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689A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689A
KR20080110689A KR1020087030185A KR20087030185A KR20080110689A KR 20080110689 A KR20080110689 A KR 20080110689A KR 1020087030185 A KR1020087030185 A KR 1020087030185A KR 20087030185 A KR20087030185 A KR 20087030185A KR 20080110689 A KR20080110689 A KR 2008011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safety controller
electronic safet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겐이치 오카모토
다츠오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3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689A/en
Publication of KR2008011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6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In an elevator apparatus, an elevator control section controls operation of an elevator car. Further,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placing the elevator in a safe condition. The elevator control section is adapt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nd to be able to confirm a condi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t a predetermined timing. ® KIPO & WIPO 2009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 각각에 독립한 CPU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사이의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신 시스템은 2중 용장(冗長)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의해 통신 에러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금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n independent CPU is provided in each of the elevator controller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system has a double redundant configuration.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is detected b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peration of an elevator is prohibit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표2002-538061Patent Document 1: Special Publication 2002-538061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통신 에러의 체크를 전자 안전 콘트롤러만이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자 안전 콘트롤러의 기판이 보수 등을 위해서 떼어내어져 있는 경우,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모두 기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 사양에 적합하지않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등,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의한 안전 감시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운전될 가능성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nce onl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hecks the communication error, when the board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detached for maintenance, for example, all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s function. I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substantially absent, such as when there is no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r when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specification is conn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r can be operated without safety monitoring b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detect the state where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substantially absent, and can improve reliabilit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ar and a sensor for detecting an elevator state, and provide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ch outputs is provided, The elevator control part is able to communicate with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t a predetermined timing.

본 발명은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substantially absent,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4)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drawing, a pair of car guide rails (not shown)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3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 and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4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림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5)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제동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 밀어붙이는 한 쌍의 제동편을 가지고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3, the emergency stop device 5 which engages with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and makes the cage | basket | car 3 emergency stop is mounted. The emergency stop device 5 has a pair of braking pieces that are braked by mechanical operation and pushed onto the car guide rail.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메인 로프(6)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권상기(卷上機))(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구동 쉬브(8),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모터부(9), 구동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10), 및 구동 쉬브(8)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엔코더(11)를 가지고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drive apparatus (winder 7)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via the main rope 6 is provided. The drive device 7 includes a drive sheave 8, a motor portion 9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8, a brake portion 10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8, and a drive sheave 8. It has the motor encoder 11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rotation.

브레이크부(10)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제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shoe) 가 제동면으로 밀어 붙여져 구동 쉬브(8)의 회전이 제동됨과 동시에, 전자 마그넷을 여자(勵磁)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슈가 제동면으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제동이 해제된다.As the brake part 10, the electromagnetic brake apparatus is used, for example. In the electromagnetic brake device, the brake shoe is pushed to the braking surface by the spring force of the brake spr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eave 8 is braked, and the brake shoe is removed by exciting the electromagnetic magnet. It is opened from the hibernating surface, and braking is released.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의 하부 등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제어판)(12)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구동 장치(7)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에는, 모터 엔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운전 제어부는, 모터 엔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하여, 구동 장치(7)를 제어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구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운전 지령 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For example, the elevator control part (control panel) 1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wer part etc. in the hoistway 1 and the like.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apparatus 7.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or encoder 11 is in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operation control unit obtains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or encoder 11, and controls the drive device 7. Moreover,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has a function which detects the abnormal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by comparing the cage | basket | car speed | rate calculated | required and an operation command value.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회로(릴레이 회로)(30)가 접속되어 있다. 안전 회로(13)가 개로(開路) 상태가 되면, 구동 장치(7)의 모터부(9)로의 통전(通電)이 차단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부(10)의 전자 마그넷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구동 쉬브(8)가 제동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connected to a safety circuit (relay circuit) 30 for suddenly stopping the car 3 in the event of an elevator failure. When the safety circuit 13 is in the open state, the energization of the drive unit 7 to the motor unit 9 is interrupted, and the energization of the brake unit 10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is interrupted. The drive sheave 8 is braked.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調速機)(기계식 조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4)에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 스위치, 로프 캐치, 및 센서로서의 조속기 엔코더(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양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5)의 조작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하단부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쉬브(17)에 감 겨 있다.A governor (mechanical governor) 14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The governor 14 is provided with a governor sheave, an overspeed detection switch, a rope catch, a governor encoder 15 as a sensor, and the like. The governor rope 16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sheave.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16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5. The lower end of the governor rope 16 is wound around the tension sheave 17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16)가 순환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된다. 조속기(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과속도(過速度)에 이르른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속도로서는, 정격(定格) 속도보다 높은 제 1 과속도(OS 속도)와, 제 1 과속도보다 높은 제 2 과속도(Trip 속도)가 설정되어 있다.When the car 3 is elevated, the governor rope 16 is circulated, and the governor sheave is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In the governor 14, it is mechanically detected th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an overspeed. As the overspeed to be detected, a first overspeed (OS speed) higher than the rated speed and a second overspeed (Trip speed) higher than the first overspeed are set.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 1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상태가 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 2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16)가 파지(把持)되고,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되면, 비상 정지 장치(5)가 제동 동작한다.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3 reaches the first overspeed, the overspeed detection switch of the governor 14 is operated. When the overspeed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the safety circuit 13 opens.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eaches the 2nd overspeed, the governor rope 16 is gripped by the rope catch of the governor 14, and circulation of the governor rope 16 is stopped. When the circulation of the governor rope 16 is stopped,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braked.

조속기 엔코더(15)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또, 조속기 엔코더(15)로서는, 2계통의 검출 신호, 즉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듀얼 센스 타입(dual sense type)의 엔코더가 이용되고 있다.The governor encoder 15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As the governor encoder 15, an encoder of a dual sense type that simultaneously outputs two detection signals, that is,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is used.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안전 제어 기판)(21)에 입력된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조속기 엔코더(15) 등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예를 들면 종단(終端) 층 강제 감속 장치(ETS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ETS 장치는,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는 독립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 및 위치를 구하고, 종단 층 부근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are input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safety control board) 21.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signals from sensors such as the governor encoder 15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Specificall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has a function as, for example, an end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ETS device). The ETS apparatus obtains the traveling speed and position of the car 3 independently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by the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near the terminal floor. Monitors whether or not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has been reached.

또, ETS 장치는,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ETS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상태가 된다.Moreover, the ETS apparatus converts the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into a digital signal, and performs a digital arithmetic process,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 If it is determined by the ETS device th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the safety circuit 13 is in an open state.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의 이상, 및 조속기 엔코더(15)의 이상을 검출 가능하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 또는 조속기 엔코더(15)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로서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 신호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 운행 제어부와의 사이는,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can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and an abnormality of the governor encoder 15. When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or the governor encoder 15 is detected, the nearest floor stop command signal a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outputt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can be bidirectionally communicated.

승강로(1) 내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의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기준 위치 센서(23, 24)가 설치되어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서는, 상부 및 하부 종단 층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 입력된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서는,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ETS 장치 내에서 구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의 정보를 수정한다.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hoistway 1,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24 for detecting that the car 3 is located at a reference position in the hoistway 1 are provided. As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upper and lower termination layer switches can be used.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is input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corrects th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car 3 obtained in the ETS apparatus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승강로(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7) 및 균형추 완충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7) 및 균형추 완충기(28)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가 승강로(1)의 바닥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러한 완충기(27, 28)로서는, 예를 들면 유입식 또는 스프링식 버퍼(buffer)가 이용되고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cage buffer 27 and the counterweight buffer 28 are provided. The car shock absorber 27 and the counterweight shock absorber 28 alleviate the impact when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collide with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As these buffers 27 and 28, an inflow type or a spring type buffer is used, for example.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41a, 41b)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4)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43a, 43b)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44)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6)는, 승강로(1)의 상부에 로프 고정부를 통하여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端部)(6a, 6b)를 가지고 있다.At the lower part of the car 3, a pair of car suspending pulleys 41a and 41b are provided. A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42 is provided on the counterweight 4. The car side return pulleys 43a and 43b and the balance weight side return pulley 44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main rope 6 has 1st and 2nd edge parts 6a and 6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via the rope fixing part.

또, 메인 로프(6)는, 제 1 단부(6a) 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1a, 41b),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43a, 43b), 구동 쉬브(8), 균형추 측 리턴 풀리(44)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에 감겨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2:1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In addition, the main rope 6 is car suspending pulleys 41a and 41b, car side return pulleys 43a and 43b, drive sheave 8, and counterweight in order from the first end 6a side. It is wound around the side return pulley 44 and the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42. That is, in this example,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도 2는 도 1의 조속기(14)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ETS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이 하부 종단 층으로부터 상부 종단 층까지 통상 속도(정격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패턴은, 통상 속도 패턴(V0)이 된다. 조속기(14)에는, 기계적인 위치 조정에 의해 제 1 및 제 2 과속도 패턴(V1, V2)이 설정되어 있다. ETS 장치에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이 설정되어 있다.FIG. 2 is a graph showing a pattern of overspeed set in the ETS apparatus of the governor 14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of FIG. In the figure, when the car 3 runs at a normal speed (rated speed) from the lower terminal layer to the upper terminal layer, the speed pattern of the car 3 becomes the normal speed pattern V0. In the governor 14,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 patterns V1 and V2 are set by mechanical position adjustment.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in the ETS apparatus.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통상 속도 패턴(V0)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통상 속도 패턴(V0)에 대해서 전(全)승강 행정에서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중간 층 부근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종단 층 부근에서는 승강로(1)의 종단(상단 및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이고 또한 매끄럽게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ETS 장치(22)는, 종단 층 부근뿐만이 아니라, 중간 층 부근(통상 속도 패턴(V0)에 있어서의 일정 속도 주행 구간)에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있지만, 중간 층 부근에 대해서는 반드시 감시하지 않아도 좋다.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higher than the normal speed pattern V0. In addition,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so that the normal speed pattern V0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spaced in the whole lifting stroke. That is,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car position.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to be constant near the middle floor,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continuously and smoothly low as it nears the ends (top and bottom) of the hoistway 1 near the end floor. It is set to lose. Thus, although the ETS apparatus 22 monitors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not only in the vicinity of a terminal floor but also in the vicinity of an intermediate | middle floor (normal-speed running section in normal speed pattern V0), the intermediate | middle floor It is not necessary to monitor the neighborhood.

제 1 과속도 패턴(V1)은,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과속도 패턴(V2)은, 제 1 과속도 패턴(V1)보다 더욱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과속도 패턴(V1, V2)은, 승강로(1) 내의 모든 높이에서 일정하다.The first overspeed pattern V1 is set higher than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n addition, the second overspeed pattern V2 is set higher than the first overspeed pattern V1. In addition, the 1st and 2nd overspeed patterns V1 and V2 are constant at all the heights in the hoistway 1.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제 1 CPU(연산 처리부)(31), 기억부(R0M, RAM 및, 하디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 를 가진 제 1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은, 제 1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 1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 1 CPU(31)는,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FIG.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has a first computer having a first CPU (computation processing unit) 31, a storage unit (R0M, RAM and a hard disk, etc.) and a signal input / output unit.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realized by the first computer. That is, the control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stored in the memory | storage part of a 1st computer. The first CPU 31 executes arithmetic processing relating to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based on the control program.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모터부(9)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32)(인버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안전 회로(13)를 개로(開路)하기 위한 제 1 안전 릴레이(3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CPU(31)로부터 제 1 안전 릴레이(33)에 비상 정지 지령이 출력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된다. 안전 회로(13)가 개로 되면, 모터용 콘택터(34)가 열리고, 모터부(9)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동시에, 브레이크용 콘택터(35)가 열리며, 브레이크부(10)의 전자 마그넷으로의 통전이 차단된다.Moreover,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provided with the motor drive part 32 (inverter etc.) for driving the motor part 9. 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provided with a first safety relay 33 for opening the safety circuit 13. When the emergency stop command is output from the first CPU 31 to the first safety relay 33, the safety circuit 13 opens. When the safety circuit 13 is opened, the motor contactor 34 is opened, the energization to the motor unit 9 is interrupted, the brake contactor 35 is opened, and the brake unit 10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The electricity is cut off.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제 2 및 제 3 CPU(연산 처리부)(36, 37), 기억부(R0M, RAM 및 하디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제 2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은, 제 2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 2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안전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has second and third CPUs (computation processing units) 36 and 37, storage units (R0M, RAM, hard disk, etc.), and a second computer having a signal input / output unit.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realized by the second computer. That is, a safety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second computer. 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execute arithmetic processing relating to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based on the safety program.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는, 안전 회로(13)를 개로하기 위한 제 2 및 제 3 안전 릴레이(38, 3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와 제 2 및 제 3 안전 릴레이(38, 39)는, 1:1로 대응하고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에서 부터 제 3 안전 릴레이(38, 39)로 비상 정지 지령(강제 감속 지령)이 출력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된다.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provided with second and third safety relays 38 and 39 for opening the safety circuit 13. 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and the second and third safety relays 38 and 39 correspond to 1: 1. When the emergency stop command (forced deceleration command) is output from 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to the third safety relays 38 and 39, the safety circuit 13 is opened.

안전 프로그램에는, 같은 내용의 제 1 및 제 2 안전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제 2 CPU(36)는, 제 1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제 3 CPU(37)는, 제 2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The safety program includes the same first and second safety programs. The second CPU 36 execute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the first safety program. The third CPU 37 executes arithmetic processing based on the second safety program.

제 2 및 제 3 CPU(36, 37)는, 프로세서간 버스(bus) 및, 2포트 RAM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서로의 연산 처리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 2 및 제 3 CPU(36, 37) 자체의 건전성(健全性)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2 및 제 3 CPU(36, 37)에 동일 처리를 실행시켜, 처리 결과를 통신 비교하는 것에 의해, CPU(36, 37)의 건전성이 확인된다.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via an interprocessor bus and a two-port RAM. Moreover, the 2nd and 3rd CPUs 36 and 37 are able to confirm the health of the 2nd and 3rd CPUs 36 and 37 itself by comparing a calculation process resul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health of the CPUs 36 and 37 is confirmed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to the 2nd and 3rd CPUs 36 and 37, and comparing a process result.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CPU(36, 37) 자체의 이상 이외의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이상도 연산 처리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can als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other than the abnormalities of the CPUs 36 and 37 by calculation processing.

도 4는 도 3의 제 2 및 제 3 CPU(36, 37)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제 2 컴퓨터 내의 정주기(定周期)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연산 주기(예를 들면 50msec)로,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in FIG. The second and third CPUs 36 and 37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period (for example, 50 msec) based on a signal from a fixed period timer in the second computer, depending on the program stored in the R0M. Repeat the operation.

일주기 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안전 프로그램과,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나 각종 센서의 고장·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만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program executed within one cycle includes a safety program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n elevator and a failure / abnormality check program for detecting a failure and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or various sensors. The fault / abnormal check program may be executed only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에서는, 예를 들면 크랙(crack) 이상의 검출, RAM의 스택(stack) 영역의 이상 검출, 연산 처리 순서의 이상 검출, 릴레이 접점의 이상 검출 및 전원 전압의 이상 검출 등을 차례차례 실행한다.In the fault / error check program, for example, crack abnormality detection, RAM stack abnormality detection, arithmetic processing sequence abnormality detection, relay contact abnormality detection, power supply voltage abnormality detection, and the like are sequentially performed. Run

도 5는 도 3의 제 1 CPU(31)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 CPU(31)는, 제 1 컴퓨터 내의 정주기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는 소정의 연산 주기로,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first CPU 31 in FIG. 3. The first CPU 31 repeatedly executes arithmetic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R0M at a predetermined arithmetic cycle based on a signal from a fixed period timer in the first computer.

일주기 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체크프로그램이 포함된다. 통신 체크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만 실행할 수도 있다.The program executed within one cycle includ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a communication check program for confirming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he communication check program may be executed only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소정의 주기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 대한 통신 상태 체크용의 통신을 실시한다. 그리고,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 응답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통신 에러 검출시),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주행중이면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전하게 정지시켜(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중이면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不可)로 한다.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한 경우, 수동 운전 및 저속 자동 운전의 적어도 어느 한쪽만을 허가하여도 좋다.In this way,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performs communication for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when the response does not return normally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t the time of communication error detection),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will stop the car 3 safely when the car 3 is running (closest to the closest). The floor stop command) and automatic operation are normally disabled when the car 3 is stopped. When automatic driving is normally disabled, at least one of manual driving and low speed automatic driving may be allowed.

또, 통신 에러가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관리실 등에 대하여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통신 에러가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이상을 발보(發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When a communication error is detected,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outputs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management room or the like. That is, when a communication error is detected,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generates the signal for informing an elevator manager of an abnormality.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2)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nd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e state in which (21) is substantially absent can be detected,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므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객을 태워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disables normal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3, so that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may be substantially absent. The car 3 can be prevented from driving by carrying passengers.

또한,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한 경우에서도, 수동 운전 및 저속 자동 운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가하도록 했으므로, 보수에 의한 기판 교환시 등에 엘리베이터 칸(3)이 완전하게 움직일 수 없게 되지 않는다.In addition, even when automatic driving is normally disabled, at least one of manual driving and low speed automatic driving is allowed, so that the car 3 cannot move completely at the time of board replacement by maintenance.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부터의 통신 상태 확인 신호는 반복하여 출력되지만,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의 응답이 1번이라도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 통신 에러라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통신 에러의 오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회수만 연속하여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 통신 에러라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mmunication stat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output repeatedly, you may make it judge that it is a communication error, when the response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does not return normally even once. Moreover, in order to prevent the error detection of a communication error, you may make it judge that it is a communication error, when the response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does not return normally normally only predetermined number continuously.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 구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등의 정보를 통신 상태 확인 신호에 포함시켜도 좋고, 이 경우,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서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 구한 정보와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 구한 정보를 비교하여, 정합(整合)이 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응답하지 않도록(통상 운전을 허가하지 않는다)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잘못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설치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운전되는 것이 방지된다.Moreover, information, such as the car speed | rat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confirm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calculated | required b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nd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by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may be included. ), The information obtained may be compared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respond (normally not allowed to operate) when matching cannot be achieved. Thereby, the cage | basket | car 3 is prevented from operat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wrong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was installed.

더욱, 엘리베이터 제어부(12)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엘리베이터 칸 정지마다 브레이크 작동 후의 센서 정보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움직임을 감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브레이크 작동 후에 엘리베이터 칸(3)이 적정하게 정지 유지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부(10)에 의해 필요한 감속 토르크가 확보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may monitor the movement of the car 3 from the sensor information after the brake operation for each car stop. That is, you may have a function which checks whether the cage | basket | car 3 is stopped still appropriately after brake ope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required reduction torque is secured by the brake unit 10.

이와 같은 감속 토르크의 확인 동작의 타이밍은, 엘리베이터 칸 정지마다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층에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미리 설정된 회수만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1일, 1시간 또는 10분) 안에서 최초로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등에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timing of the confirmation operation of such deceleration torque is not limited to every stop of a car. For example, when the car 3 stops on a predetermined floor, only a preset number of times, when the car 3 stops, the first time within a preset period (for example, 1 day, 1 hour or 10 minutes) It may be performed when the car 3 is stopped or the like.

더욱이 또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판이 떼어내지는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작되는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검출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지 않은지 어떤지를 확인하도록 하여도 좋다.Furthermore, the detection switch operated mechanically by removing the board | substrate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provided, and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checks the open / closed state of a detection switch regularly,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carried out. ) May be confirmed to be substantially absent.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사이의 통신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 통신으로 행하여도,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으로 행하여도 좋다.Moreov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may be performed by wired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or may be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wireless LA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속기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의 ETS 장치에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illustrating a pattern of overspeed set in the ETS apparatus of the governor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FIG.

도 4는 도 3의 제 2 및 제 3 CPU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second and third CPUs of FIG.

도 5는 도 3의 제 1 CPU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first CPU of FIG. 3.

Claims (6)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異常)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or state,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The elevator control unit,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enabled, and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不可)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apparatus stops the car when the car is running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nd disables the normal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ch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or state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The elevator control unit,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enabled, and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수동 운전은 허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e elevator stops the car when the car is running, disabling normal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 and permitting manual operation of the car. .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ch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or state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The elevator control unit,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enabled, and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저속 자동 운전은 허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e elevator stops the car when the car is running, disables normal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 and permits low speed automatic operation of the car. Device.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 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or state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The elevator control unit,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enabled, and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며,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이상을 발보(發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for stopping a car when the car is traveling and generating a signal for causing an elevator manager to fail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nd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ch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elevator state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The elevator control unit,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고,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enabled, and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be confirmed at a predetermined timing,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중에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며,If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le the car is running, the car is stopped.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출력하여,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로부터의 응답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지 여부에 의해 통신 상태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firming a communication state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whether or not the response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returns normally.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로부터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회수만큼 연속하여 이상인 경우에, 통신 상태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is abnormal when the response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abnorm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continuously.
KR1020087030185A 2008-12-10 2005-03-31 Elevator apparatus KR200801106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0185A KR20080110689A (en) 2008-12-10 2005-03-31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0185A KR20080110689A (en) 2008-12-10 2005-03-31 Elevator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63A Division KR100891234B1 (en) 2007-01-18 2005-03-31 Elevator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617A Division KR101014917B1 (en) 2005-03-31 2005-03-31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689A true KR20080110689A (en) 2008-12-18

Family

ID=4036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85A KR20080110689A (en) 2008-12-10 2005-03-31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6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91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74304B1 (en) Elevator device
US8430212B2 (en) Safety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080722B (en) For reduc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the speed of elevator car
JP4907097B2 (en) Elevator equipment
EP2051924A1 (en) Elavator system
WO2006103768A1 (en) Elevator apparatus
KR20110107862A (en) Elevator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ng same
CN109789993B (en) Elevator safety supervision entity with two units with selection of e.g. autonomous evacuation of passengers
JP5624845B2 (en) Electronic safety elevator
JPWO2015079976A1 (en) Elevator safety system
KR101189952B1 (en) Elevator system
KR101244998B1 (en) Elevator device
JP7212201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2171771A (en) Double-deck elev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219230B1 (en) Elevator safety circuit device
KR100891234B1 (en) Elevator apparatus
KR20120014003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KR20080110689A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