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865A -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 Google Patents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865A
KR20080112865A KR1020070061852A KR20070061852A KR20080112865A KR 20080112865 A KR20080112865 A KR 20080112865A KR 1020070061852 A KR1020070061852 A KR 1020070061852A KR 20070061852 A KR20070061852 A KR 20070061852A KR 20080112865 A KR20080112865 A KR 2008011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traw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674B1 (ko
Inventor
선길섭
Original Assignee
선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길섭 filed Critical 선길섭
Priority to KR102007006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7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빨대를 삽입하고, 고정하여 손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에 관한 것으로,
컵의 하부와 상부를 연결시키는 나선형 빨대 삽입홈 또는 관이 컵 자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또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빨대에 의해 컵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 빨대, 나선형, 삽입홈.

Description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The cup with the means to insert a straw}
도 1a 내지 도 2b는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 3a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 (나)의 정면도.
도 3c는 도 3a (나)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빨대를 구비하지 않고 손쉽게 음료를 음용(飮用)할 수 있도록 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흔들리는 차안에서 혹은 걸으면서 컵에 직접 입을 대고 음료를 마실 경우, 음료가 요동하므로 흘리기 쉽다. 또한 탄산음료나 커피 녹차 등은 사용자가 컵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실 때 치아의 색소 침착이나 충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서 흔히 빨대를 사용한다.
그런데 컵과 빨대는 보통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컵에 담긴 음료를 마 실 때 마다 별도로 보관되어 있는 빨대를 찾아서 이용하여야 하며, 이는 빨대 사용 시 가장 큰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빨대가 부착된 다양한 컵이 고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도 1a에 도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1988-2495호 및 도 2a에 도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4-0029691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빨대를 컵 내주면에 수직으로 부착시킨 것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빨대(S)를 컵(C)의 내주면에 그대로 부착시킨 형태이며,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컵(C)의 내주면에 빨대(S)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10)를 설치한 후 이를 이용하여 빨대를 고정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빨대나 홀더를 컵 내주면에 부착시킬 때 통상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접착제가 액체인 음료와 접하면 녹아들어가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음료의 맛을 변질 시킬 수 있으므로 실용화가 하기 곤란하다.
또 컵에 차가운 음료를 담는 경우 컵 안쪽과 바깥쪽 온도의 차이로 컵의 외주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기가 생기게 되고, 이 물기 때문에 손에서 컵이 미끄러져 빠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4-0029691호의 경우 사출성형으로 홀더를 컵의 내주면에 일체로 제조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컵 내주면에 부착되는 홀더의 형상이 복잡하여 컵과 일체로 제조되는 사출금형을 설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출금형의 설계 제작비 또한 과도하게 상승하여 역시 실용화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도2a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가 컵(C)의 바닥에서 상부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설치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0-0001743호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구성을 설명하면, 도 2a의 종래기술은 컵(C)의 바닥 부근에 컵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삽입부(16)를 형성하고, 빨대(S)를 한 쪽 끝을 삽입부에 삽입한 후 빨대의 몸통 부분을 컵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아 올려 빨대(S)의 다른 쪽 끝을 컵 위로 뽑아 올린 형태이다.
또한 도 2b의 종래기술은 도 2a의 종래기술과 유사하나, 컵(C)의 내부 바닥 면에 빨대(S)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16)가 형성하고, 컵의 내주면을 따라 빨대의 몸통을 나선형으로 감아올린 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빨대의 한 쪽 끝이 삽입부에 삽입된 후 삽입부와 빨대 접촉부위에서 음료가 누출되지 않게 하려면 삽입부와 빨대가 탄력적으로 꼭 끼워지도록 합성수지류 등의 탄성재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재료들은 컵에 담겨진 음료와 접촉하면 인체에 좋지 않은 물질이 녹아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2a와 도 2b의 종래기술은 삽입부에 삽입된 빨대의 말단 부분만 고 정이 되고 컵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나선형으로 감고 있는 빨대 몸통부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두 종래기술의 컵에 있어서, 컵 외주면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기가 발생하는 경우 컵을 잡고 있는 손이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살펴본다.
우선 도 2b의 종래기술은 컵 외주면에 손의 미끄러짐을 억지할 아무런 수단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a 및 2b와 같이 컵의 외주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기가 생기는 경우 손에서 컵이 미끄러져 빠지는 문제가 상존한다.
한편 도 2a의 종래기술은 컵의 외주면을 빨대가 나선형으로 감고 있기 때문에 일견 컵의 외주면에 수증기가 응결되더라도 빨대가 손에 걸려 컵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이나, 빨대가 컵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컵이 손에서 미끄러질 때 빨대도 함께 미끄러지면서 펴지므로, 이 경우 역시 손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다.
또한 도 2a와 도 2b의 종래기술은 컵 하단부에 삽입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사출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컵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삽입부의 형상이 복잡하여 컵과 일체로 제조되는 사출금형 자체를 설계하기 어렵고, 사출금형의 설계 제작비 또한 과도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컵 삽입부를 사출성형이 아닌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접착제가 컵 내부에 사용되어야 하고, 이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컵의 내주면에 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임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보조구나 접착제 사용 없이 컵에 빨대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컵과 빨대를 결합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컵을 파지(把持)할 수 있는 구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빨대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빨대 삽입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컵 자체에 빨대 역할을 하는 구성이 형성된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의 내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컵(C)과 빨대(S)로 구성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의 첫 번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는 컵(C) 내주면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00)으로 이루어진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이다.
도 3c는 도 3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컵(C)에 형성된 삽입홈(100)의 단면은 홈의 양끝은 모아진 'C'자 형태로 형성되며, 빨대 단면 최대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3c의 원형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태의 삽입홈(100)의 열려진 양끝 부분 사이의 간격(D)은 빨대의 직경(E)보다 작게 형성하여, 홈에 삽입된 빨대가 C 형태의 삽입홈의 열려진 양끝 부분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접착제나 별도의 홀더 없이도 용이하게 빨대를 컵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만약 빨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니라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삽입홈도 빨대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형성하며, 삽입홈의 열려진 양끝 부분 간격을 빨대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빨대의 최소직경 보다 작게 형성한다.
즉 만일 빨대의 단면이 정사각형이라면, 이빨대의 최대직경은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 길이가 되지만, 최소직경은 한 변의 길이가 될 것이다. 다른 형상의 빨대 단면도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최소직경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진 삽입홈(100)은 컵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컵 외주면에는 자연스럽게 나선형 돌출부(150)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돌출부(150)는 사용자의 컵을 파지(把持)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돌출부(150)가 걸려, 사용자가 컵을 안정적으로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가운 음료가 컵에 담긴 경우, 컵 안의 온도와 외부 온도의 차이로 컵의 외부에 수증기의 응결이 발생함으로써 물기로 인해 손에서 컵이 미끄러져도 상기 돌출부(150)에 손가락에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컵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의 상단부 삽입홈이 끝나는 지점에는 컵 내부의 빨대를 외부로 인출시키고, 고정시키는 인출부(B)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B)는 빨대를 바깥쪽으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빨대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관통공 형태이거나 홈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B)를 통해 인출된 빨대의 상단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500)이 인출부 아래쪽 외주면에 형성한다.
상기 고정홈(500)은 컵의 외주면을 빨대의 형상에 맞추어 안쪽으로 밀어 눌러 움푹 들어간 형태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 지며, 너비를 빨대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길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가 안착되었을 때 빨대의 끝부분보다 손가락 끝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 T만큼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빨대를 고정홈에 안착시키기 용이하고, 빨대를 고정홈에서 빼낼 때도 간격 T에 손가락을 끼워 넣어 가볍게 당기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B)는 컵 내부 하단에 삽입홈(100)이 시작되는 부분과 대체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컵을 상단부분을 사용자를 향해 기울이게 되는데 컵이 기울어짐에 따라 빨대의 끝부분이 컵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음료를 남김없이 마실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빨대(S)는 곡선으로 휘기 쉬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컵의 나선형 삽입홈을 따라 컵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밀어 넣기가 용이하여 진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삽입홈은 컵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데, 도3a 및 도3c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는 나선이 컵을 1바퀴 감도록 형성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2바퀴 이상 감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 감는 횟수는 항상 정수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나선 감는 회수를 정수배로 할 때, 자연스럽게 인출부(B)와 컵 내부 하단에 삽입홈(100)이 시작되는 부분이 대체로 수직선상에 위치되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감는 횟수가 늘어나면 빨대를 컵의 상단 삽입홈에서 하단 쪽으로 밀어 넣어 삽입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반면에 나선형 돌출부(150)의 줄 수가 늘어나 손가락에 걸리기 쉬워지므로 물기로 인해 손에서 컵이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 효과는 증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컵(C)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사이에 관(300)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통로로 빨대 삽입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관(300)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성하였지만 관의 단면 형태는 구애받지 않고, 다른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관의 일부는 컵 외부에 돌출하여 돌출부(250)를 이루는데, 상기 돌출부(250)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컵을 파지할 때 손가락 사이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300)이 끝나는 컵의 상단부에는 빨대(S)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20)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삽입구멍(320)의 바로 앞에는 빨대를 외부로 인출시키고, 고정시키는 인출부(B)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B)는 빨대를 바깥쪽으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빨대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는 홈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B)의 아래쪽으로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홈(500)을 형성하며, 인출부(B)를 컵 내부 하단에 관(300)이 시작되는 부분과 대체 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 역시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빨대(S)가 매우 짧게 구성된다. 따라서 두 번째 실시예의 빨대는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컵 내부 하단에 관(300)이 시작되는 곳까지 삽입하지 않고 삽입구멍(320)의 입구부분에만 짧게 삽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두 번째 실시예에서 빨대가 관(300)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되는 것이 아니므로,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관(300)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통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될 때 나선이 컵을 여러 바퀴 감아도 삽입이 곤란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컵 자체가 빨대 역할을 하므로 컵의 하단까지 빨대를 삽입하지 않고, 컵의 상단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컵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는 컵(C) 내주면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삽입홈(100)이 형성되되, 삽입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첫 번째 실시예의 달리 대체로 수직으로 구성된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이다.
상기 삽입홈(100)의 단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홈의 양끝 간격이 모아진 'C'자 형태로 홈의 양끝 간격(D)은 빨대의 직경(E)보다 작게 형성하여, 빨대가 삽 입홈의 열려진 양끝 부분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단면의 삽입홈(100)이 컵 내주면에 직선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컵 외주면에는 자연스럽게 직선형 돌출부(150)이 형성된다.
상기 직선형 돌출부(150)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걸려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컵을 파지하는 첫 번째 실시예의 나선형 돌출부(150)보다 안정적이지 못하지만,빨대를 삽입홈 (100)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상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컵의 상단부 삽입홈이 끝나는 지점에는 컵 내부에 삽입된 빨대를 외부로 인출시키고 고정시키는 인출부(B)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B)는 빨대를 외부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빨대 직경보다 큰 너비를 관통공 형태이거나 홈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홈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세 번째 실시예의 삽입홈(100)이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의 상단으로 빨대가 돌출하지 않고, 빨대의 외부 인출이 용이하도록 돌출부(150)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B)의 아래쪽으로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홈(500)을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직선형태의 삽입홈(100)이 형성된 컵을 사용할 경우, 나선형의 삽입홈에 빨대를 삽입 시, 빨대의 재질 곡선으로 휘기 쉬운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비해 빨대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첫째, 컵의 내주면에 빨대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인체에 유해한 별도의 접착제의 사용 없이 빨대를 컵에 삽입,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고, 빨대 교체가 자유롭고, 컵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손쉽게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컵 내주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컵 외부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출부를 통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컵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빨대를 고정시키기 용이한 'C자'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받더라도 빨대가 컵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컵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관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통로가 형성되어 컵 자체가 빨대 역할을 하여, 컵 하단까지 빨대 삽입이 없이 컵의 상단에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컵(S)의 내주면에 컵의 하부와 상부를 연결시키는 빨대 삽입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00)에 의해 컵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삽입홈(100)은 컵 내주면에 컵의 하부와 상부를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00)의 단면에서 열려진 양끝 부분 간격이 빨대의 최소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4. 컵(C)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관(300) 형태를 이루는 나선형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관(300)이 끝나는 컵의 상단부에는 빨대(S)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20)이 형성되며,
    상기 관(300)에 의해 컵의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빨대 삽입 수단에 삽입된 빨대의 노출된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0)이 상기 빨대의 노출된 상단부가 수직 하방으로 꺽여 놓이는 컵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500)은 컵의 외주면을 빨대의 형상에 맞추어 안쪽으로 밀어 눌러 움푹 들어간 형태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빨대가 안착되었을 때 빨대의 끝부분보다 손가락 끝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 T만큼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KR1020070061852A 2007-06-22 2007-06-22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KR10090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52A KR100903674B1 (ko) 2007-06-22 2007-06-22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852A KR100903674B1 (ko) 2007-06-22 2007-06-22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865A true KR20080112865A (ko) 2008-12-26
KR100903674B1 KR100903674B1 (ko) 2009-06-18

Family

ID=4037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852A KR100903674B1 (ko) 2007-06-22 2007-06-22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4084A (zh) * 2016-11-09 2017-09-19 李欣 瓷杯壁附设可折吸管的老幼适用瓷杯
CN115316832A (zh) * 2022-08-02 2022-11-11 安庆市芊芊纸业有限公司 一种pe纸杯杯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72Y1 (ko) * 1994-07-27 1997-02-06 김인흡 빨대를 구비한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4084A (zh) * 2016-11-09 2017-09-19 李欣 瓷杯壁附设可折吸管的老幼适用瓷杯
CN115316832A (zh) * 2022-08-02 2022-11-11 安庆市芊芊纸业有限公司 一种pe纸杯杯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674B1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173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KR100903674B1 (ko) 빨대 삽입 수단이 형성된 컵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10758098B2 (en) Toilet hook
KR101243076B1 (ko) 종이컵 홀더
KR102289413B1 (ko) 이중 구조의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KR200487070Y1 (ko) 결로수 고임부가 구비된 테이크아웃컵
KR200404017Y1 (ko) 티끈 꽂이 컵
KR20140132067A (ko)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KR20120002732U (ko) 빨대
KR101003803B1 (ko) 일회용 컵 홀더
KR20080010469A (ko) 티백 컵
ES2388451T3 (es) Barril
KR102544430B1 (ko) 컵 홀더
KR200436714Y1 (ko) 패트병 홀더
KR102256573B1 (ko) 티백용 텀블러
KR20110006941A (ko) 티막대를 구비한 일회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550B1 (ko) 티스틱을 구비한 종이컵
KR200353908Y1 (ko) 종이컵 인출기
KR950007579Y1 (ko) 음료 또는 우유통 콘식 빨대
KR100863462B1 (ko) 수납식 티샤프트 고정핀을 갖는 골프티
CN108720488B (zh) 杯盖及附茶包的杯盖
CN208086358U (zh) 一种多功能环保零食包装盒
JP3064432U (ja) 飲料容器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