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342A -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342A
KR20080111342A KR1020070059626A KR20070059626A KR20080111342A KR 20080111342 A KR20080111342 A KR 20080111342A KR 1020070059626 A KR1020070059626 A KR 1020070059626A KR 20070059626 A KR20070059626 A KR 20070059626A KR 20080111342 A KR20080111342 A KR 2008011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symbols
group
resource block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193B1 (ko
Inventor
권환준
조준영
유재천
허윤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193B1/ko
Priority to US12/141,335 priority patent/US8369427B2/en
Publication of KR2008011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0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the interleaver involving at least two directions
    • H03M13/2707Simple row-column interleaver, i.e. pure block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57Turbo codes and de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5Unequal or adaptive error protection, e.g. by providing a different level of protection according to significance of source information or by adapting the cod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s
    • H03M13/353Adaptation to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할 시 전송 심볼들에 포함되는 비트들이 여러 자원 블록들에 골고루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매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견지(aspect)에 따르면, 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송 심볼들은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 심볼들의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은 채널 환경이 좋이 않은 자원 블록들에 우선순위가 높은 비트들이 몰려서 매핑된 후 전송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70059626
HARQ, 서브패킷, 원형 버퍼, 자원 매핑, 채널 인터리빙

Description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 전송 방법 및 장치 {Symbo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d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Systems}
도 1a는 HARQ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HARQ 동작이 수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원형 버퍼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패킷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통상의 OFDMA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인 자원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서브 패킷이 어떻게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지의 예를 보여 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서브 패킷에 포함되는 부호화 심볼들을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매핑 방법에서 501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한 단말에게 전송되는 부호화 블록이 두 개 이상인 경우의 매핑 예를 보여 주는 도면,
도 8은 상기 도 5 ~ 7 에서 설명한 매핑 방법을 인터리버를 통해 구현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에 따른 수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이하 'OFD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을 자원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무선 채널에서 고속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열을 병렬 변환한 후,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 즉 다수의 서브 캐리어 채널(sub-carrier 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변조(MCM: 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다. 상기 OFDM을 기본적인 전송 방식으로 취하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들을 통해 여러 사용자를 구분하는 시스템,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여러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통상 OFDMA 방식이라 칭한다.
하이브리드자동재전송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HARQ'라 칭하기로 한다.)는 패킷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 및 데이터 수율(throughput) 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상기 HARQ 란, 자동 재전송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과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이하 'FEC'라 칭하기로 한다) 을 합친 기술을 말한다. 상기 ARQ란, 유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써, 송신기는 소정의 결정된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일련의 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고, 수신기는 상기 번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패킷 중 빠진 번호를 송신기에게 재전송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달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FEC란, 길쌈 부호화 또는 터보 부호화 등과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에 소정 규칙에 따라 리던던트 비트(redundant bit)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 또는 페이딩(Fading) 등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극복하여 초기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 해내는 기술을 말한다. 상기 ARQ 및 FEC를 결합한 HARQ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FEC 역과정을 거쳐 복호된 데이터에 대해 오류가 존재하는 지를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 등을 통해 판단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상기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오류가 없는 경우 송신 기에게 ACK(Acknowledgement)를 피드백함으로써 송신기가 다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 반대로 수신기는 상기 오류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 송신기에게 NACK(Non-Acknowledgement)를 피드백함으로써 이전 전송된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재전송 과정에서 수신기는 재전송된 패킷을 이전 전송된 패킷과 컴바이닝함으로써 에너지 이득을 얻고 이를 통해, 상기 컴바이닝 과정이 없는 종래의 ARQ 와 비교하여 훨씬 더 개선된 성능을 얻게 된다.
도 1a는 HARQ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서 가로 축은 시간 축을 나타낸다. 그리고 데이터 채널은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101 단계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패킷을 초기 전송한다. 102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초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해 복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수신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초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복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NACK를 데이터 송신기에게 피드백한다. 이때 상기 오류 여부 판단은 CRC 검사 등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송신기는 NACK 을 수신한 후, 103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첫번째 재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103 단계에서 송신기가 초기 전송 시 전송한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할지라도 상기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서로 다른 리던던시(redundancy), 즉, 서로 다른 부호화된 심볼들(Coded Symbols)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상기 101 단계와, 103 단계 및 105단계에서 전송되는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서브패킷'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04 단계에서 수신기는 첫번째 재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첫번 째 재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대해 초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과 소정의 규칙에 의해 컴바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컴바이닝된 결과를 통해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시도한다. 상기 복조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CRC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복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NACK을 데이터 송신기에게 피드백한다. 105 단계에서 송신기는 NACK을 수신한 후, 첫 번째 재전송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시간 간격 후에, 두 번째 재전송을 수행한다 . 따라서, 상기 101 단계에서 수행된 초기 전송 및 103 단계에서 수행된 첫 번째 재전송, 그리고, 상기 105 단계에서 수행된 두 번째 재전송의 데이터 채널은 모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수신기는 두번째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후, 초기 전송 및 첫 번째 재전송 및 세 번째 재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모두 소정의 규칙에 의해 컴바이닝을 수행하고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수행한다. 상기 복조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한 CRC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으로 복조된 경우,106 단계에서 ACK을 송신기에게 피드백한다. 107 단계에서 송신기는 ACK을 수신한 후, 다음 데이터 패킷에 대한 초기 전송 서브패킷을 제어 채널과 함께 전송한다.
도 1b는 HARQ 동작이 수행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송신기(130)의 부호화기(Encoder)(111)는 소정의 데이터 패킷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심볼들을 출력한다. 서브패킷 생성기(Subpacket Generator)(112)는 k(k=0~m, 여기서 m=최대 재전송 횟수)번째 전송에서의 상기 부호화기(111)로부터 출력되는 일부 부호화 심볼들 혹은 전체 부호화 심볼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심볼들로 구성된 서브패킷(Subpacket k)을 생성한다. 송수신기 체인(Transceiver Chain)(113)은 OFDM과 같은 소정의 송수신 절차를 통해 상기 생성된 서브패킷 k를 수신기(170)에 전송한다. 상기 수신기(170)의 복호화기(Decoder)(114)는 수신된 서브패킷 k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 결과에 따라 ACK 또는 NACK을 송신기(130)의 서브패킷 생성기(112)에 피드백한다. 상기 피드백 결과에 따라 상기 서브패킷 구성부생성기(112)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 데이터 패킷, 즉 다음 서브패킷을 구성하거나 새로운 데이터 패킷의 초기 전송 서브패킷을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HARQ 동작을 위한 부호화기(111) 및 서브 패킷 생성기(112) 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원형 버퍼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패킷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하나의 코드 블록(201)은 주어진 시점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가리킨다. 부호화기(Encoder)(202)는 상기 하나의 코드 블록(201)을 입력받아 소정의 부호화 심볼들(203)을 출력한다. 상기 부호화기(202)에서 출력된 부호화 심볼들(203)의 총 개수는 상기 부호화기(202)의 부호율(Code Rate)에 의해 정의되며, 통상 이를 모부호율(Mother Code Rate)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부호화 심볼들의 총 개수를 모부호율이라 하는 이유는, 추후 설명할 각 서브패킷을 위해 상기 부호화기(202)의 출력 중 일부 혹은 전체의 부호화 심볼들이 선택되기 때문이다. 상기 부호화기(202) 의 출력인 부호화 심볼들은 203 에서와 같이 시스티메틱 심볼들(Systematic Symbols: S), 제1 패리티 심볼들(Parity Symbols 1: P1), 제2 패리티 심볼들(Parity Symbols 2: P2) 들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을 서브 블록이라 칭한다. 참조부호 204 로 표시되는 서브 블록 인터리버는 상기 시스티메틱 심볼들(Systematic Symbols: S), 제1 패리티 심볼들(Parity Symbols 1: P1), 제2 패리티 심볼들(Parity Symbols 2: P2)을 각 서브블록 내에서 인터리빙한다.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터리버의 출력인 인터리빙된 심볼들의 전체는 '원형 버퍼(circular buffer)'에 저장된 것으로 간주된다. 여기서 '원형 버퍼'라고 칭한 이유는 HARQ 동작 시 각 서브패킷에 대한 심볼들의 구성이 상기 원형 버퍼 상에서 연속적인 심볼들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특정 서브패킷이 상기 원형 버퍼의 마지막 심볼점을 넘어갈 경우 상기 원형 버퍼의 첫번째 심볼로 다시 돌아가서 상기 서브패킷을 위한 다음 심볼들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즉, 송신기는 상기 원형 버퍼 상에서 일부 연속된 심볼들을 선택함으로써 각 서브패킷을 구성하고, 수신기는 수신된 부호화 심볼들을 동일한 구조의 원형 버퍼 상의 알맞은 위치에 매핑시킨 후, 복호 과정을 수행한다. 도 2 에서 나타나는 상기 서브 패킷 구성의 예를 보면, 참조 부호 206은 초기 전송 서브패킷에 대한 심볼 구성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207은 첫 번째 재전송 패킷, 즉 두 번째 전송 서브패킷에 대한 심볼 구성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208은 두 번째 재전송 패킷, 즉 세 번째 전송 서브패킷에 대한 심볼 구성을 나타낸다.
도 3 은 통상의 OFDMA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인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이하 'RB' 라고도 칭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을 참조하면, 가로 축은 주파수 축, 세로 축은 시간 축을 나타낸다. 상기 도 3 에서 참조 부호 301 로 표시되는 하나의 자원 블록은 통상 주파수 축 상에서 복수 개의 OFDM 심볼과 시간 축 상에서 복수 개의 연속된 OFDM 심볼들로 구성된다. 상기 도 3 에서는 편의 상 총 8 개의 자원 블록이 정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이와 다른 숫자의 자원 블록들이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 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도 2 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성된 서브 패킷이 어떻게 할당된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지의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 를 참조 하면, 참조 부호 205 로 표시되는 원형 버퍼는 상기 도 2 에서 참조 부호 205 로 설명된 그것과 동일하다. 즉, 참조 부호 40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테메틱 부분과 참조 부호 402 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패리티 비트들로 구성된다. 참조 부호 206 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 2 에서 206 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다. 즉, 상기 원형 버퍼에서 참조 부호 206 으로 표시된 부분만큼 부호화 심볼들이 선택되어 초기 전송 서브 패킷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단말(User Equipment) #1 은 참조 부호 40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원 블록 0, 2, 4 를 할당받았다라고 가정하자. 다시 말해 상기 206 과 같이 구성된 서브 패킷이 자원 블록 0, 2, 4 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다. 참조 부호 408 은 상기 단말 #1 의 주어진 시점에서 주파수 축에서의 채널 응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세로 축은 채널의 세기를 나타내며 상기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원 블록 0 및 2 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채널이 좋지 못하며, 자원 블록 4 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채널이 좋음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206 의 서브 패킷은 순차적으로 할당 받은 자원블록에 실리게 된다. 즉, 206 의 가장 앞부분인 404 부분은 자원 블록 0 에 실리어 전송되고, 206 의 중간 부분인 405 는 자원 블록 2 에 실리어 전송되 며, 206 의 가장 뒤부분인406 은 자원 블록 4 에 실리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매핑의 문제점은 상기 시스테매틱 비트들이 상대적으로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자원 블록에 몰려서 전송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 수신 성능을 현저히 저하될 수도 있다라는 점이다. 따라서, 시스테매픽 비트들이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자원 블록에 매핑되어 전송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할 시 전송 심볼들에 포함되는 비트들이 여러 자원 블록들에 골고루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매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된 심볼들로부터 생성되는 서브 패킷에서 특히 우선순위가 높은 시스테메틱 비트들이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자원 블록에 몰려서 전송되지 않고, 여러 자원 블록들에 골고루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견지(aspect)에 따르면, 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전송 심볼들은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 심볼들의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 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전송 심볼들은 부호화 심볼들일 수도 있고, 상기 전송 심볼들은 변조 심볼들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이고,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견지에 따르면, 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패킷에 포함되는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이고,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견지에 따르면, 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M X K)(여기서, K는 자원 블록의 수, M은 해당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심볼의 수를 K로 나눈 값)의 크기를 가지는 블록 인터리버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패킷의 심볼들을 상기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행단위로 쓰고 열단위로 읽어들이고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내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이고,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일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서브 패킷에 포함되는 부호화 심볼들을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매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 는 기지국이 특정 사용자에게 복수 개의 자원 블록을 할당하고 서브 패킷을 구성하여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할당한 자원 블록들에 실어(매핑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어떻게 매핑할 것인가를 보여준다. 참조 부호 205 로 표시되는 원형 버퍼는 상기 도 2 에서 참조 부호 205 로 설명된 그것과 동일하다. 즉, 참조 부호 40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시스테메틱 부분과 참조 부호 402 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패리티 비트들로 구성된다. 참조 부호 206 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 2 에서 206 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다. 즉, 상기 원형 버퍼에서 참조 부호 206 으로 표시된 부분만큼 부호화 심볼들이 선택되어 초기 전송 서브 패킷이 구성된 것이다. 참조 부호 501 은 상기 206 과 같이 구성된 서브 패킷을 시스테매틱 비트들과 패리티 비트들을 각각 할당한 자원 블록의 수 만큼 나누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5 의 407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말 # 1 에게 자원 블록 0, 2, 4, 의 세개의 자원 블록이 할당되었으므로 상기 501 과정에서 시스테매틱 비트들과 패리티 비트들을 각각 3 부분으로 나눈다. 상기 시스테매틱 비트들은 참조 부호 502, 503, 504 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고, 상기 패리티 비트들은 참조 부호 505, 506, 507 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상기 각 부분들은 할당한 자원 블록들에 매핑된다. 즉, 502 부분은 자원 블록 0 에 매핑되고, 503 부분은 자원 블록 2 에 매핑되고, 504 부분은 자원 블록 4 에 매핑되며, 505 부분은 자원 블록 0 에 매핑되고, 506 부분은 자원 블록 2 에 매핑되고, 507 부분은 자원 블록 4 에 매핑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해 시스테매틱 비트들과 패리티 비트들은 각 자원 블록에 골고루 매핑되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이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특정 자원블록에 몰려 매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 은 상기 도 5 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매핑 방법에서 501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6 역시 기지국이 특정 사용자에게 복수 개의 자원 블록을 할당하고 서브 패킷을 구성하여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할당한 자원 블록들에 실어(매핑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어떻게 매핑할 것인가를 보여준다. 상기 도 6 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206 과 같이 구성된 서브 패킷을 참조 부호 601 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할당한 자원 블록의 수 만큼의 인터레이스를 구성한다. 상기 도 6 의 예에서는 세 개의 자원 블록이 할당되었으므로 상기 206 과 같이 구성된 서브 패킷을 60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 1, 2 의 세 개의 인터레이스로 나눈다. 상기 인터레이스로 나눈다라는 말은 다음과의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 심볼들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206 에 해당하는 전체 부호화 심볼의 수를 L 이라 하고, 상기 L 개의 심볼들을 0, 1, 2, …, L-1 로 인덱싱하고, 상기 심볼들을 m 개의 인터레이스로 나누는 경우, 0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 0, 3, 6, 9, …, L-m 인덱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들, 1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 1, 4, 7, 10, …, L-m+1 인덱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들, … k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 0+k, 3+k, 6+k, 9+k, …, L-m+k 인덱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들, … m-1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 0+m-1, 3+m-1, 6+m-1, 9+m-1, …, L-1 인덱스에 해당하는 부호화 심볼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레이스들은 각각 할당된 자원 블록에 매핑된다. 즉, 0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심볼들은 602와 같이 첫 번째 자원 블록에 매핑되고, 1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심볼들은 603와 같이 두 번째 자원 블록에 매핑되고, 2 번 인터레이스에 해당하는 심볼들은 604와 같이 세 번째 자원 블록에 매핑된다.
한편, 상기 602, 603, 604의 매핑 결과를 보면 각 자원 블록 내에서 시스테매틱 비트들이 연속적으로 있고, 패리티 비트들이 연속적으로 있다. 상기 연속된 시스테매틱 비트들을 자원 블록 내에서 추가적으로 섞어줄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참조 부호 605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원 블록 별 인터리빙을 한 번 더 해줌으로써 해결할 수가 있다. 이 결과, 각 자원 블록 내에 부호화 심볼들은 606, 607, 608 과 같이 각 자원 블록 내에서 시스테매틱 비트들과 패리티 비트들이 서로 섞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원 블록 내에서 채널 환경이 다른 경우 추가적인 인터리빙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605 의 자원 블록 별 인터리빙 과정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매핑 방법에서 생략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원 블록 별 인터리빙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자원 블록 내에서 주파수 축상에서의 채널 응답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자원 블록별 인터리빙이 큰 효과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한 단말에게 전송되는 부호화 블록이 두 개 이상인 경우의 매핑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7 역시 기지국이 특정 사용자에게 복수 개의 자원 블록을 할당하고 서브 패킷을 구성하여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할당한 자원 블록들에 실어(매핑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서브 패킷을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어떻게 매핑할 것인가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도 7 에 나타난 예에서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주어진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면, time slot 또는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복수 개의 부호화 블록을 전송하는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에서 부호화 블록이란, 부호화 과정이 이루어지는 독립적인 정보 비트 블록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비트 수가 10000 비트라고 가정하자. 통상적으로 상기 10,000 비트를 한번에 터보 부호화 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와 같이 너무 큰 수의 정보를 한 번에 터보 부호화하는 경우 그 복호의 복잡도가 너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5000 비트 두개로 나누고 상기 두 개의 5000 비트열을 각각 따로 터보 부호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각 분리된 정보 비트열을 통상 부호화 블록(code block)이라 칭한다. 상기 도 7 은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정보 비트열이 각각 따로 터보 부호화 되어 하나의 TTI 에서 전송되는 예를 보여 준다.
상기 도 7 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701 은 첫 번째 부호화 블록에 대한 원형 버퍼를 나타내고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테매틱 비트열과, 패리티 비트열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702 는 첫 번째 부호화 블록에 대한 원형 버퍼를 나타내고 이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테매틱 비트열과, 패리티 비트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701 및 702 에 대해 각각 서브 패킷이 구성되며 이는 각기 703 및 704 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703 및 704 의 연접된 부호화 심볼열에서 첫 번째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될 부호화 심볼이 결정된다(705). 이는 통상 첫 번째 OFDM 심볼에 가용한 부반송파의 개수 및 변조 방식(QPSK, 16QAM 등) 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705 의 선택된 심볼열에 대해 707 과 같이 할당된 자원 블록의 수에 해당하는 인터레이스가 구성된다. 상기 인터레이스 구성에 대한 상세는 상기 도 6 의 601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도 7 은 상기 사용자에게 k 개의 자원 블록이 할당된 경우를 보여 주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707 과정에서 k 개의 인터레이스가 구성된다. 상기 k 개의 인터레이스들은 각각 상기 k 개의 자원 블록에 매핑된다(709). 상기 매핑된 심볼들에 상기 도 6 에서 605 를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자원 블록별 인터리빙이 한 번 더 수행될 수도 있다(711). 다음으로 상기 703 및 704 의 연접된 부호화 심볼열에서 두 번째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이 결정된다(706). 상기 706 의 선택된 심볼열에 대해 708 과 같이 할당된 자원 블록의 수에 해당하는 k 개의 인터레이스가 구성된다. 상기 k 개의 인터레이스들은 각각 상기 k 개의 자원 블록에 매핑된다(710). 상기 매핑된 심볼들에 자원 블록별 인터리빙이 한 번 더 적용될 수도 있다(711).
도 8 은 상기 도 5 ~ 7 에서 설명한 매핑 방법을 인터리버를 통해 구현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상기 도 8 을 참조하면, 801 및 802 는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부호화 블록에 대해 구성된 서브 패킷을 나타낸다. 상기 서브 패킷 구성에 대한 상세는 상기 실시 예들에서 보여 준 것과 동일하다. 상기 801 및 802 로 구성되는 심볼열에서 첫 번째 OFDM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부호화 심볼이 결정된다(803). 상기 결정된 심볼의 개수를 L(1) 개라 가정하자. 다음으로 상기 L(1) 개의 803 부호화 심볼열에 대한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리빙을 위해 우선 M x K 블록 인터리버를 구성한다(805). 상기에서 K 는 할당한 자원 블록의 수이며, M = L(1) / K 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 인터리버에 상기 803 로 도시되는 심볼들은 row by row 로 입력된다(806). 상기 입력이 끝나면, 상기 row 들을 Pruned Bit Reversal Order (PBRO) 방식으로 인터리빙한다. 상기 PBRO 인터리빙의 알고리즘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y = PBRO (i,L(1)) 상기 수학식에서 y 는 출력 위치를 나타내며, i 는 입력 위치를 나타낸다. L(1)은 입력의 총 수이다. (Step 1) 먼저, PBRO 파라미터인 n값을 결정한다. 상기 n 값은 수학식 L(1) ≤ 2n 만족하는 최소 정수이다. (Step 2) i와 j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Step 3) x값을 정의하기를, n비트의 이진수법을 사용하여 j의 비트 역행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이 4이고, j가 3이면 x는 12가 된다. (Step 4) 만약 x < NLE이면, set PBRO((i, NLE) to x and increase i by 1. (Step 5) 그렇지 않으면 j를 하나 증가한다. (Step 6) 만약 i < M이면, 3단계로 이동한다.
상술한 806 과정은 상기 도 7 에서 711 로 도시된 자원 블록별 인터리빙을 구현하는 과정으로 상기 806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자. 다음으로, 상기 블록 인터리버에서 column by column 으로 읽어낸다(808). 상기 출력은 해당 OFDM 심볼의 가용 부반송파들에 차례로 매핑된다. 상기 도 8 에서 806 ~ 809 과정은 row 및 column 이 서로 바꾸어서 설명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901 은 터보 부호화기 & 원형 버퍼 구성부를 나타낸다. 상기 블록들에 대한 상세는 도 2의 202 ~ 205 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참조 부호 902 는 서브 패킷 생성기, 즉 상기 원형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화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 패킷을 구성하는 블록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903 은 상기 구성된 서브 패킷에 포함되는 부호화 심볼들을 각 OFDM 심볼에 전송될 심볼열들로 나누는 심볼분할기이다. 상기 심볼분할기에 대한 상세는 상기 도 7 에서 참조 부호 703 및 704 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심볼분할기(903)의 출력인 각 OFDM 심볼에 전송될 부호화 심볼들은 인터리버(904)로 입력되어 인터리빙된다. 상기 인터리버(904)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기 도 8 에서 805 ~ 806 으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인터리버(904)의 출력은 자원블록 매핑부(905)에 의해 상기 심볼들이 전송되기로 되어 있는 자원 블록들에 매핑된다. 상기 매핑 방법은 도 8 에서 809 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OFDM 심볼의 가용 부반송파들에 차례로 매핑된다. 상기 자원블록 매핑부(905)에 의해 선택적으로(optionally) 연결될 수 있는 자원블록 인터리버(906)는 상기 자원블록 매핑부(905)에 의해 매핑된 심볼들을 자원블록별로 인터리빙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에 따른 수신기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 을 참조하면, 자원블록 선택부(1001)는 우선 데이터를 수신해야 할 자원 블록들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 방법은 소정의 다른 과정에 의해 미리 알려져 있다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블록을 할당 받고, 상기 할당 정보를 수신했으며 상기 할당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 블록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선택된 자원 블록들 중에서 얻어진 수신 심볼들은 각 OFDM 심볼에 해당하는 양만큼씩 나뉘어져 디인터리버(1002)로 입력되어 디인터리빙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디인터리빙 과정은 상기 도 806 ~ 808 의 역과정과 동일하다. 제어부(1003)는 자원 블록들에서 얻어지 심볼들을 각 OFDM 심볼에 해당하는 양만큼씩 나누고 디인터리빙되는 과정이 TTI 내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만큼 반복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인터비링된 심볼들은 원형 버퍼(1004)로 매핑된다. 상기 제어부(1003 )는 상기 매핑 과정에서 각 디인터리빙된 심볼열이 상기 원형 버퍼 상에서 올바른 위치로 매핑되도록 제어한다. 터보 복호화기(1005)는 상기 원형 버퍼에 포함된 수신 심볼들을 이용해 터보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는 부호화 심볼을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자원 블록에 매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 심볼들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등과 같은 변조 과정을 거친 후 얻어지는 변조 심볼들이 자원 블록에 매핑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심볼들이 자원 블록들에 매핑된 후, 변조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는 변조 과정을 생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부호화 심볼이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과정 대신에 변조 심볼이 자원 블록에 매핑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도 있으며, 부호화 심볼에 대한 인터리빙 대신 변조 심볼들에 대한 인터리빙이 수행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도 상술한 매핑 방법 또는 인터리빙 방법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자.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 버퍼 상에서 HARQ를 위해 구성된 서브 패킷과 같은 전송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함에 있어 비트들, 특히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이 복수 개의 자원 블록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매핑하여 전송하는 방법과 및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인터리버 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은 채널 환경이 좋이 않은 자원 블록들에 우선순위가 높은 비트들이 몰려서 매핑된 후 전송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 심볼들의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부호화 심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변조 심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 는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7.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패킷에 포함되는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1.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M X K)(여기서, K는 자원 블록의 수, M은 해당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심볼의 수를 K로 나눈 값)의 크기를 가지는 블록 인터리버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패킷의 심볼들을 상기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행단위로 쓰고 열단위로 읽어들이고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내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 는 전송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5.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 심볼들의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분할기와,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을 위해 출력하는 자원블록 매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부호화 심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심볼들은 변조 심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 로 하는 전송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자원블록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1.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서브패킷 생성기와,
    상기 서브패킷에 포함되는 각 그룹의 비트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수만큼의 인터레이스들로 분할하는 분할기와,
    상기 각 분할된 인터레이스들을 상기 각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을 위해 출력하는 자원블록 매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자원블록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5.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심볼들을 자원 블록들에 매핑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과 우선순위가 다른 제2 그룹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부호화 심볼들중 일부 심볼들을 선택하여 서브패킷을 생성하는 서브패킷 생성기와,
    (M X K)(여기서, K는 자원 블록의 수, M은 해당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심볼의 수를 K로 나눈 값)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서브패킷의 심볼들을 행단위로 쓰고 열단위로 읽어들이고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출력하는 블록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미리 할당된 자원 블록들내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을 위해 출력하는 자원블록 매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비트들은 시스테매틱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비트들은 패리티 비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터레이스들을 자원 블록 단위로 인터리빙하는 자원블록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KR1020070059626A 2007-06-18 2007-06-18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0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26A KR101505193B1 (ko) 2007-06-18 2007-06-18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US12/141,335 US8369427B2 (en) 2007-06-18 2008-06-18 Method and apparatus for symbol transmission in an OFDM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26A KR101505193B1 (ko) 2007-06-18 2007-06-18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42A true KR20080111342A (ko) 2008-12-23
KR101505193B1 KR101505193B1 (ko) 2015-03-23

Family

ID=4013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626A KR101505193B1 (ko) 2007-06-18 2007-06-18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9427B2 (ko)
KR (1) KR101505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99B1 (ko) 2015-04-16 2016-09-21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기지국 트래픽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666996B1 (ko) 2015-04-16 2016-10-17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송신기 성능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358B2 (ja) * 2008-11-04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再送方法
KR101650749B1 (ko) * 2009-08-18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2167548A1 (zh) * 2011-11-14 201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在正交频分多址系统中的数据发送和接收方法、装置及系统
WO2014110812A1 (zh) * 2013-01-18 2014-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9246514B2 (en) 2013-03-06 2016-0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to support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US9686043B2 (en) 2013-05-21 2017-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devices for use in OFDM-based communication network
US10742380B2 (en) * 2015-08-25 2020-08-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V2X message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0057910B2 (en) 2016-02-11 2018-08-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xed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wireless networks
CN106797283B (zh) * 2016-11-11 2020-1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获取上行harq反馈信息的方法及装置
GB2558586A (en) * 2017-01-06 2018-07-18 Tcl Communication Ltd Resource block waveform transmission structures for uplink communications
CN112737753B (zh) * 2017-06-09 2022-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1096172B2 (en) * 2018-04-27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diversity for data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beams
US11329789B2 (en) * 2019-02-14 2022-05-1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ethods to handle vulnerable symbols
WO2020164130A1 (zh) * 2019-02-15 2020-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US20230291516A1 (en) * 2020-08-31 2023-09-14 Qualcomm Incorporated Bit interleav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 with interlaced wavefor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3640A3 (en) * 1997-03-04 2005-09-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proved physical layer interface device
US7065298B1 (en) * 1998-11-17 2006-06-20 Intel Corporation Code-based optical networks, methods, and apparatus
JP2000315186A (ja) * 1999-05-06 2000-11-14 Hitachi Ltd 半導体装置
CN1276588C (zh) * 2001-02-07 2006-09-2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通信系统中生成代码的设备和方法
US6912241B2 (en) * 2001-03-08 2005-06-28 Regents Of University Of Minnesota Chip-interleaved, block-spread multi-user communication
US6842446B2 (en) * 2002-04-19 2005-01-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s through aggregation of data sessions
US7315574B2 (en) * 2004-05-03 2008-01-01 Dft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jittered test signal
JP4415777B2 (ja) 2004-07-07 2010-0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キャリア通信における適応変調方法
US7466759B2 (en) * 2004-07-08 2008-12-16 Beceem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rate-2 transmission
CA2575551A1 (en) * 2004-07-29 2006-0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leaving
KR101208510B1 (ko) * 2005-08-23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ofdma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
KR100880171B1 (ko) * 2005-12-29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디코딩 장치 및 방법
US8014415B2 (en) * 2005-12-30 2011-09-06 Meshnetwork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86820B1 (ko) * 2006-03-1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방법과 이를 위한 수신방법 및 장치
US20080031191A1 (en) * 2006-08-01 2008-02-07 Nokia Corporation Shared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multi-user MIMO resource allocation
US8045605B2 (en) * 2006-12-25 2011-10-25 Advantest Corporation Jitter amplifier circuit, signal generation circuit, semiconductor chip, and test apparatus
US8320407B2 (en) * 2007-01-0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of subpackets to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25652B2 (en) * 2007-01-11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free group ho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04833B1 (ko) * 2007-04-13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심볼 전력 할당에 따른 변조심볼을 매핑/디매핑하는 방법 및 송/수신기
JP5019951B2 (ja) * 2007-05-29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99B1 (ko) 2015-04-16 2016-09-21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기지국 트래픽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666996B1 (ko) 2015-04-16 2016-10-17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송신기 성능 감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9427B2 (en) 2013-02-05
KR101505193B1 (ko) 2015-03-23
US20080310535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93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심볼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55716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
JP3566273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データの効率的再伝送及び復号化のための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3701263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689551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및수신장치 및 방법
JP4354997B2 (ja) 高速無線デ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可変符号化率の誤り訂正符号生成及び復号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0931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des in communication system
US80097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interleaving and channel-deinterlea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6740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シンボルをリソースにマッピングする装置及び方法
US9071402B2 (en) Selection of retransmission settings for HARQ in WCDMA and LTE networks
JP4563456B2 (ja) 送信装置、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US8074138B2 (en)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717072B2 (ja) 送信装置
US20030079170A1 (en) Block puncturing for turbo code based incremental redundancy
KR20030010074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의 재전송장치 및 방법
JP5195989B2 (ja) 送信方法
KR20090061562A (ko) 연판정을 이용한 통신방법 및 장치
US20050050427A1 (en) Method of rate matching for link adaptation and code space management
KR10095743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리빙 장치 및 방법
KR101350603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부호 생성 장치 및 방법
JP4841684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13039731A (zh) 用于支持ieee 802.11的harq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