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919A -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919A
KR20080112919A KR1020080017411A KR20080017411A KR20080112919A KR 20080112919 A KR20080112919 A KR 20080112919A KR 1020080017411 A KR1020080017411 A KR 1020080017411A KR 20080017411 A KR20080017411 A KR 20080017411A KR 20080112919 A KR20080112919 A KR 2008011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oint
connection
controlled device
appl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771B1 (ko
Inventor
정동신
이주열
베둘라 키란 바라드와즈
수브라마니안 크리스나무티
시다투르 카나케샤라 스라칸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880103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785245B/zh
Priority to EP08766389.4A priority patent/EP2160865B1/en
Priority to PCT/KR2008/003428 priority patent/WO2009002037A1/en
Priority to US12/143,946 priority patent/US9083545B2/en
Publication of KR2008011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원 관리 방법은 일정 시간 동안 제어 포인트로부터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액션의 호출 여부를 고려하여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UPnP 디바이스와 제어 포인트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가용 자원을 증가시켜 UPnP 디바이스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UPnP, 연결, 제어 포인트, 액션, 상태 정보

Description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source of UPnP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status of control poin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네트워크에서 UPnP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정보 가전, 무선 통신 장치 및 PC 관련 장치 등 여러 장소에 분산되어 있는 장치 및 서비스 간의 쉽고 편리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탄생하였다. UPnP는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미들웨어들 중 하나로서, 가정이나 작은 사무실과 같이 특별한 관리자가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없이 표준화된 방법으로 쉽게 각종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통신 수단과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가 가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들은 쉽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의 기능과 서비스를 알리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해주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UPnP 네트워크에서 쉽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UPnP 환경 하에서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은 크게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이하에서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라고 한다.)와 이러한 제어 포인트의 제어를 받는 피제어 디바이스(controlled device)(UPnP 디바이스라고도 한다.)로 분류된다. UPnP 네트워크는 TCP/IP 기반의 네트워크이므로 통상적인 TCP/IP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하는데, 어떤 UPnP 디바이스가 최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우선 디바이스의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IP를 할당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어 포인트를 이용하여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발견(discovery)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피제어 디바이스가 발견되었다면 어떠한 서비스가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수행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얻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는 자신의 명세(description)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세를 제어 포인트에 제공한다. 이제, 제어 포인트는 이러한 명세를 참조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적절한 명령어를 전송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control)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액션(action)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액션은 피제어 디바이스로 하여금 액션에 대응하는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어 포인트의 제어를 받는 UPnP 디바이스가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더 이상 제어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음으로 인해 UPnP 디바이스의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UPnP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제어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액션의 호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은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은 소정 시간마다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은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기재된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 제어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된 액션의 호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자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장치는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 된 알림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자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장치는 소정 시간마다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을 호출하고,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액션을 호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장치는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거나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림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와 제어 포인트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네트워크 상에서 더 이상 제어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미들웨어 플랫폼(middleware platform)이 UPnP라는 가정 하에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하의 실시예들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러한 UPnP 이외에도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플랫폼이 적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제어 포인트(100)와 하나의 피제어 디바이스들(200)을 도시하였다. 네트워크(300)는 이러한 제어 포인트(100) 및 피제어 디바이스들(200)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어 포인트(100) 및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UPnP 환경 하에서 구현된다고 가정하면, 네트워크(300)는 UPnP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UPnP 네트워크가 표준적인 TCP/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PnP 환경 하에서 네트워크(300)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포인트(100) 및 피제어 디바이스(200)는 최초로 네트워크(300)에 접속할 때, DHCP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 때, IP 주소를 할당받은 디바이스들(제어 포인트(100) 및 피제어 디바이스들(200))은 모두 DHCP 클라이언트가 된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있는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발견(discovery)하고, 피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한 자세한 명세(description)를 제공받으면,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제어(control)하기 위한 준비가 끝난다. 이 때, 제어 포인트(100)는 피제어 디바이스(200)의 특정 서비스(225)를 실행하는 액션(action)을 호출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UPnP 환경 하에서 이러한 액션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표현되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이라는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네트워크 상(미도시)에 하나의 제어 포인트(100)와 두 개의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또한, 제어 포인트(100)는 TV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5)이 설치된 TV라고 가정하고, 피제어 디바이스 1(210)은 TV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5)이 설치된 TV 리모콘이라고 가정하며, 피제어 디바이스 2(220)는 TV와 관련된 아무런 어플리케이션도 설치되지 않은 휴대전화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 셋(set), 통신 프로토콜(protocol) 내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의미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에 존재하는 하드웨어(hardware)를 제어하기 위한 펌웨어(firmware) 내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UPnP 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프로토콜(DCP, device control protocol)이 사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UPnP 포럼(forum)에서 제공하는 표준 디바이스 제어 프로토콜의 예로는 IGD(Internet Gateway Device), Media Server & Media Renderer, Printer Device & Print Basic Service, HVAC(Heat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ecurity Device 및 WLAN AP 등이 있다.
앞서 설명한 도 2a의 가정 하에서 TV로서 동작하는 제어 포인트(100)와 TV 리모콘으로서 동작하는 피제어 디바이스 1(210)에는 공통적으로 TV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21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제어 디바이스 1(210)은 제어 포인트(100)와 상호작용하며 TV를 켜고, 채널을 전환하는 등 제어 포인트(10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휴대전화로서 동작하는 피제어 디바이스 2(220)에는 TV를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어플리케이션도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 포인트(100)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피제어 디바이스 2(220)가 TV 리모콘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적외선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있고, TV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215)이 설치된다면, 피제어 디바이스 1(210)과 마찬가지로 TV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휴대전화가 TV 리모콘으로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기능이 확장되는 것이다.
한편, 도 2a에서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이 제어 포인트(100)를 제어한다는 점과 원래의 UPnP 환경에서 제어 포인트가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한다는 점 이 상반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제어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TV의 기능을 활용한다는 의미이고, 후자의 제어는 UPnP 환경에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 디바이스를 관리한다는 의미로서 양자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따라서, 도 2a의 제어 포인트(100)는 당연히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의 연결 여부를 관리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와 동일한 환경에서 피제어 디바이스 2(220)에 이미 어플리케이션(215)이 설치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이제, 사용자가 피제어 디바이스 2(220)를 집 안에서 TV 리모콘으로서 사용하던 중, 휴대 전화(피제어 디바이스 2(220)를 의미한다.)를 가지고 외출을 하려고 한다. 사용자가 외출을 하면, 집 안에 구성된 네트워크로부터 피제어 디바이스 2(220)가 분리되게 된다. 이 때, 피제어 디바이스 2(220)의 입장에서는 더 이상 제어 포인트(100)와 상호작용할 수 없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제어 디바이스 2(2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15)은 제어 포인트(100)가 피제어 디바이스 2(220)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제어 포인트(100)가 없다면 피제어 디바이스 2(2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15)을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문제는 피제어 디바이스 2(220)가 제어 포인트(100)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스스로 확인할 수 없다는데 있다. 즉, 피제어 디바이스 2(220)와 제어 포인트(100)가 서로 네트워크 상에서 분리되어 더 이상 상호작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제어 디바이스 2(220)는 여전히 제어 포인트(100)의 액션 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특히,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215)들이 설치된 후에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215)들이 불필요하게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의 메모리를 차지하는 문제점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그 결과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포인트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결이 끊어진 경우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션을 호출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제어 포인트(100)와 하나의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연결된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351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0)는 피제어 디바이스(200)의 상태가 변경되는 액션을 호출한다. 이 액션은 352 단계에서 피제어 디바이스(200)의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이다. 352 단계에서 서비스가 실행되었다면, 353 단계에서 서비스 실행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란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과 대응하는 제어 포인트(100)의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lifecycle)를 관리하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동작 중인지, 동작이 종료되어 대기 중인지, 정지 중인지 등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상에는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제어 포인트(100)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므로, 피제어 디바이스(200) 내에는 이상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들이 다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들을 한데 묶어 정보 맵(infomation map)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 맵에는 관리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맵을 활용하면 353 단계에서 실행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찾아 관련 정보를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제어 포인트(100)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액션을 정의하자. 이 액션은 도 2b에서 설명한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특수한 액션이다.
354 단계에서 피제어 디바이스(200)는 소정 시간(predetermined time)동안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이 호출되는 것을 기다린다. 여기서, 기다린다는 의미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을 의미하고, 소정 시간이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시간으로서, 제어 포인트(100)와 피제어 디바이스(200) 간이 연결이 끊어지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고 간주하는 임계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이 10분이라면 10분 동안 제어 포인트(100)와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서로 통신하지 않더라고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간주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약 15분이 경과하였는데도 여전히 제어 포인트(100)와 피제어 디바이스(200)가 서로 통신하지 않고 있다면 연결이 끊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소정 시간은 일종의 타이머(timer) 역할을 수행한다.
355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0)는 소정 시간 내에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을 호출한다. 이 액션은 제어 포인트(100)의 고유 식별자를 인자(parameter)로 입력받아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명령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액션으로서 "controllerAlive(ContolPoint_ID)"와 같은 형태의 함수가 호출될 수 있으며, 연결이 끊어짐을 확인하는 액션으로서 "controllerDisconnect(ContolPoint_ID)"와 같은 형태의 함수가 호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액션이 XML로 가공되어 SOAP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356 단계에서 피제어 디바이스(200)는 액션에 따라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서비스란 액션의 종류를 고려하여 제어 포인트(100)가 피제어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357 단계에서 이러한 서비스의 실행 결과 제어 포인트(100)가 피제어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었다면, 358 단계에서는 다시 서비스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갱신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인자가 초기화(reset)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앞서 설명한 353 단계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357 단계에서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면, 피제어 디바이스(200)는 359 단계에서 다시 소정 시간동안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이 호출되는 것을 기다린다(역시 모니터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포인트(100)와 피제어 디바이스(200)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한, 이러한 과정은 계속 반복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션을 호출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3의 피제어 디바이스(200)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410 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한다. 이 과정은 도 3의 354 단계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액션 역시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또는 끊어질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의미한다.
420 단계에서 소정 시간 내에 액션이 호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소정 시간 내에 액션이 호출되었고, 이 액션이 연결이 유지됨을 확인하는 액션인 경우 425 단계로 분기하고, 그렇지 않다면 430 단계로 진행한다.
425 단계에서는 서비스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 과정은 도 3의 358 단계에 대응하는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갱신되었다면, 다시 새로운 대기 과정이 시작되므로, 410 단계로 돌아간다. 즉, 다시 소정 시간 동안 액션 호출을 기다리게 된다. 만약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디바이스 간의 연결 이 계속 유지된다면, 410 단계에서 420 단계를 거쳐 425 단계에 이르는 과정이 반복될 것이다.
430 단계는 소정 시간 내에 액션이 호출되지 않거나, 연결이 끊어졌음을 확인하는 액션이 호출된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킨다. 어플리케이션은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내지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킨다는 것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메모리에서 언로드(unload)시켜 캐시(cache)와 같은 임시 저장 공간에 보관하거나, 메모리 상에서의 대기 동작만을 정지시키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즉, 비활성화란 피제어 디바이스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비활성화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물리적인 환경이나 요구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다시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면,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고, 지금 당장은 사용되지 않더라도 조만간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면, 피제어 디바이스의 메인 메모리로부터 임시 저장 공간으로 옮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액션을 호출하여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피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와 제어 포인트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네트워크 상에서 더 이상 제어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제어 포인트(100)와 두 개의 피제어 디바이스(210, 220)가 연결된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도 3에서 특정 피제어 디바이스에 직접 액션을 호출하는 것과는 달리 네트워크 상에 메시지를 멀티캐스트(muticast)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551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 예를 들어,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은 여전히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 때, 제어 포인트(100)는 네트워크에 알림 메시지(advertise message)를 멀티캐스트함으로써 자신의 가용성(availability)을 알릴 수 있다. 제어 포인트(100)가 여전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는 "M-alive"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알림 메시지가 UPnP 환경 하의 "M-search" 메시지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552 단계에서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은 네트워크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연결 여부는 알림 메 시지의 종류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553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358 단계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은 멀티캐스트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포인트(100)의 주소 또는 식별자를 참조하여 제어 포인트(10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역시 정보 맵과 같은 형태로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554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100)는 다시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 551 단계와 유사하게,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어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기 위해서는 "M-disconnect"와 같은 형태의 메시지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알림 메시지 역시 UPnP 환경 하의 "M-search" 메시지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555 단계에서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은 다시 네트워크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556 단계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5의 피제어 디바이스들(210, 220)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610 단계에서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알림 메시지는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한 메시지이다. 620 단계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만약 알림 메시지가 제어 포인트의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메시지라면 6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625 단계로 분기한다.
625 단계에서는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 과정은 도 5의 553 단계에 대응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갱신되었다면, 필요에 따라 새로운 대기 과정이 시작하기 위해, 610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도 4와 유사하게 제어 포인트와 피제어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계속 유지되는 한, 610 단계에서 620 단계를 거쳐 625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
630 단계는 알림 메시지가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메시지인 경우에 수행되므로,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한다. 이 과정은 도 4의 430 과정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림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와 제어 포인트 간의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네트워크 상에서 더 이상 제어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포인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피제어 디바이스(200) 자체 또는 피제어 디바이스(200)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를 예시한 블럭도로서, 통신부(210), 제어부(220), 판단부(230), 자원 관리부(240), 정보 맵(250) 및 버스(BUS)(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30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어 포인트(미도시)로부터 제어 포인트(미도시)의 연결을 확인하는 명령 메시지(액션 호출을 의미한다.)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로(300)부터 제어 포인트(미도시)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UPnP 환경 하에서 네트워크는 TCP/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통신부(210)는 통상적인 TCP/IP 통신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UPnP의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발견(discovery)를 위해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고, 이벤트(event) 실행을 위해 GENA(Generic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어(control)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통상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액션이 호출되는 것을 기다리거나 소정 시간 경과시 연결이 끊어졌다고 간주하는 등, 제어 포인트(미도시)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액션 호출에 따라 대응하는 서비스(225)를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피제어 디바이스(200)의 CPU 또는 논리 회로와 같은 연산 수단 등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판단부(230)는 소정 시간 내에 액션이 호출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제어 포인트(미도시)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자원 관리부(240)는 이상의 판단 결과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면 제어부(220)로 하여금 다시 소정 시간 동안 액션이 호출되는 것을 기다리게 하고, 연결이 끊어졌다면 제어 포인트(미도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킨다. 이 때, 정보 맵(250)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장치(제어 포인트(100) 자체 또는 제어 포인트(100)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를 예시한 블럭도로서,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시지 생성부(130) 및 버스(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피제어 디바이스(미도시)에 제어 포인트(100)의 연결을 확인하는 명령 메시지(액션을 의미한다.)를 전송하거나,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네트워크(300)에 멀티캐스트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제어 포인트(100)가 여전히 네트워크(300)에 연결되어 있다면 다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어 포인트(100)가 네트워크(300)로부터 분리되려 한다면 분리 전에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7의 통신부(210)와 유사하게 도 8의 통신부(110) 역시 TCP/IP, SSDP, GENA 및 SOAP과 같은 UPnP의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통상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 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소정 시간마다 통신부(110)를 통해 명령 메시지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제어한다. 제어부(120) 역시 제어 포인트(100)의 CPU 또는 논리 회로와 같은 연산 수단 등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메시지 생성부(130)는 이상의 명령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130)는 소형 프로세서 또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포인트(100)의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메시지를 생성, 가공할 수 있을 정도의 처리 능력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되는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션을 호출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션을 호출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를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장치를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제어 포인트
200, 210, 220: 피제어 디바이스
300: 네트워크

Claims (18)

  1. 소정 시간 동안 제어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액션의 호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임시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어 포인트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액션의 호출이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다시 상기 액션의 호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어 포인트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액션의 호출이 수신되지 않았거나,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액션의 호출이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이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규격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알림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가용 자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임시 저장 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연결이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 및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는 UPnP 규격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자원 관리 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소정 시간마다 피제어 디바이스에 제어 포인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 포인트는 UPnP 규격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
  15. 제 13 항 내지 제 14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어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multicast)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연결이 유지될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이 끊어짐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에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UPnP 규격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포인트의 연결 알림 방법.
  18. 제 16 항 내지 제 17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80017411A 2007-06-22 2008-02-26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80103922.8A CN101785245B (zh) 2007-06-22 2008-06-18 根据控制点的连接状态管理通用即插即用设备的资源的方法和装置
EP08766389.4A EP2160865B1 (en) 2007-06-22 2008-06-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of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us of a control point
PCT/KR2008/003428 WO2009002037A1 (en) 2007-06-22 2008-06-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of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us of a control point
US12/143,946 US9083545B2 (en) 2007-06-22 2008-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of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us of a control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570207P 2007-06-22 2007-06-22
US60/945,702 2007-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919A true KR20080112919A (ko) 2008-12-26
KR101486771B1 KR101486771B1 (ko) 2015-01-29

Family

ID=4037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7411A KR101486771B1 (ko) 2007-06-22 2008-02-26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3545B2 (ko)
EP (1) EP2160865B1 (ko)
KR (1) KR101486771B1 (ko)
CN (1) CN101785245B (ko)
WO (1) WO2009002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50B1 (ko) * 2010-04-14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의 기능 제어 방법
WO2012007665A1 (fr) 2010-07-15 2012-01-19 France Telecom Détection d'un module de contrôle upnp
CN103098434B (zh) * 2010-09-16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管理通用即插即用家庭网络中的控制设备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7917A2 (en) * 2001-01-22 2002-07-25 Sun Microsystems, Inc. Peer-to-peer network computing platform
JP3661935B2 (ja) * 2001-06-20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299304B2 (en) * 2001-11-20 2007-11-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rchitecture to support interaction between a host computer and remote devices
AU2003242113A1 (en) * 2002-05-17 2003-12-02 Legend (Beijing) Limited A method to realize dynamic networking and resource sharing among equipments
US6867965B2 (en) * 2002-06-10 2005-03-15 Soon Huat Khoo Compound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 coupled over a wireless link
DE10250102A1 (de) * 2002-10-28 2004-07-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eingerichteten logischen Verbindungen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station
KR20050085254A (ko) * 2002-12-04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구성 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 식별자를 사용하는 방법
KR100493898B1 (ko) * 2003-04-16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제어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시스템 및 방법
US20050108331A1 (en) * 2003-10-31 2005-05-19 Osterman Lawrence W. Presence tracking for datagram based protocols with search
US20060031888A1 (en) * 2004-04-30 2006-02-09 Sparrell Carlton J Centralized resource management and un-managed device support
US20050240699A1 (en) * 2004-03-31 2005-10-27 Yoder Michael E Safe process deactivation
KR100678179B1 (ko) * 2004-05-1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절된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584429B1 (ko) * 2004-11-0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보안 모니터링 방법
KR100677618B1 (ko) * 2005-10-1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피제어장치의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986685B2 (en) * 2005-11-08 2011-07-26 Avaya Inc. Real-time XML messaging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2037A1 (en) 2008-12-31
EP2160865A4 (en) 2012-03-07
EP2160865A1 (en) 2010-03-10
KR101486771B1 (ko) 2015-01-29
EP2160865B1 (en) 2017-08-09
US20080320177A1 (en) 2008-12-25
CN101785245A (zh) 2010-07-21
CN101785245B (zh) 2017-04-12
US9083545B2 (en)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8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 connection
US9693252B1 (en) Detecting device presence for a layer 3 connection using layer 2 discovery information
US8392531B2 (en) Unified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7805493B2 (en) Network service system, service proxy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program therefor
KR100493895B1 (ko) 협업 서비스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US9258137B2 (en) Bridge apparatus and bridge system with a virtual device for protocol conversion
KR101495536B1 (ko) 동적으로 변경되는 UPnP 명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642020B2 (ja) 通信装置
JP2007020186A (ja) 通信装置の電力管理モードによってネットワ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を作動させ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80105975A (ko)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는방법 및 장치
KR101139836B1 (ko) 웹 서비스 기반 관리 서비스를 발견하기 위한 2단계 방식의방법 및 시스템
KR101486771B1 (ko) 제어 포인트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UPnP 디바이스의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3676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ased cloud access method and system
KR100708203B1 (ko) 디바이스의 제어 허용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바이스
CN102025576A (zh) 一种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52481B1 (ko) 무선중계기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JP4102344B2 (ja) 通信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6004378A1 (en) Event interfacing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applications and a library of a master on home network
KR100702750B1 (ko) 저전력 기능 지원 기기와 비지원 기기의 네트워크상의혼재에 의한 액션오류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065649B (zh) 业务报文转发方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118307B1 (ja)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55134A (ko) 망관리 정보를 이용한 바이바이 메시지의 대체 전송 장치,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33110A (ja) 中継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5913870A (zh) 一种动态nc的选举方法
KR20040055455A (ko) 다중 컨트롤 포인트의 동일 디바이스 제어 방지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