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931A -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 - Google Patents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931A
KR20080109931A KR1020087027818A KR20087027818A KR20080109931A KR 20080109931 A KR20080109931 A KR 20080109931A KR 1020087027818 A KR1020087027818 A KR 1020087027818A KR 20087027818 A KR20087027818 A KR 20087027818A KR 20080109931 A KR20080109931 A KR 2008010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eriod
tone
tones
subse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687B1 (ko
Inventor
준이 리
토마스 리챠드슨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의 통신들을 위해 톤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가 설명된다. 스트립-심볼에서, 신호는 고정된 스케줄 시퀀스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톤 서브세트의 톤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인접한 기지국들 및 섹터들은 동일한 톤 세트를 사용하지만, 인접한 섹터들 및 이웃하는 셀들에서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들 간의 충돌 횟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이한 스케줄 시퀀스를 사용한다.

Description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ALLOCATION OF TONES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6년 4월 14일에 미국 가특허 출원된 제 60/792,291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톤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은 셀들로 통상 지칭되는 다수의 커버리지 지역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셀은 다수의 섹터들로 더욱 세분될 수 있다. 셀 내의 무선 단말기들은 그 셀에 서빙하는 기지국과 통신한다. 무선 단말기들은 예컨대 무선 모뎀을 구비한 PDA들(personal data assistants)과 같은 셀 전화기들 및 다른 이동 전송기들을 포함해서 광범위한 이동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이 갖는 문제점은 셀의 한 섹터 내에 있는 기지국에 의한 전송이 동일 셀의 인접하는 섹터나 혹은 이웃하는 셀 내에 있는 기지국에 의한 전송들과 충돌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들은 정해진 대역폭을 취하고, 그 대역폭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톤들(tones)로 분할한다. 겹치는 섹터들 및/또는 셀들 내에 있는 기지국들에 의한 전송들이 동일한 톤들 또는 톤들의 세트를 사용할 때는, 인접하는 섹터들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 내에 있는 기지국들의 동작으로 인해서 임의의 시간 기간에 걸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송들이 주기적이거나 혹은 거의 주기적인 경우에 특히 현저할 수 있다.
주기적이거나 혹은 거의 주기적인 상황들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섹터들 및/또는 셀들 내의 기지국들에 의한 상호 간섭이 매우 상관적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섹터에 상응하는 기지국(A)에 의해 사용되는 톤들이 인접하는 섹터에 상응하는 다른 기지국(B)에 의해 사용되는 톤들과 동일할 때는, 그 다음 전송 기간에, 기지국(A)에 의해 사용되는 톤들은 기지국(B)에 의해 사용되는 톤들과 다시 동일할 것인데, 이는 그 톤들이 동일한 함수를 사용하여 할당되고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러한 타입의 상관된 간섭은 동일한 두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로 하여금 긴 시간 기간에 걸쳐 서로 반복해서 간섭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만약 무선 단말기가 두 기지국들 사이의 겹치는 영역 내에 위치한다면, 무선 단말기의 수신기는 긴 시간 기간 동안에 다운링크 신호로부터의 신호들을 정확히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상관된 또는 장기적인 간섭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관된 간섭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방식으로 이웃하는 섹터들 및 셀들 내의 기지국들에 톤들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유리할 것이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접하는 셀들 및 이웃하는 셀들에서 발생하는 전송들 간의 충돌 잠재성을 최소화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 자명해 진다. 인접하는 섹터들 또는 이웃하는 셀들 내의 임의의 정해진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들이 반복해서 충돌할 확률이 제어되거나 및/또는 최소화됨으로써 임의의 특정 장치로의 통신 신호들이 차단되는 확장된 기간들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는 예컨대 다중-톤 다중-섹터, 다중-셀 통신 시스템에서와 같은 여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들을 위한 톤 서브세트들을 할당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예컨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일 수 있다. OFDM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톤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OFDM 시스템은 시스템의 섹터들 각각 및/또는 셀들 각각에서 동일한 톤들의 세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여러 특징들은 스트립-심볼 기간들로부터 종종 지칭되는 특정 세트의 OFDM 심볼 전송 기간들에서 톤 서브세트 할당을 처리한다. 톤들의 할당은 스트립-심볼 기간들 동안과 비스트립-심볼 기간 동안에 대해서 상이할 수 있거나 종종 상이하다.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스트립 기간에서는, 전송기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총 수의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한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 있어서, 두 연속적인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는, 전송기가 예컨대 상이한 비-널 톤들의 세트들과 같은 두 개의 상이한 톤들의 서브세트들을 사용한다. 두 서브세트들의 톤들은, 두 서브세트들 중 하나에 적어도 하나에 있는 톤이 존재하지만 그 두 서브세트들 중 다른 하나에 있는 톤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이하다.
상이한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사용될 톤들의 서브세트들의 그룹화는 총체적으로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로 지칭된다. 별개의 톤 서브세트들의 총 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예컨대 N과 같은 문자에 의해 별개의 톤 서브세트들의 총 수를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 전송기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기지국 전송기들 각각은 특정 지리 영역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책임진다. 인접한 지리적 영역들을 커버하는 상이한 기지국 전송기들로부터의 신호들은 서로 간섭할 수 있다. 확장된 시간 기간에 걸쳐 광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들은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톤 서브세트들을 선택하는 상이한 시퀀스들을 사용하고, 그럼으로써 예컨대 만약 두 개의 국부적인(예컨대, 인접한) 기지국 전송기들이 하나의 스트립-심볼 기간에 동일한 톤 서브세트들을 우연히 선택한다면(그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충돌로 지칭됨), 그것들은 후속하는 스트립-심볼 기간에 다시 동일한 톤 서브세트들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유리하게,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사용함으로써 최악의 경우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은 주기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 전송기는 동일한 기간 길이의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를 사용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그 기간 길이는 N 개의 스트립-심볼 전송 기간들을 포함하는 시간 인터벌과 동일하고, 여기서 N는 톤 서브세트들의 총 수이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전송기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를 트렁케이팅하고(truncate), 상기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풀 기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는 시간 인터벌 동안 그 전송기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생성기를 동작시킨 이후에 다시 시퀀스의 처음부터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은 예컨대 작은 수의 입력 제어 파라미터들과 같은 작은 수의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지국 전송기에서 생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이한 기지국들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예컨대 방정식들과 같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값들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스트립-심볼 기간들이 아닌 다른 OFDM 심볼 전송 기간들에서 주파수(톤) 호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파라미터들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지국 전송기의 섹터 타입 및 슬로프와 같은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를 통해서 제어 파라미터들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에 따른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 생성기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도 또한 가능하다. 일예로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의 제 1 섹터에 대한 전송기는 다수의 P 순차적 스트립-심볼 기간들 각각 동안에 한번씩 하나의 톤 서브세트를 할당한다.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두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할당되는 톤 서브세트들은 상이하다. 제 1 섹터에 대한 제 1 기지국에 의한 톤들의 할당은 제 1 함수에 따라 수행된다. 제 1 함수에 따른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은 P 스트립-심볼 기간들 이후에 반복한다. P 스트립-심볼 기간들의 시간 인터벌 내에는,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이 반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겹치지 않는 시간 서브-인터벌들이 존재하는데, 상기 시간 서브-인터벌들은 적어도 5 개의 스트림-심볼 기간들을 포함한다. 제 1 섹터와는 상이한 제 1 기지국의 제 2 섹터에 대한 전송기는 다수의 P 순차적 스트립-심볼 기간들 각각 동안에 한번씩 하나의 톤 서브세트를 할당한다. 두 개의 연속적인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할당된 톤 서브세트들은 상이하다. 제 2 섹터에 대한 제 1 기지국에 의한 톤들의 할당은 제 2 함수에 따라 수행된다. 제 2 함수에 따른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은 P 스트립-심볼 기간들 이후에 반복한다. P 스트립-심볼 기간들의 시간 인터벌 내에는,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이 반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겹치지 않는 시간 서브-인터벌들이 존재하는데, 상기 시간 서브-인터벌들은 적어도 5 개의 스트립-심볼 기간들을 포함한다.
특정 예에 있어서는, 제 1 기지국과는 상이한 제 2 기지국의 섹터에 대한 전송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의 전송기의 섹터는 섹터 전송기가 다수의 P 순차적 스트립-심볼 기간들 각각 동안에 한번씩 하나의 톤 서브세트를 할당하는 제 3 섹터일 수 있다. 두 개의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할당된 톤 서브세트들은 상이하다. 제 3 섹터에 대한 제 2 기지국에 의한 톤들의 할당은 제 3 함수에 따라 수행된다. 제 3 함수에 따른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은 P 스트립-심볼 기간들 이후에 반복한다. P 스트립-심볼 기간들의 시간 인터벌 내에는, 톤 서브세트들의 할당이 반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겹치지 않는 시간 서브-인터벌들이 존재하는데, 상기 시간 서브-인터벌들은 적어도 5 개의 스트립-심볼 기간들을 포함한다. 제 1 기지국의 제 1 및 제 2 섹터들은 인접하는 섹터들일 수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기지국들은 인접하는 기지국들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함수들 간의 차이는 시퀀스들에 서브세트 톤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를 구현할 때 제 1 및 제 2 섹터들 간을 구별하기 위해서 제 1 기지국에 의해 상이한 상수 값이 사용되는 것만큼 간단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톤 서브세트 할당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수 값은 기지국의 메모리뿐만 아니라 그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들의 메모리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함수 간의 차이 또는 제 2 및 제 3 함수 간의 차이는 시퀀스들에 톤 서브세트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를 구현할 때 제 1 및 제 2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서 상이한 상수 값이 사용되는 것만큼 간단할 수 있다. 기지국의 톤 할당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수 값은 기지국의 메모리뿐만 아니라 그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들의 메모리에도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퀀스들에 톤 서브세트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함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에서, 모든 톤 서브세트들은 0, 1,..., N-1로 인덱싱된다. 스트립-심볼 기간들의 세트에서, 스트립-심볼 기간들 각각도 또한 0, 1, 2,...로 인덱싱된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N은 소수(prime number)이다. 예컨대, N=97이다. 아래의 공식은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은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여기서 모든 산술 연산자(+,2,*,/)는 N의 필드에서 정의된다고 하자.
bssSlopeIndex은 셀 슬로프 값의 인덱스이고, 바람직하게는 셀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 동일하고; 인접하는 셀들은 bssSlopeIndex에 대한 상이한 값들을 가져야 한다. 파라미터 bssSlopeIndex는 0, 1,..., N1-1이고, 여기서 N1≤N이다. 일실시예에서, N1=96이다.
bssSectorType는 섹터의 인덱스이다. 섹터 타입 T가 세트{0, 1,..., 5}, {0, 1} 또는 {0, 1, 2} 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정해진 기지국의 인접하는 섹터들은 상이한 T의 값을 가져야 한다.
f=기지국의 섹터에서 특정 함수
k=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정해진 쌍의 bassSectorType 및 bssSlopeIndex에 대해서, 위의 방정식은 N 스트립-심볼 기간들로 이루어진 기간을 갖는다.
기지국의 인접하는 섹터에서 상이한 상수 값들 bssSectorType를 갖는 위의 함수를 사용하면, 인접하는 섹터들의 시퀀스들 간에 충돌 횟수를 N 스트립-심볼 기간들로 이루어진 기간 동안에 기껏해야 한번 발생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웃하는 기지국들에서 상이한 상수 값들 bssSlopeIndex를 갖는 위의 함수를 사용하면, 이웃하는 기지국들의 시퀀스들 간의 충돌 횟수를 N 스트립-심볼 기간들로 이루어진 기간 동안에 기껏해야 두번 발생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상기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풀 기간을 초과하는 길이를 갖는 시간 인터벌 동안 전송기가 시퀀스 생성기를 동작시킨 이후에 트렁케이팅되고, 이후에 재시작됨으로써, 특정 프레임 동기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P는 N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하고, 소수일 수 있거나 혹은 소수가 아닐 수 있다. 하나 혹은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P=18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한 프레임 동기화에 대해 동기화될 수 있다. 프레임 동기화가 비콘 신호에 의해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의 두 연속적인 트렁케이션 순간들 사이에, 즉, P 스트립-심볼 기간들의 시간 인터벌에 여러 비콘 신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의 함수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톤 할당 차트들은 기지국 및/또는 이동 노드들에서 한번 계산되어 저장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할당 정보를 다시 계산하는 것이 계속해서 수행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톤들 및 톤 시퀀스들의 할당은 비록 함수들이 할당 처리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않더라도 그 함수들에 따라서 여전히 수행된다.
비록 여러 실시예들이 위의 개요에서 설명되었지만, 모든 실시예들의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또한 위의 설명된 특징들 중 일부가 필요하지 않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요구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러 실시예들의 여러 방법들 및 장치의 많은 추가적인 특징들, 이점들 및 세부사항들이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기지국을 나타낸다.
도 3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4는 OF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톤 세트를 나타낸다.
도 5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립-심볼 기간들 및 비스트립-심볼 기간들을 도시한 예시적인 신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전송기에 의해서 사용될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도 7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두 전송기들에 의해서 각각 사용될 두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나타낸다.
도 8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 동기화 구조에 적합하도록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트렁케이팅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할당 모듈을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 스트립 심볼 인터벌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할당되는 톤 서브세트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와 연관된 다운링크 톤 블록의 사용에 대해 예시적인 반복 타이밍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를 통신할 목적으로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기지국을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6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를 통신할 목적으로 톤들의 블록을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듈들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듈들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톤 서브세트들을 할당하기 위한 설명되는 방법 및 장치는 광범위한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여러 특징들이 모뎀들이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들을 지원하는 시스템들, PDA들, 및 장치 이동성을 위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하는 광범위한 다른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여러 셀들(셀 1(102), 셀 M(104))을 포함하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이웃하는 셀들(102, 104)은 셀 경 계 지역(16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약간 겹치고, 그럼으로써 이웃하는 셀들에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 간에 신호 간섭의 잠재성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시스템(100)의 각 셀(102, 104)은 3 개의 섹터들을 포함한다. 여러 섹터들(N=1)로 세분되지 않은 셀들, 두 개의 섹터들(N=2)을 갖는 셀들 및 3 보다 많은 섹터들(N>3)을 갖는 셀들이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또한 가능하다. 셀(102)은 제 1 섹터(섹터 1)(110), 제 2 섹터(섹터 2)(112), 및 제 3 섹터(섹터 3)(114)를 포함한다. 각각의 섹터(110, 112, 114)는 두 개의 섹터 경계 지역들을 갖는데, 각각의 경계 지역은 두 개의 인접하는 섹터들에 사이에 공유된다. 섹터 경계 지역들은 이웃하는 섹터들에서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 간의 신호 간섭 잠재성을 제공한다. 라인(116)은 섹터 1(110)과 섹터 2(112)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내고, 라인(118)은 섹터 2(112)와 섹터 3(114)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내며, 라인(120)은 섹터 3(114)과 섹터 1(110)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셀 M(104)은 제 1 섹터(섹터 1)(122), 제 2 섹터(섹터 2)(124), 및 제 3 섹터(섹터 3)(126)를 포함한다. 라인(128)은 섹터 1(122)과 섹터 2(124)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내고, 라인(130)은 섹터 2(124)와 섹터 3(126)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내며, 라인(132)은 섹터 3(126)과 섹터 1(122) 사이의 섹터 경계 지역을 나타낸다. 셀 1(102)은 기지국(BS), 기지국 1(106), 즉, 기지국 1(106)과 각 섹터(110, 112, 114) 내의 다수의 종단 노드들(EN들)을 포함한다. 섹터 1(110)은 무선 링크들(140, 142)을 통해 BS(106)에 각각 연결되는 EN(1)(136) 및 EN(X)(138)을 포함하고, 섹터 2(112)는 무선 링크들(148, 150)을 통해 BS(106)에 각각 연결되는 EN(1')(144) 및 EN(X')(146)을 포함하며; 섹터 3(114)은 무선 링크들(156, 158)을 통해 BS(106)에 각각 연결되는 EN(1'')(152) 및 EN(X'')(154)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셀 M(104)은 기지국 M(108) 및 각 섹터(122, 124, 126) 내의 다수의 종단 노드들(EN들)을 포함한다. 섹터 1(122)은 무선 링크들(140', 142')을 통해 BS M(108)에 각각 연결되는 EN(1)(136') 및 EN(X)(138')을 포함하고; 섹터(2)(124)는 무선 링크들(148')을 통해 BS M(108)에 각각 연결되는 EN(1')(144') 및 EN(X')(146')을 포함하며; 섹터 3(126)은 무선 링크들(156', 158')을 통해서 BS M(108)에 각각 연결되는 EN(1'')(152') 및 EN(X'')(154')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링크들(162, 164)을 통해서 BS 1(106) 및 BS M(108)에 각각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16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60)는 또한 예컨대 다른 기지국들, AAA 서버 노드들, 중간 노드들, 라우터들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및 인터넷에 네트워크 링크(166)를 통해서 연결된다. 네트워크 링크들(162, 164, 166)은 예컨대 광섬유 케이블들일 수 있다. 각각의 종단 노드, 예컨대 EN(1)(136)은 전송기뿐만 아니라 수신기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들, 예컨대 EN(1)(136)은 시스템(100) 내의 여러 곳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EN(1)(136)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셀 내의 기지국과 무선 링크들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들(WT들), 예컨대 EN(1)(136)은 예컨대 BS(106)와 같은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0)를 통해서 시스템(100) 내에 있거나 혹은 시스템(100) 밖에 있는 예컨대 다른 WT들과 같은 피어 노드들(peer nodes)과 통신할 수 있다. WT들, 예컨대 EN(1)(136)은 셀 전화기들, 무선 모뎀들을 구비한 PDA 들(personal data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장치들일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톤들을 할당하고 또한 예컨대 비스트립-심볼 기간들과 같은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서 톤 호핑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과는 상이한, 스트립-심볼 기간들에 대한 방법을 사용하여 톤 서브세트 할당을 수행한다. 무선 단말기들은 특정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데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톤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예컨대 기지국 슬로프 ID, 섹터 ID 정보와 같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함께 상기 톤 서브세트 할당 방법을 사용한다. 톤들 각각에 걸쳐 섹터간 간섭 및 셀간 간섭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가 구성된다.
도 2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2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기지국(200)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구현하는데, 셀의 각각의 상이한 섹터 타입에 대해서 상이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이 생성된다. 기지국(200)은 도 1의 시스템(100)의 기지국들(106, 108) 중 어느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버스(209)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수신기(202), 전송기(204), 예컨대 CPU와 같은 프로세서(206),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8) 및 메모리(2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버스(209)를 통해서 여러 엘리먼트들(202, 204, 206, 208 및 210)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기(203)에 연결되는 섹터화된 안테나(203)는 기지국의 셀 내의 각 섹터로부터 오는 무선 단말기들의 전송들로부터 데이터 및 다른 신호들, 예컨대 채널 레포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기(204)에 연결되는 섹터화된 안테 나(205)는 기지국의 셀의 각 섹터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300)(도 3 참조)로 데이터 및 다른 신호들, 예컨대 제어 신호들, 파일럿 신호, 비콘 신호들 등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200)은 다수의 수신기들(202) 및 다수의 전송기들(204), 예컨대 각각의 섹터를 위한 개별적인 수신기들(202) 및 각각의 섹터를 위한 개별적인 전송기들(204)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06)는 예컨대 범용 중앙 처리 유닛(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206)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루틴들(218)의 지시 하에서 기지국(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구현한다. I/O 인터페이스(208)는 BS(200)를 다른 기지국들, 액세스 라우터들, AAA 서버 노드들 등에 연결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다른 네트워크들, 및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제공한다. 메모리(210)는 루틴들(218) 및 데이터/정보(220)를 포함한다.
데이터/정보(220)는 데이터(236), 다운링크 스트립-심볼 시간 정보(240) 및 다운링크 톤 정보(242)를 포함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정보(238), 및 다수의 WT 정보 세트들(즉, WT 1 정보(246) 및 WT N 정보(260))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WT) 데이터/정보(244)를 포함한다. 각각의 WT 정보 세트, 예컨대 WT 1 정보(246)는 데이터(248), 단말기 ID(250), 섹터 ID(252), 업링크 채널 정보(254), 다운링크 채널 정보(256), 및 모드 정보(258)를 포함한다.
루틴들(218)은 통신 루틴들(222) 및 기지국 제어 루틴들(224)을 포함한다. 기지국 제어 루틴들(224)은 스케줄러 모듈(226) 및 시그널링 모듈(228)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모듈(228)은 스트립 심볼 기간들에 대한 톤 서브세트 할당 루 틴(230), 예컨대 비스트립-심볼 기간들과 같은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 대한 다른 다운링크 톤 할당 호핑 루틴(232), 및 비콘 루틴(234)을 포함한다.
데이터(236)는 WT들로의 전송에 앞서 인코딩하기 위해 전송기(204)의 인코더(214)에 보내질 전송될 데이터, 및 수신 이후에 수신기(202)의 디코더(212)를 통해 처리되는 WT들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스트립-심볼 시간 정보(240)는 슈퍼슬롯, 비콘슬롯, 및 울트라슬롯 구조 정보와 같은 프레임 동기화 구조 정보, 및 정해진 심볼 기간이 스트립-심볼 기간인지 여부(만약 그렇다면, 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및 스트립-심볼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를 트렁케이팅하기 위해 리셋팅 포인트인지 여부를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톤 정보(242)는 기지국(200)에 할당된 반송파 주파수, 스트립-심볼 기간들에 할당될 톤들 및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의 수 및 주파수, 및 슬로프, 슬로프 인덱스 및 섹터 타입과 같은 다른 셀 및 섹터 특정 값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248)는 WT 1(300)이 피어 노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WT 1(300)이 피어 노드로부터 전송되길 원하는 데이터, 및 다운링크 채널 품질 레포트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ID(250)는 WT 1(300)을 식별하는 기지국(200)의 할당된 ID이다. 섹터 ID(252)는 WT 1(300)이 동작하고 있는 섹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섹터 ID(252)는 예컨대 섹터 타입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채널 정보(254)는 예컨대 데이터를 위한 업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 요청들을 위한 전용 업링크 제어 채널들, 전력 제어, 타이밍 제어 등을 사용하기 위해 서 WT 1(300)에 대해 스케줄러(226)에 의해 할당되어진 채널 세그먼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WT 1(300)에 할당된 각각의 업링크 채널은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톤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논리적인 톤은 업링크 호핑 시퀀스에 후속한다. 다운링크 채널 정보(256)는 WT 1(300)에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스케줄러(226)에 의해 할당되어진 채널 세그먼트들,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WT 1(300)에 할당된 각각의 다운링크 채널은 다운링크 호핑 시퀀스에 각각 후속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톤들을 포함한다. 모드 정보(258)는 WT 1(300)의 동작 상태(예컨대, 슬립(sleep), 홀드(hold), 온(on))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루틴들(222)은 여러 통신 동작들을 수행하고 또한 여러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도록 기지국(200)을 제어한다.
기지국 제어 루틴들(224)은 예컨대 신호 생성 및 수신과 스케줄링과 같은 기지국의 기능적인 작업들을 수행하고 또한 스트립-심볼 기간들 동안에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들에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들의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기지국(2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그널링 루틴(228)은 고유의 디코더(212)를 구비한 수신기(202) 및 고유의 인코더(214)를 구비한 전송기(204)의 동작을 제어한다. 시그널링 루틴(228)은 전송되는 데이터(236) 및 제어 정보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책임진다. 톤 서브세트 할당 루틴(230)은 본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하고 또한 다운링크 스트립-심볼 시간 정보(240) 및 섹터 ID(252)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220)를 사용하여, 스트립 심볼 기간에 사용될 톤 서브세트를 구성한다. 다운링크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셀의 각 섹터에 대해 상이할 것이고, 또한 인접한 셀들에 대해 상이할 것이다. WT들(300)은 다운링크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에 따라 스트립-심볼 기간들에서 신호들을 수신하고; 기지국(200)은 전송되는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다운링크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사용한다. 다른 다운링크 톤 할당 호핑 루틴(232)은 스트립-심볼 기간들 이외의 심볼 기간들에 대해서 다운링크 톤 정보(242) 및 다운링크 채널 정보(256)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톤 호핑 시퀀스들을 구성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톤 호핑 시퀀스들은 셀의 섹터들에 걸쳐 동기화된다. 비콘 루틴(234)은 예컨대 다운링크 신호의 프레임 타이밍 구조를 동기화함으로써 울트라-슬롯 경계에 대해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를 동기화하기 위해 동기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수 개의 톤들에 집중된 비교적 높은 전력의 신호와 같은 비콘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의 예컨대 EN(1)(136)과 같은 무선 단말기들(종단 노드들) 중 어느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종단 노드)(300)를 나타낸다. 무선 단말기(300)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구현한다. 무선 단말기(300)는 버스(30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디코더(312)를 구비하는 수신기(302), 인코더(314)를 구비하는 전송기(304), 프로세서(306), 및 메모리(308)를 포함하는데, 상기 버스(308)를 통해서 여러 엘리먼트들(302, 304, 306, 308)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기지국(200)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303)가 수신기(302)에 연결된다. 신호들을 예컨대 기지 국(200)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안테나(305)가 전송기(304)에 연결된다.
예컨대 CPU와 같은 프로세서(306)는 무선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루틴들(320)을 실행하고 메모리(308) 내의 데이터/정보(322)를 사용함으로써 방법들을 구현한다.
데이터/정보(322)는 사용자 데이터(334), 사용자 정보(336), 및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정보(3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334)는 전송기(304)에 의해 기지국(200)으로 전송되기 이전에 인코딩하기 위해서 인코더(314)에 라우팅될 피어 노드로 예정된 데이터, 및 수신기(302)에서 디코더(312)에 의해 처리되어진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336)는 업링크 채널 정보(338), 다운링크 채널 정보(340), 단말기 ID 정보(342), 기지국 ID 정보(344), 섹터 ID 정보(346), 및 모드 정보(348)를 포함한다. 업링크 채널 정보(338)는 기지국(200)에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단말기(300)에 대해 기지국(200)에 의해서 할당되어진 업링크 채널들 세그먼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채널들은 업링크 트래픽 채널들, 전용 업링크 제어 채널들, 예컨대 요청 채널들, 전력 제어 채널들 및 타이밍 제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업링크 채널은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톤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논리적인 톤은 업링크 톤 호핑 시퀀스에 후속한다. 업링크 호핑 시퀀스들은 셀의 각 섹터 타입들 간에 그리고 인접하는 셀들 간에 상이하다. 다운링크 채널 정보(340)는 BS(200)가 데이터/정보를 WT(300)에 전송할 때 사용하기 위해 WT(300)에 대해 기지국(200)에 의해서 할당되어진 다운링크 채널 세그먼트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운 링크 채널들은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들 및 할당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다운링크 채널은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톤을 포함하고, 각각의 논리적인 톤은 셀의 각 섹터 간에 동기화되는 다운링크 호핑 시퀀스에 후속한다.
사용자 정보(336)는 또한 기지국(200)의 할당된 식별인 단말기 ID 정보(342), WT가 서로 통신을 설정한 특정 기지국(200)을 식별하는 기지국 ID 정보(344), 및 WT(30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셀의 특정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ID 정보(346)를 포함한다.
기지국 ID(344)는 셀 슬로프 값을 제공하고, 섹터 ID 정보(346)는 섹터 인덱스 타입을 제공하는데, 그 셀 슬로프 값 및 섹터 인덱스 타입은 톤 호핑 시퀀스들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T(300)가 슬립 모드, 홀드 모드, 또는 온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모드 정보(348)도 또한 사용자 정보(336)에 포함된다.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정보(350)는 다운링크 스트립-심볼 시간 정보(352) 및 다운링크 톤 정보(354)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스트립-심볼 시간 정보(352)는 슈퍼슬롯, 비콘슬롯, 및 울트라슬롯 구조 정보와 같은 프레임 동기화 구조 정보, 및 정해진 심볼 기간이 스트립-심볼 기간인지 여부(만약 그렇다면, 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및 스트립-심볼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를 트렁케이팅하기 위해 리셋팅 포인트인지 여부를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톤 정보(354)는 기지국(200)에 할당된 반송파 주파수, 스트립-심볼 기간들에 할당될 톤들 및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 수 및 주파수, 및 슬로프, 슬로프 인덱스 및 섹터 타입과 같은 다른 셀 및 섹터 특정 값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루틴들(320)은 통신 루틴들(324) 및 무선 단말기 제어 루틴들(326)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들(324)은 WT(300)에 의해 사용되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들을 제어한다. 무선 단말기 제어 루틴들(326)은 수신기(302) 및 전송기(304)의 제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3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무선 단말기 제어 루틴들(326)은 시그널링 루틴들(328)을 포함한다. 시그널링 루틴(328)은 스트립-심볼 기간들에 대한 톤 서브세트 할당 루틴(330) 및 예컨대 비-스트립 심볼 기간들과 같은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 대한 다른 다운링크 톤 할당 호핑 루틴(332)을 포함한다. 톤 서브세트 할당 루틴(33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다운링크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생성하고 또한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다운링크 채널 정보(340), 예컨대 슬로프 인덱스 및 섹터 타입과 같은 기지국 ID 정보(344), 및 다운링크 톤 정보(354)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정보(322)를 사용한다. 다른 다운링크 톤 할당 호핑 루틴(330)은 스트립-심볼 기간들 이외의 심볼 기간들에 대해서 다운링크 톤 정보(354) 및 다운링크 채널 정보(340)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톤 호핑 시퀀스들을 구성한다. 톤 서브세트 할당 루틴(330)은, 프로세서(306)에 의해서 실행될 때, 무선 단말기(300)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트립-심볼 신호들을 수신하게 될 때와 어떤 톤을 통해 수신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업링크 톤 할당 호핑 루틴(330)은 무선 단말기가 전송하는데 사용해야 하는 톤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함께 톤 서브세트 할당 함수를 사용한다.
도 4는 도 1의 셀들(102, 104) 각각의 각 섹터에 대해서 구현되는, 여러 실 시예들의 OFDM 확산 스펙트럼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수평 축(451)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특정 반송파 주파수(453), 예컨대 다운링크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총 양은 다수(K)의 동일하게 이격된 톤들로 분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113 개의 동일하게 이격된 톤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톤들은 0 내지 K-1로 인덱싱된다. 예시적인 톤들, 즉, 톤 0(455), 톤 1(457), 톤 2(459) 및 톤 K-1(461)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대역폭은 두 개의 셀들(102, 104)을 포함하는 섹터들(110, 112, 114, 122, 124, 126) 각각에 동시에 사용된다. 각 셀의 각 섹터에서, 톤들(0 내지 K-1)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각 셀의 각 섹터에서 각각 사용된다. 두 셀들(102, 104) 모두의 각 섹터에서는 동일한 대역폭이 사용되기 때문에, 동시에 주파수 톤들을 통해 상이한 셀들 및 섹터들에 의해서 전송되는 신호들은 예컨대 섹터 경계 영역들(116, 118, 120, 128, 130, 132) 및 셀 경계 영역들(168)과 같은 겹치는 영역들에서 서로 간섭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셀들(102, 104) 각각의 각 섹터에 대해 구현되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립-심볼 기간들 및 비스트립-심볼 기간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신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수평 축(501)은 시간을 나타낸다. 시간 축(501)의 단위는 심볼 기간, 예컨대 OFDM 통신 시스템에서 OFDM 심볼 기간을 나타낸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 도 4에 도시된 K개의 톤들로 이루어진 서브세트의 세트가 기지국(20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300)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톤들의 할당은 상이한 심볼 기간들에서 상이한 할당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을 따른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가지의 상이한 톤 할당 방법들이 존재한다. 제 1 톤 할당 방법에서는, K 톤들의 서브세트가 심볼에서 사용되고, 그 서브세트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 시퀀스에 따라 고정된 톤 서브세트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제 1 톤 할당 방법이 톤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참조번호 502, 506, 및 510과 같은 스트립-심볼들로 지칭된다. 제 2 톤 할당 방법에서는, 톤 호핑 시퀀스들이 논리적인 톤들에 상응하는 물리적인 톤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톤 할당은 논리적인 톤들을 할당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2 톤 할당 방법이 톤들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참조번호 504, 508, 및 512와 같은 비스트립-심볼들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비스트립-심볼 기간에 사용되는 톤들의 세트는 미리 결정된 스케줄 시퀀스에 따라 고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로부터 발생하지 않는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스트립-심볼들 및 비스트립-심볼들 이외의 다른 심볼들, 예컨대 비콘 신호들이 전송되는 심볼 기간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주시하자.
도 6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전송기에 의해서 사용될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서, 톤들의 총 수는 7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톤들의 총 수가 113일 수도 있다. 수직 축(601)은 톤들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톤 인덱스는 0부터 6까지 증가한다. 각각의 열은 스트립 심볼에서 사용될 톤들의 서브세트를 나타낸다. 각각의 열에서, 어둡게 표현된 박스는 상응하는 톤이 정해진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 다. 예컨대, 열(602)에 있는 톤 서브세트는 톤들(0, 3, 6)을 포함하고, 열(604)에 있는 톤 서브세트는 톤들(1, 4, 5)을 포함하고, 열(606)에 있는 톤 서브세트는 톤들(2, 3, 5)을 포함하고, 열(608)에 있는 톤 서브세트는 톤들(0, 2, 6)을 포함하며, 열(610)에 있는 톤 서브세트는 톤들(1, 4, 6)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전체적으로 N=5의 톤 서브세트들이 존재한다. 도면에서, 각각의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 톤들의 수는 동일하며, 3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톤 서브세트에 있는 톤들의 수는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임의의 두 톤 서브세트들에서 톤들의 수 간의 차이는 어느 한 톤 서브세트에 있는 톤들 수의 기껏해야 20%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 톤들의 수는 톤들의 총 수의 절반에 근접한다. 예컨대,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 톤들 수와 톤들의 총 수의 절반 간의 차이는 톤들의 총 수의 절반의 기껏해야 20%이다.
도 7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두 기지국 전송기들에 의해 각각 사용될 두 개의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나타낸다. 도면(700)은 제 1 전송기에 의해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이고, 도면(720)은 제 2 전송기에 의해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이다.
도면(700)에서, 수평 축(703)은 시간을 나타내고, 시간 축(701)의 각 단위는 심볼 기간을 나타낸다. 스트립-심볼에서 톤들의 사용은 수직 열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다른 심볼 기간에 톤들의 사용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톤들이 특정 톤 할당 및/또는 호핑 방법들에 따라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면(700)은 스 트립-심볼에서 고정된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 톤들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700)에 도시된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인데, N=5 개의 별개 톤 서브세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톤 서브세트들은 0(참조번호 602에 대해), 1(참조번호 604에 대해), 2(참조번호 606에 대해), 3(참조번호 608에 대해) 및 4(참조번호 610에 대해)로서 인덱싱된다.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인 미리 결정된 스케줄에 따른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톤 서브세트(0)는 스트립-심볼(702)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1)는 스트립-심볼(704)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2)는 스트립-심볼(706)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3)는 스트립-심볼(708)에서 사용되며, 톤 서브세트(4)는 스트립-심볼(710)에서 사용된다. 스트립-심볼(710) 이후에,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반복한다. 따라서, 톤 서브세트(0)는 스트립-심볼(712)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1)는 스트립-심볼(714)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2)는 스트립-심볼(716)에서 사용되며, 이후 계속해서 이러한 방식을 따른다.
도면(720)에서, 수평 축(723)은 시간을 나타내고, 시간 축(721)의 각 단위는 심볼 기간을 나타낸다. 스트립-심볼에서 톤들의 사용은 수직 열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다른 심볼 기간에 톤들의 사용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톤들이 특정 톤 할당 및/또는 호핑 방법들에 따라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면(720)은 스트립-심볼에서 고정된 톤 서브세트에 포함된 톤들은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720)에서 사용된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는 도면(70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인 미 리 결정된 스케줄에 따른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제 2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제 1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상이하다. 특히, 톤 서브세트(0)는 스트립-심볼(722)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2)는 스트립-심볼(724)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4)는 스트립-심볼(726)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1)는 스트립-심볼(728)에서 사용되며, 톤 서브세트(3)는 스트립-심볼(730)에서 사용된다. 스트립-심볼(730) 이후에,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반복한다. 따라서, 톤 서브세트(0)는 스트립-심볼(732)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2)는 스트립-심볼(734)에서 사용되고, 톤 서브세트(4)는 스트립-심볼(736)에서 사용되며, 이후 계속해서 이러한 방식을 따른다. 제 2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의 기간은 제 1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그 기간은 세트의 톤 서브세트들의 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세트의 톤 서브세트들의 수는 소수인데, 예컨대 N=97이다.
위의 도면들(700 및 720)에서, 두 기지국들은 스트립-심볼들(702 및 722)에서 동일한 톤 서브세트를 사용한다. 두 스트립-심볼들이 정렬될 때, 두 기지국들은 사실상 그들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동일한 톤들을 사용하고, 그럼으로써 그들 사이에 강한 상관된 간섭을 발생시킨다. 유리하게,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두 기지국들은 후속하는 스트립-심볼에서 상이한 톤 서브세트들을 사용하고, 그럼으로써 간섭이 계속해서 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기지국들이 반드시 서로 완전하게 시간 동기화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주시하자.
도 8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프레임 동기화 구조에 적합하도록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트렁케이팅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도면들에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다른 것 이후에 한 기간을 실행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운링크 신호에서 다른 프레임 동기화 구조와 정렬되기 위해,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가 트렁케이팅되고 다시 시작된다. 도 8은 슈퍼슬롯들, 비콘슬롯들, 및 울트라슬롯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프레임 동기화 구조를 나타낸다. 슈퍼슬롯은 고정된 수의 심볼들, 예컨대 114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을 포함한다. 특정 다운링크 톤 호핑 시퀀스들이 슈퍼슬롯의 주기성을 갖는다. 비콘슬롯은 고정된 수의 슈퍼슬롯들, 예컨대 8 개의 연속적인 인덱싱된 슈퍼슬롯들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신호는 비콘슬롯에서 전송된다. 울트라슬롯은 고정된 수의 비콘슬롯들, 예컨대 18 개의 연속적인 인덱싱된 비콘슬롯들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울트라슬롯(800)은 18 개의 비콘슬롯들(822, 824, 826, 828, 830, 832, 834, 836, 838, 840, 842, 844, 846, 848, 850, 852, 854, 856)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콘슬롯들은 L=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로서 각각 인덱싱된다. 비콘슬롯, 예컨대 비콘슬롯(836)은 8 개의 슈퍼슬롯들(802, 804, 806, 808, 810, 812, 814, 816)을 포함한다. 특정 심볼들이 각 슈퍼슬롯의 처음에 전송된다. 예컨대, 슈퍼슬롯(802)에서는, 첫 번째 두 개의 심볼들(860)이 비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슈퍼슬롯들(804 및 806)에서는, 첫 번째 두 개의 심볼들(864 및 866)이 전송되지 않는다. 슈퍼슬롯들(808, 810, 812, 814, 816)에서는, 첫 번째 두 개의 심볼들(868, 870, 872, 874, 및 876)이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립-심볼들이다. 슈퍼슬롯은 상기 첫 번째 두 개의 특정 심볼들 이외의 다른 심볼들, 예컨대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112 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슬롯의 타이밍 구조는 반복한다. 예컨대, 두 개의 심볼들(862)이 상기 첫 번째 두 개의 심볼들(860)과 마찬가지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비콘슬롯에서의 스트립-심볼들은 m-0, 1,...,9로 인덱싱된다. 예컨대, 비콘슬롯에서의 첫 번째 스트립-심볼(880)은 m=0으로 인덱싱되고, 비콘슬롯에서의 두 번째 스트립-심볼(882)은 m=1로 인덱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은 스트립-심볼(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여기서 모든 산술 연산자들(+, 2, *, /)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고, 여기서 N은 소수라고 하자. 예컨대, N=97이다.
bssSlopeIndex은 셀 슬로프 값의 인덱스이고, 바람직하게는 셀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 동일하고; 인접하는 셀들은 bssSlopeIndex에 대한 상이한 값들을 가져야 한다. 파라미터 bssSlopeIndex는 0, 1,..., N1-1이고, 여기서 N1≤N이다. 일실시 예에서, N1=96이다.
bssSectorType은 섹터의 인덱스이다. 섹터 타입 T가 세트{0, 1,..., 5}, {0, 1} 또는 {0, 1, 2} 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정해진 기지국의 인접하는 섹터들은 상이한 T의 값을 가져야 한다.
f=기지국의 섹터에서 특정 함수
k=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k=L*10+m
약간 다른 형태로 표현하면:
k=L*10+m;
temp0=bssSectorType*k+k*k;
temp1=imod(temp0,N);
f(bssSlopeIndex,bssSectorType,k)=mod(temp1*(bssSlopeIndex+1),N);
여기서,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모듈로 함수 mode(x,m)은 mode(x,m)=x-m*floor(x/m)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함수 floor(x)는 x보다 작거나 혹은 그와 동일한 가장 큰 정수로서 정의되고;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역 모듈로 함수 imode(x,m)은 y와 동일하고, 여기서 만약 mod(x*y,m)이 1이라면 1≤y≤m이다. 만약 mod(x,m)이 제로라면, imod(x,m)은 0으로 설정된다.
만약 시간 인덱스 k가 0 내지 무한대로 허용된다면, 위의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N 개의 스트립-심볼들로 이루어진 자연적인 기간을 갖는다.
그러나, 다운링크 신호의 프레임 타이밍 구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k 는 0 내지 P-1로 되는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P=180이다. 즉,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제 1 자연 기간 동안에 k=0 내지 k=96(=N-1)에 대해 동작하고, k=97로부터 다시 시작한다. 제 2 자연 기간이 k=193(2*N-1)에서 자연스럽게 종료하기 이전에, 시간 인덱스는 k=179에서 멈추고 k=0으로 재설정된다. 그 결과, 제 2 기간은 트렁케이팅되고,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된다.
이는 도 8에서 하단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울트라슬롯(891) 및 제 2 울트라슬롯(892)은 서로 인접한다. 시간 순간(890)이 두 울트라슬롯들 사이의 경계이다.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k=0인 경우에 제 1 울트라슬롯(891)의 처음부터 시작하고, k=96인 경우에 시간 순간(894)에서 시퀀스의 제 1 자연 기간(893)을 완료하는데, 이는 제 1 울트라슬롯(891) 내에 위치된다.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k=97부터 제 2 기간을 계속해서 시작한다. 제 2 기간(895)은 제 1 울트라슬롯이 종료한 이후의 시간 순간에 완료할 것이다. 그러나, k는 시간 순간(890)에서 제 1 울트라슬롯이 종료하고 제 2 울트라슬롯이 시작할 때 재설정되는데, 이 때 제 2 기간(895)은 트렁게이팅되고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제 2 기간(895)을 계속해서 완료하기보다는 오히려 k=0부터 다시 시작된다.
울트라슬롯들, 비콘슬롯들, 슈퍼슬롯들 등에 대한 위의 프레임 타이밍 구조는 울트라슬롯마다 반복한다.
도 9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할당 모듈(900)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무선 단말기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이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의 기지국 섹터들(BSS들)을 포함한다. BSS는 기지국의 일부이다. 무지향성 BSS는 기지국에 상응하는 전체 셀 내의 무선 단말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향성 BSS는 셀의 서브세트 부분, 예컨대 셀의 섹터에 있는 무선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해서 특정 방향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모듈(900)은 기지국 또는 무선 단말기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고, BSS에 상응하는 셀의 섹터 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톤 서브세트 할당 패턴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할당 모듈(900)은 톤 서브세트 할당 결정 모듈(902), 셀 식별 매핑 모듈(904), 섹터 식별 매핑 모듈(906), 및 시간 인덱스 매핑 모듈(908)을 포함한다.
BS는 BSS_slope(912)와 연관된 BS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셀의 다른 섹터들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BSS_slope(912)를 사용한다. 통신 시스템의 정해진 BSS는 상응하는 BSS_slope(912) 및 BSS_sector_ID(914)를 갖는다. 셀 ID 매핑 모듈(904)은 BSS_slope(912)를 bssSlopeIndex 값(916)에 매핑시킨다. 동일한 셀에 상응하는 다수의 BSS들은 bssSlopeIndex에 대해 동일한 값을 가질 것이다. 인접하는 셀들은 상이한 bssSlopeIndex의 값을 가질 것이다.
셀 ID 매핑 모듈(904)은 예컨대 룩업 테이블을 통해서 BSS_slope(912)로부터 bssSlopeIndex 값(916)으로의 변환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효한 bssSlopeIndex의 세트는 0:95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 값들이다.
BSS는 또한 연관된 BSS_sector_identifier(914)을 갖는다. 셀의 각 섹터는 상이한 BSS_sector_ID(914)를 갖는다. 동일한 BS의 상이한 BSS들은 동일한 bssSectorType(918)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BS의 인접하는 BSS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bssSectorType를 갖지 않는다. 섹터 ID 매핑 모듈(906)은 BSS_sector_ID(914)를 bssSectorType 값(918)에 매핑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bssSectorType 값=mod(BSS_sector_ID,3)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BSS_sector_ID는 0...5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이고, 반면에 bssSectorType는 0...2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의 정해진 BSS에 대해서, bssSlopeIndex(916) 및 bssSectorType(918)에 대한 값이 고정되며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BSS를 자신을 어태치먼트 포인트로서 사용하길 원하는 무선 단말기는 BSS에 상응하는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결정하고, 이어서 이러한 값들을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들을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시간 인덱스 매핑 모듈(908)은 타이밍 구조 정보(910)를 포함한다. 그 타이밍 구조 정보(910)는 예컨대 슈퍼슬롯들, 비콘슬롯들, 울트라슬롯들 등과 같은 OFDM 심볼들의 여러 그룹화 및 OFDM 심볼 타이밍과 같이 각각의 BSS와 연관된 다운링크 구조 정보뿐만 아니라 그 그룹화들과 연관된 인덱싱 정보를 식별한다. 타이밍 구조 정보(910)는 또한 OFDM 심볼이 스트립-심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시간 인덱스 매핑 모듈(908)은 현재의 다운링크 dlUltraslotBeaconIndex 값(922) 및 현재 비콘슬롯 값(924) 내의 현재 스트립 심볼 인덱스를 수신하고, 시간 종속 값 k(920)를 결정한다. 예컨대, k는 0...179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일 수 있다. 현재 dlUltraslotBeaconIndex 값(922)은 BSS에 상응하는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 내의 현재 울트라슬롯 내에서 현재 비콘슬롯 인덱스를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dlUltraslotBeaconIndex의 값은 0 내지 17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들이다. 현재 비콘슬롯 값(924) 내의 현재 스트립-심볼 인덱스는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 내의 현재 비콘슬롯 내에서 현재 스트립-심볼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덱스(924)의 값은 0 내지 9의 범위에 있다.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결정 모듈(902)은 제어 입력들 bssSlopeIndex 값(916), bssSectorType 값(918) 및 시간 인덱스 k 값(920)을 수신한다. 결정 모듈(902)은 현재 스트립-심볼에서 사용될 톤 서브세트(928)의 상응하는 인덱스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덱스는 0 내지 96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시간 인덱스 매핑 모듈(908)은 방정식 k=L*10+m을 사용하여 k를 결정하는데, 여기서 L은 0 내지 17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인 dlUltraslotBeaconslotIndex이고, m은 0 내지 9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인 현재 비콘슬롯 내의 현재 스트립-심볼의 인덱스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결정 모듈(902)은 방정식 f(bssSlopeIndex,bssSectorType,k)=mod(temp1*(bssSlopeIndex+1),97)을 사용하고, 여기서 temp1=imod(temp0,97)이고, temp0=bssSectorType*k+k*k이다.
도 10A 내지 도 10G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들의 세트 를 나타내고, 그 톤 서브세트들은 스트립 심볼 인터벌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할당된다. 제 1 열(1002)은 0 내지 96의 범위에 있는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포함한다. 제 2 열(1004)은 각각의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에 상응하는 톤 마스크를 포함한다. 정해진 OFDM 스트립 심볼을 위해 사용될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은 예컨대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 결정 모듈(902)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상응하는 다운링크 톤 블록은 113 개의 OFDM 톤들을 사용한다. 톤 마스크는 어떤 톤들이 톤 서브세트에서 사용될지를 식별한다. 톤 서브세트 인덱스에 상응하는 각각의 엔트리는 113 개의 값들을 리스트하는데, 각각의 값은 다운링크 톤 블록에서 113 개의 톤들로 이루어진 세트의 인덱싱된 톤에 상응한다. 만약 값이 0이라면, 톤은 사용되지 않고, 만약 값이 1이라면, 톤이 사용된다. 예컨대, 톤 서브세트가 인덱스=0을 갖는다고 간주하면, 인덱스 값들( 2, 5, 9, 10, 12, 13, 16, 17, 18, 20, 24, 29, 30, 34, 35, 36, 38, 39, 43, 44, 45, 47, 49, 52, 53, 54, 55, 57, 58, 59, 60, 61, 63, 64, 67, 69, 70, 73, 74, 76, 77, 78, 80, 85, 88, 89, 90, 92, 94, 100, 101, 102, 103, 108, 109 및 110)을 갖는 톤들이 사용되고, 반면에 인덱스 값들(0, 1, 3, 4, 6, 7, 8, 11, 14, 15, 19, 21, 22, 23, 25, 26, 27, 28, 31, 32, 33, 37, 40, 41, 42, 46, 48, 50, 51, 56, 62, 65, 66, 68, 71, 72, 75, 79, 81, 82, 83, 84, 86, 87, 91, 93, 95, 96, 97, 98, 99, 104, 105, 106, 107, 111 및 112)을 갖는 톤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DC 톤, 예컨대 톤 인덱스=56을 갖는 톤 블록의 중앙 톤은 심지어 톤 마스크가 그것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지시하더라도 사용되지 않고 남겨진 다.
도 11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와 연관된 다운링크 톤 블록의 사용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인 반복 타이밍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100)이다. 그 예시적인 타이밍 구조는 반복하는 예시적인 제 3 시간 기간(110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제 3 시간 기간(1102)은 예시적인 시간 기간들(1104, 1106, 1108, 1110, 1112, 1114, 1116, 1118, 1120, 1122, 1124, 1126, 1128, 1130, 1132, 1134, 1136, 1138, 1140, 1142, 1144)을 순차적인 순서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제 4 시간 기간(1104)은 비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06)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4 시간 기간(1108)은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10)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4 시간 기간(1112)은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14)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16)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18)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 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20)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22)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24)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26)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28)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30)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32)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34)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36)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38)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40)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1 시간 기간(1142)은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되고,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를 통해 널 톤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되는데, 그 톤 서브세트들은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적인 제 2 시간 기간(1144)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은 울트라슬롯에 상응하고, 제 4 시간 기간은 비콘 신호 전송 및 의도적인 전송기 다운링크 톤 블록 비-전송 중 하나가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되는 두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의 인터벌에 상응하고, 제 1 타입 시간 인터벌은 비-비콘 브로드캐스트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스트립 심볼의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된 단일 OFDM 심볼의 넓은 인터벌에 상응한다. 반복적인 구조에서 연속하는 제 1 시간 기간들은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상이한 톤 서브세트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도 8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울트라슬롯은 18 개의 인덱싱된 비콘슬롯들을 포함하는 16416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비콘슬롯은 912 개의 OFDM 심볼 시간 기간들만큼 넓다. 각각의 인덱싱된 비콘슬롯은 3 개의 제 4 인터벌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제 4 인터벌은 두 개의 OFDM 심볼 시간 기간들만큼 넓고, 하나의 제 4 기간은 비콘 신호를 전달하며, 두 개의 제 4 기간들은 의도적인 톤 블록 널을 갖는다. 각각의 인덱싱된 비콘들은 또한 10 개의 제 1 기간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제 1 기간은 스트립 심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만큼 넓고, 상기 제 1 기간들은 한번에 두 개로 그룹화된다. (m=(0,1),(2,3),(4,5),(6,7),(8,9)인 도 8을 참조.) 각각의 인덱싱된 비콘슬롯은 또한 8 개의 제 2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OFDM 심볼만큼 넓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112 개의 OFDM 심볼들을 전달하도록 스케줄링된다.
도 8의 예에서,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제어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97 개의 상이한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을 갖는다. 도 10은 호핑 시퀀스에서 사용될 97 개의 상이한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 8의 예시적인 울트라슬롯은 180 개의 제 1 시간 기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 울트라슬롯은 97 개의 인덱싱된 톤 서브세트들 각각이 한번 사용되는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의 첫 번째 반복(k=0 내지 96에 상응함) , 및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의 두 번째 반복(k=97 내지 179)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의 상이한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순서화는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의 함수이다. 도 7은 예컨대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에 따라, 두 개의 상이한 베이스 전송기들에 대한 새로운 착상의 두 상이한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정보를 통신할 목적으로 예컨대 113 개의 톤들로 이루어진 다운링크 톤 블록과 같은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1200)이다. 동작은 단계(1202)에서 시작하는데, 상기 단계(1202)에서는 통신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어 초기화된다. 동작들은 시작 단계(1202)에서 단계(1204)로 진행한다.
단계(1204)에서, 통신 장치는 널-톤들, 비-널 톤들, 및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될 신호들을 결정하고, 예컨대 반복적인 방식으로 신호들을 전송한다. 예컨대, 제 3 시간 기간은 통신 장치에 의해서 사용되는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 울트라슬롯일 수 있다. 단계(1204)는 부단계들(1206, 1208, 1210, 1212, 1214, 1216, 1218, 1220, 및 1222)을 포함한다.
부단계(1206)에서, 통신 장치들은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제 2, 또는 제 4 시간 기간들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부단계(1206)에서 부단계(1208)로 진행한다. 만약 그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 면, 동작은 부단계(1206)에서 부단계(1214)로 진행한다. 만약 그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2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부단계(1206)에서 부단계(1216)로 진행한다.
부단계(1208)에서, 통신 장치는 비콘 전송이 톤 블록을 통해 전송되도록 스케줄링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 심볼 시간에 상응하는 비콘이 스케줄링된다면, 동작은 부단계(1208)에서 부단계(1210)로 진행하고, 만약 현재 심볼 시간에 상응하는 비콘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면, 동작은 부단계(1208)에서 부단계(1212)로 진행한다. 부단계(1210)에서, 통신 장치는, 예컨대 비콘 신호 및 톤 블록 널 중 하나를 위해 예비된 두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의 시간 기간과 같은 제 4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된 임의의 톤보다 톤당 더 높은 신호 에너지를 갖는 협대역 비콘 톤을 전송한다. 부단계(1212)에서는, 통신 장치가, 제 4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톤 블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억제한다. 동작은 부단계(1210) 또는 부단계(1212)에서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이 예컨대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에 따라서,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제 3 시간 기간에 상이한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시적인 3 섹터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은 24 개의 인덱싱된 제 4 시간 기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섹터 타입 0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0, 3, 6, 9, 12, 15, 18, 21)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 록에 대해서는 인덱스(1, 2, 4, 5, 7, 8, 10, 11, 13, 14, 16, 17, 19, 20, 22, 23)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을 억제하고; 섹터 타입 1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1, 4, 7, 10, 13, 16, 19, 22)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록에 대해서는 인덱스(0, 2, 3, 5, 6, 8, 9, 11, 12, 14, 15, 17, 18, 20, 21, 23)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을 억제하고; 섹터 타입 2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2, 5, 8, 11, 14, 17, 20, 23)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록에 대해서는 인덱스(0, 1, 3, 4, 6, 7, 9, 10, 12, 13, 15, 16, 18, 19, 21, 22)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을 억제한다.
부단계(1214)에서는, 예컨대 한 OFDM 심볼 시간 인터벌 지속시간의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과 같은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 장치가, 제 1 톤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어떤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 및 비-제로 변조 심볼들이 전송될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는데, 어떤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 블록에서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하고, 변조 심볼들이 전송될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사용될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 3 시간 기간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결정된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의 결합이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톤 블록의 세트, 예컨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다운링크 톤 블록 톤들의 세트이다. 도 10은 널 톤들로 이루어진 97 개의 상이한 서브세트 들 및 비-널 톤들로 이루어진 97 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에 상응하는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정보를 포함한다. 널 및 비-널 톤들의 혼합을 활용함으로써, 제 1 시간 기간들에 전송된 신호들은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컨대 무선 단말기의 수신기와 같은 수신기에 의해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가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는 비-널 변조 심볼들의 값들에 의해 통신된다.
제 3 시간 기간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 톤 서브세트들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셀의 함수, 섹터 식별자, 및/또는 통신 장치의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상응하는 톤 블록, 및 타이밍 구조 내의 OFDM 심볼 시간으로서 결정된다. 예컨대, 인접하는 셀들 및/또는 섹터들에 상응하는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은 동일한 톤들의 서브세트들을 사용하는 상이한 톤 호핑 시퀀스들을 사용할 것이다. 도 9는 예시적인 톤 호핑 결정을 설명한다.
동작은 부단계(1214)에서 부단계(1218)로 진행한다. 부단계(1218)에서는, 통신 장치가 부단계(1214)로부터의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에 따라 OFDM 심볼을 생성한다. 동작은 단계(1218)에서 단계(1220)로 진행한다. 단계(1220)에서는, 통신 장치가 단계(1218)로부터의 생성된 OFDM 심볼을 전송한다. 동작은 부단계(1220)에서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
부단계(1216)에서, 통신 장치는,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112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시간 인터벌들과 같은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데, 상기 톤 블록의 톤들의 적어도 70%가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는, 일부 제어 신호들 외에도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 신호들이 통신된다. 부단계(1216)에서는, 논리적인 채널 톤들이,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들에 적용가능한 톤 서브세트 호핑과 상이한 톤 호핑 방식에 따라 물리적인 톤들로 호핑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적용가능한 톤 호핑 및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적용가능한 톤 서브세트 양쪽 모두는 예컨대 톤 호핑 및 톤 서브세트 호핑과 같은 호핑을 결정하기 위해 입력들로서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를 활용한다. 예컨대 동일한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호핑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상이한 방정식들이 사용된다. 동작은 부단계(1216)에서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
부단계(1222)에서는, 통신 장치가 제 2 시간 기간 내에 심볼 시간 인덱스를 업데이팅한다. 예컨대, 일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동작들이 부단계(1210 또는 1212)를 통해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면, 인덱스가 2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의해서 업데이팅되고, 만약 동작들이 부단계(1214)를 통해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면, 인덱스가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에 의해 업데이팅되고, 만약 동작들이 부단계(1216)를 통해 부단계(1222)로 진행한다면, 인덱스가 11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의해 업데이팅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 업데이팅은, 제 3 시간 기간이 완료될 때,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그 다음의 연속적인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인덱싱이 시작하도록 모듈러 계산을 사용한다. 동작은 부단계(1222)에서 부단계(1206)로 진행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50배보다 큰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100배보다 큰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2 시간 기간들이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간들에 상응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 간의 균형, 및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통신되지 않는 제 1 및 제 4 시간 기간들과 같은 시간 기간들의 타이밍 구조 내의 위치결정이 사용자의 견지에서 방해받지 않는 사용자 데이터 통신들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특히 음성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낮은 레이턴시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시적인 제 3 시간 기간들은 제 4 시간 기간으로 시작하는데, 그 이유는 제 4 시간 기간들이 예컨대 프레임 동기화와 같은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무선 단말기들에 의해 사용되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는데 활용되기 때문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가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사용할 하나를 결정한다. 예컨대, 정해진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반복 시간 구조에서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에 대한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도 10의 표(1000)의 97 행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톤 서브세트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상이한 인접하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이 상이한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들을 사용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를 사용하여 인덱싱되는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기간들을 미리 결정되는 방식으로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그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이다. 예컨대, 예시적인 울트라슬롯은 180 개의 인덱싱된 제 1 시간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울트라슬롯에서 98번째 제 1 시간 기간에 반복을 시작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널 톤 서브세트들 및 비-널 톤 서브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수는 소수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그 소수가 97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로 종종 지칭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가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은 스트립-심볼(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여기서 산술 연산자들(+, 2, *, /) 각각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고, 여기서 N은 소수, 예컨대 N=97이라고 하자.
bssSlopeIndex은 셀 슬로프 값의 인덱스이고, 바람직하게는 셀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 동일하고; 인접하는 셀들은 bssSlopeIndex에 대한 상이한 값들을 가져야 하고; 파라미터 bssSlopeIndex는 0, 1,..., N1-1이고, 여기서 N1≤N이며; 예컨대 일실시예에서, N1=96이다;
bssSectorType은 섹터의 인덱스이고; 예컨대 섹터 타입 T가 세트{0, 1,..., 5}, {0, 1} 또는 {0, 1, 2} 내에 있다고 가정하고; 정해진 기지국의 인접하는 섹터들은 상이한 T의 값들을 가져야 한다;
f=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
k=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여기서 k=L*10+m, 여기서
m=비콘슬롯에서 스트립 심볼 인덱스, 예컨대 m은 세트{0, 1,...,9} 내의 값이다.
L=울트라슬롯에서 비콘슬롯 인덱스, 예컨대 L은 세트{0, 1,...,17} 내의 값이다.
약간 다른 형태로 표현하면:
k=L*10+m;
temp0=bssSectorType*k+k*k;
temp1=imod(temp0,N);
f(bssSlopeIndex,bssSectorType,k)=mod(temp1*(bssSlopeIndex+1),N);
여기서,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모듈로 함수 mode(x,m)은 mode(x,m)=x-m*floor(x/m)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함수 floor(x)는 x보다 작거나 혹은 그와 동일한 가장 큰 정수로서 정의되고;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여기서 만약 mod(x*y,m)이 1이라면, 역 모듈로 함수 imode(x,m)은 y와 동일하다(1≤y≤m). 만약 mod(x,m)이 제로라면, imod(x,m)은 0으로 설정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예컨대 슬로프 값과 같은 셀 식별자의 함수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또한 섹터 식별자 값의 함수이다.
도 13은 여러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3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기지국(1300)은 버스(131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수신기 모듈(1302), 전송기 모듈(1304), 프로세서(1306), I/O 인터페이스(1307), 및 메모리(1308)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1310)를 통해서 여러 엘리먼트들은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한다. 메모리(1308)는 루틴들(1312) 및 데이터/정보(1314)를 포함한다. 예컨대 CPU와 같은 프로세서(1306)는 루틴들(1312)을 실행하고 또한 메모리(1308) 내의 데이터/정보(1314)를 사용함으로써, 기지국(1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방법들을 구현한다.
수신기 모듈(1302), 예컨대 OFDM 수신기는 수신 안테나(1303)에 연결되고, 그 수신 안테나(1303)를 통해서 기지국(1300)은 무선 단말기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전송기 모듈(1304), 예컨대 OFDM 전송기는 전송 안테나(1305)에 연결되고, 그 전송 안테나(1305)를 통해서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들에 다운링크 신호들을 전송한다. 그 다운링크 신호들은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널 톤들의 세트들 및 비-널 톤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심볼들 신호들을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포함하는데, 상기 비-널 톤들은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다운링크 신호들은 또한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OFDM 심볼들과 같이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통신되는 신호 들을 포함하고, 또한 예컨대 비콘 톤 신호들 및 의도적인 톤 블록 널 신호들과 같이 제 4 시간 기간들 동안에 통신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1300)은 예컨대 3 개의 섹터들과 같은 다수의 섹터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다수의 수신기/전송기 모듈 쌍들은 섹터들 각각에 상응한다.
I/O 인터페이스(1307)는 인터넷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예컨대 다른 기지국들, 라우터들, AAA 노드들, 홈 에이전트 노드들 등에 기지국을 연결한다. I/0 인터페이스(1307)는, 기지국(1300)을 백홀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기지국(1300) 어태치먼트 포인트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로 하여금 상이한 기지국을 자신의 네트워크 어태치먼트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다른 무선 단말기와 통신 세션에 참여하게 한다.
루틴들(1312)은 통신 루틴들(1316) 및 기지국 제어 루틴들(1318)을 포함한다. 통신 루틴들(1316)은 기지국(1300)에 의해 구현되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들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 루틴들(1318)은 수신기 제어 모듈(1320), 전송기 제어 모듈(1322), 시간 기간 타입 결정 모듈(1333), I/O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1324),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 제 1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28), 제 4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30), 제 2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32), 및 제 2 기간 톤 호핑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기 제어 모듈(1320)은 예컨대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업링크 반송파 주파수에 수신기를 동조시키는 것, 타이밍 조정들 및 전력 레벨 조 정들을 제어하는 것, 및 업링크 OFDM 심볼 복원 및 디코딩 동작들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수신기(1320)의 동작을 제어한다. I/O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1324)은 예컨대 백홀을 통해 통신되는 패킷들의 전송 및 복원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I/O 인터페이스(1307)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송기 제어 모듈(1322)은 전송기 모듈(130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 전송기 제어 모듈(1322)은 제 1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4), 제 4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6) 및 제 2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8)을 포함한다. 제 1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4)은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전송기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은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구조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들이고, 그 시간 기간들 동안에는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스트립 심볼들이 통신된다. 제 4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6)은 제 4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전송기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 4 시간 기간들은 예컨대 기지국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구조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인터벌들이고, 그 시간 인터벌들 동안에는 비콘 신호 및 톤 블록 널 신호 중 하나가 통신된다. 제 2 시간 기간 제어 모듈(1338)은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전송기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 2 시간 기간들은 예컨대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들이고, 그 시간 기간들 동안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는 인덱싱된 제 3 시간 기간들의 반복적인 시퀀스로 세분되고, 각각의 제 3 시간 기간은 다수의 제 1 시간 기간들, 다수의 제 2 시간 기간들 및 다수의 제 4 시간 기간들로 분할된다.
시간 기간 타입 결정 모듈(1333)은 예컨대 현재 시간 인터벌과 같은 시간 인터벌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타이밍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제 1 시간 기간, 제 2 시간 기간, 또는 제 4 시간 기간 중 하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정 모듈(1333)은 신호 생성 및 전송에서 사용되는 여러 대안적인 모듈들 간의 전송 제어에 사용된다. 예컨대, 만약 고려중인 시간이 제 1 타입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고 모듈(1333)이 결정하면, 모듈들(1326, 1328 및 1334)이 활용되고, 만약 고려중인 시간이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고 모듈(1333)이 결정하면, 모듈들(1330 및 1336)이 활용된다.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은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는데,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다운링크 톤 블록의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하고;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은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전력이 전송될 톤 서브세트를 또한 결정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다운링크 톤 블록은, 반복적인 다운링크 구조에서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 및 전력이 전송될 톤 서브세트로 분할된다. 예컨대, 도 10의 정보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덱스 번호와 각각 연관되는 97 개의 상이한 구획들이 도시되고, 임의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그러한 97 개의 상이한 구획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은 셀 식별자, 섹터 타입 식별자, 및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에 따라 그 결정을 수행한다. 도 9는 예컨대 기지국(1300)의 모듈(1326)과 같은 기지국(130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톤 세트 할당 모듈(900)을 설명한다.
제 1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28)은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될 OFDM 심볼을 생성한다. 상기 제 1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28)은 예컨대 제어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전달하는 변조 심볼들과 같은 변조 심볼들을 전달하기 위해 어떤 톤들이 사용될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전력이 모듈(1326)로부터 전송될 결정된 톤 서브세트를 사용하고, 또한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될 OFDM 심볼을 생성한다.
제 2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32)은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OFDM 심볼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데, 상기 OFDM 심볼들 중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의 부분들과 같은 변조 심볼들을 전달한다. 제 2 기간 심볼 생성 모듈에 의해서 사용되는 제 2 기간 톤 호핑 모듈(1335)은 물리적인 톤들로 논리적인 채널 톤들의 톤 호핑을 수행하고,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과 상이한 함수를 사용한다.
제 4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30)은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 정해진 제 4 시간 기간 동안에, 두 심볼 넓이의 비콘 신호 및 다운링크 톤 블록 널 신호 중 하나를 생성한다. 제 4 기간 심볼 생성 모듈(1330)은 비콘 모듈(1331)을 포함한다. 비콘 모듈(1331)은 비콘 신호들을 생성하는데, 상기 생성된 비콘 신호는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 따라서 상기 제 4 시간 기간들 중 일부 동안에 전송될 것이고, 상기 생성된 비콘 신호는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되는 임의의 톤보다 더 높은 톤당 신호 에너지를 갖는 비콘 톤을 포함한다.
데이터/정보(1314)는 다운링크 톤 블록 정보(1340), 저장된 전송기 제어 정보(1342), 기지국 셀 식별자 정보(1344), 기지국 섹터 식별자 정보(1346),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방정식 정보(1348), 타이밍 구조 정보(1350), 톤 전력 레벨 정보(1352),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1354),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의 현재 시간 정보(1355), 울트라슬롯에서의 비콘슬롯 인덱스(1356), 비콘슬롯(1358)에서의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 제 1 시간 기간 심볼 인덱스(1360), 현재의 제 1 시간 인터벌에 대한 결정된 톤 서브세트 인덱스(1362), 제 1 기간 심볼에 대한 제어 데이터(1364), 및 사용자 데이터(1366)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톤 블록 정보(1340)는 예컨대 113 개의 연속적인 톤들로 이루어진 세트와 같이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의해서 사용되는 다운링크 톤들로 이루어진 세트, 및 그 다운링크 톤 블록과 연관된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한다. 저장된 전송기 제어 정보(1342)는 모듈(1332)에 의해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 셀 식별자 정보(1344)는 범위 0,...,95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과 같은 기지국 슬로프 값과 같이 기지국(1300)과 연관된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및 기지국 슬로프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슬로프 인덱스 값은 슬로프 값과 연관된다. 기지국 섹터 식별자 정보(1346)는 기지국 섹터 식별자 및 기지국 섹터 타입 값, 예컨대 세트{0, 1, 2} 내의 값과 같이 전송기 모듈(1304)의 섹터와 연관된 기지국 섹터 타입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방정식 정보(1348)는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생성하는데 있어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예컨대 기지국 셀 식별자, 기지국 섹터 타입 식별자, 및 제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의 제 1 기간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타이밍 구조 정보(1350)는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 정보, 및 기지국 전송기(1304)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구조에서 다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의 그룹화에 속하는 정보, 예컨대 슬롯 정보, 슈퍼슬롯 정보, 비콘슬롯 정보, 울트라슬롯 정보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구조 정보(1350)는 또한 제 1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 제 2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 제 4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 제 3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여러 타입들의 시간 기간들과 연관된 인덱싱을 포함하는 정보, 예컨대 울트라슬롯에서 제 1 타입 시간 기간의 발생, 울트라슬롯에서 제 1 타입 시간 기간의 두 번째 발생 등을 포함한다.
톤 전력 레벨 정보(1352)는 여러 타입들의 다운링크 신호들과 연관된 전력 레벨 정보, 예컨대 비콘 톤 신호 변조 심볼 전력 레벨 정보, 비-널 톤 제 1 시간 기간 변조 심볼 전력 레벨,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전달되는 변조 심볼들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 전력 레벨 정보, 및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전달되는 변조 심볼들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채널 전력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1354)는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 안에 사용될 식별된 비-널 톤들의 세트 및 식별된 널 톤들의 세트를 다수의 톤 서브세트 인덱스들 각각과 연관시키는 정보를, 만약 상기 톤 서브세트 인덱스가 결정 모듈(1326)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다면, 포함한다. 도 10의 표(1000)는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1354)의 일예이다.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1355)에서의 현재 시간 정보는 기지국 전송기 모듈(1304)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구조에서의 현재 위치를 식별한다. 울트라슬롯(1356)에서의 비콘슬롯 인덱스, 예컨대 0,...,17의 범위에 있는 정수 인덱스 값(L)은 현재 시간이 울트라슬롯의 어떠한 비콘에 상응하는지를 식별한다. 비콘슬롯(1358)에서의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 예컨대 0,...,9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은, 현재 시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할 때, 그 현재 시간이 비콘슬롯에서 어느 인덱싱된 스트립 심볼에 상응하는지를 식별한다.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360), 예컨대 정수 값(k)은 울트라슬롯의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스트립 심볼들을 위해 사용되는 인덱스 값을 식별하는데, 예컨대 k는 0,...,179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k는 제 1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에 의해 값들(L 및 m)의 함수로서 생성된다. 현재의 제 1 시간 인터벌(1362)에 대한 결정된 톤 서브세트 인덱스는 기지국 셀 식별자(1344), 기지국 섹터 식별자(1346) 및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360)의 함수인 결정 모듈(1326)의 결과이다.
제 1 기간 심볼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1364)는 비-널 톤들을 통해서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될 변조 심볼들에 의해 전달되는 제어 데이터/정보 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1366)는 예컨대 음성,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정보, 및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의 변조 심볼들을 통해 전달될 데이터/정보를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2 반복 시간 기간들 동안에, 다운링크 톤들의 블록, 예컨대 113 개의 톤들로 이루어진 다운링크 톤 블록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다운링크 톤 블록 톤들 중 적어도 70%가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긴 기간은 1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인 지속시간을 갖고,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타이밍 구조는 예컨대 2 또는 3의 제 1 시간 기간들과 같은 다수의 제 1 시간 기간들이 서로 그룹화되도록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 타이밍 구조는 제 1 시간 기간들의 미리 결정된 그룹화가 비콘 신호가 통신될 수 있는 예컨대 제 4 시간 기간과 같은 제 4 시간 기간과 동일한 지속시간을 갖는다.
여러 실시들에 있어서,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은, 기지국 전송기 모듈(1304)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 예컨대 도 10의 표(1000)에서 어느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의 수는 소수인데, 예컨대 97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되는 방식으로 반복하는 제 2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한다. 예컨대, 제 3 시간 기간은 각각의 제1 시간 기간이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일 수 있는 예시적인 울트라슬롯일 수 있고, 제 2 시간 기간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의 세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결정 모듈(1326)은 아래의 방정식을 구현하기 위해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방정식 정보(1348)를 사용하고: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는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산술 연산자들(+, 2, *, /) 각각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여기서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는 {0,1,...,N1-1}인 값들 세트에서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이고, 여기서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세트들 {0,1,...,5} 및 {0,1,2}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며;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고; k는 비-음의 정수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N=97이고, N1=96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k=L*n+m인데, 여기서 m 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 스트립 심볼 인덱스이고, m은 비-음의 정수이고; L은 제 2 타입 시간 슬롯에서 제 1 타입 시간 슬롯 인덱스이며; n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 인덱싱된 스트립 심볼들의 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시간 슬롯은 비콘슬롯이고, 상기 제 2 타입 시간 슬롯은 울트라슬롯인데, 여기서 m은 세트{0, 1,...,9} 내의 값이고, L은 세트{0,1,...,17} 내의 값이며, n은 10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및 제 1 시간 기간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해 예비된 시간에 속하고, 제 4 시간 기간들은 비콘 서브-채널을 위해 예비된 시간 인버터들에 상응하고, 반면에 제 1 시간 기간들은 비-비콘 브로드캐스트 서브-채널을 위해 예비된 시간에 상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4 시간 기간들 모두 동안의 전송 심볼 시간 인터벌들은 스트립 심볼 시간 인터벌들로 지칭되고, 상기 스트립 심볼 시간 인터벌들은 비콘 스트립 심볼 시간 인터벌들 및 비-비콘 스트립 심볼 시간 인터벌들로 더 분류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동작은 단계(1402)에서 시작하는데, 상기 단계(1402)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전력이 공급되어 초기화된다. 동작은 단계(1402)에서 단계(1404)로 진행한다.
단계(1404)에서,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 제 4 시간 기간들 동안에 비콘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1404)에서 단계(1406)로 진행한다. 단계(1406)에서,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의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에 상응하는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1408, 1410)를 결정한다. 동작은 단계(1406)에서 단계(1412)로 진행한다. 단계(1412)에서, 무선 단말기는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무선 단말기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제 3 시간 기간의 시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1414)에서, 무선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의 다운링크 수신을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동기화시키기 위해서 단계(1414)로부터의 상기 결정된 동기화 정보를 사용한다. 동작은 단계(1414)에서 단계(1416)로 진행한다.
단계(1416)에서, 무선 단말기는 진행 중인 상황에 기초하여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1416)에서 단계(1418)로 진행한다. 단계(1418)에서, 무선 단말기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제 2, 또는 제 3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단계(1418)에서 단계(1420)로 진행하고;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2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단계(1418)에서 단계(1422)로 진행하며;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접속 노드 A(1424)를 통해서 단계(1418)로부터 단계(1426)로 진행한다.
단계(1420)에서, 무선 단말기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그 비콘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복원하며,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일부 제 4 시 간 기간들이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는 반면에, 일부 제 4 시간 기간들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한 의도적인 다운링크 톤 블록 널들에 상응한다. 동작은 단계(1420)에서 단계(1442)로 진행한다.
단계(1422)에서,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OFDM 심볼들을 복원하고 처리한다. 단계(1422)는 부단계(1423)를 포함한다. 부단계(1423)에서, 무선 단말기는 논리적인 채널 톤들을 물리적인 채널 톤들에 매핑시키기 위한 톤 호핑 방정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톤 호핑 방정식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와 상이하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부단계(1423)의 호핑 함수가 셀 ID 정보(1408) 및 섹터 ID 정보(1410)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서 사용한다. 동작은 단계(1422)에서 단계(1442)로 진행한다.
단계(1426)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스트립 심볼을 복원하고 처리한다. 단계(1426)는 부단계들(1428, 1430, 1432, 1434, 1436 및 1438)을 포함한다. 부단계(1428)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제 3 시간 기간 내에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 예컨대 k 값(1429)을 결정한다. 동작은 부단계(1428)에서 부단계(1430)로 진행한다.
부단계(1430)에서, 무선 단말기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1429), 결정된 셀 식별자 정보(1408) 및 결정된 섹터 식별자 정보(1410)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1431)를 결정한다. 예컨대, 부단계(1430)에서는, 제 1 시간 기간들에 대한 기지국(1300) 및 흐름도(1200)에 대해 앞서 설명되어진 동일한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동작은 부단계(1430)에서 부단계(1432)로 진행한다. 부단계(1432)에서, 무선 단말기는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1431) 및 저장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톤 서브세트 매핑 정보(1433)를 사용한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매핑 정보(1433)는 도 10의 표(10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은 부단계(1432)에서 부단계(1434)로 진행한다.
부단계(1434)에서, 무선 단말기는 스트립 심볼의 식별된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에 의해서 전달되는 변조 심볼 값들을 복원한다. 동작은 부단계(1434)에서 부단계(1436)로 진행한다. 부단계(1436)에서, 무선 단말기는 복원되는 변조 심볼 값들에 의해서 전달되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를 복원한다. 동작은 부단계(1436)에서 부단계(1438)로 진행한다. 부단계(1438)에서,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가 그 어태치먼트 포인트의 톤 서브세트 호핑 할당 시퀀스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의 톤들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부단계들(1434, 1436 및 1438)의 동작이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부단계들(1434, 1436 및 1438) 중 하나 이상이 함께 수행된다. 예컨대, 채널 추정은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 복원에 선행할 수 있다. 동작은 접속 노드 B(1440)를 통해서 단계(1426)로부터 단계(1442)로 진행한다.
단계(1442)에서, 무선 단말기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심볼 시간 인덱스를 업데이팅한다. 단계(1442)로의 경로에 따라, 인덱싱 업데이트의 양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이하다. 예컨대,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시간 기간은 두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점유하고,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점유하며, 제 1 시간 기간은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점유한다. 단계(1442)의 업데이팅은 또한 제 3 시간 기간이 예컨대 모듈러 연산을 사용하여 완료될 때 제 3 기간 인덱싱이 다시 시작하는 것을 고려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 k은 예컨대 새로운 울트라슬롯과 같은 새로운 제 3 시간 기간의 시작 시에 예컨대 0으로 재설정된다.
동작은 단계(1442)에서 단계(1418)로 진행하는데, 상기 단계(1418)에서 무선 단말기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 인덱스가 제 1, 제 2 또는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15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구현되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1500)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1500)는 도 14의 흐름도(1400)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1500)는 버스(15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수신기 모듈(1502), 전송기 모듈(1504), 프로세서(1506), I/O 장치(1507), 및 메모리(1508)를 포함하고, 그 버스(1510)를 통해서 여러 엘리먼트들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1508)는 루틴들(1512) 및 데이터/정보(15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506), 예컨대 CPU는 루틴들(1512)을 실행하고 또한 메모리(1508) 내의 데이터/정보(1514)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다.
수신기 모듈(1502), 예컨대 OFDM 수신기는 수신 안테나(1503)에 연결되고, 그 수신 안테나(1503)를 통해서 무선 단말기(1500)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들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상기 다운링크 신호들은 비콘 신호들, 스트립 심볼 신호들, 및 사용자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한다. 전송기 모듈(1504), 예컨대 OFDM 전송기는 전송 안테나(1505)에 연결되고, 그 전송 안테나(1505)를 통해서 무선 단말기(1500)는 업링크 신호들을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예컨대 듀플렉스 모듈과 관련하여, 수신기 모듈(1502) 및 전송기 모듈(1504)을 위해 동일한 안테나가 사용된다.
I/O 장치들(1507)은 예컨대 마이크로폰,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스위치들, 카메라,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I/O 장치들(1507)은 무선 단말기(1500)의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데이터/정보를 출력하고, 애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며, 적어도 일부 기능들을 개시 및/또는 제어(예컨대, 통신 세션을 개시)할 수 있게 한다.
루틴들(1512)은 통신 루틴들(1516) 및 무선 단말기 제어 루틴들(1518)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루틴들은 무선 단말기에 의해서 사용되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한다. 상기 무선 단말기 제어 루틴들(1518)은 수신기 제어 모듈(1520), 전송기 제어 모듈(1522), I/O 장치 제어 모듈(1524), 타이밍 동기화 결정 모듈(1526), 타이밍 동기화 조정 모듈(1528), 시간 기간 타입 결정 모듈(1530),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34), 제 4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48), 제 2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52), 어태치먼트 포인트 식별 모듈(1556), 및 타이밍 모듈(1558)을 포함한다.
수신기 제어 모듈(1520)은 수신기 모듈(1502)의 여러 기능들, 예컨대 탐색 반송파 탐색 루틴을 제어하는 것 및 수신기에 다운링크 반송파 주파수에 동조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전송기 제어 모듈(1522)은 전송기 모듈(1504)의 동작들을 제어하는데, 예컨대 상기 모듈(1522)은 업링크 반송파 설정, 업링크 주파수 및 타이밍 조정, 업링크 OFDM 심볼 구성 및 전송, 및 전송기 전력 레벨들을 제어한다. I/O 장치들 제어 모듈(1524)은 I/O 장치들(1507)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동기화 결정 모듈(1526)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의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예컨대, 타이밍 동기화 결정 모듈(1526)은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수신된 비콘 신호들을 사용한다. 타이밍 동기화 조정 모듈(1528)은 모듈(1526)로부터의 상기 결정된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한다. 예컨대, 타이밍 동기화 조정 모듈(1528)은 스트립 심볼 신호들이 복원될 수 있도록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하는데, 상기 스트립 심볼 신호들은 상기 동기화 정보가 유도되어진 수신된 비콘 신호들에 상응하는 동일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로부터 수신된다.
시간 기간 타입 결정 모듈(1530)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여러 상이한 타입들의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데,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스트립 심볼이 통신되는 제 1 타입의 시간 기간, 비콘 신호 및 다운링크 톤 블록 널 중 하나가 통신되는 제 4 타입의 시간 기간, 및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OFDM 심볼들이 통신되는 제 2 타입의 시간 기간을 식별한다. 시간 기간 타입 결정 모듈(1530)은 더 큰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의 제 1 시간 기간들을 식별하는 제 1 시간 기간 식별 모듈(1532)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상기 모듈(1532)은 울트라슬롯의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들을 식별한다.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34)은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통신되는 수신된 스트립 심볼들을 복원하고 처리한다. 스트립 심볼을 전송하는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제 1 시간 기간, 즉,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 동안에는 상응하는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지만, 제 3 시간 기간 내의 다른 시간 기간들, 예컨대 비콘 시그널링 시간 기간들 및 사용자 시그널링 시간 기간들 동안에는 상기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국부적인 영역에 있는 상이한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상이한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들을 사용한다.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34)은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 결정 모듈(1536),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 널 서브세트/비-널 서브세트 결정 모듈(1540), 변조 심볼 복원 모듈(1542), 제어 데이터 복원 모듈(1544), 및 채널 추정 모듈(1546)을 포함한다.
제 1 시간 기간 결정 모듈(1536)은 제 3 시간 기간을 통해 처리되고 있는 제 1 시간 기간의 인덱스를 결정한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각각의 제 3 시간 기간이 180 개의 인덱싱된 제 1 시간 기간들, 즉, 0,...,179의 범위에 있는 인덱스 값을 k를 갖는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들을 포함한다.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은 제 3 시간 기간의 식별된 제 1 시간 기간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예컨대 모듈(1536)로부터의 인덱스 값, 셀 식별자 정보 및 섹터 식별자 정보를 결정한다. 예컨대, 처리되고 있는 수신된 스트립 심볼을 전송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상응하는 셀 및 섹터 식별자 정보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동일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로부터 비콘 신호를 통해 통신되는 정보로부터 복원된다.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컨대 도 12, 도 13, 또는 도 14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를 사용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은 도 10의 표(1000)의 97 개의 인덱스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
널 서브세트/비-널 서브세트 모듈(1540)은 모듈(1538)에 의해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및 저장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톤 서브세트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결정한다. 변조 심볼 복원 모듈(1542)은 스트립 심볼의 비-널 톤들에 의해 전달되는 변조 심볼 값들을 복원한다. 제어 데이터 복원 모듈(1544)은 모듈(1542)로부터의 상기 복원된 변조 심볼 값들에 의해 전달되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를 복원한다. 채널 추정 모듈(1546)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가 그 어태치먼트 포인트의 톤 서브세트 호핑 할당 시퀀스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의 톤들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제 4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48)은 제 4 시간 기간들 동안에 수신되는 신호들, 예컨대 비콘 신호들 및 의도적인 다운링크 톤 블록 널들을 처리한다. 제 4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48)은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을 처리하는 비콘 모듈(1550)을 포함하는데, 상기 처리는 예컨대 비콘 톤들을 식별하는 것, 비콘 톤들의 시퀀스들을 식별하는 것, 및/또는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에 상응하는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포인트 식별 정보 모듈(1556)은 예컨대 무선 단말기가 접속하여 하거나 혹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어태치먼트 포인트와 같은 해당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 및/또는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는 비콘 신호들을 통해 통신되는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 예컨대 슬로프 값 및 섹터 인덱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포인트 정보 모듈(1556)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를 추가 처리하는데, 예컨대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에 의해 사용되는 섹터 타입 값과 슬로프 인덱스 값을 획득한다.
제 2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52)은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OFDM 심볼들을 수신하고 처리하는데,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제 2 시간 기간 처리 모듈(1552)은 톤 호핑 모듈(1554)을 포함한다. 톤 호핑 모듈(1552)은 톤 호핑을 결정하기 위해서 논리적인 채널 톤-물리적인 톤 호핑 함수와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를 사용한다.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모듈(1554)에 의해서 사용되는 톤 호핑 함수는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와는 상이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타이밍 모듈(1558)은 무선 단말기(1500)에 대한 심볼 타이밍을 유지하고 업데이팅하는데, 예컨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심볼 시간 인덱스를 업데이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은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속시간을 갖고, 제 4 시간 기간은 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속시간을 갖고,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속시간을 갖는다.
데이터/정보(1514)는 다운링크 톤 클록 정보(1560), 타이밍 구조 정보(1562), 톤 전력 레벨 정보(1564),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방정식 정보(1566), 제 2 기간 톤 호핑 정보(1568),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1570), 타이밍 동기화 정보(1572), 기지국 셀 식별자 정보(1574), 기지국 섹터 식별자 정보(1576),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의 현재 시간 정보(1578), 예컨대 L 값과 같은 울트라슬롯에서의 비콘슬롯 인덱스(1580), 예컨대 m 값과 같은 비콘슬롯에서의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582), 예컨대 k 값과 같은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584), 현재 제 1 시간 인터벌에 대한 결정된 톤 서브세트 인덱스(1586), 복원된 스트립 심볼 변조 심볼 정보(1588), 제 1 기간 심볼들로부터의 제어 데이터(1590), 결정된 채널 추정치(1592), 및 사용자 데이터(1594)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톤 블록 정보(1560)는 반송파 주파수, 톤 블록 내의 톤들의 수, 톤들의 주파수들 등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113 개의 OFDM 톤 들로 이루어진 다운링크 톤 블록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톤 블록들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타이밍 구조 정보(1562)는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의 정보; 및 예컨대 울트라슬롯들과 같은 제 3 시간 기간들,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들과 같은 제 1 시간 기간들, 사용자 데이터 시그널링 시간 기간들과 같은 제 2 시간 기간들, 및 비콘 신호와 의도적인 다운링크 톤 블록 널 중 하나를 위해 예비된 기간들과 같은 제 4 시간 기간들과 같은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의 그룹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톤 전력 레벨 정보(1564)는 여러 타입의 신호들과 연관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 전력 레벨 정보, 예컨대 비콘 정보, 스트립 심볼 브로드캐스트 제어 신호들, 파일럿 채널, 트래픽 채널 사용자 데이터 신호들 등을 포함한다.
제 1 톤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방정식 정보(1566)는 예컨대 제 1 시간 인터벌들에 대한 호핑 방정식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 2 기간 톤 호핑 정보(1568)는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다운링크 톤 호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톤 호핑 모듈(1554)에 의해 사용된다. 제 1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1570)는 예컨대 도 10의 표(1000)의 정보를 포함한다.
타이밍 동기화 정보(1572)는 모듈(1526)로부터 결정되어 모듈(1528)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예컨대 무선 단말기로 하여금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의 울트라슬롯의 처음에 동기화하도록 허용하는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 셀 식별자 정보(1574)는 스트립 심볼이 처리되고 있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와 연관된 슬로 프 값 및/또는 슬로프 인덱스 값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셀 식별자 정보는 모듈들(1550) 및/또는 모듈(1556)로부터 획득 및/또는 유도된다. 기지국 섹터 식별자 정보(1576)는 스트립 심볼이 처리되고 있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와 연관된 섹터 값 및/또는 섹터 타입 값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섹터 식별자 정보(1576)는 모듈들(1550) 및/또는 모듈(1556)로부터 획득 및/또는 유도된다. 기지국 셀 식별자 정보(1574) 및 기지국 섹터 식별자 정보(1576)는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1538), 및 톤 호핑 모듈(1554)에 의해 예컨대 제어 입력들로서 사용된다.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 내의 현재 시간 정보(1578)는 다운링크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서 자신의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를 동기화시킨 무서 단말기의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다운링크 타이밍 구조 내의 현재 위치를 식별한다. 울트라슬롯에서의 비콘슬롯, 예컨대 0,...,17의 범위에 있는 정수 인덱스 값 L은 현재 시간이 울트라슬롯에서의 어떤 비콘슬롯에 상응하는지를 식별한다. 비콘슬롯에서의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582), 예컨대 0,...,9의 범위에 있는 정수 값 m은 현재 시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할 때 그 현재 시간이 비콘슬롯에서의 어떤 인덱싱된 스트립 심볼에 상응하는지를 식별한다.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584), 예컨대 정수 값 k는 울트라슬롯의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스트립 심볼들을 위해 사용된 인덱스 값을 식별하는데, 예컨대 k는 제 1 시간 인터벌의 울트라슬롯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식별하는 0,...,179 범위 내의 정수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k는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 결정 모듈(1536)에 의해서 값들(L 및 m)에 따라 생성된다. 현재의 제 1 시간 인터벌(1586)에 대한 결정된 톤 서브세트 인덱스는 기지국 셀 식별자(1574), 기지국 섹터 식별자(1576) 및 제 1 시간 기간 스트립 심볼 인덱스(1584)의 함수인 결정 모듈(1538)의 결과이다.
복원된 스트립 심볼 변조 심볼 정보(1588)는 변조 심볼 복원 모듈(1542)에 의해서 복원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복원된 스트립 심볼 변조 심볼 정보(1588)는, 정해진 복원된 스트립 심볼에 대해서, 그 스트립 심볼에 의해 전달되는 55 또는 56 개의 QPSK 복원된 변조 심볼들로 이루어진 세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기간 심볼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1590)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로부터 스트립 심볼의 비-널 톤들을 통해서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브로드캐스팅되는 변조 심볼들로부터 복원되는 제어 데이터/정보를 포함한다. 정보(1590)는 제어 데이터 복원 모듈(1544)의 출력이다. 결정된 채널 추정치(1592)는 채널 추정 모듈(1546)로부터의 출력이고, 처리되는 제 1 시간 기간으로부터의 스트립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채널 추정치(1592)는 스트립 신호 정보에만 완전히 기초한다. 사용자 데이터(1366)는 예컨대 음성,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정보, 즉,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들의 변조 심볼들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정보를 포함한다.
도 16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라 정보를 통신할 목적으로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 예컨대 기지국과 같은 통신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듈들을 갖는 예 시적인 통신 장치를 블록도로 나타낸다. 모듈(1604)은 널-톤들, 비-널 톤들, 및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될 신호들을 결정하고, 예컨대 반복적인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들을 전송한다. 예컨대, 제 3 시간 기간은 통신 장치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의 울트라슬롯일 수 있다. 모듈(1604)은 모듈들(1606, 1608, 1610, 1612, 1614, 1616, 1618, 1620, 및 1622)을 포함한다.
모듈(1606)에서는, 통신 장치가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제 2, 또는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모듈(1606)에서 모듈(1608)로 진행한다. 만약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모듈(1606)에서 모듈(1614)로 진행한다. 만약 현재 심볼 시간 기간이 제 2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모듈(1606)에서 모듈(1616)로 진행한다.
모듈(1608)에서는, 통신 장치가 비콘 전송이 톤 블록을 통해 전송되도록 스케줄링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 심볼 시간에 상응하는 비콘이 스케줄링되었다면, 동작은 모듈(1608)에서 모듈(1610)로 진행하고; 만약 현재 심볼 시간에 상응하는 비콘이 스케줄링되지 않았다면, 동작은 부단계(1608)에서 모듈(1612)로 진행한다. 모듈(1610)에서는, 통신 장치가, 예컨대 비콘 신호 및 톤 블록 널 중 하나를 위해 예비된 두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의 시간 기간과 같은 제 4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는,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되는 어떠한 톤보다도 더 높은 톤 신호당 에너지 레벨을 갖는 협대역 비콘 톤을 전송한다. 모듈(1612)에서는, 통신 장치가, 제 4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톤 블록으로 전 송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작은 모듈(1610) 또는 모듈(1612)에서 모듈(1622)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은 비콘 신호들을 예컨대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의 함수로서 전달하기 위해 제 3 시간 기간 내의 상이한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하나의 예시적인 3 섹터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시간 기간은 24 개의 인덱싱된 제 4 시간 기간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섹터 타입 0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0,3,6,9,12,15,18,21)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록에 대해 인덱스(1,2,4,5,7,8,10,11,13,14,16,17,19,20,22,23)을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의 전송을 방지하고; 섹터 타입 1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1,4,7,10,13,16,19,22)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록에 대해 인덱스(0,2,3,5,6,8,9,11,12,14,15,17,18,20,21,23)을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의 전송을 방지하고; 섹터 타입 2 어태치먼트 포인트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인덱스(2,5,8,11,14,17,20,23)를 갖는 제 4 시간 기간들을 사용하고, 톤 블록에 대해 인덱스(0,1,3,4,6,7,9,10,12,13,15,16,18,19,21,22)을 갖는 제 4 시간 기간 동안의 전송을 방지한다.
모듈(1614)에서는, 제 1 반복 시간 기간, 예컨대 하나의 OFDM 심볼 시간 인터벌 지속시간의 스트립 심볼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 장치가, 제 1 톤 호핑 시퀀스에 따라,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 및 비-제로 변조 심볼들이 전송될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는데,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하고, 변조 심볼들이 전송될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사용될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2 시간 기간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미리 결정된 널 톤들의 서브세트와 비-널 턴들의 서브세트의 결합이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톤 블록 톤들의 세트, 예컨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다운링크 톤 블록 톤들의 세트이다. 도 10은 널 톤들로 이루어진 97 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및 비-널 톤들로 이루어진 97 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에 상응하는 예시적인 톤 서브세트 정보를 포함한다. 널 및 비-널 톤들의 혼합을 활용함으로써, 제 1 시간 기간들에 전송된 신호들은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컨대 무선 단말기의 수신기와 같은 수신기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가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는 비-널 변조 심볼들의 값들에 의해서 통신된다.
제 3 시간 기간에서의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 톤 서브세트들은,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타이밍 구조 내의 OFDM 심볼 시간, 및 통신 장치의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상응하는 셀, 섹터 식별자, 및/또는 톤 블록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인접하는 셀들 및/또는 섹터들에 상응하는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은 동일한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는 상이한 톤 호핑 시퀀스들을 사용할 것이다. 도 9는 예시적인 톤 호핑 결정을 설명한다.
동작은 모듈(1614)에서 모듈(1618)로 진행한다. 모듈(1618)에서는, 통신 장 치가 모듈(1614)로부터의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에 따라 OFDM 심볼을 생성한다. 동작은 모듈(1618)에서 모듈(1620)로 진행한다. 모듈(1620)에서는, 통신 장치가 생성된 OFDM 심볼을 모듈(1218)로부터 전송한다. 동작은 모듈(1220)에서 모듈(1222)로 진행한다.
모듈(1616)에서는, 통신 장치가,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112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시간과 같은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데, 상기 톤 블록의 톤들 중 70%가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는, 일부 제어 신호들 이외에도 다운링크 트래픽 채널 세그먼트 신호들이 통신된다. 모듈(1616)에서는, 논리적인 채널 톤들이,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들에 적용될 수 있는 톤 서브세트 호핑과는 상이한 톤 호핑 방식에 따라서 물리적인 톤들로 호핑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적용가능한 톤 호핑 및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적용가능한 톤 서브세트 호핑이 예컨대 톤 호핑 및 톤 서브세트 호핑과 같은 호핑을 결정하기 위해서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를 입력들로서 활용한다. 예컨대 상이한 방정식들이 동일한 기지국 섹터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호핑에 대해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 동안에 사용된다. 동작은 모듈(1616)에서 모듈(1622)로 진행한다.
모듈(1622)에서는, 통신 장치가 제 3 심볼 기간 내의 심볼 시간 인덱스를 업데이팅한다. 예컨대,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만약 동작들이 모듈(1610 또는 1622) 을 통해서 모듈(1622)로 진행하였다면, 그 인덱스는 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의해 업데이팅되고; 만약 동작들이 모듈(1614)을 통해서 모듈(1622)로 진행하였다면, 그 인덱스는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에 의해 업데이팅되고; 만약 동작들이 모듈(1616)을 통해서 모듈(1622)로 진행하였다면, 그 인덱스는 11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에 의해 업데이팅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 업데이팅은, 제 3 시간 기간이 완료될 때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그 다음의 연속적인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인덱싱이 시작하도록, 모듈러 계산들을 사용한다. 동작은 모듈(1622)에서 모듈(1606)로 진행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50배보다 더 큰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100배보다 큰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 2 시간 기간들이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간들에 상응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 간의 균형과, 어떠한 사용자 데이터도 통신되지 않는 제 1 및 제 4 시간 기간들과 같은 시간 기간들의 타이밍 구조 내에서의 위치결정은 특히 예컨대 음성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낮은 레이턴시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방해되지 않은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4 시간 기간들이 예컨대 프레임 동기화와 같은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무선 단말기들에 의해 사용되는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활용되기 때문에, 예시적인 제 3 시간 기간들이 제 4 시간 기간부터 시작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세트 톤 호핑 시퀀스가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사용할 것을 결정한다. 예컨대, 정해진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에 대한 반복적인 타이밍 구조에서 정해진 제 1 시간 기간에 대한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도 10의 표(1000)의 97 개의 행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톤 서브세트 정보를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인접하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들이 상이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들을 사용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는데, 제 1 시간 기간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이다. 예컨대, 예시적인 울트라슬롯은 180 개의 인덱싱된 제 1 시간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그 울트라슬롯에서 98번째 제 1 시간 기간에 반복을 시작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널 톤 서브세트 및 비-널 톤 서브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수는 소수이다. 도 10의 예에서, 그 소수는 97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들로 종종 지칭되는 톤 서브세트 할당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 은 스트립-심볼(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여기서 산술 연산자들(+, 2, *, /) 각각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고, 여기서 N은 소수, 예컨대 N=97이라고 하자.
bssSlopeIndex은 셀 슬로프 값의 인덱스이고, 바람직하게는 셀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 동일하고; 인접하는 셀들은 bssSlopeIndex에 대한 상이한 값들을 가져야 하고; 파라미터 bssSlopeIndex는 0, 1,..., N1-1이고, 여기서 N1≤N이며; 예컨대 일실시예에서, N1=96이다;
bssSectorType은 섹터의 인덱스이고; 예컨대 섹터 타입 T가 세트{0, 1,..., 5}, {0, 1} 또는 {0, 1, 2} 내에 있다고 가정하고; 정해진 기지국의 인접하는 섹터들은 상이한 T의 값들을 가져야 한다;
f=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
k=스트립-심볼 기간의 인덱스, 여기서 k=L*10+m, 여기서
m=비콘슬롯에서 스트립 심볼 인덱스, 예컨대 m은 세트{0, 1,...,9} 내의 값이다.
L=울트라슬롯에서 비콘슬롯 인덱스, 예컨대 L은 세트{0, 1,...,17} 내의 값이다.
약간 다른 형태로 표현하면:
k=L*10+m;
temp0=bssSectorType*k+k*k;
temp1=imod(temp0,N);
f(bssSlopeIndex,bssSectorType,k)=mod(temp1*(bssSlopeIndex+1),N);
여기서,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모듈로 함수 mode(x,m)은 mode(x,m)=x-m*floor(x/m)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함수 floor(x)는 x보다 작거나 혹은 그와 동일한 가장 큰 정수로서 정의되고; 정수들 x 및 m에 대해서, 여기서 만약 mod(x*y,m)이 1이라면, 역 모듈로 함수 imode(x,m)은 y와 동일하다(1≤y≤m). 만약 mod(x,m)이 제로라면, imod(x,m)은 0으로 설정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예컨대 슬로프 값과 같은 셀 식별자의 함수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또한 섹터 식별자 값의 함수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듈들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단말기(1700)는 모듈(1704)을 포함하고, 그 모듈(1704)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 제 4 시간 기간 동안에 비콘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모듈(1704)에서 모듈(1706)로 진행한다. 모듈(1706)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의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에 상응하는 셀 및/또는 섹터 식별자 정보(1708, 1710)를 결정한다. 동작은 모듈(1706)에서 모듈(1712)로 진행한다. 모듈(1712)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을 사용한다. 예컨대, 무선 단말기는 반복적인 다운 링크 타이밍 구조에서 예컨대 울트라슬롯과 같은 제 3 시간 기간의 시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 동기화 정보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모듈(1714)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무선 단말기의 다운링크 수신을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동기화시키기 위해서 모듈(1714)로부터의 결정된 동기화 정보를 사용한다. 동작은 모듈(1714)에서 모듈(1716)로 진행한다.
모듈(1716)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진행 중인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모듈(1716)에서 모듈(1718)로 진행한다. 모듈(1718)에서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제 2, 또는 제 3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무선 단말기가 결정한다.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모듈(1718)에서 모듈(1720)로 진행하고;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2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모듈(1718)에서 모듈(1722)로 진행하며; 만약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이 제 1 시간 기간에 상응한다면, 동작은 접속 노드 A(1724)를 통해 모듈(1718)에서 모듈(1726)로 진행한다.
모듈(1720)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만약 비콘 신호가 수신된다면 그 비콘 신호를 모니터링, 복원 및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일부 제 4 시간 기간들이 비콘 신호들을 전달하는 반면에, 일부 제 4 시간 기간들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한 의도적인 다운링크 톤 블록 널들에 상응한다. 동작은 모듈(1720)에서 모듈(1742)로 진행한다.
모듈(1722)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OFDM 심볼 들을 복원 및 처리한다. 모듈(1722)은 모듈(1723)을 포함한다. 모듈(1723)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논리적인 채널 톤들을 물리적인 채널 톤들에 매핑시키기 위한 톤 호핑 방정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톤 호핑 방정식은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 동안에 사용되는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 방정식과는 상이하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듈(1723)의 호핑 함수는 셀 ID 정보(1408) 및 섹터 ID 정보(1410)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으로서 사용한다. 동작은 모듈(1722)에서 모듈(1742)로 진행한다.
모듈(1726)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한다. 모듈(1426)은 모듈들(1728, 1730, 1732, 1734, 1736)을 포함한다. 모듈(1728)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 예컨대 k의 값(1728)을 결정한다. 동작은 모듈(1728)에서 모듈(1730)로 진행한다.
모듈(1730)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 인덱스(1729), 결정된 셀 식별자 정보(1408) 및 결정된 섹터 식별자 정보(1410)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1731)를 결정한다. 예컨대, 모듈(1730)에서는, 제 1 시간 기간들에 대한 흐름도(1200) 및 기지국(1300)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동일한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동작은 모듈(1730)에서 모듈(1732)로 진행한다. 모듈(1732)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1731) 및 저장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톤 서브세트 매피 정보(1733)를 사용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매핑 정보(1733)는 도 10의 표(10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은 모듈(1732)에서 부단계(1734)로 진행한다.
모듈(1734)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스트립 심볼의 식별된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에 의해서 전달되는 변조 심볼 값들을 복원한다. 동작은 모듈(1734)에서 모듈(1736)로 진행한다. 모듈(1736)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복원된 변조 심볼 값들에 의해 전달되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를 복원한다. 동작은 모듈(1736)에서 모듈(1738)로 진행한다. 모듈(1738)에서,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가 그 어태치먼트 포인트의 톤 서브세트 호핑 할당 시퀀스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의 톤들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듈들(1734, 1736 및 1738)의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모듈들(1734, 1736, 1738) 중 하나 이상의 함께 수행된다. 예컨대, 채널 추정은 브로드캐스트 제어 데이터 복원에 선행할 수 있다. 동작은 접속 노드 B(1740)를 통해서 단계(1726)에서 모듈(1742)로 진행한다.
모듈(1742)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심볼 시간 인덱스를 업데이팅한다. 단계(1742)로의 경로에 따라, 인덱싱 업데이팅의 양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하다. 예컨대,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시간 기간은 두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점유하고,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점유하며, 제 1 시간 기간은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점유한다. 모듈(1742)의 업데이팅은 또한 예컨대 모듈로 연산들을 사용하여 제 3 시간 기간이 완료될 때 제 3 기간 인덱싱 다시 시작 한다는 것을 고려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값 k은 예컨대 새로운 울트라슬롯과 같은 새로운 제 3 시간 기간이 시작할 때 예컨대 0으로 다시 설정된다.
동작은 모듈(1742)에서 모듈(1718)로 진행하고, 모듈(1718)에서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현재 심볼 시간 인덱스가 제 1, 제 2 또는 제 4 시간 기간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무선 단말기가 결정한다.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 모듈들은 보다 적은 수의 모듈들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듈들(1610 및 1612)은 하나의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 모듈들은 도 2, 도 3, 도 9, 도 13 및 도 15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되는 스트립 심볼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서 전송되어진 OFDM 심볼에 상응하는 OFDM 심볼인데, 상기 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다운링크 톤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다수의 무선 단말기로 지향되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 2 반복 시간 기간들 동안에, 다운링크 톤들의 블록, 예컨대 113 개의 톤들로 이루어진 다운링크 톤 블록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다운링크 톤 블록 톤들의 적어도 70%가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은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에 해당하는 지속시간을 갖고, 제 2 시간 기간은 112 개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인터벌들에 해당하는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타이밍 구조는 예컨대 2 또는 3 개의 제 1 시간 기간들과 같은 다수의 제 1 시간 기간들이 서로 그룹화되도록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그 타이밍 구조는 제 1 시간 기간들의 미리 결정된 그룹화가 제 4 시간 기간, 예컨대 비콘 신호가 통신될 수 있는 제 4 시간 기간과 동일한 지속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의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예컨대 이동 단말기들과 같은 이동 노드들, 기지국들, 일부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과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예컨대 이동 노드들, 기지국들 및/또는 통신 시스템들, 예컨대 호스트들을 제어 및/또는 동작시키는 방법과 같은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 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하고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ROM, RAM, CD들, 하드디스크들 등에 관한 것이다.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노드들은 일부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에 상응하는 단계들, 예컨대 신호 처리 단계, 메시지 생성 단계 및/또는 전송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일부 실시예들의 여러 특징들이 모듈들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방법들 또는 방법의 단계들 중 대부분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서 위에 설명된 방법들 모두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통해서나 혹은 그러한 추가적인 하드웨어없이 범용 컴퓨터와 같은 기계를 제어할 목적으로 예컨대 RA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메모리 장치인 기계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일부 실시예들은 예컨대 프로세서 및 연관된 하드웨어와 같은 기계로 하여금 위에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비록 OFDM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일부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 중 적어도 일부는 많은 비-OFDM 및/또는 비-셀룰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에 대한 많은 추가적인 변경들이 일부 실시예에 대한 위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들은 일부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는 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및/또는 액세스 노드들과 이동 노드들 간에 무선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다른 타입의 통신 기술들을 통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노드들은 OFDM 및/또는 CDMA를 사용하여 이동 노드들과의 통신들을 설정하는 기지국으로서 구현된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이동 노드들은 일부 실시예들의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노트북 컴퓨터들, PDA들(personal data assistants), 또는 수신/전송기 회로들 및 로직 및/또는 루틴들을 포함하는 다른 휴대용 장치들로서 구현된다.

Claims (68)

  1.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톤들의 블록(block of tones)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함 -; 및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톤들의 적어도 70%가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적어도 10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지를 결정하는,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modular incremental index)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톤 블록이 사용되는 섹터 또는 셀에 서의 섹터 식별자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수는 소수(prime number)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톤 호핑 시퀀스는 방정식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에 따라서 결정되고,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은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각각의 산술 연산자들(+,2,*,/)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은 {0,1,...,N1-1}인 값들의 세트에 있는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인데,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0,1,...,5}, {0,1} 및 {0,1,2}인 세트들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고;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며;
    k는 비-음의 정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N=97 및 N1=96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k=L*n+m이고, 여기서,
    m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스트립 심볼 인덱스이고, 또한 비-음의 정수이고;
    L은 제 2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제 1 타입 시간 슬롯 인덱스이며;
    n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인덱싱된 스트립 심볼들의 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시간 슬롯은 비콘 슬롯이고,
    상기 제 2 타입 시간 슬롯은 울트라슬롯이고,
    m은 {0,1,...,9}인 세트에서의 값이고,
    L은 {0,1,...,17}인 세트에서의 값이며,
    n=10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다수의 제 4 시간 기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발행하는 제 4 시간 기간들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되는 임의의 톤보다 더 높은 톤당 신호 에너지를 갖는 협대역 비콘 톤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셀 식별자 값의 함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호핑 시퀀스는 또한 섹터 식별자 값의 함수인,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는 방법.
  15. 저장된 전송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기 위한 통신 모듈;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함 -; 및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톤들의 적어도 70%가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통신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통신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적어도 10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지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modular incremental index)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인,
    통신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톤 블록이 사용되는 섹터 또는 셀에서의 섹터 식별자 및 셀에서의 섹터 식별자 및 셀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통신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의 수는 소수(prime number)인,
    통신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인 방정식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은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각각의 산술 연산자들(+,2,*,/)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은 {0,1,...,N1-1}인 값들의 세트에 있는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인데,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0,1,...,5}, {0,1} 및 {0,1,2}인 세트들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고;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며;
    k는 비-음의 정수인,
    통신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N=97 및 N1=96인,
    통신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k=L*n+m이고, 여기서,
    m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스트립 심볼 인덱스이고, 또한 비-음의 정수이고;
    L은 제 2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제 1 타입 시간 슬롯 인덱스이며;
    n은 제 1 타입 시간 슬롯에서의 인덱싱된 스트립 심볼들의 수인,
    통신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시간 슬롯은 비콘 슬롯이고,
    상기 제 2 타입 시간 슬롯은 울트라슬롯이고,
    m은 {0,1,...,9}인 세트에서의 값이고,
    L은 {0,1,...,17}인 세트에서의 값이며,
    n=10인,
    통신 장치.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다수의 제 4 시간 기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비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비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비콘 신호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발행하는 제 4 시간 기간들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전송될 것이고,
    상기 생성된 비콘 신호는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되는 임의의 톤보다 더 높은 톤당 신호 에너지를 갖는 비콘 톤을 포함하고 있는 협대역 신호인,
    통신 장치.
  27. 전송기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함 -; 및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톤들의 적어도 70%가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통신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통신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적어도 10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지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modular incremental index)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인,
    통신 장치.
  32.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에 따라서, 제 1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어떠한 전력도 전송되지 않을 톤 서브세트를 결정하는 명령 - 상기 결정된 톤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를 포함함 -; 및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톤들의 적어도 70%가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 동안에 비-제로 변조 심볼들을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복 시간 기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복 시간 기간은 적어도 10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5. 제 34항에 있어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미리 결정된 톤 서브세트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기 위한 저장된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은 미리 결정된 방식에 기초하여 반복하는 제 3 시간 기간 내에 발생하고, 제 1 시간 기간들 내의 OFDM 심볼 전송 시간 기간들은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modular incremental index)를 사용하여 인덱싱되고;
    상기 제 1 톤 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모듈러 증가적 인덱스의 함수인,
    기계 판독가능 매체.
  37. 톤들의 블록을 사용하여 통신된 정보를 복원하도록 무선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의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에 대해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 1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상응하는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어진 수신된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존재하며,
    상기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이 아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시간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립 심볼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서 전송되어진 OFDM 심볼에 상응하는 OFDM 심볼이고,
    상기 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이며,
    상기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단계는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식별된 제 1 시간 기간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는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중 하나이고,
    상기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각각은 널 톤들 및 비-널 톤들로의 톤 블록의 상이한 분할에 상응하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단계는 셀 식별자 정보 및 섹터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는 방정식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에 따라서 결정되고,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은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각각의 산술 연산자들(+,2,*,/)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은 {0,1,...,N1-1}인 값들의 세트에 있는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인데,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0,1,...,5}, {0,1} 및 {0,1,2}인 세트들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고;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며;
    k는 비-음의 정수인,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3.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다른 제 1 시간 기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 1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상응하는 상기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다른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는 다른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처리용 OFDM 심볼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 모두 동안에는 정보를 복원하는데 있어서 호핑 함수들이 사용되고,
    상기 호핑 함수들은 상이한 방정식들을 사용하며,
    상기 호핑 함수들 모두는 셀 및 섹터 식별자 정보를 제어 입력들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호핑 함수는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이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호핑 함수는 논리적인 채널 톤-물리적인 톤 호핑 함수(logical channel tone to physical tone hopping function)인,
    무선 단말기 동작 방법.
  47. 톤들의 블록을 통해 통신된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로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의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에 대해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동기화 결정 모듈;
    상기 결정된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동기화 조정 모듈;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식별 모듈; 및
    제 1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상응하는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어진 수신된 스트림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고,
    상기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이 아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시간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무선 단말기.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림 심볼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서 전송되어진 OFDM 심볼에 상응하는 OFDM 심볼이고,
    상기 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이며,
    상기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식별된 제 1 시간 기간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는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중 하나이고,
    상기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각각은 널 톤들 및 비-널 톤들로의 톤 블록의 상이한 분할에 상응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을 미리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들 및 미리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세트들에 관련시키는 저장된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은 셀 식별자 정보 및 섹터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무선 단말기.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은 방정식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에 따라 결정하고,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은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각각의 산술 연산자들(+,2,*,/)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은 {0,1,...,N1-1}인 값들의 세트에 있는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인데,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0,1,...,5}, {0,1} 및 {0,1,2}인 세트들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고;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며;
    k는 비-음의 정수인,
    무선 단말기.
  53.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은 하나의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상이하게 인덱싱된 제 1 시간 기간들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무선 단말기.
  54. 제 53항에 있어서,
    제 2 시간 기간 동안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OFDM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기 위한 제 2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은 제 1 시간 기간의 지속시간의 적어도 10배인 지속시간을 갖는,
    무선 단말기.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 및 상기 제 2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은 제 1 및 제 2 시간 기간들 모두 동안에 정보를 복원하는데 있어서 호핑 함수들을 사용하 고,
    상기 호핑 함수들은 상이한 방정식들을 사용하며,
    상기 호핑 함수들 모두는 셀 및 섹터 식별자 정보를 제어 입력들로서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호핑 함수는 톤 서브세트 호핑 함수이고,
    상기 제 2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호핑 함수는 논리적인 채널 톤-물리적인 톤 호핑 함수인,
    무선 단말기.
  57. 톤들의 블록을 통해 통신된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로서,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의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에 대해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된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동기화 수단;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식별 수단; 및
    제 1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상응하는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어진 수신된 스트림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에 있고,
    상기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이 아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시간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무선 단말기.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림 심볼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서 전송되어진 OFDM 심볼에 상응하는 OFDM 심볼이고,
    상기 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이며,
    상기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처리 수단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식별된 제 1 시간 기간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는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중 하나이고,
    상기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각각은 널 톤들 및 비-널 톤들로의 톤 블록의 상이한 분할에 상응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을 미리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들 및 미리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세트들에 관련시키는 저장된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61.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은 셀 식별자 정보 및 섹터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무선 단말기.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 결정 모듈은 방정식 f(bssSlopeIndex,bssSectorType,k)=(bssSlopeIndex+1)/(bssSectorType*k+k2)에 따라 결정하고, 여기서,
    f(bssSlopeIndex,bssSectorType,k)은 bssSlopeIndex 값 및 bssSectorType 값을 갖는 기지국 섹터에 대해 스트립-심볼 k에서 선택될 톤 서브세트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각각의 산술 연산자들(+,2,*,/)은 N의 필드에서 정의되는데, N은 소수이고;
    bssSlopeIndex은 {0,1,...,N1-1}인 값들의 세트에 있는 국부적으로 고유한 셀 식별자 값인데, N1≤N이고, N1은 비-제로 양의 정수이고;
    bssSectorType는 {0,1,...,5}, {0,1} 및 {0,1,2}인 세트들 중 하나로부터의 섹터의 섹터 식별자 값 인덱스이고;
    f는 기지국의 섹터에서의 함수이며;
    k는 비-음의 정수인,
    무선 단말기.
  63.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처리 모듈은 하나의 제 3 시간 기간 동안에 다수의 상이하게 인덱싱된 제 1 시간 기간들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무선 단말기.
  64. 저장된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에 아래의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무선 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단계들은,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의 반복적인 제 3 시간 기간에 대해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이밍 동기화 정보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수신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제 1 시간 기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 1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상응하는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되어진 수신된 스트립 심볼을 복원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제 3 시간 기간 내에 존재하며,
    상기 제 1 톤 서브세트 호핑 시퀀스는 상기 제 1 시간 기간들이 아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시간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스트립 심볼은 널 톤들의 서브세트 및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 어태치먼트 포인트 전송기에 의해서 전송되어진 OFDM 심볼에 상응하는 OFDM 심볼이고,
    상기 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상기 톤들의 블록에 있는 톤들의 적어도 30%이며,
    상기 비-널 톤들의 서브세트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66.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은 제 3 시간 기간 내의 식별된 제 1 시간 기간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무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67.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는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중 하나이고,
    상기 다수의 미리 결정된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 각각은 널 톤들 및 비-널 톤들로의 톤 블록의 상이한 분할에 상응하고,
    상기 기계 판독가능 매체는 제 1 시간 기간 서브세트 인덱스 값들을 미리 결정된 널 톤 서브세트들 및 미리 결정된 비-널 톤 서브세트들과 관련시키는 저장된 서브세트 인덱스 매핑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68.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명령들은 셀 식별자 정보 및 섹터 식별자 정 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시간 기간 톤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도록 상기 무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KR1020087027818A 2006-04-14 2007-04-14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 KR100983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229106P 2006-04-14 2006-04-14
US60/792,291 2006-04-14
US11/486,602 2006-07-14
US11/486,602 US7929619B2 (en) 2006-04-14 2006-07-14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on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7/066675 WO2007121386A2 (en) 2006-04-14 2007-04-14 Allocation of tones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931A true KR20080109931A (ko) 2008-12-17
KR100983687B1 KR100983687B1 (ko) 2010-09-24

Family

ID=3854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818A KR100983687B1 (ko) 2006-04-14 2007-04-14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9619B2 (ko)
EP (1) EP2008393B1 (ko)
JP (1) JP4991841B2 (ko)
KR (1) KR100983687B1 (ko)
CN (2) CN102299785B (ko)
WO (1) WO20071213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71B1 (ko) * 2009-08-11 2014-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간섭하는 셀들의 송신의 펑처링에 의한 간섭 완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914B2 (en) * 2006-04-14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on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51405B2 (en) 2006-07-14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beac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237288B2 (ja) * 2006-06-16 2013-07-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ーコン信号における情報の符号化
US9037750B2 (en) * 2007-07-10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exchange i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KR101387534B1 (ko) 2008-01-03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복 채널 코딩을 위한 심볼 매핑 방법
EP2249496A1 (en) * 2008-02-01 2010-11-10 Sharp Kabushiki Kaisha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8219139B2 (en) * 2008-06-06 2012-07-10 Ntt Docomo, Inc. Radio base station accommodating method and network device
KR101527008B1 (ko) * 2008-07-07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제어 정보 제공 방법
US8559351B2 (en) 2008-08-01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Dedica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network MIMO
US20100220651A1 (en) * 2009-03-02 2010-09-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OFDMA systems
US9106378B2 (en) 2009-06-10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ownlink information
US8724563B2 (en) 2009-08-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detecting system information blocks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77566B2 (en) 2009-09-14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ross-subframe control channel design
US8942192B2 (en) 2009-09-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226288B2 (en) 2010-04-1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71167B2 (en) 2010-04-13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radio link failure with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cancellation
US9125072B2 (en) 2010-04-1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Heterogeneous network (HetNet) user equipment (UE)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US9392608B2 (en) 2010-04-13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for enhanced interference coordination
US8886190B2 (en) 2010-10-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s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US9209951B2 (en) 2010-11-25 2015-12-08 Econet (Suzhou) Limited Method of handling tone map interpol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638131B2 (en) 2011-02-23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feedback-controlled output driver with minimum slew rate variation from process, temperature and supply
US9137788B2 (en) * 2011-09-05 2015-09-1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full duplex radios
US10028284B2 (en) * 2014-08-14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wireless networks
SG11202000079UA (en) * 2017-07-06 2020-02-27 Sony Corp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608A (ja) 1992-09-24 199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タ
DE60031105T2 (de) * 2000-07-06 2007-04-05 Sony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n OFDM in der Aufwärtsrichtung mit Zeit-Frequenz-Verschachtelung
WO2003001696A2 (en) 2001-06-21 2003-01-03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tone allocation for tone hopping sequences
JP2003060609A (ja) * 2001-08-10 200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7230942B2 (en) * 2003-10-03 2007-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sectorized environment
US7039370B2 (en) * 2003-10-16 2006-05-02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providing transmit and/or receive diversity with multiple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47009B2 (en) * 2003-12-05 2006-05-16 Flarion Technologies, Inc. Base station bas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eak before make handoffs in a multi-carrier system
EP1763932A4 (en) 2004-02-17 2010-01-06 Huawei Tech Co Ltd MULTIPLEX PRO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086304B2 (ja) 2004-04-23 2008-05-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CN100493060C (zh) * 2004-07-27 2009-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时频资源的分配方法
US8325826B2 (en) * 2005-03-09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facilitating antenna control
US7471702B2 (en) * 2005-03-09 2008-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using,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signals at least some of which include intentional null tones
US7826807B2 (en) * 2005-03-09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US20070083669A1 (en) 2005-09-19 2007-04-12 George Tsirtsis State synchronization of access routers
US20070165728A1 (en) * 2006-01-17 2007-07-19 Vladimir Parizhsky Multi-symbol signals including an initial symbol and an extension p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71B1 (ko) * 2009-08-11 2014-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간섭하는 셀들의 송신의 펑처링에 의한 간섭 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1386A2 (en) 2007-10-25
KR100983687B1 (ko) 2010-09-24
CN101467382A (zh) 2009-06-24
US20070242763A1 (en) 2007-10-18
EP2008393B1 (en) 2017-06-28
CN102299785B (zh) 2014-04-30
WO2007121386A3 (en) 2008-01-24
CN101467382B (zh) 2012-03-21
CN102299785A (zh) 2011-12-28
JP2009533987A (ja) 2009-09-17
EP2008393A2 (en) 2008-12-31
JP4991841B2 (ja) 2012-08-01
US7929619B2 (en)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687B1 (ko) 다중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톤들의 할당
KR101124188B1 (ko) 복합 비컨 및 광대역 동기화 시그널링과 관련된 방법 및 장치
US7715845B2 (en) Tone hopping methods and apparatus
RU2517165C2 (ru) Структура фрейм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сценариев развертывания с большим временем запаздыва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KR1010416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과 관련된 방법들 및 장치
JP4927874B2 (ja) 冒頭記号および拡張部分を含む多記号信号
US200700029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fram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92690A1 (en) Enhanced beac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US84519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on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447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beac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041940B1 (en) Uplink timing control signal
JP57222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トーン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008422B1 (en)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for cellular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different tone sub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