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810A - 지하수여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여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810A
KR20080111810A KR1020070060219A KR20070060219A KR20080111810A KR 20080111810 A KR20080111810 A KR 20080111810A KR 1020070060219 A KR1020070060219 A KR 1020070060219A KR 20070060219 A KR20070060219 A KR 20070060219A KR 20080111810 A KR20080111810 A KR 20080111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filter
discharge
impurities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450B1 (ko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식 filed Critical 신광식
Priority to KR102007006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5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와 상기 지하수인입부의 불순물집수관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를 형성하고,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하수여과부의 상부 끼움테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를 장착시켜 주며, 필터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수되는 지하수배출부를 형성시켜주되, 상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여과부를 지하수배출부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를 결합한 다음 장착수단에 의해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지하수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중앙에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거나 또는 중심에서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주며, 특히 상기의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배출관을 형성시켜준 경우에는 지하수의 상승압을 좀더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불순물집수관의 측면에 불순물배출관을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되, 상기 불순물집수관의 하부에 경사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의 가장 낮은 측면의 일측에 불순물배출관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내부를 청소시 용이하게 불순물을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의 외면에 각각 매미고리와 걸림턱으로 형성된 장착수단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결합/해제가 가능토록 하였다.
Figure P1020070060219
지하수여과처리장치. 인입관. 불순물배출관. 불순물집수관. 혼합물. 지하수.

Description

지하수여과처리장치{A Filter}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와 결합정면도 및 결합횡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에서 지하수인입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횡단면도 및 저면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에서 개폐캡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에서 패킹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에서 지하수여과부의 필터프레임 및 필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에서 지하수배출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및 평면도.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하수여과처리장치 10: 지하수인입부 11: 불순물집수관
12: 결합관 13: 인입관 14: 경사플레이트
15: 십자지지편 16: 고정장착틀 16-1,17-1: 장착공
17: 매미고리 17-2: 클립 17-3: 걸고리
18: 스크류 20: 불순물배출관 21: 개폐캡
22:‘ㄱ’자홈 23: 오픈홈 24: 로킹홈
25: 안치홈 26:‘O’링 27: 불순물배출관
28: 돌편 30: 패킹 31: 내테
32: 외테 33: 장착홈 40: 지하수여과부
41: 필터프레임 42: 확대관 43: 끼움테
44: 경계테 45: 지지대 46: 수평지지대
47: 수직지지대 48: 바닥플레이트 49: 필터
49-1: 미세공 49-2: 요홈 50: 지하수배출부
51: 커버 52: 내측테 53: 플랜지
54: 배출관 55: 고정편 56: 걸림턱
57: 지지편 58: 단턱 59: 핸드밴드
본 발명은 펌프로부터 양정된 지하수 및 이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장치로 유입시켜 지하수는 배출하고 불순물은 걸러 따로 배출시키도록 된 지하수여과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와 상기 지하수인입부의 불순물집수관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를 형성하고,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하수여과부의 상부 끼움테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를 장착시켜 주며, 필터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수되는 지하수배출부를 형성시켜주되, 상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여과부를 지하수배출부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를 결합한 다음 장착수단에 의해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된 지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밭작물이나 비닐하우스에 물을 공급해 주는 경우 지하수 또는 저수지의 물을 이용하게 되는데 저수지 물의 경우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작물지역까지 이송시켜 물을 공급시켜 주게 되면 내부에 물 이외에도 토사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밭작물에 그대로 묻어나게 되거나 또는 지하수 역시 지하수와 불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작물에 그대로 뿌려주게 되어 잎이나 과실의 외면에 그래도 불순물(즉, 토사 등)이 뭍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공보 제78-700호“관내불순물여과장치”,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6153호“상향류식 동시 역세정 모래여과장치”,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8929호 “관수용 모 래여과장치”,공개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33698호“양수기용 모래여과장치”,등록실용신안 제20-260771호“지하수 모래여과기”등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의 국내의 실용신안공보 제78-700호“관내불순물여과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수도 관로에 제착된 동테내의 동환대에 원뿔형상의 여과망을 장착하여 물과 함께 우입된 자갈 또는 모래 및 노후관의 불순물이 물과 함께 여과망 주위를 와류하게 되므로 원심분리에 의해 확산 분포되어 여과망에 붙지 않고 동체의 저부에 침전되게 하여 물의 통과를 원활케 함과 동시에 여과망의 수명을 길게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고안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체결된 볼트를 전부 해제하여 내부를 청소하여야 한다는 점과 또한 내부의 투과망으로 형성되어 모래나 조약돌과 같이 큰 물체들이 반복적으로 충돌이 일어나면 쉽게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6153호“상향류식 동시 역세정 모래여과장치”를 간단히 설명하면, 모래 및 지하수를 장입하여 저장할 수 있는 본체의 중앙에는 공기이송펌프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이송펌프를 통해 모래를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승된 모래는 자유낙하여 재차 중앙으로 집결되며 상단에 형성된 배출관에 의해 지하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고안은 중앙으로 집결된 모래가 하단에 계속 쌓이면서 상부로 집수되는 지하수와 함께 위로 부력되면서 같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8929호 “관수용 모래여과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 면, 지하수펌프나 양수기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닛뿔로 연결 원뿔로 된 판을 통과하면서 물은 자동분산된다. 분산된 물속에 섞인 모래알은 모래여과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모래까지 완전 여과된다. 상기의 유입된 지하수는 고운망에 의해 모래알은 낙하되어 PVC의 원통에 쌓이게 되므로 물이 흐르는 면에 방해를 주지않는다.
하지만 상기의 고안은 원통으로 된 바닥에 모래가 쌓이게 되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는게 어렵고 또한 배출을 하려면 우측면에 설치된 볼트체결을 풀어서 해야 하므로 그 이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의 공개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33698호“양수기용 모래여과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통형 몸통의 상단 개구부의 여과통고정T축을 하방으로 용접한 상부에는 토출구를 형성한 상부캡을 구비한 상기 여과통고정T축의 하단이 차량용에어여과통의 요홈부에 끼워나온 축에 와셔와 나비너트로 조립한 몸통의 하단 외연에 흡수구를 형성하며, 그 외연에 플랜지를 형성해 모래배출호퍼패킹을 끼운 후, 중앙과 외연에 수 개의 모래배출공이 형성된 이중호퍼를 조립한 체 하단꼭지에 볼밸브와 볼밸브핸들을 부착한 모래배출호퍼를 볼트로 조립하고, 몸통하부 외연에 3개의 거치다리를 용접형성시켜 준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몸통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에어여과통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차지하는 부피에 비해 물을 인입하여 배출하는 양이 넘 적을 뿐만아니라 또한 상단의 배출구로 여과되어 나가야 할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물을 단시간에 배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260771호“지하수 모래여과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 방 3곳에 다리와 중앙하단에 드레인밸브를 부착한 중공 원반형 모래받이통의 상단중앙에 하단이 원뿔호퍼형상이며 상측단에 원주방향으로 흡입관를 형성한 주몸통 내부의 호퍼형성부까지 통고정한 목부에 T타입으로 형성한 여과몸통의 내부에 여고통체결숫소켓관이 형성된 여과통이 상기 여과몸통 마구리 중앙에 마련된 토출관과 일체로 형성되며, 인입된 토출관의 관외경에 여과통암체결소켓이 형성된 여과통을 내장한 여과몸통의 일측 상단 외연에는 압력밸브를 다른 일측의 오픈된 마구리 외연에 형성한 돌출테두리부에 패킹을 끼워 뚜껑을 반원형 클램프로 조여 고정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고안은 주 몸통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모래는 비중이 무거운 모래는 가라앉을 수도 있지만 역으로 이야기하면 비중이 가벼운 모래는 물과함께 뜨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하여 필터의 외연을 모래 알갱이들이 막게 되며, 또한 이러한 모래알갱이를 청소하기 위하여 흐르고 있는 물을 중단해야하는 2중의 폐해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지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와 상기 지하수인입부의 불순물집수관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를 형성하고, 인입 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하수여과부의 상부 끼움테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를 장착시켜 주며, 필터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수되는 지하수배출부를 형성시켜주되, 상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여과부를 지하수배출부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를 결합한 다음 장착수단에 의해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된 지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수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중앙에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거나 또는 중심에서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주며, 특히 상기의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배출관을 형성시켜준 경우에는 지하수의 상승압을 좀더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순물집수관의 측면에 불순물배출관을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되, 상기 불순물집수관의 하부에 경사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의 가장 낮은 측면의 일측에 불순물배출관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내부를 청소시 용이하게 불순물을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의 외면에 각각 매미고리와 걸림턱으로 형성된 장착수단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하수여과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주고 지하수만을 통과시켜 배출하는 통상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10);
상기 지하수인입부(10)의 불순물집수관(13)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20);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49)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40);
상기 지하수여과부(40)의 상부 끼움테(43)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30);
필터(49)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출되는 지하수배출부(50);
지하수여과부(40)를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10)와 지하수배출부(50)를 장착수단에 의해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의 분해사시도와 결합정면도 및 결합횡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서 지하수인입부(10)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횡단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0)에서 개폐캡(21)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서 패킹(30)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서 지하수여과부(40)의 필터프레임(41) 및 필터(49)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에서 지하수배출부(50)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는 지하수 및 모래가 섞여 있는 혼합물(이하,‘혼합물’로 칭함)을 필터(49)을 통해 혼합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만을 통과시켜 배출하는 것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펌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양정되어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포함된 혼합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10)를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지하수인입부(10)의 외주 일면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필터(49)를 통해 걸러져 수직낙하한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불순물 배출구(20)를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이하,‘혼합물’)을 필터(49)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40)를 형성시켜 주었다.
특히 상기 지하수여과부(40)의 상부 끼움테(43)에는 패킹(30)을 장착시켜 주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필터(49)를 통과한 지하수는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수되는 지하수배출부(50)를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지하수인입부(10)와 지하수여과부(40)를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10)와 지하수배출부(50)를 결합한 다음 장착수단에 의해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지하수인입부(1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중공관으로 형성된 불순물집수관(11)의 하부에는 경사플레이트(14)를 형성시켜주었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4)의 저면에는 경사플레이트(14)의 경사면과 같게 십자지지편(15)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으며, 또한 상기 불순물집수관(11)의 상면에는 결합관(12)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 불순물집수관(11)과 결합관(12) 및 경사플레이트(14)의 중앙에는 지하수와 불순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통과되는 인입관(13)를 연통지게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결합관(12)의 외주면에는 장착공(16-1)이 상·하로 형성된 고리장착틀(16)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불순물집수관(11)의 외주면에는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부(20)을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의 고리장착틀(16)에는 장착수단으로 사용되는 매미고리(17)의 내측에 형성된 장착공(17-1)을 공리장착틀(16)에 형성된 자착공(16-1)에 연접시켜 주고 스크류(18)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주었다.
상기에서 불순물집수관(11)에 수집된 토사물을 배출하는 불순물배출부(20)는 도1a 및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형성하였다.
불순물집수관(11)의 외주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돌편(28)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불순물배출관(27)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불순물배출관(27)에서 토출되는 불순물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캡(21)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개폐캡(21)의 외면에는 오픈홈(23)과 로킹홈(24)이 형성된‘ㄱ’자홈(22)을 서로 대응되게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개폐캡(21)의 내부에는 O링(26)을 안치할 수 있도록 안치홈(25)을 형성시켜 주었다.
특히 상기의 0링(26)은 탄성체이며 기밀작용을 시켜 주는 것으로 개폐캡(21)을 불순물배출관(27)의 끝단에 밀착하면서 로킹시켜주어 불순물배출관(27)의 토사물질 및 지하수가 외부로 인출 또는 흐르는 것을 방지시켜 주며, 또한 개폐캡(21)에 의해 내압이 일정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준다.
상기에서 혼합물은 걸러주고 수직낙하시키고 지하수는 필터(49)의 미세공(49-1)을 통해 지하수배출부(50)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하수여과부(40)는 필터프레임(41)과 필터(49)를 결합한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의 필터프레임(41)은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원형테의 수평지지대(46)와 수직하게 굴대로 외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47)를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게 하여 지지대(45)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지지대(45)의 저면에는 바닥플레이트(48)를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기 지지대(45)의 상단에는 상광하협의 확대관(42)을 형성시켜 주되, 확대관(42)의 상단과 외면에는 각각 경계테(44)와 끼움테(43)를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다.
특히 상기 확대관(42)의 내측에는 일면에는 걸림턱(42-1)를 일체로 형성시켜주었으며, 이는 추후에 설명될 필터(49)의 장착요홈(49-2)을 억류시켜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41)의 내부에는 외면에 미세공(49-1)이 동시다발적으로 타공된 필터(49)를 둥글게 말아 필터프레임(41)의 내부에 장전시켜주고, 상기 필터(49)의 선단 외면에 형성된 장착요홈(49-2)을 필터프레임(41)의 걸림턱(42-1)의 하단에 위치시켜 필터(49)의 밴딩된 상태가 원상회복하려는 힘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필터(49)의 미세공(49-1)을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배출되는 지하수배출부(5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의 지하수여과부(40)가 내부에 장전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51)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커버(51)의 하부 내주면에는 등 각으로 단턱(58)이 형성된 지지편(57)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고, 상기 커버(51)의 저면에는 배출관(54)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으며, 상부에는 플랜지(53)와 내측테(52)를 각각 일체로 형성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커버(51)의 상단 외주면에는 소정의 각으로 걸림홈(56)이 형성된 고정편(55)를 일체로 형성시켜주되, 이는 상기의 장착수단으로 사용되는 매미고리(17)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매미고리(17)에 형성된 걸고리(17-3)를 고정편(55)의 걸림홈(56)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의 커버(51)의 상면에 배출관(54)을 내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배출관(54)을 상면의 중심에서 편향되도록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하여 지하수의 상승압을 좀더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여과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펌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양정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지하수는 비닐하우스의 밭작물 또는 원예농가의 꽃에 수분을 보충해주는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의 물을 양정할 수 있도록 펌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다음, 분출되는 지하수를 이동할 수 있는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연결시켜 주고, 상기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지하수여과장치(1)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관(13)에 삽입시켜 준다.
상기의 지하수여과장치(1)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는 필터프레임(41)과 상기 필터프레임(41)의 내부에 원형으로 말아 장전하고, 복수의 외면에 미세공(49-1)이 형성된 필터(49)를 장입하여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지하수여과부(40)를 내부에 인입시켜 주며, 상기의 필터프레임(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확대관(42)의 외주면 끼움테(43)에는 합 성수지재의 패킹(30)을 장전하여 일체형으로 되게 하였다.
상기의 지하수여과부(40)를 지하수배출부(50)의 커버(51)에 장전을 시켜 주되, 상기 커버(51)의 하단에는 소정의 각으로 형성된 단턱(58)이 형성된 지지편(57)의 상단에 지하수여과부(40)를 안착시켜 주어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지하수가 이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 지하수여과부(40)를 장입한 상태에서 지하수인입부(10)를 결합시켜 주되, 상기의 결합관(12)을 커버(5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내측테(52)와 플랜지(53)에 안착되도록 삽입시켜 주며, 상기 지하수인입부(10)의 외연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장착수단에 의해 결합시켜 준다.
상기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하수인입부(10)가 아래가 되도록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상기의 입입관(13)의 외면에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을 장입 한 다음 핸드밴드(59)를 이용하여 호스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조여 주고, 지하수배출부(50)의 상단에는 배출관(54)에도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핸드밴드(59)로 단단히 조여준다.
상기의 설치과정이 완료되면, 펌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지하수를 양정시켜 주며, 양정되는 지하수가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인입관(13)의 내부로 용입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인입된 지하수와 불순물은 지하수여과부(40)를 통과하게 되는데, 지하수와 같이 순수한 물은 필터(49)의 미세공(49-1)를 쉽게 통과하지만, 모래와 같은 불순물은 미세공(49-1)에 여과되어 수직으로 자유낙하하게 되고, 반복적으로 자유낙하되는 불순물(예:모래알갱이)들은 지하수인입부(10)의 불순물수집관(11)에 집결되게 된다.
상기의 필터(49)를 통과한 지하수는 수압에 의해서 커버(51)의 상부에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관(54)를 통과하게 되고, 배출관(54)의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에서 불순물집수관(11)에 수집된 불순물(예:모래알갱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펌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부에 호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을 막은 다음, 지하수인입부(10)의 일측에 장착된 불순물배출부(20)의 개폐캡(21)을 오픈하여 불순물배출관(27)에서 이격시켜 주면, 내부에 침전되어 있던 모래알갱이는 배출되는 지하수와 함께 외부로 급속하게 배출되면서 내부에 있던 모래알갱이를 모두 밖으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한 장기간 필터(49)를 사용하고 교체하지 않은 경우에는 장착수단의 매미고리(17)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다음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 장전된 지하수여과부(40)의 필터(49)를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49)를 둥글게 말아 필터프레임(41)에 장착시켜 주되, 상기 필터(49)의 장착요홈(49-2)을 필터프레임(41)의 걸림턱(42-1)에 걸리도록 장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반복과정을 거치면서 지하수 및 모래알갱이를 분리배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와 상기 지하수인입부의 불순물집수관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를 형성하고,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하수여과부의 상부 끼움테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를 장착시켜 주며, 필터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수되는 지하수배출부를 형성시켜주되, 상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여과부를 지하수배출부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를 결합한 다음 장착수단에 의해 개방/폐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지하수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중앙에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거나 또는 중심에서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주며, 특히 상기의 편향시켜 가장자리에 배출관을 형성시켜준 경우에는 지하수의 상승압을 좀더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불순물집수관의 측면에 불순물배출관을 일체로 연통되게 형성시켜주되, 상기 불순물집수관의 하부 에 경사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플레이트의 가장 낮은 측면의 일측에 불순물배출관을 연통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내부를 청소시 용이하게 불순물을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하수인입부와 지하수배출부의 외면에 각각 매미고리와 걸림턱으로 형성된 장착수단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용이하게 결합/해제가 가능토록 하였다.

Claims (8)

  1.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와 같은 불순물을 걸러주고 지하수만을 통과시켜 배출하는 통상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펌프에서 양정되어 호스를 통해 지하수 및 불순물이 인입되는 지하수인입부(10);
    상기 지하수인입부(10)의 불순물집수관(13) 외주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걸러진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구(20);
    인입된 지하수 및 불순물을 필터(49)를 통해 입자가 큰 불순물은 걸러주고 지하수는 통과시켜주는 지하수여과부(40);
    상기 지하수여과부(40)의 상부 끼움테(43)에 장착되어 지하수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30);
    필터(49)를 통과한 지하수가 상승압에 의해 상부로 배출되는 지하수배출부(50);
    지하수여과부(40)를 지하수배출부(50)의 내부에 장입하고, 지하수인입부(10)와 지하수배출부(50)를 장착수단에 의해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하수인입부(10)는:
    중공관으로 형성된 불순물집수관(11)의 하부에는 경사플레이트(14)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4)의 저면에는 경사면과 동일한 십자형 지지형태의 십자지지편(15)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불순물집수관(11)의 상면에는 결합관(12)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불순물집수관(11)과 결합관(12) 및 경사플레이트(14)의 중앙으로 지하수 및 불순물이 통과되는 인입관(13)를 연통되게 형성한 것과;
    결합관(12)의 외주면에는 장착공(16-1)이 상·하로 형성된 고리장착틀(16)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불순물집수관(11)의 외주면에는 불순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불순물배출부(2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3. 청구항 1 및 2항에 있어서, 불순물배출부(20)는:
    불순물집수관(11)의 외주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돌편(28)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불순물배출관(27)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불순물배출관(27)에는 불순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개폐캡(21)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개폐캡(21)의 외면에는 오픈홈(23)과 로킹홈(24)이 형성된‘ㄱ’자홈(22)을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개폐캡(21)의 내부에는 안치홈(25)을 형성하여 O링(26)을 안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지하수여과부(40)는;
    수평지지대(46)와 수직지지대(47)를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게 형성시켜 지지재(45)를 일체로 형성하되, 지지대(45)의 저면에는 바닥플레이트(48)를 형성하고, 상단에는 상광하협의 확대관(42)을 형성하며, 확대관(42)의 상단과 외면에는 각각 경계테(44)와 끼움테(43)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 일면에는 걸림턱(42-1)를 일체로 형성시켜 된 필터프레임(41)과;
    상기 필터프레임(41)의 내부에 장전되어 인입된 지하수는 통과시켜 주고 불순물은 미세공(49-1)에 의해 걸러주는 필터(49)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하수배출부(50)는:
    지하수여과부(40)가 내부에 장전되는 커버(51)를 형성시켜 주되, 상기 커버(51)의 하부 내주면에는 단턱(58)이 등 각으로 형성된 지지편(57)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커버(51)의 상부에는 배출관(54)을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시켜 주고, 하부에는 플랜지(53)를 형성하며, 플랜지(53)의 저면으로 내측테(52)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커버(51)의 상단 외주면에는 걸림홈(56)이 등 각으로 형성된 고정편(55)를 일체로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커버(51)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관(54)은:
    커버(51)의 상면 중앙에 형성하거나, 가장자리에 편향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필터(49)의 상단에는 역사다리꼴의 장착요홈(4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킹(30)은:
    내테(31)와 외테(32)에 의해 단면이‘┗┛’형상으로 되는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내테(31)와 외테(32)의 중간에는 장착홈(3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여과처리장치.
KR1020070060219A 2007-06-20 2007-06-20 지하수여과처리장치 KR10088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19A KR100888450B1 (ko) 2007-06-20 2007-06-20 지하수여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19A KR100888450B1 (ko) 2007-06-20 2007-06-20 지하수여과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10A true KR20080111810A (ko) 2008-12-24
KR100888450B1 KR100888450B1 (ko) 2009-03-11

Family

ID=4036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219A KR100888450B1 (ko) 2007-06-20 2007-06-20 지하수여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03B1 (ko) * 2019-02-14 2019-09-03 대한민국 플라즈마를 이용한 sac형 함정용 공기조화 시스템
CN115286138A (zh) * 2022-08-09 2022-11-04 高冉 一种便于进行批量集中处理的移动式地下水污染修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80B1 (ko) * 2017-06-02 2019-01-30 송기장 고점성유체 필터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2337B1 (en) * 1993-12-13 1997-08-27 Stanadyne Automotive Corp. Fuel filter with internal vent
JPH08252411A (ja) * 1995-03-20 1996-10-01 Ngk Insulators Ltd スクリーン装置
KR100532762B1 (ko) * 2003-02-04 2005-11-3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슬러리 필터 박스
KR20060064261A (ko) * 2004-12-08 2006-06-13 강송식 필터의 합리적인 교체를 위한 체크 필터가 장착된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03B1 (ko) * 2019-02-14 2019-09-03 대한민국 플라즈마를 이용한 sac형 함정용 공기조화 시스템
CN115286138A (zh) * 2022-08-09 2022-11-04 高冉 一种便于进行批量集中处理的移动式地下水污染修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450B1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JP4870466B2 (ja) 撒液システム用の濾過装置
CN107922215A (zh) 包括入口和至少两个出口的过滤装置
KR100888450B1 (ko) 지하수여과처리장치
US20040108266A1 (en) Rainwater tank cleaning system
CN111869554A (zh) 一种果树节水灌溉系统及应用
CN205875349U (zh) 一种海绵城市的园林雨水利用系统
KR101660310B1 (ko) 펌프에 직결되는 스프링여과기 및 이를 활용한 여과/역세척 방법
CN213506267U (zh) 水肥滴灌水处理系统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KR102294885B1 (ko) 빗물 재활용 시스템
CN207445711U (zh) 一种三维雨水过滤装置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CN215935564U (zh) 一种前置水质防控预处理的水肥一体化装置
CN205917768U (zh) 一种海绵城市的旋转除污管路系统
CN205357790U (zh) 一种鱼缸过滤系统
KR101150957B1 (ko) 농업용수 여과기
CN210885542U (zh) 一种滴灌设备水质过滤装置
US20040060853A1 (en) Pond fountain cartridge filter
CN203977542U (zh) 地漏
KR102118948B1 (ko) 밭 지대 용수 확보를 위한 다기능 저류조
US6893573B2 (en) Pond filter with filter member and nozzle
CN211048080U (zh) 一种雨水回收灌溉装置
CN209083065U (zh) 一种带有化粪池的蒙古包
KR200232454Y1 (ko) 농업용 지하수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