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180A -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180A
KR20080111180A KR1020070051493A KR20070051493A KR20080111180A KR 20080111180 A KR20080111180 A KR 20080111180A KR 1020070051493 A KR1020070051493 A KR 1020070051493A KR 20070051493 A KR20070051493 A KR 20070051493A KR 20080111180 A KR20080111180 A KR 2008011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fespan
user
contents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7005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1180A/ko
Publication of KR2008011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 및 계산된 컨텐츠 수명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한다.
컨텐츠, 게시판, 전자게시판, 수명

Description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using lifetime of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기존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부 120 : 서버부
130 : 컨텐츠 수명 계산부 140 : 저장부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는 초고속 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누구나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 뱅킹, 커뮤니티 등도 상당히 활성화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 게시판을 통한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정보공유의 정도를 넘어서 각종 사회적 문제에 대한 여론의 형성, 문화적 트렌드의 생산 및 촉진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도 6은 기존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들에 의해 생산된 게시판의 컨텐츠를 관리하고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단순히 컨텐츠가 생성된 시간의 역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양질의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하여 찾아내거나 많은 페이지의 이동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어 컨텐츠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천" 또는 "반대"와 같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보여주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너무 많은 컨텐츠가 한꺼번에 표시되어 컨텐츠 접근성을 해결하지 못하거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각적인 표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써 계산된 컨텐츠의 수명이라는 새로운 속성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양질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그가 갖는 수명을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렬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질의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으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을 표시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기간을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간으로 표시한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표시된 구간에 서버부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를 수명에 따라 구역으로 표시한 제3영역을 포함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을 표시하는 제1단계, 상기 표시된 기간을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간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표시된 구간에 서버부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를 수명에 따라 구역으로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수명이라 함은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유효하게 표시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컨텐츠 수명은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가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유효하게 표시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컨텐츠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는 기간의 길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 실시예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컨텐츠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게 되는 일시를 의미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부(110), 서버부(120),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부(110)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부(120)에 연결되고, 서버부(120)에서 전송 받은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입력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행한다. 이는 유선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를 처리할 수 있는 유선 단말기로써 구비될 수 있고, 무선통신망을 통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서버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110)로부터의 접속을 받아들이고,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 또는 저장부(140)로부터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받아 사용자 단말부(110)에 전송하는 기능을 행한다. 상기 서버부(120)가 연결된 네트워크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망도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 전송 통로를 의미한다.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는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반응으로써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기능을 행한다.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한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서 "추천" 또는 "반대"의 입력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내용에 공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10)를 통해 "추천"을 선택할 수 있고, 이 정보는 서버부(120)를 통해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 전달되어 해당 컨텐츠의 수명을 늘이는 인자로서 작용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내용에 동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부(110)를 통해 "반대"를 선택할 수 있고, 이 정보는 서버부(120)를 통해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 전달되어 해당 컨텐츠의 수명을 줄이는 인자로서 작용한다.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서 컨텐츠의 수명을 계산하는 데에는 아래와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1
이 때,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2
는 i 번째 컨텐츠이고, t 는 시계열적인 시간의 순서를 의미하며,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3
는 i 번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t 번째 반응으로써 계산된 i 번째 컨텐츠의 수명을 나타내며 새로 생성된 컨텐츠는 그 수명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4
이 기본값으로서 1단위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5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6
은 각각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추천" 또는 "반대"의 입력에 대한 가중치(weight)로서 상수값을 갖는다.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7
는 i 번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t 번째 반응에 관한 함수로서 상기 반응이 "추천"일 경우는 1, "반대"일 경우는 0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상기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8
,
Figure 112007038853356-PAT00009
및 수명의 단위는 컨텐츠의 성격 및 컨텐츠가 포함되는 게시판의 성격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수분 단위로 빈번히 생성되는 게시판의 경우에는 컨텐츠 수명의 단위를 1시간으로 설정하고, 컨텐츠가 수일 단위로 드물게 생성되는 게시판의 경우에는 컨텐츠 수명의 단위를 1주 또는 1개월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이 활발한 게시판의 경우에는 상기 가중치 값을 1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은 게시판의 경우에는 1 이상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서 컨텐츠 수명이 계산되는 예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0
t i 1 2 3 4 5
1 1 0 0 1 0
2 1 1 0 1 0
3 1 1 0 1 0
4 1 1 1
5 0 0 1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1
t i 1 2 3 4 5
0 1 1 1 1 1
1 2 0 0 2 0
2 3 1 -1 3 -1
3 4 2 -2 4 -2
4 3 -1 5
5 2 -2 6
상기 [표1]은 총 6개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추천"의 경우에는 1로, "반대"의 경우에는 0으로 표시한 표이다. 1번과 5번 컨텐츠는 사용자로부터 각각 총 3회의 반응을 입력 받았고, 2번 내지 4번의 컨텐츠는 각각 총 5회의 반응을 입력 받은 경우이다.
상기 [표2]는 상기 [표1]의 반응 입력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각 입력 회차에 따른 각 컨텐츠 수명의 계산된 값을 표시한 표이다. 이 때,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2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3
는 가중치로서 1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수명의 단위는 1단위가 1일을 의미한다고 가정한다. 각 컨텐츠가 새로 생성된 경우(t=0)에는 모든 컨텐츠 수명은 1일이다. 1번 컨텐츠의 경우는 사용자로부터 3회에 걸쳐 "추천"의 반응을 입력 받았으므로 현재의 계산된 수명은 4일이 된 상태이다. 2번 컨텐츠의 경우는 사용자로부터의 1회차 반응에서 "반대"를 받아 수명이 0일이 되었으나, 이후 2내지 4회차에서 모두 "추천"을 입력 받아 수명이 3일까지 늘어났다가 사용자로부터의 5회차 반응에서 "반대"를 입력 받아 현재 수명은 2일인 상태이다. 5번 컨텐츠의 경우는 사용자로부터 총 3회에 걸친 "반대"의 반응을 입력 받았으므로 수명이 -2일인 상태가 되었다. 설명되지 않은 경우도 이와 같이 계산되며, 수명에 따른 각 컨텐츠의 표시 형태에 대하여는 이하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기술한다.
상기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가 사용하는 계산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의 실시예 뿐만이 아니라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과 컨텐츠의 직전 수명 또는 컨텐츠의 기본 수명값으로써 다양하게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1]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방법 외에도,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수치화하여 컨텐츠의 수명에 곱하여 일정 비율만큼 수명을 가감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서버부(120)의 요청으로 상기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정보를 추출하여 서버부(12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단지 파일시스템의 구성으로 상기 저장부(140)의 행위를 정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구성요소들은 각각 독립적인 물리적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가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장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서버부(120)와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의 유기적 작용을 구현할 수 있고, 서버부(120)와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 및 저장부(140)가 각각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서버부(120)와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 및 저장부(140)가 각각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서버를 포함하는 수대의 물리적 장치군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접근 키,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추천"의 반응을 입력 받은 횟수,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반대"의 반응을 입력 받은 횟수, 컨텐츠의 제목 및 컨텐츠의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뷰의 구조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필드이름 데이터타입 비고
글번호 number 컨텐츠의 접근 key
글쓴시간 datetime 컨텐츠를 입력한 시간
추천 number 추천을 받은 횟수
반대 number 반대를 받은 횟수
제목 text 컨텐츠의 제목
내용 text 컨텐츠의 내용
위와 같은 구조의 뷰는 다양한 형태로 정규화된 수개의 테이블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컨텐츠 표시 요청으로 표시 단계는 시작된다(S200). 서버부(120)는 저장부(140)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읽는다(S210). 다음으로 서버부(120)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 계산을 요청하여 수명을 계산한다(S220).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는 상기 컨텐츠 정보 중에서 "추천" 및 "반대" 값과, 수명의 기본값으로써 상기 [수학식1]을 적용하는데, t=1 일 때부터 t="추천"+"반대"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이를 적용하여 현재 컨텐츠의 수명을 계산한다. 또는 상기 [수학식1]을 아래와 같이 유도하여 간단히 계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4
다음으로 서버부(120)는 상기 계산된 컨텐츠의 수명으로써 컨텐츠의 목록을 정렬하여(S230) 사용자 단말(110)에 정렬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은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S240). 이 때, 정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기술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아 처리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우선,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아 서버부(120)에 전달한다(S310). 그리고, 서버부(120)는 저장부(140)에 요청하여 상기 반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중 "추천" 또는 "반대"의 값을 갱신하여 저장한다(S320).
본 실시예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컨텐츠 수명의 계산을 행하는 것으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중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접근 키,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 컨텐츠의 수명,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추천"의 반응을 입력 받은 횟수,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 "반대"의 반응을 입력 받은 횟수, 컨텐츠의 제목 및 컨텐츠의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뷰의 구조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
필드이름 데이터타입 비고
글번호 number 컨텐츠의 접근 key
글쓴시간 datetime 컨텐츠를 입력한 시간
수명 interval 컨텐츠의 수명
추천 number 추천을 받은 횟수
반대 number 반대를 받은 횟수
제목 text 컨텐츠의 제목
내용 text 컨텐츠의 내용
위와 같은 구조의 뷰는 다양한 형태로 정규화된 수개의 테이블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컨텐츠 표시 요청으로 표시 단계는 시작된다(S400). 서버부(120)는 저장부(140)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 수명을 읽는다(S410). 다음으로 서버부(120)는 상기 컨텐츠 수명으로써 컨텐츠의 목록을 정렬하여(S420) 사용자 단말(110)에 정렬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10)은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S430). 이 때, 정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기술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아 처리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다. 우선,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아 서버부(120)에 전달한다(S510). 다음 서버부(120)는 저장부(140)에서 컨텐츠 수명 계산에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읽는다(S520). 다음으로 서버부(120)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여 계산을 요청하고,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는 상기 [수학식1]을 적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수명을 계산한다(S530). 그리고, 서버부(120)는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을 전달 받은 후 저장부(140)에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정보 중 "추천" 또는 "반대"의 값을 갱신하고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도 갱신하여 저장한다(S540). 이 때, 만일 컨텐츠의 키값과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이 컨텐츠 수명 계산 요청시(S530)에 이미 서버부(120)로부터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에 전달되었다면 컨텐츠 수명 계산부(130)가 직접 저장부에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과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을 갱신 및 저장을 요청할 수도 있다(S540).
이와 같은 실시예는 컨텐츠의 수명 계산이 중복되지 않고,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반응 입력시에 컨텐츠 수명을 선처리하여 저장하여 놓으므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데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표4]의 뷰에 컨텐츠의 종료시간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컨텐츠의 종료시간은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5
즉, 컨텐츠의 종료시간은 컨텐츠가 유효한 마지막 일시를 의미하는 컨텐츠의 속성으로서, 컨텐츠가 유효한 기간을 의미하는, 컨텐츠 수명에 포함되는 하위개념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컨텐츠의 종료시간을 상기 [수학식3]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저장하면, 컨텐츠를 종료시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추출 및 제공하는 데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컨텐츠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제1영역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으로서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설정한 표시기간 또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계산한 표시기간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표시기간이 1일인 경우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007년 1월 1일"의 날짜로 표시된다.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기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위시간 단위로 구간을 나누어 표시한다. 도 7의 경우는 단위시간을 1시간으로 하고 있으므로, 표시기간인 1일을 단위시간인 1시간 단위로 24개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구간에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를 수명에 따라 단위시간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구역으로써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수명이 3시간인 컨텐츠는 컨텐츠의 생성시간부터 컨텐츠의 종료시간까지 3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구역으로써 표시된다. 여기에서 구역이란 컨텐츠의 수명이 걸쳐 있는 구간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구간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7의 경우는 2007년 1월 1일 오전4시 59분 현재 24시간 내의 유효한 수명을 갖는 글을 표시하고 있는데,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6
Figure 112007038853356-PAT00017
는 가중치로서 0.5의 값을 갖고, 수명의 단위는 1단위가 1시간을 의미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또 새로 생성된(t=0) 컨텐츠 수명은 1시간을 가진다. 즉, 새로 쓰여진 글은 1시간의 기본 수명을 갖고, 1번 추천을 받을 때마다 해당 글의 수명은 30분씩 늘어나며, 1번 반대를 받을 때마다 해당 글의 수명이 30분씩 줄어든다. "최희섭의 국내리그......"의 제목을 갖는 컨텐츠는 2006년 12월 31일 오전 7시30분 경에 쓰여지고, 7시간30분의 수명을 가지므로 컨텐츠의 종료시간은 2006년 12월 31일 오후 3시가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중치 값과 수명의 단위 및 기본 수명값은 시스템의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24시간으로 선택된 한 페이지에 표시할 기간의 값은 시스템의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부(110)에서 수집하여 서버부(120)에 전달된 사용자 단말부(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성으로써 자동계산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기간을 자동계산하는 데 쓰이는 변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성값으로는 화면의 해상도,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의 프레임 또는 내부의 뷰의 크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다른 변수로서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할 크기 등이 될 수 있다. 즉, 화면의 크기와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할 크기로서 한 화면에 보일 수 있는 적절한 컨텐츠의 개수를 계산하고, 현재 시간부터 소급하여 상기 계산된 개수의 컨텐츠만을 선택하여 정렬하고 표시한다.
이 때, 한 개 이상의 컨텐츠가 겹쳐서 표시될 경우는 상기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레이어 구조로 표현한 후에,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장치가 해당 컨텐츠 영역 위에 놓여졌을 때, 해당 컨텐츠의 레이어 표현 순위를 최상위로 변경하여 표현함으로써 다수의 글이 표현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가독성을 해하지 않을 수 있다.
표현기간 내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의 종료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컨텐츠의 종료시간은 상기 [수학식3]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표현시에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시간에 수명과 함께 계산된 값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7의 경우는 현재시간인 2007년 1월 1일 오전 4시 59분부터 표현시간인 24시간 이전, 즉 2006년 12월 31일 오전 5시 이후에 종료시간을 갖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를 표현할 경우 현재까지 수명이 유효한 컨텐츠 및 종료시간이 임박한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최근의 컨텐츠 및 사용자의 "추천"을 많이 받아 유효한 컨텐츠 즉, 양질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료시간이 임박한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반응을 유도하여 해당 컨텐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표시된 컨텐츠는 사용자의 반응으로써 수명이 연장되기도 하지만, 다른 사용자의 관련 컨텐츠가 새로 생성됨으로써 해당 컨텐츠가 관련한 주제가 화두가 되고 대중의 관심 또는 트렌드가 연속성 있게 이어질 수 있기도 하다. 일 실시예로서 원문에 관련된 컨텐츠에는 원문에 대한 링크를 표시하거나, 트랙백, 태그 등의 방법으로 컨텐츠 간의 관련성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반응 중에서 "반대"의 값이 커서 수명이 0 이하의 값을 갖 게 되는 경우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서 표시영역에 표현할 수도 있고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표현하지 않는다면, 컨텐츠를 의도적으로 삭제하지 않고도, 단지 사용자의 반응만으로 질이 좋지 않은 컨텐츠를 자정하여 걸러내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현기간 내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의 기준은 컨텐츠의 종료시간 이외에도 글을 쓴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를 과거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경우의 표현방식은 약간 다르다. 과거 일정시점으로부터 표시기간 이전까지의 기간에 종료시간을 갖는 컨텐츠를 표현할 뿐이고, 과거 일정시점 이후의 모든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검색시작시점 이후에 종료시간을 갖는 컨텐츠는 표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 컨텐츠가 갖는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컨텐츠가 갖는 속성 중 "추천" 횟수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거나 "반대" 횟수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거나, 수명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 과거 일정 기간에 컨텐츠 생성 시간 또는 컨텐츠 종료시간이 걸쳐 있는 모든 컨텐츠에 대해서 상기 "추천" 횟수, "반대" 횟수 또는 수명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해당 기간에 가장 화두가 되었던 사건이나 주제를 알 수 있어 당시의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상기의 방법으로써 표현된 컨텐츠 테이블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설정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도 7의 경우 1시간 후에는 2006년 12월 31일 오전 6시부터 2007년 1월 1일 5시 59분까지의 기간으로 테이블이 구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과거의 컨텐츠는 화면의 표시영역 밖으로 밀려나고 현재의 새로운 글이 화면의 표시영역으로 새로이 추가되어 표현된다. 따라서 상기 도 7의 경우 12시간 후에는 2006년 12월 31일 오후 5시부터 2007년 1월 1일 오후 4시 59분까지 표현되므로, "장성호의 만루홈런......"의 제목을 가진 컨텐츠는 1시간 남짓의 남은 수명으로 표현되고, 그 이전의 세 컨텐츠는 표현되지 않을 것이며, 그 이후의 "내일 잠실에 같이 가실......"의 제목을 가진 컨텐츠와 "김인식 감독의 설전에......"의 제목을 가진 컨텐츠는 새로 생성된 컨텐츠와 함께 화면의 표시영역에 표현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면의 표시영역이 시간의 흐름을 동기화하여 표현해야 할 것인데, 사용자 단말부(11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웹브라우저인 경우라면 Ajax, IFrame, dynamic JS 등을 통해 서버와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표현 방식은 기존의 컨텐츠 게시판에서 사용하였던 단순히 정렬하여 표현하는 방식과 선택적으로 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 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글에 수명을 부여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질의 컨텐츠에 접근하기 쉽다.
둘째, 시간단위로 정렬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질의 컨텐츠를 보다 시각적인 방법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가 갖는 수명을 늘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 기대되므로 인터넷공간에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순기능을 갖는다.
넷째, 과거 일정 시기에 관심의 대상이 된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은 컨텐츠 추천의 반응 또는 컨텐츠 반대의 반응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명 계산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 상기 반응에 따른 가중치값 및 컨텐츠의 현재 수명을 기초로 하여 상기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따른 가중치값 및 수명의 단위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명 계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여 상기 서버부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부는 컨텐츠 수명 계산부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 수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명 계산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수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재부터 소정의 표시기간 이내의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간은 시스템의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간은 컨텐츠 목록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속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10.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입력 받는 (a) 단계;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b)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컨텐츠 수명으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중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은 컨텐츠의 추천 반응 또는 컨텐 츠 반대의 반응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 상기 반응에 따른 가중치값 및 컨텐츠의 현재 수명을 기초로 하여 상기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따른 가중치값 및 수명의 단위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계산된 컨텐츠 수명으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반응을 기초 로 하여 컨텐츠 수명을 계산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수명으로 컨텐츠 목록을 정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16.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을 표시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기간을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간으로 표시한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표시된 구간에 서버부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를 수명에 따라 구역으로 표시한 제3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역을 레이어로 표현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갱신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19.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을 표시하는 제1단계;
    상기 표시된 기간을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간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표시된 구간에 서버부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를 수명에 따라 구역으로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구역을 레이어로 표현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기간, 표시된 기간을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된 구간 및 컨텐츠가 표시된 구역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51493A 2007-05-28 2007-05-28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80111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93A KR20080111180A (ko) 2007-05-28 2007-05-28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93A KR20080111180A (ko) 2007-05-28 2007-05-28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180A true KR20080111180A (ko) 2008-12-23

Family

ID=4036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93A KR20080111180A (ko) 2007-05-28 2007-05-28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1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410A (ko) * 2013-01-24 2014-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중 기간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3A (ko) * 2003-08-2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추천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1235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6683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컨텐츠의 유통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3A (ko) * 2003-08-2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추천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1235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6683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컨텐츠의 유통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410A (ko) * 2013-01-24 2014-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중 기간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915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product evaluation
JP4859892B2 (ja) 商品広告配信装置、商品広告配信方法、及び商品広告配信制御プログラム
Hsieh et al. Assessing web services of emerging economies in an Eastern country—Taiwan's e-government
CN106327339A (zh) 用于社交网络中的推送通知的第二通道排序器
JP2015537319A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をプッシュ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970326B (zh) 一种用于共享用户的情绪指示信息的方法和设备
US20100192055A1 (e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to interact with source files in networked environment
US20130066800A1 (en) Method of aggregating consumer reviews
JP201451382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及びそれらの使用
US20150294020A1 (en) System and/or method for evaluating network content
JP2006323629A (ja) ウェブサーバのページ更新のための情報を解析するサーバ、ウェブサーバ及びページ更新方法
CN107766470A (zh) 一种数据分享的智能统计方法、智能统计显示方法及装置
KR101610847B1 (ko) Sns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CN104769624A (zh) 基于实体的广告定向
US10062088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20099092A (ko) 광고 표시 서버 장치, 광고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AU2009280854A1 (en) Method to se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campaign to a related object by selecting the base object
CN102298621B (zh) 基于关注度的同源信息搜索引擎聚合显示方法的获取网页用户关注度PageFocus的系统
JP2014044508A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Lau et al. Profiling trusted information sources for Chinese tourists traveling to Pacific SIDS
US200901128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a composition with relevant content pointers
KR20080111180A (ko) 컨텐츠 수명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10070557A (ko)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3839A (ko) 객체중심 블로그의 서비스 및 광고방법
JP2011028645A (ja) 広告コンテンツ検索装置および広告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