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723A - 기관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관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0723A KR20080110723A KR1020080124881A KR20080124881A KR20080110723A KR 20080110723 A KR20080110723 A KR 20080110723A KR 1020080124881 A KR1020080124881 A KR 1020080124881A KR 20080124881 A KR20080124881 A KR 20080124881A KR 20080110723 A KR20080110723 A KR 200801107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heal tube
- present
- fixing device
- wing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와 결합가능한 고정용 캡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의 수술 등에 있어서도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치과나 성형외과 및 이비인후과 등의 병원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하거나,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치아보호부재를 형성하여 수술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관튜브(Endotracheal Tube), 기관(Trachea), 커프(Cuff),치아보호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와 결합가능한 고정용 캡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며,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의 수술 등에 있어서도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치과나 성형외과 및 이비인후과 등의 병원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하거나,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치아보호부재를 형성하여 수술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도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기관튜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관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크기에서 차이가 있을 뿐, 산소공급용 어댑터(1001), 튜브(1002), 커프(1003), 그리고 커프팽창용밸브(1005)를 포함한다. 상기 커프(1003)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커프(1003)가 구비되 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로 상기 기관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춰져야 한다.
상기 산소공급용 어댑터(1001)는 기관튜브가 환자의 기도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후 산소공급장치와 연결됨으로써 환자에게 산소 및 흡입마취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튜브(1002)는 Clear PVC, Siliconized PVC 또는 Clear Polyurethane 등의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가진 물질로 제작되고 상기 산소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산소 및 흡입마취제가 환자의 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관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커프(1003)는 상기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역할과 기관을 폐쇄시켜 기관튜브를 통해 투입된 산소 또는 마취제 등의 가스가 폐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튜브(1002)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고, 환자의 기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프(1003)만으로는 상기 기관튜브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는 기관튜브를 환자의 기도에 삽입한 후 주사기를 통해 상기 커프(1003)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상기 커프(1003)의 팽창을 통해 상기 기관튜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사기와 결합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는 기관튜브가 환자의 기도(2003)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기관튜브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킨 후에는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킴으로써 기관튜브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기관튜브의 삽입시에는 상기 기관튜브가 식도(2001)에 삽입되지 않도록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해야하고, 상기 커프(1003)가 팽창된 후 및 팽창되기 전의 모습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기관 튜브 등과 같은 삽관 장치는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이용되어 지는데 산소, 의약품 등 및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기도에 막히지 않은 도관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대부분의 상황, 특히 응급상황(Emergency State) 및 마취를 위한 기관삽관(Intubation) 시에서 적절한 기도 유지는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볼 수 있는데 환자에게 통기 루트를 제공하고 기도를 고정시킬 수단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이는 결국 되돌릴 수 없는 뇌손상으로 이어지게 되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상기 수술의 시행 전 환자의 의식 소실, 감각 차단, 운동 차단 및 반사 차단을 위해 여러 가지 약물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수술에 필요한 최적의 생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취 과정은 필수적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관련한 기관튜브는 전술한 마취 유형 중 전신마취, 특히 흡입마취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이다. 즉, 전신마취는 기도를 통해 투여된 전신마취제가 흡수되어 뇌에서 일정한 농도에 도달하면 의식을 잃게 되며 마취가 시작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러한 전신마취에 있어서는 기도 유지가 가장 중요하므로 대부분 기관 내에 튜브를 삽관한 다음, 손이나 또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조절호흡을 시행하게 되므로 기관튜브는 전신마취 전 반드시 구비되고, 상태가 체크되야 할 중요한 도구가 된다. 또한, 기관튜브를 사용하게 되는 의료상황도 상당히 광범위하여, 먼저 모든 종류의 수술에 있어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우라면 기관튜브가 사용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폐환기 부전이 있을 때 환기를 보조하기 위하여 또는 후두반사가 적절하지 못할 때 폐를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위 내용물의 흡입 위험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 개흉술같은 양압환기가 필요한 수술의 경우, 수술할 때 환자의 체위가 좌위·측와위 또는 Trendelenburg 체위인 경우, 마스크로는 기도확보가 어렵고 양압환기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두경부 혹은 기도에 대한 수술을 할 때 기도유지가 요구되는 경우, 그리고 마취의가 수술시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어야 할 경우나 기도확보가 어려운 환자를 수술할 때 기관튜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관튜브는 기도 내 흡입을 막을 수 있다는 점, 인공환기시 사강(Dead Space,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고, 폐의 확장력이 좋아져 효과적인 환기를 할 수 있다는 점, 기도내 직접흡입이 가능하고 위팽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안면과의 밀착 필요가 없으므로 장시간의 기도관리가 유리하다는 점 등을 볼 때 다른 인공호흡 용구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기관 튜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polyvinyl chloride로 만든 일회용 튜브이며, 체온에서 기도의 모양에 따라 틀에 맞게 변형되고, 튜브의 내면이 매끄러워서 흡입용 도관이나 굴곡성 기관지 경에 쉽게 통과할 수 있다. 기관 튜브의 크기는 튜브의 내경(ID : Internal Diameter)이 되는데 밀리미터로 측정해서 0.5mm 마다 번호를 붙이며 일부제품은 French 크기로 표시되어 있는데 기관 튜브의 원주 즉 외경(OD : Outer Diameter)에 따라 원주율을 곱한 수치가 번호가 된다. 따라서 같은 French 크기라도 튜브벽의 두께에 따라 기능공간인 내경이 달라지게 되며, 기낭이 부착된 튜브는 성인이나 나이 든 소아에서 사용하는데, 기낭을 팽창시켜 폐쇄 회로를 유지시켜 주고, 폐환기의 조절을 용이하게 해주며, 구토물이나 혈액의 흡입가능성을 줄여준다. 기낭이 없는 기관튜브는 8세 이하에서 사용하는데 기관의 허혈을 막기 위해 임상적으로 기관튜브 누출압을 이용한다. 기관튜브의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내경(ID, mm) = (16 + 나이) × 1/4 공식을 쓰거나 소아의 새끼손가락의 끝마디의 굵기나 콧구멍의 크기를 보아 정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ID. 7.5~8.5 Fr, 성인 여자의 경우 ID. 7.0~7.5 Fr, 그리고 소아의 경우 ID. 4.0~5.5 Fr이 적당하다.
이제 기관튜브의 삽입방법 및 고정방법, 그리고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기관튜브 삽입을 위해서는 먼저 튜브의 선택과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적합한 기관 튜브의 선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크기를 결정하고, 장갑, 안면보호 마스크, 가운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를 중립이나 약간 신전된 자세에 위치시키고 목이 과 신전 되지 않도록 하며 적절하게 손으로 기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멸균용 흡입 장비를 준비하고, 후두경의 날, 몸체, 전등 등을 확인하며 특히 기관튜브의 커프(Cuff)가 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고정장비, 교합저지기, 주사기, 스타일렛(탐침), 윤활제, 청진기, 흡입기와 팁 등을 준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준비가 마쳐지면, 이제 기관튜브를 삽입하게 되는데 먼저 환자의 머리와 목을 약간 신전시키며, 이 경우 외상시에는 경추를 움직이지 않도록 매우 주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후두경을 왼손에 잡고 환자의 입 오른쪽에 서부터 왼쪽으로 움직이며 혀를 왼쪽으로 밀치는데, 구강 내 분비물이 많은 경우에는 흡입을 실시한다. 후두경이란 성문을 직접 보기 위해 이용하는 도구를 말하며 손잡이와 날 및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두경은 날에 따라 이를 구분하는데 직형날(Straight Blades)와 곡형날(Curved Blades)의 두 종류가 있으며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가 개인마다 다르고, 선천적·후천적 질병에 따라 구조가 변하므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후두경 날의 형태, 광원, 굴곡성 등에 특성을 가진 후두경이 구비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후두경을 준비하고 후두경 날을 천천히 조심스럽게 삽입한 후에는 환자의 아래턱이 올라갈 정도로 후두경을 들어올리며, 후두경 날을 지렛대처럼 사용하는 경우 이와 연부조직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노출된 성문에서 눈을 떼지 않은 채 기관튜브를 조심스럽게 입안으로 집어넣는데, 집어넣는 동안 보조자에게 윤상연골 누르기(셀릭법)를 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위액의 역류를 방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중지로 연골의 양쪽 옆 부분을 잡고 눌러주며 기관튜브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이를 유지해야한다.
기관튜브를 기도 내로 삽입시킬 시에는 반드시 기관튜브가 성문으로 들어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해야 하며, 기관튜브의 끝이 성문을 통과하면 1~2 Cm 정도 더 짚어 넣고 스타일렛을 제거한다. 이 경우 기관튜브 삽입의 이상적인 깊이는 기관튜브의 끝이 성문과 용골(Carnia, 카니아)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관튜브삽관은 가능한 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 삽관하도록 하며, 호흡이 있는 환자의 경우 거친 삽관이 후두의 경련을 초래할 수 있는바 삽관을 너무 서둘러서는 안된다.
삽관을 마친 후에는 저항이 느껴질 때까지 커프(Cuff)를 팽창시키고 주사기를 제거하는데, 커프(Cuff)는 삽관 후 바로 팽창하여 기도 내 흡입을 방지하도록 하며, 커프(Cuff)의 지나친 팽창은 점막의 손상, 기도와 식도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기관튜브의 옆부분에 삽입한 깊이를 표시하고 삽입 깊이를 측정, 표시하며 폐의 양쪽과 위에 대한 호흡음을 청진하여 적절하게 삽관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위치를 변경하도록 한다. 적절한 기관튜브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양쪽의 호흡음이 균등한지 여부, 환기시 복부음이 들리지 않는지 여부, 배기시 튜브에 서리가 끼는지 여부, 환기시 가슴이 충분히 팽창하는지 여부, 그리고 삽관시 튜브가 성문을 통해 들어가는 것을 직접 확인했는지 여부(구강 삽관의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관튜브가 어긋나지 않도록 계속해서 손으로 고정한 채 유지해야하며, 삽관 후에는 환자가 튜브를 물어 질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교합저지기(Bite Block)를 삽입하고 기관튜브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무호흡 환자의 경우 삽관을 위해 인공환기가 정지되는 시간은 30초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관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장점을 갖는 반면, 수술 후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상기 합병증 중 대표적인 예가 인후통(Sore Throat)과 애성(Hoarseness) 이다. 인후통(Sore Throat)과 애성(Hoarseness)은 기관 내 삽관을 이용한 전신마취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인후통은 대개 72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일시적인 합병증이지만 환자에게는 상당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수술 후 인후통의 빈도는 24~65%, 애성은 13~40%로 보고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많은 환자에게서 나타난다는 것이 이미 알려진 바이며, 발생원인으로는 기관 튜브의 직경, 커프의 종류, 윤활제의 사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원인 중 커프의 과다한 증폭이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러한 인후통을 저감시키는 방안으로 종래에는 커프에 Lidocaine을 주입하여 Lidocaine이 커프막을 통해 확산되어 기도점막에 마취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인후통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 등을 시도하여 왔으나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어, 결국 인후통의 저감방안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커프의 적절한 팽창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커프를 적절하게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커프가 기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임을 고려할 때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커프의 위치고정을 위해 커프에만 의존하다 보니, 산소와 마취제 등의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팽창 범위를 넘어서서 과도하게 팽창시키는 경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실제 의료 상황에 있어서 기관 튜브의 적절한 선택, 삽입 및 고정은 매우 어려운 일로써 비록 숙련되고 노련한 의사라 하더라도 기도가 고정되어야 하는 상황 또는 인체적 다양성으로부터 기인한 많은 요소들에 의해 실수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기관 튜브를 환자의 기도로 끼워 넣는 작업을 하는 동안 오직 인체 후두의 미세한 시각에 의존하게 되므로 자칫 기관 튜브를 식도 에 삽입할 가능성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기관 튜브를 과도하게 삽입하면 튜브가 한쪽 폐로 연결되는 혈관에만 삽입됨으로써, 공기가 기관 튜브를 통해 양쪽 폐로 공기가 공급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쪽 폐로만 공급되어, 환자가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치명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의사가 직접 기관튜브를 삽입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삽입된 기관튜브를 환자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건드려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며, 결국, 기관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함으로써 여러가지 치명적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기관 튜브를 올바로 삽입한 경우라 하여도, 삽입한 기관 튜브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별개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데, 종래에는 보통 기관 튜브 주위를 반창고로 감고 입 주위 피부에 반창고를 붙임으로써 고정하는 방법을 따른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창고를 입 주위 피부에 붙이는 경우 삽입한 기관 튜브가 입안에 확실하게 고정이 되지 않아 튜브가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손으로 빼는 경우가 생겨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튜브의 조그만 이동에 의해서도 튜브가 기관 밖으로 빠져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반창고로 인하여 피부가 약한 환자의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임상적으로 다수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반창고로 기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보통 두 사람이 협조하여 튜브고정을 하게 되므로 인력낭비도 심하고, 기관 내 가래 등의 분비물을 제거할 때 환자 가 고통스러워 목 등을 움직일 때 튜브가 흔들려 빠질 위험성도 있으며, 환자의 타액분비물에 의해 반창고 붙인 부위가 잘 떨어지기도 하며, 특히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써 기관 튜브를 입에서 목 둘레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관 튜브에 튜브고정밴드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통해 환자의 머리에 밴드를 감아 기관 튜브를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기관 튜브를 정확한 위치에 완벽하게 고정시키는 일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든 것이었으며, 이론적으로 기관 튜브의 정확한 고정이 이뤄진다고 볼 수 있더라도 고정된 기관튜브를 치료과정상 필요에 따라 이동하여 재고정시키는 경우 밴드를 해체하고 기관튜브를 재배치한 후 다시 밴드를 감게 되므로 응급을 다투는 의료상황에서 이러한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 되어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교합저지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교합저지기는 환자가 튜브를 물어 질식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통기를 위한 도관(Air Way)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입안 또는 기도 내 이물질 제거를 위한 흡입(Suction) 작업이 요구될 경우, 상기 교합저지기의 삽입 후 생기는 공간을 이용하여 흡입(Suction) 작업을 하는 방법을 따랐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Suction) 작업은 밴드 등을 사용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종래 방법에 의할 시 흡입(Suction) 작업을 위한 공간확보 측면에서나 흡입(Suction) 장비의 이동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입안을 수술하거나,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 단순한 밴드 부착만으로는 수술이 곤란하거나 고정된 기관 튜브가 움직일 가능성이 증대되는바, 종래기술만으로는 신속, 정확한 의료 행위가 어려워지는 심각한 결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에 있어 더욱 심각해지는데 단순한 밴드 부착방식 만으로는 삽입된 기관튜브를 완벽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결국 수술진행 중 기관튜브가 분리되어 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손상, 더 나아가서는 생명마저 잃을 수 있는 잠재적 위험가능성이 항상 상존해 왔다고 볼 수 있으며, 게다가 종래기술은 기관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므로 커프(Cuff)의 과다 팽창으로 인해 전술한 기관 튜브 삽입 후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 특히 인후통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관 튜브가 요구되는 의료상황이란 대게 수초에 따라 환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매우 긴박한 응급상황임을 고려한다면 전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밴드를 감는 방식으로 기관 튜브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우므로 현실적으로 따르기 어려운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치과나 성형외과 또는 이비인후과 분야에서 입속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 등을 하는 경우, 고정된 기관튜브를 움직이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 될 뿐 아니라, 입안 또는 기관내 가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도 밴드 부착방식과 같은 종래기술은 고정된 밴드의 해체 및 기관튜브의 재삽입, 그리고 삽입된 기관튜브의 재고정 과정상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상황 및 마취를 위한 기관튜브 삽관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과 같이 2인 이상이 협력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롭고, 별개의 노동력을 요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자 혼자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기관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수개의 다기능 홀을 포함시킴으로써 고정된 기관튜브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흡입(Suction)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흡입(Suction)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아랫날개의 실시 태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가 사용되는 환경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여 다변화되는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에도 필요에 의해 치아를 따라서 상기 기관튜브 고정 장치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안을 수술하거나 삽입된 기관튜브가 삽입위치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의 수술, 즉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위치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윗날개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다양한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구조에 적절히 대응가능하고, 별도의 기도유지도구 없이도 자연스럽게 기도유지가 가능한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장치를 통해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커프의 과도한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도한 팽창에 의한 인후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삽입공을 포 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교합부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윗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아랫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치아보 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캡용중공부를 갖는 고정용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캡과 상기 몸체의 결합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삽입 후 상기 삽입공에 소정의 삽입부재를 더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삽입 후 상기 몸체와 기관튜브를 상호 소정의 접착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몸체부와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갖는 치아보호부재가 제1몸체와 제2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압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몸체는 래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래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내주면 상에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몸체는 일정 외주면 상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정 위치에 압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은 그 내주면의 일정 위치에 상기 압입홈에 대응하는 압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4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래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래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제1고정용 캡 및 제2고정용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용 캡 및 상기 제2고정용 캡이 상기 몸체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압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압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압입 돌기의 크기는 상기 압입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요면(凹面)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철면(凸面)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제1고정용 캡은 래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용 캡은 래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몸체 외주면은 수개의 몸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윗날개가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다양한 환자의 구강구조나 치아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외주면 및 상기 윗날개 내주면은 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윗날개가 상기 몸체 외주면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와 결합되는 기도유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도유지구는 상기 기관튜브가 삽입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그 하단을 절개한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는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삽입, 분리시 수축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통한 기관튜브의 고정시에는 팽창상태가 되도록 하는 벌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8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는 수개의 다기능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9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윗날개 및 상기 아랫날개는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기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0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기구삽입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일측은 커프 팽창을 위한 도관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삽입홈은 삽입되는 상기 도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커프팽창용도관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갖는 치아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의 내주면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캡은 그 일측이 상기 몸체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에 기관튜브를 단순히 상기 커프 및 고정테입 만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상기 고정용 캡 및 상기 몸체를 이용하여 기관튜브가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가 빠질 수 있는 가능성 및 고정위치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손으로 빼냄으로써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 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테입 없이도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고정테입 사용시의 문제점 중 하나인 접촉성 피부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기관튜브의 삽입시에도 상기 캡용 중공부 및 상기 삽입공을 따라 간단히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시에도 상기 고정용 캡을 돌리는 것만으로도 상기 본체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명 이상이 작업해야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인건비를 낮추고 응급상황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프의 과도한 팽창없이도 삽입된 기관튜브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 사용시 중대한 문제점인 인후통 등의 후유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환자를 엎드려 놓고(Prone Position) 수술하거나 입속을 수술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된 기관튜브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에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개의 다기능홀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줄을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거나 흡입(Suction)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흡입(Suction)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삽입된 기관튜브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고정된 기관튜브의 해체 및 재고정 작업 없이도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별도의 기도유지도구 없이도 자연스럽게 기도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까지 도모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장치를 통해 기관튜브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커프의 과도한 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도한 팽창에 의한 인후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견고히 고정한 후 시술할 때 치아나 구강의 천정이나 잇몸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몸체(1), 윗날개(3) 및 아랫날개(5)와 치아보호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는 중공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 형상이고, 기관튜브 삽입을 위한 삽입공(11)을 가지며, 상기 윗날개(3)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결합부(16a)와,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는 교합부(16b)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공(11)은 상기 몸체(1)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써 기관튜브의 삽입을 위해 요구되며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에 맞추어 그 직경(11D)이 결정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은 각각 달라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결합부(16a)는 상기 윗날개(3)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기관튜브 고정작업 완료시 환자의 치아 밖으로 돌출되게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치아나 구강구조에 적합하도록 상기 윗날개(3)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구비된다.
상기 교합부(16b)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기관튜브 고정작업 완료시 환자의 치아에 맞물리게 되고, 또한 상기 윗날개(3)의 이동시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교합부(16b)는 중공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 형상이며,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 사용시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환자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상기 교합부(16b)를 강하게 무는 경우에도 삽입된 기관튜브까지 맞물리게 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다소 강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교합부(16b)의 길이(L)는 환자의 치아가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 사이에 위치하되, 윗날개가 치아의 전면에 그리고 아랫날개가 치아의 뒷면에 접하도록 하여 고정장치가 전후(C방향, 도 44 참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좌우(B방향, 도 43 참조)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환자의 치아가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이동을 방해할 정도 로 강하게 상기 교합부(16b)를 물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치과 또는 성형외과 상의 입안 수술 내지는 편도선 수술 또는 흡입(Suction) 작업을 요하는 경우 등에 있어 고정된 기관튜브의 이동이 필요한 때에도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치아를 따라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수술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교합저지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Suction) 작업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공간상의 제약 및 이동의 곤란성으로 인해 상기 흡입(Suction) 작업등이 매우 힘들고 비효율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상기 교합부(16b)의 외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환자가 교합부(16b)를 강하게 물때 또는 고정장치를 물고 좌우로 이동할 때 등의 상황에서 환자의 치아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하는데 다소 탄성을 가지며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 고무재, 우뢰탄 등의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합부(16b)의 외주면에 일체형 또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가 상기 치아보조부재(7)의 몸체부(71)를 물개함으로써 본 발명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필요에 따라 이동하며 시술할 때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b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을 보호하기 위하여 윗날개(3) 방향으로 몸체부(71)를 연장하여 절곡시킨 것으로 즉,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 장부(7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c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안쪽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몸체부(71)를 연장하여 절곡시킨 것으로 즉,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하부연장부(73)를 구비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d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e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잇몸 안쪽을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과 함께 잇몸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아랫날개(5) 전체를 하부연장부(73)로 감싸는 것은 시술시 딱딱한 아랫날개(5)가 환자의 구강내 천정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f는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입술안쪽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 바깥쪽과 입술안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윗날개(3) 전체를 상부연장부(72)로 감싸는 이유는 시술시 딱딱한 윗날개(3)가 환자의 입술안쪽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이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보다 작은 경우 소정의 삽입부재(100)를 삽입하여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예를 알 수 있다.
즉, 사용되는 다양한 기관튜브의 직경(d)에 맞추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상기 직경(d)보다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이 큰 경우라 하여도, 소정의 상기 삽입부재(100)를 상기 삽입공(11)과 상기 기관튜브간의 간극에 끼워넣음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1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종이 등을 끼워넣어서 간극을 메우는 일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관튜브의 직경(d)이 상기 삽입공(11)의 직경(11D)보다 작은 경우, 소정의 고정부재(200)를 기관튜브(1002)의 둘레를 감은 뒤 다시 고정장치에 부착고정함으로서 기관튜브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종류에도 제한이 없으며, 간단히 반창고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실시태양을 알 수 있다.
상기 윗날개(3)는 환자 치아의 전면(외부에서 보이는 면)에, 그리고 상기 아 랫날개(5)는 환자 치아의 뒷면(설측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된 기관튜브의 위치 변동을 차단하며 동시에 좌우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필요에 따라 구강내 세척이나 흡입(Suction)작업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타원형 또는 원형 또는 프로펠러형으로 제작가능 하다.
타원형날개의 경우, 후술하는 다기능 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형날개의 경우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이동범위가 넓어질 수 있고, 프로펠레형날개의 경우 치아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해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언하건대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날개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로 모두 사용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랫날개(5)의 실시태양을 알 수 있다.
도 11의 상기 아랫날개(5)의 경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아랫날개(5) 형상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처리됨으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 삽입시에도 환자에게 구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삽입부재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1의 상기 아랫날개(5)는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상기 몸체(1) 삽입을 위한 중공부가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동일 형상의 부재를 상기 윗날개(3)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아랫날개(5)로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장점은 별로 없을 것이다.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물었을 때 상기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 안쪽 잇몸을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를 윗날개(3)와 곡면으로 처리된 아랫날개(5)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절곡하여 곡면으로 처리된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아랫날개(5) 전체를 하부연장부(73)로 감싸는 이유는 상기에서와 같이 시술시 딱딱한 아랫날개(5)가 환자의 구강내 천정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에 상부연장부(72)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함으로써 시술할 때 등에도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치아보호부재(7)의 몸체부(71)에 의해 치아의 끝부분과 상부연장부(72)에 의해 치아의 바깥쪽을 하부연장부(73)에 의해 치아의 안쪽과 함께 안쪽 잇몸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도 13의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1)를 둘로 나누어 일측 끝단을 맞닿게 한 것으로, 제1몸체(1a) 및 제2몸체(1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1)와 결합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에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1a)는 상기 제2몸체(1b)와 결합하기 위한 압입돌기(13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1b)는 상기 압입돌기(13a)와 결합하기 위한 압입홈(13b)을 포함한다.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의 개수나 형상은 사실상 제한이 없으며 상호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1회용 의료기구의 범주에 속함을 고려할 때, 상기 압입돌기(13a)의 크기를 대응되는 상기 압입홈(13b)의 크기보다 다소 크도록 하여 억지 끼워맞춤이 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에 갈음하여 요면(凹面, 15b) 및 철면(凸面, 15a)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Press-Button 방식, 즉 똑딱단추 방식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압입돌기(13a) 및 상기 압입홈(13b)에 갈음하여 래치돌기(17a) 및 래치홈(17b)를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래치방식의 결합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즉, 핸드폰의 밧데리 교환 방식 등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예가 래치방식이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래치돌기(17a)가 상기 래치홈(17b)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넣어지면서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전술한 사항에 있어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1몸체(1a)가 상기 압입돌기(13a), 철면(凸面) 및 상기 래치돌기(17a)를 포함하는 예를 들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몸체(1b)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으로, 다만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에 포함되는 구성이 서로 대응되어 상호 결합 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도 13, 도 14 또는 도 15의 구성을 채택하여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를 결합하는 경우, 결합 완료시 형성되는 상기 몸체(1)의 상기 삽입공 직경(11D)는 상기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상기 기관튜브의 직경(d)보다 다소 작도록 하여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의 결합시 삽입된 기관튜브(1002)를 압착하도록 하여 다른 수단의 도움없이도 기관튜브(1002)가 견고하게 몸체상에 고정되게 한다. 물론 앞서 본 다른 고정 방식도 채택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몸체(1a) 및 상기 제2몸체(1b) 를 완전히 둘로 나눈 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압입돌기(13a), 철면(凸面) 및 상기 래치돌기(17a) 등에 관한 사항 및 도시된 구성을 택할 시의 장점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윗날개(3)가 상기 몸체(1)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1) 외주면은 몸체돌기(18)를 가지고, 상기 윗날개(3)는 상기 몸체(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윗날개(3)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환자마다 다른 치아구조나 구강구조상의 차이점에 기인하는 것이며, 즉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교합부(16b)가 환자의 치아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가 환자 치아를 사이에 두고 각각 치아에 접촉하는 구성을 택하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토록 하고, 기관튜브 삽입 후에도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환자 치아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바, 만약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 즉 환자 치아를 사이에 두고 각각 환자 치아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라던가 그 간격이 너무 좁아 환자의 치아가 삽입되지 않는다면 전술한 목적의 달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환자의 구강속으로 삽입한 후, 상기 윗날개(3)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목적의 달성이 가능해지며, 개별 환자마다 별도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맞춤 제작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의료환경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 외주면과 상기 윗날개(3)를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윗날개(3)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이동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최상 그리고 최하의 몸체돌기(18)는 그 사이에 위치된 몸체돌기(18)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윗날개(3)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 외주면을 따라 상기 윗날개(3)가 이동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강제이동, 즉 힘을 가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몸체돌기(18)에 상기 윗날개(3)가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몸체돌기에 접촉하는 상기 윗날개(3)의 부분(31)에 상기 몸체돌기(18)에 상보적인 형상을 부가할 수도 있다.예컨대, 상기 몸체돌기의 선단이 볼록한 곡면이면 상기 윗날개의 부분(31)도 상기 몸체돌기의 선단에 상보적인 오목한 곡면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상기 윗날개(3)에 상기 몸체돌기(18)에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시키는 것은, 상기 윗날개(3)가 상기 몸체돌기(18)를 타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 외주면 및 상기 윗날개(3) 내주면이 나사산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몸체(1)와 상기 윗날개(3)는 나사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나사진행방향으로 상기 윗날개(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윗날개(3)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윗날개(3)의 회전에 걸림이 없도록 환자의 구강구조를 고려하여 상기 윗날개(3)의 크기 및 형상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술한 상기 몸체돌기(18)의 경우와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윗날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몸체(1)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만 상기 나사산(19a)을 형성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태양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상기 아랫날개(5)에 결합된 소정의 기도유지구(70)를 포함한다.
상기 기도유지구(70)는 수술시 또는 응급상황시 혀가 말려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Air-Way장치의 구성을 그대로 따르며, 이처럼 상기 기도유지구(70)를 포함시킬 경우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혀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밀어내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고하게 환자의 기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환자의 기도확보가 최우선시 되는 응급상황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 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장점을 그대로 지닌채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경우, 상기 기도유지구(70)까지 관통하여 기관튜브를 삽입해야 하는바, 상기 기관튜브가 상기 기도유지구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로서 역할을 하는 중공부(70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703)는 상기 기도유지구의 일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심을 따라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기관튜브(100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기도유지구(70)는 날개(701)를 포함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703)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포함하여, 상기 날개(701)가 환자의 혀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서 날개와 혀간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결국 기도유지구가 환자의 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여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는 수개의 다기능 홀(31,51)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면상에는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 개(5) 모두에 상기 다기능 홀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 윗날개(3)에 포함된 상기 다기능 홀(31)은 상기 윗날개(3) 외측에 구비되며, 주로 고정줄을 연결하여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흡입(Suction)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도 6a에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보호부재(7)를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뭄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만으로도 삽입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나 수개의 다기능 홀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며, 또한 종래에는 기관튜브 삽입 후 환자의 입속에 침이나 기타 분비물 등이 고이는 경우 내지 치과, 성형외과 기타 이비인후과에서 입안을 수술하거나 편도선 수술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 흡입(Suction)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고정된 기관튜브를 해체하거나 상기 기관튜브의 주위로 흡입(Suction) 장치를 별도로 삽입하여 흡입(Suction)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는 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개의 다기능 홀을 둠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의해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이 이뤄진 경우라도, 엎드린 상태(Prone Position)의 수술 등과 같이 삽입된 기관튜브의 유동 가능성이 높은 경우 상기 다기능 홀(31)에 상기 고정줄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기관튜브의 고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줄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의 고정이 이뤄진 후에 상기 다기능 홀(31)에 상기 고정줄을 끼워넣고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줄을 목둘레에 감아 고정시킴으로써 이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홀(31)은 흡입(Suction)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흡입용 도구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해야 한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한 후, 수술 등의 진행에 따라 입안 또는 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삽입된 기관튜브를 해체함이 없이 상기 다기능홀(31)을 통해 상기 흡입(Suction) 장치의 튜브를 삽입하고 흡입(Suction) 함으로써 종래 기관튜브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흡입(Suction) 과정상 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도면상 상기 다기능 홀(31)은 두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늘릴 수 있으며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아랫날개(5)에 포함된 상기 다기능 홀(51)의 경우도, 상기 윗날개(3)의 상기 다기능 홀(31)과 하는 역할이 동일하지만, 상기 아랫날개(5)의 상기 다기능 홀(51)은 주로 흡입(Suction) 작업을 위해 포함된 구성인바 고정줄을 거는데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홀(31,51)에 갈음하여 기구삽입부(33,53)가 포함된 경우를 알 수 있으며, 상기 기구삽입부(33,53)는 직경이 큰 도구, 즉 기관지경과 같이 직경이 커서 상기 다기능 홀(31,51)로 관통시키기 어려운 도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가 상기 기구삽입부(33,53)를 포함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윗날개(3) 및 상기 아랫날개(5)의 일측으로 편향시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아랫날개(5)에 갈음하여 벌룬(6)을 포함한 경우를 알 수 있다.
상기 벌룬(6)은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삽입시에는 수축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삽입 후 소정의 주사기 등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상기 아랫날개(5)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벌룬(6)은 팽창시 침 또는 이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마취제의 투여시 마취제가 공기 중으로 확산됨으로써 원하는 마취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는 문제점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면상에는 상기 벌룬(6)에 공기가 삽입되는 통로인 튜브 및 밸브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커프(1003) 팽창을 위해 마련된 튜브 및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따르면 될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몸체(1) 일측 외주면에 삽입홈(12)이 형성된 경우를 알 수 있다.
상기 커프(1003)의 팽창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상기 커프(1003)를 연결하는 커프팽창용도관(1004)이 필요한데,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수납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이다.
즉, 상기 기관튜브(1002)와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기관튜브의 경우 상기 삽입홈(12)은 필요치 않을 것이나, 상기 기관튜브(1002)만을 삽입하고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통해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와 상기 커프(1003)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상기 삽입홈(12)에 삽입시킴으로써 간단하고, 간결하게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도 치아보호부재(7)가 형성되는데 상기 치아보호부재(7)는 커프팽창용도관(1004)을 수납하기 위한 삽입홈(12)이 형성된 몸체부(71)만 형성한 것, 상기 몸체부(71)와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하부연장부(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한 것, 몸체부(71)와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하부연장부(73)를 더 연장하여 아랫날개(5)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 몸체부(71)과 상·하부연장부(72,73)를 형성하되 상부연장부(72)를 형성하여 윗날개(3) 전체를 감싸도록 한 것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고정용 캡(9)을 포함하는 경우를 알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캡(9)은 2단으로 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기관튜브 삽입을 위한 캡용 중공부(9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의 상기 돌출결합부(16a)와 결합된 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용 캡(9)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직경보다 상기 고정용 캡(9)의 직경을 다소 작게 구성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한 재질 예컨대 고무,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한 후 억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을 결합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이 상기 돌출결합부(16a)를 가압하여 돌출결합부(16a)가 수축하여 삽입공(11)을 수축시킴으로서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기관튜브(1002)가 돌출결합부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는 돌출결합부의 재질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결합부(16a)는 절개홈(14)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홈(14) 포함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억지 끼워 맞춤을 통해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을 결합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상기 절개홈(14)을 사이에 두고 수축하여 삽입된 상기 기관튜브(1002)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는 실시예는 앞서 본 도 28의 실시예와 같이 돌출결합부의 재질을 탄성재질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14)은 상기 고정용 캡(9)이 사용되는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한 사항이며 이하에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0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용 캡(9)의 실시 태양을 알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내주면에 나사산(92a)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고정용 캡(9)과 결합되는 상기 돌출결합부(16a)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92a)에 대응하는 나사산(161a)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나사산에 의한 결합시,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의 결합 편의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내주면에 경사면(92b)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92b)은 상기 고정용 캡(9)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를 가지는데, 이처럼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상기 경사면(92b)을 포함하는 경우,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92b)이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돌출결합부(16a) 및 상기 고정용 캡(9)의 결합시 삽입된 기관튜브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경사면(92b)에는 나사산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나사결합의 진행에 따라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고정력이 더욱 강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2,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각각 압입돌기(93a), 철면(94b) 및 래치돌기(95a)를 포함하는 경우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캡(9)과 결합되는 상기 돌출결합부(16a)에는 각각 압입홈(93b), 요면(94a) 및 래치홈(95b)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고정용 캡(9) 하측에 상기 압입돌기(93a), 상기 철면(94b) 및 상기 래치돌기(95a)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상기 돌출결합부(16a)와의 결합시 결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포함되는 각 구성이 바뀌는 경우, 즉 상기 고정용 캡(9)이 압입홈(미도시), 요면(미도시) 및 래치홈(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상기 압입돌기, 철면 및 래치돌기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 간의 결합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즉 상기 압입돌기와 압입홈 간의 끼워맞춤 또는 상기 요면과 철면 간의 Press-Button 방식 결합 또는 상기 래치돌기와 래치홈 간의 래치방식에 의한 결합을 따르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 하단은 안내면(92c)을 포함하는데, 상기 안내면(92c)은 상기 고정용 캡(9)을 상기 몸체(1)에 체결할 때 상기 몸체(1)의 선단과 최초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용 캡(9)이 상기 몸체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용 캡(9)은 그 일측이 연결띠(15)를 통해 상기 몸체의 일정위치에 피봇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앞서 본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캡(9)이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캡과 몸체가 붙어 있어서 캡의 분실우려가 없는 등 취급상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캡(9)은 상기 고정용 캡(9)을 반 분한 제1고정용 캡(9a) 및 제2고정용 캡(9b)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용 캡(9a)은 각각 압입돌기(96a), 요면(97a) 및 래치돌기(98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용 캡(9b)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용 캡(9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각각 상기 압입돌기(96a), 상기 요면(97a) 및 상기 래치돌기(98a)에 대응하는 압입홈(96b), 철면(97b) 및 래치홈(98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은 각각 상기 압입돌기와 압입홈 간의 끼워맞춤 또는 상기 요면과 철면 간의 Press-Button 방식 결합 또는 상기 래치돌기와 래치홈 간의 래치방식에 의한 결합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용 캡(9)을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소정의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하는 경우, 삽입되는 기관튜브의 직경(d)을 상기 캡용 중공부(91)의 직경(91D, 도 12a 참조)보다 작게하고 돌출결합부가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시 기관튜브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앞서 본 절개홈(14)의 구성과 나사산의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을 완전히 둘로 나누고, 이를 다시 결합하는 예를 알 수 있으며 도 35 내지 도 37에 나타낸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7 내지 도 42에 도시된 상기 고정용 캡(9)에 의할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의 외경은 상기 고정용 캡(9)의 내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용 캡(9a) 및 상기 제2고정용 캡(9b)의 결합시 상기 돌출결합부(16a)에 억지끼워맞 춤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7 내지 도 42에 도시된 상기 고정용 캡(9)의 경우 상기 돌출결합부(16a)와 압입방식, Press-Button방식, 또는 래치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이는 앞서 수차례 살펴본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많은 실시태양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태양 중 고정용 캡(9)이 구비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도 43과 도 4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겠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너무나도 명백하다 할 것이다.
기관튜브가 사용되어야 할 응급상황 또는 입속을 수술하는 등의 상황발생시 먼저 환자의 입을 벌린 후, 상기 몸체(1)를 환자의 입속으로 삽입한다.
상기 몸체(1)의 삽입시 상기 윗날개(3) 하단이 환자 치아의 전면에 위치되어야 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교합부(16b)의 길이가 조절되어 환자의 치아에 맞물리도록 상기 아랫날개(5)의 상단은 자연스럽게 환자 치아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후두경 등을 사용하여 기관튜브의 정확한 삽입깊이를 파악하며 상기 캡용 중공부(91) 및 상기 삽입공(11)를 관통하여 기관튜브(1002)를 밀어 넣는 다.
상기 기관튜브가 정확한 깊이까지, 예컨대 상기 커프(1003)가 성대를 통과하여 1~2 Cm 정도 들어가는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 기관튜브를 밀어넣는 것을 멈추고 상기 커프팽창용밸브(1005)에 주사기를 결합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003)를 팽창시킴으로써 기관튜브를 임시로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돌출결합부(16a)를 결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사결합 하는 경우 상기 고정용 캡(9)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몸체(1) 간의 결합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용 캡(9) 내주면에는 이미 마련된 상기 경사면(92b)이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돌출결합부가 탄성재질로 된 경우 그리고 돌출결합부에 절개홈(14)이 구비된 경우 등에는, 나사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돌출결합부(16a)가 수축되므로 상기 삽입공(11)이 수축되면서 기관튜브의 외주를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 캡(9)과 상기 몸체(1) 간의 나사결합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관튜브(1002)는 상기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나아가 상기 몸체의 아랫날개(5)가 치아(T)의 뒷면에 그리고 윗날개(3)가 치아(T)의 전면에 접하여 고정장치(1)의 전후(화살표 C방향, 도 44 참조)유동이 없을 정도로 견고히 고정되므로, 환자가 몸을 뒤척이거나 무의식적으로 삽입된 기관튜브를 빼내려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된 기관튜브의 위치에는 전혀 변동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기관튜브는 고정장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커프(1003)를 산소와 마취제 등의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팽창시키면 되어서, 과도한 커프 팽창으로 인한 인후통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항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더라도,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화살표 B 방향)으로 치아를 따라 상기 기관튜브 고정장치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치과, 성형외과 기타 이비인후과 등의 수술에 있어 수술공간확보 및 흡입(Suction) 작업 등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도유지구(7)를 구비한 고정장치의 경우에는, 기도유지구의 날개(71)와 중공부(73)가 혀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혀를 가압함으로서 혀가 말려서 기관튜브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앞서 본 바와 같은 효과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기관튜브 및 커프 팽창시 사용되는 주사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환자에게 기관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커프가 팽창된 후, 도 4는 커프가 팽창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 중 치아보호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또는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또는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랫날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돌기에 따라 윗날개의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9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을 따라 윗날개의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절단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및 아랫날개에 다기능 홀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윗날개 및 아랫날개에 기구삽입부가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랫날개에 갈음하여 벌룬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이 포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0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의 다양한 실시예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7,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회동가능하도록 반분되고 끝단이 맞닿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0,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캡이 완전히 반분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환자의 치아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유지구를 가진 기관튜브 고정장치가 사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삽입공
11D : (삽입공) 직경 12 : 삽입홈
13a,93a,96a : 압입돌기 13b,93b,96b : 압입홈
14 : 절개홈 18 : 몸체돌기
15a,94a,97a : 요면 15b,94b,97b : 철면
16a : 돌출결합부 16b : 교합부
17a,95a,98a : 래치돌기 17b,95b,98b : 래치홈
19a : 나사산 3 : 윗날개
31 : 다기능 홀 33 : 기구삽입부
5 : 아랫날개 51 : 다기능 홀
53 : 기구삽입부 6 : 벌룬
7 : 치아보호구 9 : 고정용 캡
70 : 기도유지구
91 : 캡용 중공부 91D : (캡용 중공부)직경
92a : 나사산 92b : 경사면
92c : 안내면 1001 : 산소공급용어댑터
1002 : 기관튜브 1003 : 커프
1004 : 커프팽창용도관 1005 : 커프팽창용밸브
2001 : 식도 2003 : 기도
Claims (9)
- 기관튜브 고정장치에 있어서, 삽입공을 포함하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환자의 치아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윗날개 및 아랫날개와, 상기 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를 보호하는 치아보호부재와, 캡용중공부를 갖는 고정용 캡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캡과 상기 몸체의 돌출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삽입된 기관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교합부의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윗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아랫날개 방향으로 몸체부를 "┙┕"형상으로 연장·절곡시켜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하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아랫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치아보호부재는 몸체부를 윗날개와 아랫날개 방향으로 모두 연장·절곡시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형성한 후 상기 상부연장부를 더 연장·절곡하여 윗날개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돌출결합부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용 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튜브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ko) | 2008-12-09 | 2008-12-09 | 기관튜브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ko) | 2008-12-09 | 2008-12-09 | 기관튜브 고정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213A Division KR100902665B1 (ko) | 2007-01-31 | 2007-01-31 | 기관튜브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0723A true KR20080110723A (ko) | 2008-12-19 |
KR100902666B1 KR100902666B1 (ko) | 2009-06-15 |
Family
ID=4036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881A KR100902666B1 (ko) | 2008-12-09 | 2008-12-09 | 기관튜브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266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57272A (zh) * | 2011-09-13 | 2012-02-22 | 王秋筠 | 一种气管内插管术中使用的安全牙垫 |
CN107754066A (zh) * | 2017-10-20 | 2018-03-06 | 上海市肺科医院 | 一种改良型牙垫 |
WO2019177383A1 (ko) * | 2018-03-14 | 2019-09-1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후두 마스크 |
KR20230001814A (ko) * | 2021-06-29 | 2023-01-05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카테터 고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668B1 (ko) | 2012-10-18 | 2014-06-09 |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 기관튜브 고정장치 |
KR102042185B1 (ko) | 2019-05-09 | 2019-11-07 |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 멀티 기관튜브 고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70529A (en) * | 1979-03-26 | 1981-06-02 | Rudolph Muto | Endotracheal tube stabilizer |
US4944313A (en) * | 1989-09-06 | 1990-07-31 | E-Z-Em, Inc. | Single-use annular mouthpiece |
AU2001243206A1 (en) | 2000-02-22 | 2001-09-03 | U.S. Army Institute Of Surgical Research | Securing device for an endotracheal tube |
WO2001091838A1 (en) | 2000-05-31 | 2001-12-06 | U.S. Army Institute Of Surgical Research | Catheter securing device and bite block |
-
2008
- 2008-12-09 KR KR1020080124881A patent/KR1009026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57272A (zh) * | 2011-09-13 | 2012-02-22 | 王秋筠 | 一种气管内插管术中使用的安全牙垫 |
CN107754066A (zh) * | 2017-10-20 | 2018-03-06 | 上海市肺科医院 | 一种改良型牙垫 |
WO2019177383A1 (ko) * | 2018-03-14 | 2019-09-1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후두 마스크 |
KR20230001814A (ko) * | 2021-06-29 | 2023-01-05 | (재)예수병원유지재단 | 카테터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2666B1 (ko) | 200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7454B1 (ko) | 기관튜브 고정장치 | |
JP4468391B2 (ja) | 気管内チューブ固定装置 | |
AU2015310984B2 (en) | Sealing mechanism for anaesthetic airway devices | |
US686026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a light wand and curved guide | |
US11623058B2 (en) | Lower jaw thrusting, mandibular protracting, tongue holding, universal oropharyngeal airway device | |
US8640692B2 (en) | Oropharyngeal device for assisting oral ventilation of a patient | |
US3915173A (en) | Intubation device for the inhalation of gasses | |
US484833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lmonary ventilation of a patient concurrent with fiberoptic respiratory tract examination and tracheal intubation | |
KR100902666B1 (ko) | 기관튜브 고정장치 | |
WO2019162024A1 (en) | Snorkel ventilating airway and bite-block | |
KR20170109393A (ko) | 기관내 튜브 고정장치 | |
KR100902665B1 (ko) | 기관튜브 고정장치 | |
Greenberg | Facemask, nasal, and oral airway devices | |
RU2565820C1 (ru) | Респираторная капа | |
CN220025819U (zh) | 一种气管导管固定装置 | |
Tripathy et al. | Supraglottic Airway Devices | |
Gupta et al. | Masks and Airways | |
Sandberg et al. | Airway assessment and management | |
CN105079932A (zh) | 一种多功能气管插管 | |
US20190125995A1 (en) | Oral Airway | |
Asahi et al. | Ventilation via cut nasotracheal tube during general Anesthesia | |
Dickison | IMPROVISED AIRWAY MANAGEMENT | |
Poopalalingam et al. | Managing the Difficult Airway in an Emergency Setting | |
Mathews | Laying the groundwork for successful intub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