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304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304B1
KR100874304B1 KR1020067026537A KR20067026537A KR100874304B1 KR 100874304 B1 KR100874304 B1 KR 100874304B1 KR 1020067026537 A KR1020067026537 A KR 1020067026537A KR 20067026537 A KR20067026537 A KR 20067026537A KR 100874304 B1 KR100874304 B1 KR 10087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afety controller
car
electronic safety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8314A (en
Inventor
겐이치 오카모토
타츠오 마츠오카
타케하루 콘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센서는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전자 안전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신호의 전송은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In an elevator apparatus, a sensor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n elevator state.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The transmission of at least a part of a signal o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nd the command signal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시스템에서는 승강로, 기계실 및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버스 노드(bus node)에 센서 등이 접속되어 있고, 센서 등으로부터의 정보가 버스 노드 및 통신 네트워크 버스를 통하여 안전 컨트롤러에 보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In a conventional elevator safety system, a sensor or the like is connected to a bus node installed in a hoistway, a machine room and a car, and information from the sensor is sent to a safety controller via a bus node and a communication network bus (eg,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표 2002-53806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538061

상기와 동일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내에 많은 통신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있고, 설치에 상당한 수고가 들게 된다. 또, 배선을 위한 스페이스를 승강로내에 확보할 필요가 있고, 승강로 면적이 커져 버린다.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imilar to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wire many communication cables in a hoistway, and the installation takes considerable troub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wiring in the hoistway, and the hoistway area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동일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이고, 설치시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same subject as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effort | work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can reduce the space of a hoistwa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및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검출 신호 및 지령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신호의 전송은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n elevator state,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nd outputting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A safety controller is provided, and transmission of at least a part of signals of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mmand signal is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속기 및 전자 안전 컨트롤러의 ETS 회로부에 있어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 FIG. 2 is a graph showing a pattern of overspeed set in the ETS circuit portion of the governor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전자 안전 컨트롤러의 주요부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f FIG.

도 4는 도 3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microprocessor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 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가 승강된다. 균형추(4)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가 승강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pair of car guide rails (not shown)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elevator car 3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 so that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is elevated. The counterweight 4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is elevated.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림(係合)하여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5)가 탑재되고 있다. 비상 멈춤 장치(5)는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강압(押付)하는 한 쌍의 제동 피스(braking piece)를 가지고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3, the emergency stop device 5 which engages with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and emergency-stops the cage | basket | car 3 is mounted. The emergency stop device 5 has a pair of braking pieces which are operated by mechanical operation to force the car guide rail.

승강로(1)내의 하부에는 메인 로프(6)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권상기)(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구동 쉬브(drive sheave)(8),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모터부(9), 구동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10), 및 구동 쉬브(8)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인코더(11)을 가지고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drive device (winder) 7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through the main rope 6 is provided. The drive device 7 includes a drive sheave 8, a motor part 9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8, a brake part 10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8, and a drive sheave ( It has the motor encoder 11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8).

브레이크부(10)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제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shoe)가 제동면에 강압되어서 구동 쉬브(8)의 회전이 제동되는 동시에, 전자 마그넷을 여자(勵磁)함으로써, 브레이크 슈가 제동면으로부터 개리(開離)되어서 제동이 해제된다. As the brake part 10, the electromagnetic brake apparatus is used, for example. In the electromagnetic brake device, the brake shoe is pressed against the braking surface by the spring force of the braking spring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8, and simultaneously excite the electromagnetic magnet so that the brake shoe is removed from the braking surface. The brake is released by opening.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승강로(1)내의 하부 등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구동 장치(7)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회로부(릴레이(relay) 회로부)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에는 모터 인코더(11)로부터의 검 출 신호가 입력된다. 운전 제어부는 모터 인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해 구동 장치(7)를 제어한다.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etc. in the hoistway 1, for example.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device 7, and the safety circuit part (relay circuit part) for stopping the car 3 suddenly at the time of abnormality of an elevator.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or encoder 11 is in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driving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 device 7 by obtain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car 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or encoder 11.

안전 회로부의 릴레이 회로가 개로(開路) 상태로 되면, 구동 장치(7)의 모터부에의 통전이 차단되는 동시에, 브레이크부(10)의 전자 마그넷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구동 쉬브(8)가 제동된다. When the relay circuit of the safety circuit portion is in the open state, the energization of the drive unit 7 to the motor unit is cut off, the energization of the brake unit 10 to the electromagnetic magnet is cut off, and the driving sheave 8 Is braked.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기계식 조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4)에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 스위치, 로프 캐치(rope catch), 및 센서로서의 조속기 인코더(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양 단부는 비상 멈춤 장치(5)의 조작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하단부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타이트닝 풀리(tightening pulley)(17)에 감겨져 있다. The governor (mechanical governor) 14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governor 14 is provided with a governor sheave, an overspeed detection switch, a rope catch, a governor encoder 15 as a sensor, and the like. The governor rope 16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sheave.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16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5. The lower end of the governor rope 16 is wound around a tightening pulley 17 arranged below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16)가 순환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된다. 조속기(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과속도에 이르렀음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속도로서는 정격 속도보다 높은 제1의 과속도(OS 속도)와 제1의 과속도보다 높은 제2의 과속도(Trip 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When the car 3 is elevated, the governor rope 16 is circulated and the governor sheave is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3. In the governor 14, it is mechanically detected th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an overspeed. As the overspeed detected, a first overspeed (OS speed) higher than the rated speed and a second overspeed (Trip speed) higher than the first overspeed are set.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1의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안전 회로부의 릴레이 회로가 개로 상태가 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2의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 프(16)가 파지되고,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되면, 비상 멈춤 장치(5)가 제동 동작한다.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reaches the 1st overspeed, the overspeed detection switch of the governor 14 is operated. When the overspeed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the relay circuit of the safety circuit portion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opened.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3 reaches the second overspeed, the governor rope 16 is gripped by the rope catch of the governor 14, and the circulation of the governor rope 16 is stopped. When the circulation of the governor rope 16 is stopped, the emergency stop device 5 is braked.

조속기 인코더(15)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또, 조속기 인코더(15)로서는 2 계통의 검출 신호, 즉 제1 및 제2의 검출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듀얼 센스 타입의 인코더가 이용되고 있다. The governor encoder 15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overnor sheave. As the governor encoder 15, a dual sense type encoder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two types of detection signals, that is,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is used.

조속기 인코더(15)로부터의 제1 및 제2의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에 설치된 종단층 강제 감속 장치(ETS 장치)의 ETS 회로부에 입력된다. ETS 회로부는 조속기 인코더(1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ETS 회로부는 조속기 인코더(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는 독립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 및 위치를 구해 종단층 부근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를 감시한다.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ignals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are input to the ETS circuit portion of the end layer forced deceleration device (ETS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he ETS circuit unit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and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Specifically, the ETS circuit unit obtains the traveling speed and position of the car 3 independently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by the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and travels of the car 3 near the end floor. Monitor whether the speed has reached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또, ETS 회로부는 조속기 인코더(15)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를 판단한다. ETS 회로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안전 회로부의 릴레이 회로가 개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ETS circuit unit converts the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into a digital signal and performs digital arithmetic processing to determine whether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ETS circuit section that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has reached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the relay circuit of the safety circuit section is opened.

또, ETS 회로부는 ETS 회로부 자체의 이상, 및 조속기 인코더(15)의 이상을 검출 가능하다. ETS 회로부 자체 또는 조속기 인코더(15)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 우,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로서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 신호가 ETS 회로부로부터 운전 제어부에 대해서 출력된다. 또한, ETS 회로부와 운전 제어부와의 사이는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해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ETS circuit portion can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ETS circuit portion itself and an abnormality of the governor encoder 15. When an abnormality of the ETS circuit section itself or the governor encoder 15 is detected, the closest floor stop command signal a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is output from the ETS circuit section to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TS circuit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can be performed in both directions.

승강로(1)내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내의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기준 위치 센서(23, 24)가 설치되어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서는 상부 및 하부 종단층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ETS 회로부에 입력된다. ETS 회로부에서는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ETS 회로부내에서 구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의 정보를 수정한다.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hoistway 1,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for detecting that the car 3 is located at the reference position in the hoistway 1 are provided. Upper and lower termination layer switches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is input to the ETS circuit part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he ETS circuit section corrects th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car 3 obtained in the ETS circuit s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승강로(1)의 저(底)면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 버퍼(27) 및 균형추 버퍼(2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 칸 버퍼(27) 및 균형추 버퍼(28)는 승강로(1)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버퍼(27)는 엘리베이터 칸(3)의 바로 밑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의 저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균형추 버퍼(28)는 균형추(4)의 바로 밑에 배치되고, 균형추(4)가 승강로(1)의 저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러한 버퍼(27, 28)로서는 예를 들면 유입식 또는 스프링식 버퍼가 이용되고 있다. A car buffer 27 and a counterweight buffer 28 ar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bottom face of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Here, the car buffer 27 and the counterweight buffer 28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The car buffer 27 is disposed just below the car 3, and alleviates the impact when the car 3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buffer 28 is disposed just below the counterweight 4, and alleviates the impact when the counterweight 4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As the buffers 27 and 28, for example, an inflow or spring buffer is used.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41a, 41b)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4)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return pulley)(43a, 43b) 및 균형추측 리턴 풀리(44)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6)는 승강로(1)의 상부에 강지(綱止)부를 통하여 접속된 제1 및 제2의 단부(6a, 6b)를 가지고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3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ge | suspending pulleys 41a and 41b. A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42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 The car side return pulleys 43a and 43b and the balance estimation return pulley 44 are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The main rope 6 has the 1st and 2nd edge part 6a, 6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via the hard part.

또, 메인 로프(6)는 제1의 단부(6a)측으로부터) 정상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1a, 41b),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3a, 43b), 구동 쉬브(8), 균형추측 리턴 풀리(44)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에 감겨져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2:1 로핑(roping)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In addition, the main rope 6 has a top suspension pulley 41a, 41b, a cage side pulley 43a, 43b, a drive sheave 8, and a balance at the top of the first end 6a side. It is wound around the guess return pulley 44 and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pulley 42. That is, in this example,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4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여기서, 모터 인코더(11), 엘리베이터 제어부(12), 조속기 인코더(15), 전자 안전 컨트롤러(21) 및 기준 위치 센서(23, 24)에는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예를 들면 무선 LAN 통신)으로 실시하기 위한 통신부(안테나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파선 화살표는 무선에 의한 통신을 나타내고 있다. Here, the motor encoder 11,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the governor encoder 15,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nd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24 transmit a signal wirelessly (for example, wireless LA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s (antenna units) for carrying out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broken-line arrow of FIG. 1 shows the communication by radio.

구체적으로는 모터 인코더(11)의 검출 신호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 송신된다.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와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의 사이의 정보의 전송은 무선 통신으로 행해진다. 또,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은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된다. 단,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안전 회로부에의 비상 정지 지령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도 1의 실선 화살표). 또, 도시는 하지 않으나, 조속기(14)로부터 안전 회로부에의 비상 정지 지령도,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조속기 인코더(15)의 검출 신호 및 기준 위치 센서(23, 24)로 부터의 검출 신호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에 송신된다. Specificall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otor encoder 11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losest floor stop instruction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transmit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emergency stop command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o the safety circuit portion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is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cable (solid line arrow in Fig. 1). Although not shown, an emergency stop command from the governor 14 to the safety circuit portion is also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cabl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governor encoder 15 and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ar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by wireless communication.

또, 이 예에서는 1 개의 신호가 다른 복수의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즉, 다중 통신으로 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되고 있다. In this example, one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arrier frequencies. That is, reliability is improved by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또한,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동작 모드에는 예를 들면 통상 운전 모드, 보수 운전 모드 및 긴급 운전 모드 등의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모드 정보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ncludes a plurality of modes such as a normal driving mode, a maintenance driving mode, and an emergency driving mode. The mod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by wireless communication.

도 2는 도 1의 조속기(14) 및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ETS 회로부에 있어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이 하부 종단층으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통상 속도(정격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패턴은 통상 속도 패턴 V0가 된다. 조속기(14)에는 기계적인 위치 조정에 의해 제1 및 제2의 과속도 패턴 V1, V2가 설정되어 있다. ETS 회로부에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가 설정되어 있다. FIG. 2 is a graph showing a pattern of overspeed set in the ETS circuit portion of the governor 14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of FIG. 1. In the figure, when the car 3 runs at a normal speed (rated speed) from the lower terminal layer to the upper terminal layer, the speed pattern of the car 3 becomes the normal speed pattern V0. The governor 14 is set with first and second overspeed patterns V1 and V2 by mechanical position adjustment.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in the ETS circuit section.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는 통상 속도 패턴 V0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는 통상 속도 패턴 V0에 대해 전 승강 행정으로 거의 동등한 간격을 두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는 중간층 부근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종단층 부근에서는 승강로(1)의 종단(상단 및 하단)에 가까워질수록 연속적이고 원활하게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ETS 회로부(22)는 종단층 부근뿐만 아니라, 중간층 부근(통상 속도 패 턴 V0에 있어서의 일정 속도 주행 구간)에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있으나, 중간층 부근에 대해서는 반드시 감시하지 않아도 되다.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usually set higher than the speed pattern V0. In addition,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normally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ly spaced in the whole lifting stroke with respect to the speed pattern V0. That is,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car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to be constant near the middle floor, but near the end layer,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s set to be continuously and smoothly lower as it approaches the ends (upper and lower) of the hoistway 1. Thus, although the ETS circuit part 22 monitors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ge | basket | car 3 not only in the vicinity of a terminal floor, but also in the vicinity of an intermediate | middle floor (normal speed traveling section in normal speed pattern V0), it is always required about the intermediate | middle floor vicinity. No need to watch

제1의 과속도 패턴 V1은 ETS 감시 과속도 패턴 VE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2의 과속도 패턴 V2는 제1의 과속도 패턴 V1보다 더욱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과속도 패턴 V1, V2는 승강로(1)내의 모든 높이로 일정하다. The first overspeed pattern V1 is set higher than the ETS monitoring overspeed pattern VE. In addition, the second overspeed pattern V2 is set higher than the first overspeed pattern V1.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overspeed patterns V1 and V2 are constant at all heights in the hoistway 1.

도 3은 도 1의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주요부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는 제1의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와, 제2의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2)를 포함하고 있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of FIG.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detects the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first microprocessor 31 which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first safety program, and the second safety program. The second microprocessor 32 which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for this is included.

제1의 안전 프로그램은 제2의 안전 프로그램과 동일한 내용의 프로그램이다.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는 프로세서간 버스 및 2 포트 RAM(33)을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는 서로의 연산 처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 자체의 건전성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에 동일 처리를 실행시키고, 2 포트 RAL(433) 등을 통하여 처리 결과를 통신 비교함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의 건전성이 확인된다. The first safety program is a program having the same contents as the second safety program.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via an interprocessor bus and a two-port RAM 33.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can confirm the health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themselve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same processing is executed on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and the communication results are compared through the two-port RAL 433 or the like, whereby the integrity of the microprocessors 31 and 32 is confirmed. .

또,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 자체의 이상 이외의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의 이상도 연산 처리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The microprocessors 31 and 32 can also detect abnormalities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other than the abnormalities of the microprocessors 31 and 32 by arithmetic processing.

도 4는 도 3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는 정주기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는 소정의 연산 주기(예를 들면 50msec)로,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일주기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안전 프로그램과 전자 안전 컨트롤러(21) 자체나 각종 센서의 고장ㆍ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고장ㆍ이상 체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또, 고장ㆍ이상 체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했을 때에만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executing arithmetic processing by the microprocessors 31 and 32 of FIG. The microprocessors 31 and 32 repeatedly execute arithmetic processing at predetermined arithmetic cycles (for example, 50 msec) based on a signal from a fixed period timer,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R0M. The program executed in one cycle includes a safety program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n elevator and a fault / abnormal check program for detecting a fault or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or various sensors. The fault / error check program may be executed only when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고장ㆍ이상 체크 프로그램에서는 예를 들면 클록 이상의 검출, RAM의 스택(stack) 영역의 이상 검출, 연산 처리 순서의 이상 검출, 릴레이 접점의 이상 검출 및 전원 전압의 이상 검출 등을 실행한다. In the fault / error check program, for example, a clock abnormality detection, an abnormality detection of a stack area of RAM, an abnormality detection of arithmetic processing procedures, an abnormality detection of a relay contact, an abnormality detection of a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like are executed.

이와 동일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이 전자 안전 컨트롤러(21) 자체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전자 안전 컨트롤러(21) 자체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속도나 이상에 대한 처리 속도를 높이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same elevator apparatus, even whe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and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tself,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Since the command signal is output,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can be improved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while increasing the detection speed of the elevator abnormality or the processing speed for the abnormality.

또,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는 각종 센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고, 센서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므로,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can also detect abnormalities of various sensors, and even when a sensor abnormality is detected, it outputs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Can be.

또한,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는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는 서로의 연산 처리 결과를 비 교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1, 32) 자체의 건전성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ncludes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compare the results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with each other, Since the health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31 and 32 itself can be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system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여기서는 조속기 인코더(15)나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로부터의 지령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신호의 전송이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통신 케이블을 승강로내에 복잡하게 배치할 필요가 없고, 설치시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전송되는 신호의 수나 종류가 많고, 전달 경로도 복잡한 전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에 관한 신호 전송의 무선화는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n this elevator apparatus, the sensor for detecting an elevator state (here,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governor encoder 15 or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for shifting an elevator to a safe state) The transmiss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signal of the command signal is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eliminates the necessity of arranging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cables in the hoistway, thereby reducing the effor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In particular, in an electronic safety monitoring system having a large number or type of signals to be transmitted and having a complicated transmission path, it is effective to wirelessize the signal transmiss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모터 인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나,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와의 사이의 신호의 전송도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설치시의 수고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화할 수 있다. Moreover, in this elevator apparatus,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motor encoder 11 and the signal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s also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e effor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는 엘리베이터 칸(3)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에 의해 실시하고,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의 전송을 유선 통신에 의해 실시하므로,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transmits the command signal for stopping the car 3 to the nearest floor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s the transmission of the command signal for emergency stopping the car 3. Sin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higher reliability can be ensur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 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동일한 건물내에 있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공통의 전 자 안전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도 검출 신호나 지령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의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only one elevator device is described, but signals from sensors of a plurality of elevator devices in the same building may be managed by a commo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n this case, detection signals and command signals are also used. By perform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ame effect as in the above exampl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에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로서 조속기 인코더(15) 및 기준 위치 센서(23, 24)를 나타내었으나, 센서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등, 여러 가지의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governor encoder 15 and the reference position sensors 23 and 24 were shown as a sensor which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in the above example, a sensor is not limited to these. For example, transmission of detection signals from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can be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모든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전송을 무선화할 필요는 없고, 일부의 센서만을 선택하여 무선화해도 된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signals from all the sensors wireless, but only some of the sensors may be selected and made wireless.

또한, 전자 안전 컨트롤러로부터의 모든 지령 신호의 전송을 무선화할 필요도 없으며, 반대로 비상 정지 지령을 포함하는 모든 지령 신호의 전송을 무선화해도 된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transmission of all the command signals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ireless, and conversely, the transmission of all the command signals including the emergency stop command may be made wireless.

실시 형태 2. Embodiment 2.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승강로(1)내에는 제1 및 제2의 엘리베이터 칸(3a, 3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엘리베이터 칸(3a, 3b)은 상하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공통의 승강로(1)내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된다. 즉,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원 샤프트 멀티 카 타입(one-shaft multi-car type)의 엘리베이터이다. 따라서, 제1의 엘리베이터 칸(3a)은 제1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되고, 제2의 엘리베이터 칸(3b)은 제2의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된다. 또, 제1 및 제2의 엘리베이터 칸(3a, 3b)을 매다는 메인 로프 등의 도시는 생략한다. Next,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s 3a and 3b are provided.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s 3a and 3b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top and bottom, and are each independently lifted up and down inside the common hoistway. That is, this elevator apparatus is a one-shaft multi-car type elevator. Therefore, the 1st cage | basket | car 3a is lifted by the 1st drive device (not shown), and the 2nd cage | basket | car 3b is lifted and lifted by the 2nd drive device (not shown). In addition, illustration of the main rope etc. which hangs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 3a, 3b is abbreviate | omitted.

제1 및 제2의 엘리베이터 칸(3a, 3b)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2)(도 1)와의 사이의 신호(호출 등록의 요구 신호, 호출 등록의 확인 신호 등)의 전송을 무선 통신으로 실시하기 위한 통신부(안테나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first and second cars 3a and 3b are use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call registration request signals, call registration confirmation signals, etc.) to and from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FIG. 1). Communication units (antenna units)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동일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21)(도 1)에 관한 신호 전송만이 아니고, 엘리베이터 칸(3a, 3b)과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의 사이의 신호 전송도 무선 통신으로 행해지므로, 설치시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원 샤프트 멀티 카 타입 엘리베이터에서는 2 개의 통신 케이블을 서로 간섭하지 않게 2 대의 엘리베이터 칸에 접속할 필요가 있고, 레이어가 어렵고, 승강로 스페이스가 커지고 있었으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화할 수 있다. In the same elevator apparatus, not only the signal transmiss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21 (FIG. 1) but also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ars 3a and 3b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12 are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This can reduce the labor of the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space of the hoistwa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one-shaft multi-car type elevator, it is necessary to connect two communication cables to two car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layers are difficult, and the space of the hoistway has increased, b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hoistway space is reduced. can do.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원 샤프트 멀티 카 타입 엘리베이터를 나타내었으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에 통신부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칸(3)으로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의 사이의 신호 전송을 무선 통신에 의해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ne-shaft multi-car type elevator was shown in Embodiment 2,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1, the communication part is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cage | basket | car 3 is connected with the elevator control part 12. Signal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로부터의 비상 정지 지령이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안전 회로부에 입력되도록 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안전 회로부와는 별도로, 전자 안전 컨트롤러용의 안전 회로부를 설치하고, 전자 안전 컨 트롤러로부터의 비상 정지 지령은 전자 안전 컨트롤러용의 안전 회로부에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In the above example, the emergency stop command from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input to the safety circuit portion of the elevator control portion. However, a safety circuit portion for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afety circuit portion of the elevator control portion. The emergency stop command may be input to the safety circuit unit for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elevator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which detects the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can be provided.

Claims (8)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센서;A plurality of sensors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for detecting an elevator state;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An elevator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 based on the input detection signal; And 상기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컨트롤러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for inputt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input detection signal, and outputting a command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상기 검출 신호 및 상기 지령 신호의 적어도 일부의 신호의 전송은 무선 통신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mmand signal is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에는 상호간의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으로 실시하기 위한 통신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sensor,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each other,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a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의 전송을 무선 통신에 의해 실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의 전송을 유선 통신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performs a command signal transmission for stopping the car on the nearest floor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command signal for emergency stopping the car by wire communication. Elevator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 자체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 자체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tself, and output an instruction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even when an abnormality of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tself is detected.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센서의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can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sensor, and output an instruction signal for shifting the elevator to a safe state even when the abnormality of the sensor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제1의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제2의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includes a first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arithmetic processing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first safety program, and arithmetic processing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based on a second safety program. A second microprocessor to execute, 상기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간 버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서로의 연산 처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자체의 건전성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via a bus between processors,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rithmetic processing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ealth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processors themselves.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와의 사이의 신호의 전송도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ssion of a signal between the car 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is also performed by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 상기 전자 안전 컨트롤러는, 각각에 입력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를 상호 독립적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control unit and the electronic safety controller obtain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detection signals inputted to each elevator device.
KR1020067026537A 2005-03-31 2005-03-31 Elevator device KR1008743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6289 WO2006106574A1 (en) 2005-03-31 2005-03-31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314A KR20070088314A (en) 2007-08-29
KR100874304B1 true KR100874304B1 (en) 2008-12-18

Family

ID=3707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537A KR100874304B1 (en) 2005-03-31 2005-03-31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64934B1 (en)
JP (1) JPWO2006106574A1 (en)
KR (1) KR100874304B1 (en)
CN (1) CN100595123C (en)
WO (1) WO20061065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8709B4 (en) * 2007-06-21 2017-03-09 Pepperl + Fuchs Gmbh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S2499340T3 (en) * 2007-08-07 2014-09-29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RU2487074C2 (en) * 2009-03-16 2013-07-1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System for detection and processing excess acceleration and speed
JP5468127B2 (en) * 2009-03-16 2014-04-0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safety system and elevator with safety system
KR101244998B1 (en) 2009-06-29 2013-03-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device
JP5816102B2 (en) * 2012-01-12 2015-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onic safety elevator
JP2017039576A (en) *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東芝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EP3246281B1 (en) * 2016-05-20 2021-04-21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munication arrangement
JP6420430B1 (en) * 2017-08-18 2018-11-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afety system
CN108275523A (en) * 2017-12-12 2018-07-13 无锡创联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it is vertical ladder prevent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JP6824465B2 (en) * 2018-02-26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afety controller
JP7132025B2 (en) * 2018-08-10 2022-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Judgment system and method
JP6601587B1 (en) * 2019-07-26 2019-11-0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encoder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EP3892582A1 (en) * 2020-04-07 2021-10-13 KONE Corporation Safety system, elevator, and method for upgrading a safety system of an ele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8061A (en) 1999-03-04 2002-11-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safe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0586A (en) * 1987-08-26 198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JPH06227766A (en) * 1993-02-01 1994-08-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elevator
JPH07206299A (en) * 1994-01-13 1995-08-08 Hitachi Ltd Safety signal transmitting system for elevator
US5708416A (en) * 1995-04-28 1998-01-13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detection or control arrangement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US6467585B1 (en) * 2001-07-05 2002-10-22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safety chain for elevator system
JP4204299B2 (en) * 2002-10-18 2009-01-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8061A (en) 1999-03-04 2002-11-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safe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3925A (en) 2007-04-25
CN100595123C (en) 2010-03-24
EP1864934A4 (en) 2012-11-07
WO2006106574A1 (en) 2006-10-12
KR20070088314A (en) 2007-08-29
EP1864934B1 (en) 2019-10-23
EP1864934A1 (en) 2007-12-12
JPWO2006106574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304B1 (en) Elevator device
KR101014917B1 (en) Elevator apparatus
EP2289832B1 (e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333110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JP4907097B2 (en) Elevator equipment
EP1880967B1 (en) Elevator apparatus
WO2006103768A1 (en) Elevator apparatus
KR101189952B1 (en) Elevator system
WO2014097373A1 (en) Elevator device
CN105026297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counterweighted elevator
KR101244998B1 (en) Elevator device
JP5523455B2 (en) Elevator equipment
CA2779331C (en) Method in connection with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KR101354728B1 (en) Elevator device
EP3674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levator service based on a desired location of a plurality of passengers
KR100891234B1 (en) Elevator apparatus
JP7403393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727198B1 (en) Elevator apparatus
CN101602457A (en) Lift appliance
JP6420430B1 (en)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afety system
KR20080110689A (en) Elevator apparatus
JPH08217350A (en) Derailment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