.
도 13은 선구간 반복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tion repeat operation in detail;
도 14는 자동복습용 이력파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istory file for automatic review.
도 15는 자동복습용 이력 테이블의 일례.15 is an example of a history table for automatic review.
도 16은 이력파일의 저장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1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storage of the history file.
도 17은 자동복습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utomatic review.
도 18은 Review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eview operation.
도 19는 Cue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ue operation.
도 20은 하프 터치 Review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2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half touch review operation.
도 21은 하프 터치 Cue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2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half touch Cue operation.
도 22는 테이프 재생기의 버튼에 가해지는 힘(작동력) 측정 도면.Fig. 22 is a view of measuring force (actuation force) applied to a button of a tape player;
도 23은 어학전용 학습기의 스위치에 가해지는 힘(작동력) 측정 도면.Fig. 23 is a view of measuring force (operating force) applied to a switch of a language-only learn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108A KR101073045B1 (en) | 2008-11-17 | 2008-11-17 |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PCT/KR2009/006593 WO2010056027A2 (en) | 2008-11-17 | 2009-11-10 | Digital language learn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108A KR101073045B1 (en) | 2008-11-17 | 2008-11-17 |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3173A true KR20080113173A (en) | 2008-12-29 |
KR101073045B1 KR101073045B1 (en) | 2011-10-12 |
Family
ID=4037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108A KR101073045B1 (en) | 2008-11-17 | 2008-11-17 |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3045B1 (en) |
WO (1) | WO2010056027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41565A2 (en) * | 2009-06-02 | 2010-12-09 | Bucalo Louis R | Method and apparatus for language i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1170A (en) * | 2002-05-24 | 2003-12-03 | 김혜경 | Portable digital language learning player |
KR100657810B1 (en) | 2005-02-07 | 2006-1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player having 4 direction button |
KR20080039704A (en) * | 2006-11-01 | 2008-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audio pla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080078628A (en) * | 2008-08-07 | 2008-08-27 | 임경헌 | Advanced player |
-
2008
- 2008-11-17 KR KR1020080114108A patent/KR10107304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11-10 WO PCT/KR2009/006593 patent/WO201005602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41565A2 (en) * | 2009-06-02 | 2010-12-09 | Bucalo Louis R | Method and apparatus for language instruction |
WO2010141565A3 (en) * | 2009-06-02 | 2011-03-24 | Bucalo Louis R | Method and apparatus for language i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56027A2 (en) | 2010-05-20 |
KR101073045B1 (en) | 2011-10-12 |
WO2010056027A3 (en) | 2010-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33928B1 (en) | Electronic book player with audio synchronization | |
US6421524B1 (en) | Personalized electronic talking book | |
KR100705000B1 (en) |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 |
US8538758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1073045B1 (en) |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 |
JP2018146961A (en) | Voice reproduction device and voice reproduction program | |
US20040114475A1 (en) | Method for playing back record medium | |
CN102411622A (en) | Method for setting electronic bookmarks for portable audio player | |
KR20030091170A (en) | Portable digital language learning player | |
KR101022214B1 (en) | C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udying according to a day of the week using the same | |
KR20010049233A (en) | Text data outputting system corresponding to audio signal | |
KR20040040960A (en) | Digital study apparatus | |
JP2002149053A (en) |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and storage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
KR200305678Y1 (en) | Digital study apparatus | |
KR100389451B1 (en) | Apparatus For Study Aid Using Replay of a Stored Question/Answer Sentence | |
JPH1165409A (en) | Learning device | |
KR100518611B1 (en) | Digital language learning player | |
KR20010076136A (en) | portable reading apparatus | |
KR20080078628A (en) | Advanced player | |
KR200184005Y1 (en) | Language training aid | |
KR20080039704A (en) | Portable audio pla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0236428B1 (en) | Language learning apparatus | |
KR200326942Y1 (en) | Double Deck Cassette | |
JP2006208866A (en) | Reproducing device | |
JP2003167502A (en) | Portable type language lear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