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430A -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430A
KR20080110430A KR1020070059177A KR20070059177A KR20080110430A KR 20080110430 A KR20080110430 A KR 20080110430A KR 1020070059177 A KR1020070059177 A KR 1020070059177A KR 20070059177 A KR20070059177 A KR 20070059177A KR 20080110430 A KR20080110430 A KR 20080110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arphone
function
control devic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430A/ko
Publication of KR2008011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을 출력하며, 다수개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이어폰부와, 상기 이어폰부와 음향 신호선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센서와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어장치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각 터치 센서를 터치하는 순서 및 상기 각 터치 센서가 센싱하는 터치 종류에 따라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을 개시함으로써, 이어폰에 위치 설정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순서 또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는 상태 등에 따라 제어장치가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본체를 가방 또는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 이어폰부, 제어장치, 앰프, 센서 감지부, 볼륨 처리부,제어부, 커넥터부, 터치 센서부, 터치 센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System for function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부 및 터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부 및 터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단말 200 : 이어폰부
300 : 제어장치 311, 312 : 앰프
321~326 : 센서 감지부 330 : 볼륨 처리부
350 : 제어부 400 : 커넥터부
500 : 터치 센서부 501~506 : 터치 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예컨대, iPod 등)의 기능을 본체의 버튼을 통해 제어하지 않고, 본체 이외에 외부에 노출된 부분, 예를 들어, 이어폰을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휴대용 단말,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iPod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음악 재생 또는 미디어 재생이 가능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들은 점차 소형화/고집적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휴대용 단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휴대성 및 편리성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예컨대, iPod)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할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구현되므로,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을 가방 또는 주머니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보관하기 편리한 장소에 보관하면서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을 꺼내 음악을 듣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의 기능 버튼은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어폰을 귀에 꽂은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의 기능, 예를 들어, 볼륨업, 볼륨 다운, 빨리감기, 되감기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휴대용 단말의 본체를 가방 또는 주머 니에서 꺼내 상태에서 본체의 기능 버튼을 통해 조작해야 하므로, 이동 중 또는 혼잡한 상황에서는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예컨대, iPod 등)의 기능을 본체의 버튼을 통해 제어하지 않고, 본체 이외에 외부에 노출된 부분, 예를 들어, 이어폰을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은, 음향을 출력하며, 다수개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이어폰부와, 상기 이어폰부와 음향 신호선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센서와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어장치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각 터치 센서를 터치하는 순서 및 상기 각 터치 센서가 센싱하는 터치 종류에 따라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상기 이어폰부의 각 이어폰으로 음향 신호선을 통해 소정 비율 증폭된 음향을 전송하는 제1 및 제2 앰프와, 상기 각 이어폰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는 제1 내지 제6 터치 센서와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와, 상기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로부터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 또는 감지 신호의 종류에 상응하는 볼륨다운, 볼륨업, 빨리감지 또는 되감기 중 어느 하나의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음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 터치 센서는, 상기 각 이어폰이 상기 사용자의 귀에 닿는 부분, 손잡이 부분 또는 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위치 설정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에 위치 설정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순서 또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는 상태 등에 따라 제어장치가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본체를 가방 또는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전원 제어장치는, 터치 센서부(500)를 구비하는 이어폰부(200)와, 제어장치(300)와, 커넥터부(400)와, 휴대용 단말(100)을 포함하고, 제어장치(300)는 제1 앰프(311) 및 제2 앰프(312)와,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321~326)와, 볼륨 처리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각 구성 요소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부(400)는 iPod의 경우 30pin 커넥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제어장치(300)로 음향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제어장치(300)가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싱 기능을 한다.
즉, 커넥터부(400)는 Rx, Tx 신호선을 통해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50)가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휴대용 단말(100)이 음향 신호를 제어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폰부(200)는 한쌍의 이어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이어폰에 다수, 예를 들어, 6개의 터치 센서가 각기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터치 센서부(5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어폰부(200) 및 터치 센서부(500)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장치(300)의 제1 앰프(311) 및 제2 앰프(312)는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설정된 소정 비율만큼 증폭하여 음향 신호선으로 연결된 스피커(210, 2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 2 앰프(311, 312)를 통해 커넥터부(400)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210, 220)로 전송하므로서, 일반적인 케이블 잭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통해 휴대용 단말(100)이 재생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볼륨 처리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 크기를 처리하여 제1 앰프(311) 및 제2 앰프(312)로 전송한다.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321~326)는 각기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6 터치 센서(5010~506)의 센싱 상태를 감지하여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350)는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321~326)로부터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커넥터부(400)를 통해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와 기설정된 기능 순서와 비교하여,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와 일치하는 기능 순서에 상응하는 기능으로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부 및 터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어폰부(200)는 한쌍의 이어폰(201, 202)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이어폰(201, 202)에는 각기 위치 설정된 3개의 터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어폰(201, 202)을 귀에 꽂으면, 귀(인체)에 닿는 부분에 제1 및 제2 터치 센서(501, 502)를 부착하고, 각 이어폰(201, 202)의 손잡이 부분에 각기 두 개의 터치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즉, 제1 이어폰(201)에 제 1, 제5 및 제6 터치 센서(501, 505, 506)를 설정된 위치에 부착하고, 제2 이어폰(202)에 제2, 제3 및 제4 터치 센서(502, 503, 506)를 설정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이어폰(201, 202)을 귀에 꽂으면, 제1 및 제2 감지 신호가 제어부(35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각 이어폰(201, 202)의 손잡이 부분을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의해 제3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제어부(350)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제어부(350)는 수신되는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의 순서 및 종류에 따라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 순서(터치 센서) 기능
3 4 볼륨다운
4 3 볼룸업
5 6 빨리감기
6 5 되감기
상기 표 1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이어폰(201, 202)의 손잡이 부분에 위치 설정된 제3 내지 제6 터치 센서(503~506)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의해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제1 이어폰(201)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 제5 및 제6 터치 센서(505, 506)를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사용자가 요청하는 기능을 빨리 감기로 파악하여,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빨리감기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1 및 제2 감지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이어폰(201, 202)가 귀에 꽂힌 상태이므로, 휴대용 단말(100)의 전원을 ON시키고, 재생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이어폰(201, 202)을 뺀 상태이므로, 일시 중지 또는 중지시킨 다음 소정 시간동안 제1 및 제2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100)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부 및 터치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이어폰부(200)는 하나의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6개의 터치 센서(501~506)가 하나의 이어폰에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터치 센서부(501~506)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6 터치 센서(506)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면, 귀에 닿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5 터치 센서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면, 귀에 닿지 않는 부분, 즉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터치 센서(501~505)는 이어폰의 외부 돌출된 부분에 사각형의 모서리 및 중심 부분에 각기 위치하는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부(500)의 제6 터치 센서(506)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제1 내지 제5 터치 센서(501~505)는 사용자의 순차적인 터치를 센싱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350)는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어폰이 귀에 꽂힌 상태로 파악하고, 제1 내지 제5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 및 종류에 따라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 순서(터치 센서) 기능
1 2 5 볼륨 다운
5 2 1 볼륨업
4 2 3 빨리감기
3 2 4 되감기
상기 표 2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이어폰의 외부 돌출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5 터치 센서(501~505)를 터치하는 순서에 따라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이어폰의 윗부분으로부터 아랫부분으로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제1, 제2 및 제5 감지 신호가 수신되므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기능을 볼륨 다운으로 파악하여, 이어폰부(200)로 전송되는 음향의 크기를 줄인다.
또한, 제어부(350)는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어폰이 귀에 꽂힌 상태이므로, 휴대용 단말(100)의 전원을 ON시키고, 재생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이어폰을 뺀 상태이므로, 일시 중지 또는 중지시킨 다음 소정 시간동안 제1 및 제2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100)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50)는 초기에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초기화시킨다(S 100).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321~325)로부터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0).
제어부(250)는 수신되는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의 수신 순서 및 종류에 따라 고유한 기능을 파악한다(S 120).
제어부(350)는 파악된 고유한 기능에 따라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한다(S 130).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으로 파악되면, 휴대용 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하고, 볼륨업 또는 볼륨 다운 기능으로 파악되면, 볼륨 처리부(330)를 제어하여 음향 신호의 크기를 높이거나,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에 위치 설정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순서 또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는 상태 등에 따라 제어장치가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본체를 가방 또는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단말과 제어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기기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과 제어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에 위치 설정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순서 또는 이어폰이 귀에 꽂히는 상태 등에 따라 제어장치가 각기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본체를 가방 또는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예컨대 iPod 등)의 기능을 본체의 버튼을 통해 제어하지 않고, 본체 이외에 외부에 노출된 부분, 예를 들어, 이어폰을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음향을 출력하며, 다수개의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이어폰부와,
    상기 이어폰부와 음향 신호선으로 연결되고, 각 터치 센서와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어장치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각 터치 센서를 터치하는 순서 및 상기 각 터치 센서가 센싱하는 터치 종류에 따라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상기 이어폰부의 각 이어폰으로 음향 신호선을 통해 소정 비율 증폭된 음향을 전송하는 제1 및 제2 앰프와,
    상기 각 이어폰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는 제1 내지 제6 터치 센서와 감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와,
    상기 제1 내지 제6 센서 감지부로부터 제1 내지 제6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 또는 감지 신호의 종류에 상응하는 볼륨다운, 볼륨업, 빨리감지 또는 되감기 중 어느 하나의 고유한 기능을 파악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음향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치 센서는,
    상기 각 이어폰이 상기 사용자의 귀에 닿는 부분, 손잡이 부분 또는 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KR1020070059177A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KR20080110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77A KR20080110430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77A KR20080110430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30A true KR20080110430A (ko) 2008-12-18

Family

ID=4036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77A KR20080110430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63Y1 (ko) * 2012-02-07 2013-09-02 성국신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CN114079843A (zh) * 2020-08-21 2022-02-22 上海思立微电子科技有限公司 Tws耳机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63Y1 (ko) * 2012-02-07 2013-09-02 성국신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CN114079843A (zh) * 2020-08-21 2022-02-22 上海思立微电子科技有限公司 Tws耳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482B2 (en) Input device
EP3367695A1 (en) Headset control circuit and method, headset, and audio output device and method
KR101590043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US9648409B2 (en) Earphones with ear presence sensors
JP5973465B2 (ja) オーディオ処理デバイス
KR20100088833A (ko)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WO2014078791A1 (en) Proximity based wireless audio connection
TWI682681B (zh) 基於觸碰偵測調整傳輸功率
US20190327551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CN104618831A (zh) 无线智能耳机
TWI740492B (zh) 無線耳機充電裝置
WO2016179917A1 (zh) 一种耳机、终端以及音频处理方法
KR101521938B1 (ko) 헤드셋
CN111886881B (zh) 信号处理装置、声道设置方法、记录介质以及扬声器系统
CN104244129A (zh) 可自动开启关断之接触式耳机
KR102554159B1 (ko) 이동 단말 및 제어 방법
KR20080110430A (ko)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JP2020057929A (ja) 複数電源対応ワイヤレスイヤホン及び当該ワイヤレスイヤホンの制御方法
KR100835957B1 (ko)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1929B1 (ko) 센서가 내장된 이어폰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20080110429A (ko) 휴대용 단말의 전원 제어 시스템
TW200835380A (en) Earphone and media player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automatic controlling the media player
TWI716843B (zh) 語音處理系統及語音處理方法
KR20080110431A (ko)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US20140304446A1 (en) Method,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stereo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