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423A -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423A
KR20080110423A KR1020070059148A KR20070059148A KR20080110423A KR 20080110423 A KR20080110423 A KR 20080110423A KR 1020070059148 A KR1020070059148 A KR 1020070059148A KR 20070059148 A KR20070059148 A KR 20070059148A KR 20080110423 A KR20080110423 A KR 2008011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mixed
mixed water
comparis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우
Original Assignee
이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우 filed Critical 이금우
Priority to KR102007005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423A/ko
Publication of KR2008011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입수관(61)으로 토수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TS)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S)와,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는 비교부(71)와,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되는 혼합수를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로 보내주고,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키는 방향전환밸브(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방향전환밸브 또는 혼합수저장부를 배수부내부 또는 배수부에 근접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의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를 유지할때만 혼합수가 토수되도록 하고, 혼합수가 적정온도보다 낮거나 적정온도보다 높을때에는 물저장부에 혼합수를 저장하여 물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를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가 될때까지 혼합수저장부에 일정시간 혼합수를 저장하고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에 이르면 혼합수를 토수되도록 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고,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로 상승시키는 혼합수가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즉시 적정온도로 유지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급수장치, 샤워기, 물절약, 방향전환밸브, 혼합수

Description

절수형 급수조절장치{water sa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방향전환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온도조절밸브 20: 방향전환밸브
20a: 전자제어밸브 30: 배출부
40: 물저장부 50: 세제저장부
80: 혼합수저장부 S: 온도센서
본 발명은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적정온도일 때 혼합수를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로 보내주어 사용자는 항상 적정온도로 유지된 물을 사용할 수 있고, 혼합 수가 적정온도가 아닐 때에는 혼합수를 물저장부에 저장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목욕탕에서는 샤워기 또는 수도꼭지의 개폐밸브와 온도조절밸브를 조절하여 급수된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자는 적정한 온도로 유지된 물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급수조절장치는 샤워기 또는 수도꼭지에 적정온도의 물을 토수시키기 위해 개폐밸브와 온도조절밸브를 동작시킬 때 바로 적정온도를 갖는 혼합수가 토수되지 못하고, 처음에는 혼합수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낮은 냉수가 토수되므로 사용자는 적정온도의 혼합수가 토수될 때까지 일정량의 혼합수를 사용하지 않고 흘려버리게 되어 많은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급수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의 혼합수로 맞추기 위해 온도조절밸브 조작시 적정온도보다 높은 혼합수가 토수되는 경우 이를 흘려버리게 되어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전환밸브와 물저장부를 구비하여 냉수와 온수의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를 유지할때만 혼합수가 토수되도록 하고, 혼합수가 적정온도보다 낮거나 적정온도보다 높을때에는 물저장부에 혼합수를 저장하여 물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를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가 될때까지 혼 합수저장부에 일정시간 혼합수를 저장하고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에 이르면 혼합수를 토수되도록 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로 상승시키기는 혼합수가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즉시 적정온도의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온도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입수관 및 출수관을 통해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의 배출부로 토수시키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으로 토수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혼합수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가 제1기준온도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온도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입수관으로 토수되는 상기 혼합수를 회수관을 통해 물저장부로 보내주고, 상기 온도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를 출수관을 통해 배출부로 토수시키는 방향전환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온도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입수관 및 출수관을 통해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의 배출부로 토수시키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을 통해 토수된 혼합수를 저장하는 혼합수저장부; 상기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 하여 혼합수온도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 상기 혼합수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가 제1기준온도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온도비교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를 출수관을 통해 배출부로 토수시키고, 상기 온도비교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를 지수시키는 전자제어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사용자가 설정한 제2기준온도와 상기 혼합수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에서 상기 제2기준온도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는 활성화되고, 상기 혼합수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보다 낮거나 상기 제2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방향전환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입수관(61)으로 토수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TS)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S)와,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혼합 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는 비교부(71)와,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되는 혼합수를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로 보내주고,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키는 방향전환밸브(20)로 구성된다.
또한, 비교부(71)는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은 온도인 사용자가 설정한 제2기준온도(TR2)와 혼합수온도(TS)와 비교하여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에서 제2기준온도(TR2) 범위 내에 있으면 온도비교신호(CP)는 활성화되고,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낮거나 제2기준온도(TR2)보다 높으면 온도비교신호(CP)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수시간(TW)을 수신하여 토수시간(TW)을 카운팅하여 토수시간(TW)동안 활성화된 토수제어신호(WS)를 출력하는 토수제어부(73)와, 토수제어신호(WS)와 온도비교신호(CP)를 수신하여 토수제어신호(WS)와 온도비교신호(CP)를 논리곱하여 토수제어신호(WS)와 온도비교신호(CP)가 모두 활성화될 때만 혼합수를 배출부(30)로 토수시켜주는 논리곱부(77)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50)와, 사용자가 설정한 세제배출시간(TCL)동안 세제저장부(50)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배출제어부(7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된 혼합수를 저장하는 혼합수저장부(80)와,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TS)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S)와,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는 비교부(71)와,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키고,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를 지수시키는 전자제어밸브(20a)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혼합수가열부(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적정온도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 온도조절밸브(10)를 조작하여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된다. 그러나 온도조절밸브(10)의 최초의 조작시 온수는 바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가 아니고, 냉수와 같은 온도를 가지며, 온도조절밸브(10)의 조작후 수초 내지 수분의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보일러에 의해 온수가 따뜻해지면 온수는 냉수보다 높은 온도를 갖게 된다. 즉, 종래의 경우 온도조절밸브(10)의 조작시 입수관(61)으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온도는 바로 적정온도에 이르지 못하며, 설사 입수관(61)으로 유입되는 혼합수의 온도가 적정온도에 이른다 하더라도 입수관(61)에서 출수관(63) 까지의 파이프 길이에 의해 배수부(30)로 토수되는 물은 바로 적정온도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온도감지부(S)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될 때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온도감지부(S)는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한다.
비교부(71)는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혼합수의 적정온도인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고,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낮으면 온도비교신호(TC)는 비활성화된다.
방향전환밸브(20)는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되는 혼합수를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로 보내주고,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켜 사용자는 적정온도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전환밸브(20)는 입수관(61)에서 출수관(63)까지의 거리가 멀면 적정온도로 유지된 입수관(61)에서 토수된 혼합수는 적정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배수부(30)인 샤워기 헤드 내부에 설치되거나 배수부(30) 앞단의 입수관(61) 끝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수관(63)으로부터 배수부(30) 까지의 거리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입수관(6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S) 역시 상 기와 같은 이유에 따라 입수관(61)의 끝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전환밸브(20)는 코일(21)에 온도비교신호(TC)가 인가되어 온도비교신호(TC)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몸체(23) 내부에 위치한 스풀(spool)(25)의 이동이 제어되며, 스풀(25) 내부에는 제1메인통로(25a), 제2메인통로(25b), 제1분기통로(25c) 및 제2분기통로(25d)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즉 혼합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요구한 적정온도보다 낮으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인통로(25a)는 입수관(61)과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어 입수관(61)으로부터 토수되는 혼합수는 제1분기통로(25c)와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에 저장된다.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즉 혼합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요구한 적정온도에 이르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25)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제2메인통로(25b)가 입수관(61)과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어 입수관(61)으로부터 토수되는 혼합수는 제2분기통로(25d)와 출수관(63)을 통해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의 배출부(30)로 배출되어 사용자는 적정온도로 유지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장치는 온도조절밸브(10)의 최초 동작시 냉온수의 혼합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제1기준온도(TR1)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이러한 혼합수는 방향전환밸브(20)에 의해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에 저장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혼합수의 온도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아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에 이르면 혼합수는 입수관(61)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되어 사용자는 항상 적정온도의 물을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경우 적정온도보다 낮은 물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흘려버리게 되어 물을 낭비하였으나, 본 발명은 적정온도를 갖지 않은 물은 저장부(40)에 저장되며, 이를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비교부(71)는 제1기준온도(TR1)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은 온도인 사용자가 설정한 제2기준온도(TR2)와 혼합수온도(TS)와 비교하여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에서 제2기준온도(TR2) 범위 내에 있으면 온도비교신호(CP)는 활성화되고,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낮거나 제2기준온도(TR2)보다 높으면 온도비교신호(CP)는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적합한 온도를 갖는 물을 사용하기 위해 수차례 온도조절밸브(10)를 조작하게 되므로 사용하기에 너무 차겁거나 뜨거우면 이러한 물은 사용하지 않고 흘려버렸으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온도가 낮거나, 또는 온도가 너무 높은 혼합수는 물저장부(40)에 저장되도록 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제어부(73)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수시간(TW)을 카운팅하여 토수시간(TW)동안 토수제어신호(WS)가 활성화되도록하고, 논리곱부(77)는 토수제어신호(WS)와 온도비교신호(CP)를 논리곱하여 토수제어신호(WS)와 온도비교신호(CP)가 모두 활성화될 때만 혼합수를 배출부(30)로 토수시켜준다. 즉, 혼합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일때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수시간(TW)인 동안만 혼합수는 입수관(61) 및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되고, 혼합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일때에도 토수시간(TW)이 경과되면 혼합수는 지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세제저장부(50)에 샴푸 또는 바디 클렌저 등과 같은 세제를 저장하고, 세제배출제어부(75)로 입력되는 사용자가 설정한 세제배출시간(TCL)동안 활성화되는 세제배출신호(CL)에 의해 세제저장부(50)에 저장된 세제가 세제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하여 샤워할 때 세재 등이 위치한 곳에서 원하는 세제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세재배출시간(TCL) 동안만 세제가 배출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세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나, 다만, 도 4 및 도 5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물저장부(40)가 없으며, 물저장부(40) 대신에 혼합수저장부(80)를 구비하여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된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가 될 때까지는 전자제어밸브(20a)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혼합수저장부(80)에는 혼합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혼합수는 지수되도록 하고, 온도감지부(S)에 의해 감지된 혼합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에 이르면 온도비교신호(CP)는 활성화되고, 전자제어밸브(20a)는 동작되어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는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되어 사용자는 항상 적정온도로 유지된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적정온도보다 낮은 혼합수는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되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전자제어밸브(20a)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로 일방향으로 제어되는 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혼합수가열부(81)에 의해 혼합수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낮아서 혼합수저장부(80)에 혼합수가 저장되어 있을 때 저장된 혼합수를 가열시켜 혼합수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혼합수가열부(81)는 혼합수저장부(80)의 외주면에 코일 등을 형성하고 코일에 전원을 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혼합수가열부(81)에 의해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로 유지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수저장부(80)와 전자제어밸브(20a) 역시 입수관(61)에서 출수관(63)까지의 거리가 멀면 적정온도로 유지된 입수관(61)에서 토수된 혼합수는 적정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배수부(30)인 샤워기 헤드 내부에 설치되거나 배수부(30) 앞단의 입수관(61) 끝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수관(63)으로부터 배수부(30) 까지의 거리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방향전환밸브 또는 혼합수저장부를 배수부내부 또는 배수부에 근접하도록 형성하여 냉온수의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를 유지할때만 혼합수가 토수되도록 하고, 혼합수가 적정온도보다 낮거나 적정온도보다 높을때에는 물저장부에 혼합수를 저장하여 물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를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가 될때까지 혼합수저장부에 일정시간 혼합수를 저장하고 혼합수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에 이르면 혼합수를 토수되도록 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고, 혼합수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신속하게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온도로 상승시키는 혼합수가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즉시 적정온도로 유지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온도조절밸브(10)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입수관(61) 및 출수관(63)을 통해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의 배출부(30)로 토수시키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61)으로 토수되는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TS)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S);
    상기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는 비교부(71); 및
    상기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되는 상기 혼합수를 회수관(65)을 통해 물저장부(40)로 보내주고, 상기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키는 방향전환밸브(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71)는 상기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은 온도인 사용자가 설정한 제2기준온도(TR2)와 상기 혼합수온도(TS)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상기 제1기준온도(TR1)에서 상기 제2기준온도(TR2)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CP)는 활성화되고,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상기 제1기준온 도(TR1)보다 낮거나 상기 제2기준온도(TR2)보다 높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CP)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수시간(TW)을 수신하여 상기 토수시간(TW)을 카운팅하여 상기 토수시간(TW)동안 활성화된 토수제어신호(WS)를 출력하는 토수제어부(73); 및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를 수신하여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를 논리곱하여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가 모두 활성화될 때만 상기 혼합수를 상기 배출부(30)로 토수시켜주는 논리곱부(77)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50);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세제배출시간(TCL)동안 상기 세제저장부(50)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배출제어부(7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5. 온도조절밸브(10)에 의해 조절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입수관(61) 및 출수관(63)을 통해 샤워기헤드 또는 수도꼭지의 배출부(30)로 토수시키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61)을 통해 토수된 혼합수를 저장하는 혼합수저장부(80);
    상기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혼합수온도(TS)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S);
    상기 혼합수온도(TS)와 사용자가 설정한 제1기준온도(TR1)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으면 활성화된 온도비교신호(TC)를 출력하는 비교부(71); 및
    상기 온도비교신호(TC)가 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를 출수관(63)을 통해 배출부(30)로 토수시키고, 상기 온도비교신호(TC)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혼합수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수를 지수시키는 전자제어밸브(20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71)는 상기 제1기준온도(TR1)보다 높은 온도인 사용자가 설정한 제2기준온도(TR2)와 상기 혼합수온도(TS)와 비교하여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상기 제1기준온도(TR1)에서 상기 제2기준온도(TR2)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CP)는 활성화되고, 상기 혼합수온도(TS)가 상기 제1기준온도(TR1)보다 낮거나 상기 제2기준온도(TR2)보다 높으면 상기 온도비교신호(CP)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토수시간(TW)을 수신하여 상기 토수시간(TW)을 카운팅하여 상기 토수시간(TW)동안 활성화된 토수제어신호(WS)를 출력하는 토수제어부(73); 및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를 수신하여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를 논리곱하여 상기 토수제어신호(WS)와 상기 온도비교신호(CP)가 모두 활성화될 때만 상기 혼합수를 상기 배출부(30)로 토수시켜주는 논리곱부를(77)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저장부(50);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세제배출시간(TCL)동안 상기 세제저장부(50)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시키는 세제배출제어부(7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혼합수저장부(80)에 저 장된 혼합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혼합수가열부(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KR1020070059148A 2007-06-15 2007-06-15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KR20080110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48A KR20080110423A (ko) 2007-06-15 2007-06-15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48A KR20080110423A (ko) 2007-06-15 2007-06-15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23A true KR20080110423A (ko) 2008-12-18

Family

ID=4036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48A KR20080110423A (ko) 2007-06-15 2007-06-15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4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57B1 (ko) * 2013-06-14 2014-05-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물 절약 시스템
CN107456136A (zh) * 2017-09-12 2017-12-12 梁玉娟 一种简易恒温花洒
KR102586554B1 (ko) * 2022-05-02 2023-10-06 박상준 냉온수 분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57B1 (ko) * 2013-06-14 2014-05-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물 절약 시스템
CN107456136A (zh) * 2017-09-12 2017-12-12 梁玉娟 一种简易恒温花洒
KR102586554B1 (ko) * 2022-05-02 2023-10-06 박상준 냉온수 분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866B2 (ja) 温水システム
US10428504B2 (en) Electronic toilet switchable between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688032B1 (ko) 절수형 온수공급장치
WO2012001683A2 (en) System for saving the initial water consumption while taking a shower
KR20080110423A (ko) 절수형 급수조절장치
AU2008236933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uid systems
US6243891B1 (en) Water handling system and valve
KR101867521B1 (ko) 순간식 보일러의 절수 장치
JP3619090B2 (ja) 燃焼装置
KR200383253Y1 (ko) 자동절수형 샤워장치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KR101311352B1 (ko) 물 낭비 방지용 온수공급장치
JP2011179292A (ja) 水栓装置
JP2013007164A (ja) 瞬間加熱式温水手洗い装置
KR200423670Y1 (ko) 보일러의 온수공급 시스템
KR20210135839A (ko) 온수 순환 시스템
KR101696425B1 (ko) 비데에서의 유량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4257633A (ja) ミスト発生器への給湯構造
KR200398102Y1 (ko) 물 절약형 보일러
US20220333359A1 (en) Water Conservation System
JP5203269B2 (ja) 吐水装置
JP2011069166A (ja) 衛生洗浄装置
JP4672159B2 (ja) 残り湯送水装置
KR200457604Y1 (ko) 키박스를 이용한 절수장치
JP2006275338A (ja) ミストサウナ兼用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