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494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494A
KR20080109494A KR1020070057882A KR20070057882A KR20080109494A KR 20080109494 A KR20080109494 A KR 20080109494A KR 1020070057882 A KR1020070057882 A KR 1020070057882A KR 20070057882 A KR20070057882 A KR 20070057882A KR 20080109494 A KR20080109494 A KR 2008010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state
locking
portable terminal
fixing member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7258B1 (en
Inventor
주원석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58B1/en
Priority to TW097121594A priority patent/TWI377897B/en
Priority to DE102008027768.1A priority patent/DE102008027768B4/en
Priority to US12/138,274 priority patent/US8180417B2/en
Publication of KR2008010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of which the usability is improved in an open state is provided to perform the open operation of a first body by an operation module. A second body(120) is combined with a first body in order to have an open state for exposing a part of the second body against the first body and a close state for completely overlapping the first body. An operation module returns the first body to a close state in case of releasing latch when the force horizontally applies the first body against the second body in order to have the open state b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verlapping the first body against the second body.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작동모듈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operation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시로서,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이동하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5 to 8 i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body mov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측단면도,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12는 도 9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작동모듈의 작동 상태를 각각 보인 평면도,10 to 12 are plan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modul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9, respectively;

도 13 내지 도 15는 도 9의 휴대 단말기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13 to 1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opening the portable terminal of Figure 9,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6;

도 18은 도 17의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7;

도 1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a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상대방과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making a voice or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storing data, and the lik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또는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에 복합적으로 탑재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를 구현하기도 한다.As functions are diversified, portable terminals may have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a game, or broadcasting. Such functions are sometimes incorporated in a portable terminal to implement a multimedia device.

각종 기능의 구현과 부품들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개성에 따른 선택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도 제안된다.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and operate components, portable terminals require sufficient support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a mobile terminal in terms of use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considered to be a personal portable product,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selected according to individuality is also proposed.

외형면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기구나 형태도 여러 형태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바디에 입·출력부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바(bar) 타입, 어느 한 바디가 다른 한 바디에 대하여 회전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폴더(folder) 타입 또는 스윙(swing) 타입, 또는 어느 한 바디가 다른 한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이 그것이다.In terms of appearance, various forms have been proposed for the mechanism and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bar type in which an input / output unit and a display are arranged in one body, a folder type or a swing type in which one body is rotated and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another body, or A slide type in which one body slides open and closes relative to another body.

이중 슬라이드 타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직접 단말기의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시각적인 정보를 바로 받아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를 열기 위한 동작이 간결하여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어느 한 바디와 다른 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후에 단(段)이 형성되어 사용이 불편할 수 있으며, 미관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 dual slide type is preferred because the display device is alway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to receive visual information directly, and the operation for opening the mechanism is concise. However, in this case, one body and the other body is formed after the end of the slide (段)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can be inhibited.

본 발명은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개폐되도록 하여 많은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one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ther body to implement many fun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린 상태에서 사용성과 외관이 개선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improved usability and appearance in an open stat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바디; 제1바디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는 닫힌 상태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를 갖도록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를 제2바디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를 구성하도록 제1바디를 걸림시키고, 걸림을 해제시키면 제1바디를 닫힌 상태로 복귀 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have a closed state completely overlapp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nd an open state with at least a portion exposed to the first body; And when the first body is appli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is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so as to form an open state.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n operation module for returning to a closed st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가 열려진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이들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에 배치될 수 있는 부품은 휴대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주로 담당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타입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시각적인 출력기능을 주로 의도하는 것이라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모두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상세한 구성의 일 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 도시하였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that are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Components that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come in various types depending on which func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mainly responsible for.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100 mainly intends a visual output function, a display may be installed in bot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17 to 19.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후방(여기서 후방이란 도 1에서 -z방향을 말하며, 상방 또는 상부는 y방향을 의미한다)에 제1바디(110)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는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도 1 참조)와 제1바디(110)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도 2 참조)를 갖도록 결합되어 있다.The second body 120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to the rear of the first body 110 (where the rear refers to the -z direction in FIG. 1 and the upper or upper portion refers to the y direction). It is coupled to have a closed configuration (see FIG. 1) and an open configuration (see FIG. 2)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body 110.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열린 상태 에 있을 때 제1바디(110)의 전면과 제1바디(110)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2바디(120)의 전면은 균등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바디(110)가 제2바디에 대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함으로써, 제1바디(110)의 전면이 제2바디(120)의 전면보다 높은 단(段)을 이룸으로써 사용성과 미관이 떨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n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body 110 are expo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of the two bodies 120 is configured to be evenly positioned. That is, since the first body 110 mov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forms a stage hig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The usability and aesthetics can be reduced.

그리고,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제2바디(120)의 후면과 제2바디(120)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1바디(110)의 후면은 균등하게 위치되도록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바(bar) 타입의 휴대 단말기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다. 따라서, 열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 보다 넓은 사용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작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n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20, the rear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expos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2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rear side to be evenly positioned. In this cas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has an appearance similar to that of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ase of operation while ensuring a wider use surface tha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e open stat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module of FIG. 3.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120)의 전면(121)은 제1바디(11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는 제1평면(121a) 및 제1평면(121a)보다 낮게 형성되며 제1바디(11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지 않는 제2평면(121b) 및, 제1평면(121a)과 제2평면(121b)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면(121c)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second body 12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first plane 121a and the first plane 121a exposed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n open state. And a second plane 121b not exposed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n open state, and an intermediate plane 121c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plane 121a and the second plane 121b. .

그에 대응하여, 제1바디(110)의 후면(111)은 제2바디(120)의 제1평면(121a), 제2평면(121b) 및 중간면(121c)에 대응되는 역상(逆狀)의 제1대응평면(111a), 제2대응평면(111b) 및 대응중간면(111c)이 각각 형성된다. Correspondingly, the rear surface 111 of the first body 110 has an in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ne 121a, the second plane 121b, and the intermediate plane 121c of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corresponding plane 111a, the second corresponding plane 111b and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plane 111c are respectively formed.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서로 역평행(anti-parallel)을 이루도록 엇갈린 모습을 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제1바디(110)의 길이는 제2바디(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제1바디(11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도 적어도 제2바디(120)의 제1평면(121a)이 노출되도록 하여 편의 기능이나 조작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formed to be staggered to form anti-parallel. However,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even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 closed state, at least the first plane 121a of the second body 120 It is possible to arrange a convenient function or an operation part by making it exposed.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는 제1바디(110)를 제2바디(120)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를 구성하도록 제1바디(110)를 걸림시키고, 걸림을 해제시키면 제1바디(110)를 닫힌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모듈(130)이 구비된다.When the first body 110 is appli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20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20. An operation module 130 is provided to lock the first body 110 to form an open state by overlapp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to return the first body 110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first body 110 is released.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동모듈(130)은 고정부재(131), 가이드부재(132) 및 링크부재(13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operation module 130 includes a fixing member 131, a guide member 132, and a link member 137.

고정부재(131)는 이동시 제1바디(11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바디(110)의 후면에 고정된다. The fixing member 131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to be mov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110 when moving.

가이드부재(132)는 고정부재(131)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31)와 가이드부재(132)는 금속 패널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서, 도 4에 의하면, 가이드부재(132)는 고정부재(131)의 양측단(131a)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31)의 양측단(131a)과 가이드부재(132) 사이에는 고정부재(131)가 가이드부재(1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게 윤활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Guide member 132 is formed to act as a guide so that the fixing member 131 is moved horizontally. The fixing member 131 and the guide member 1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panel or a plat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reduced. As an example, according to FIG. 4, the guide member 132 is formed to surround both side ends 131a of the fixing member 131. A lubricatio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ide ends 131a of the fixing member 131 and the guide member 132 so that the fixing member 131 may reduce friction when the slide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member 132.

고정부재(131)와 가이드부재(132)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132)가 닫힌 상태로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135)이 구비되어 있다.A first spring 135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31 and the guide member 132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ward the closed state of the guide member 132.

제1스프링(135)은 닫힌 상태에서 고정부재(131)가 가이드부재(132)에 대하여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저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스프링(135)은 닫힌 상태에서 고정부재(131)가 가이드부재(132)에 대하여 일정 거리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동안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그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면 제1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나머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The first spring 135 may be formed to store the restoring force continuously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the fixing member 131 moves in the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132 in the closed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spring 135 stores the restoring force while the fixing member 131 mov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132 at a distance in a closed state, and then moves the first spring 135 when the first spring 135 moves beyond the distance. It may be installed to move the rest by the restoring force of 135 (see Figs. 10 to 12).

제1스프링(135)은 구조에 있어 다양한 적용예가 가능하며, 도 4에서는 인장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를 보였다. 이외에도 제1스프링(135)은 스파이럴 형태의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이 가능하다. 제1스프링(135)의 수 또한 복원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The first spring 135 is possible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the structure, Figure 4 shows a case using a tension spring. In addition, the first spring 135 may be a spiral spring or leaf spring. The number of first springs 135 is also adjusta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toring force.

링크부재(137)는 그 일단이 가이드부재(1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은 제2바디(12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고정부재(131)와 가이드부재(13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1바디(110)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수직방향으로 겹침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링크부재(137)은 제1바디(11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을 수직방향 이동으로 변환하여 준다. 링크부재(137)는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단순 링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One end of the link member 137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37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to thereby secure the fixing member 131 and the guide member 132. Move it vertically. That is, when the first body 110 is moved horizontally and overlap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nk member 137 converts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body 110 into vertical movement. give. The link member 137 may be formed of a simple link in which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이러한 링크부재(137)는 제2바디(120)의 이동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수직으로 이 동시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링크부재(137)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많은 수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link member 137 is formed in a pair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first body 110 is not inclined at the same tim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ody 120. It can be moved in parallel without. However, the number of link members 137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larger number of combinations.

가이드부재(132)가 링크부재(137)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부재(132)와 고정부재(131) 사이의 수평 이동은 수직이동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While the guide member 132 is rotated by the link member 137, the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guide member 132 and the fixing member 131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vertical movement.

링크부재(137)의 하단은 고정플레이트(1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link member 137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ing plate 138.

고정부재(131), 가이드부재(132), 링크부재(137) 및 고정플레이트(138)는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의 조립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31, the guide member 132, the link member 137, and the fixing plate 138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manufactured in a single module form. In this case, the ease of assembling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xpected. have.

링크부재(137)와 제2바디(120) 사이에는 제1바디(11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139)이 구비되어 있다.A second spring 139 is provided between the link member 137 and the second body 120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raised.

제2스프링(139)은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수직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제1바디(110)를 복귀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1바디(110)를 제2바디(120)에 대해 상승시킴으로서, 이어지는 제1바디(110)의 수평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spring 139 preferentially returns the first body 110 to return the first body 110 when the first body 110 is in an open state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120. By raising the second body 120, it may serve to facilitat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ollowing first body (110).

이에 따른 제2스프링(139)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2스프링(139)은 토션 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제2스프링(139)은 인장/압축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이 가능하다. 제1스프링(135)의 수 또한 복원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second spring 139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spring 139 is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In addition, the second spring 139 may be a tension / compression spring or a leaf spring. The number of first springs 135 is also adjusta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toring force.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이동시 그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변형되는 연결수단(160)에 의하여 연결된다. 연결수단(160)은 케이블 형태 또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형태가 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160 that is moved or deformed in the direction when the first body 110 moves. The connection means 160 may be in the form of a cable or a flexible PCB.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시로서,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이동하는 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5 to 8 i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moving the first bod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에 형성되며 고정부재(231) 및 가이드부재(232)가 링크부재(237)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바디(210)를 걸림시키는 록킹부(251,252,253,254)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terminal 200 is formed on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and the fixing member 231 and the guide member 232 are perpendicular to the link member 237. It is provided with locking parts (251, 252, 253, 254) for locking the first body 210 when moved in the direction.

록킹부(251,252,253,254)는 제1바디(2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251,253)와 제1바디(210)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걸림돌기(251,253)가 걸려지는 걸림홈(252,254)을 포함한다.The locking parts 251, 252, 253, 254 are locking grooves 251, 253,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210, and locking grooves 251, 253 that are caught when the first body 210 is in an open position. (252,254).

걸림돌기(251,253)와 걸림홈(252,254)은 각각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호 조우(遭遇)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20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각각 걸려지도록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들 도면과 달리, 제1바디(210)의 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2바디(220)의 상면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걸림돌기는 제2바디(220)에 형성되고 걸림홈은 제1바디(2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돌기(251,253)와 걸림홈(252,254)의 형상은 단순한 철(凸) 형상 요(凹) 형상 외에 후크 또는 스냅에 의 하여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cking protrusions 251 and 253 and the locking grooves 252 and 254 may b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first body 110 is encountered when the first body 110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o as to be engag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in a closed state and in an open state. However, unlike these figures,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10, and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0. Furthermore,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220 and the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210. The locking protrusions 251 and 253 and the locking grooves 252 and 254 may be formed by a hook or a snap in addition to a simple iron yaw shap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by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210)가 제2바디(220)에 대해 완전히 포개어져 있는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32)는 고정부재(231)의 우단 부분(right-end porion)에 위치된다. 고정부재(231)와 가이드부재(232)는 제1스프링(235)에 의하여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210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0, the guide member 232 is a right-end porion of the fixing member 231. ). The fixing member 231 and the guide member 232 are connected to the elastic force by the first spring 235.

제1바디(210)를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이드부재(232)는 고정부재(231)의 좌단 부분에 위치될 때까지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제1스프링(235)에는 복원력이 저장된다.When the first body 210 is appl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guide member 232 is slidably moved until it is positioned at the left end of the fixing member 231. In this process, the restoring force is stored in the first spring 235.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1바디(210)에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부재(231)는 가이드부재(232)를 따라 더이상 슬라이드되지 않고, 링크부재(237)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2스프링(239)에는 복원력이 저장된다.When the force is applied horizontally to the first body 210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fixing member 231 is no longer slid along the guide member 232,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237. Parallel translation In this process, the restoring force is stored in the second spring 239.

제1바디(210)의 후면이 제2바디(220)의 전면에 접하는 도 7의 상태에서 제1바디(210)의 수직방향 이동은 정지된다. 제1바디(210)가 제2바디(220)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겹쳐져 이동하는 과정에서 링크부재(259)는 제2바디(220)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다.In the state of FIG. 7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21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0,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body 210 is stopp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first body 21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0, the link member 259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0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제1바디(210)가 수평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220)에 겹쳐지면(도 7 참조), 제1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부재(231) 및 제1바디(210)가 약간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251,253)가 걸림홈(252,254)에 걸려지게 되어 제2스프링(239)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바디(210)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 When the first body 210 is slid horizontally and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verlap the second body 220 (see FIG. 7), the fixing member 231 and the first body are restrai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235. One body 210 will retreat slightly. Accordingly, the locking protrusions 251 and 253 ar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s 252 and 254 so that the first body 210 can be kept open even when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239 is applied.

도 8의 상태에서 제1바디(210)를 약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돌기(251,253)가 걸림홈(252,254)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스프링(239)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바디(210)가 들어 올려진다.In the state of FIG. 8, when the first body 210 is slight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cking protrusions 251 and 253 are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s 252 and 254, and the first body 210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239. Is lifted.

아울러, 제1바디(210)가 제2바디(220)에 대하여 충분한 높이로 들어 올려지면 제1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바디(210)는 닫힌 상태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제1바디(210)가 제1스프링(235)에 의하여 가속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 사이에는 감속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ody 210 is lifted to a sufficient hei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0, the first body 210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close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235. In order to reduce the acceleration of the first body 210 by the first spring 235, a deceleration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이상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바디(210)가 제2바디(220)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제1바디(210)는 제2바디(220)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어 수직으로 겹칠 수 있게 되므로 제1바디(210)의 전면을 제2바디(220)의 전면과 균등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열린 상태에서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는 조합되어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een above, when the first body 210 is appli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0, the first body 210 may be mov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0 to overlap vertically. Since it is possible to match the front of the first body 210 and the front of the second body 220 evenly. Furthermore, in the open state,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may be combined to form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300)는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바디(310)의 후면과 제2바디(320)의 전면은 경사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면(311c,321c)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9, 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first body 310 and a second body 3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320 are inclined. The inclined surfaces 311c and 321c formed are respectively provided.

제1바디(310)의 후면과 제2바디(320)의 전면에는 제1바디(310)가 제2바디에 대해 수직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제1바디(310)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부(371,372)가 구비되어 있다. 록킹부(371,372)는 제1바디(3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자석부(371) 및 제2바디(320)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1바디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자석부(371)와 인력에 의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1바디(310)가 일정거리로 이동되면 제1자석부(371)와 척력에 의하여 제1바디(310)를 수직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자석부(37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제1자석부(371)와 제2자석부(37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320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first body 310 when the first body 310 is in a vertically overlapping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Locking sections 371 and 372 are provided. The locking parts 371 and 372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magnet part 371 and the second body 320 which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310 and the first magnet part when the first body is in the open position. 371) and the open state by the attraction force, when the first body 310 is mov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s arranged to push the first body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magnet portion 371 and the repulsive force The second magnet portion 372 is included. To this end, the first magnet portion 371 and the second magnet portion 37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작동모듈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10 to 12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n oper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9.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모듈(330)의 고정부재(331)는 제1바디(310)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332)는 고정부재(331)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ixing member 331 of the operation module 330 is fixed to the first body 310, and the guide member 332 may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331. have.

고정부재(331)와 가이드부재(332)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35)은 제1바디(310)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부재(331)가 가이드부재(332)에 대하여 제1거리(L1)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동안 복원력을 저장하였다가 그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면 제1스프링(3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나머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spring 335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331 and the guide member 332 has a first distance L1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332 by the fixing member 331 with the first body 310 closed. The restoring force is stored while moving horizontally, and the rest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spring 335 when the restoring force is moved beyond the distance.

이에 따라, 도 10의 상태에서 고정부재(331)가 가이드부재(332)에 대하여 제1거리(L1)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도 11과 같이 되고, 이후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스프링(3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나머지 거리를 이동시켜 제1바디(310)를 열린 상태로 만들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tate of FIG. 10, when the fixing member 331 slides at the first distance L1 with respect to the guide member 332, the fixing member 331 is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body 310 is opened by moving the remaining distance by the restoring force.

도 13 내지 도 15는 도 9의 휴대 단말기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13 to 15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1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310)를 제2바디(320)에 대해 수평으로 제1거리(L1)만큼 힘을 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 사이에 있는 스프링(335)에는 복원력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body 310 is slid and mov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20 by the first distance L1, the first body 310 and the second body ( Restoring force is stored in the spring 335 between 320.

도 13의 상태에서 제1바디(310)에 가하였던 수평방향의 힘이 제거되더라도 남은 거리인 제2거리(L2)만큼을 스프링(335)의 복원력이 이동시킨다. 제1바디(310)의 끝단이 제2바디(320)의 경사면(321c)에 이르게 되면, 링크부재(337)의 회전에 의하여 제1바디(310)는 제2바디(3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겹치기 시작하게 된다(도 14 참조).Even if the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body 310 in the state of FIG. 13 is remov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35 moves by the second distance L2, which is the remaining distance. When the end of the first body 310 reaches the inclined surface 321c of the second body 320, the first body 310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ody 320 by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337 Will begin to overlap (see FIG. 14).

도 13을 참조하면, 제1바디(310)가 제2바디(3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겹쳐지는 과정에서 제1바디(310)의 하단이 제2바디(320)의 경사면(321c)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챔퍼(chamfer;314)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바디(320)의 상단이 제1바디(310)의 경사면(311c)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챔퍼(324)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first body 310 is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320,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310 interferes with the inclined surface 321c of the second body 320. A chamfer 314 may be formed so as not to. Similarly, the chamfer 324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320 is not interfered by the inclined surface 311c of the first body 310.

제1바디(310)가 제2바디(320)에 대해 수직으로 겹쳐지게 되면서, 제1바디(310)에 설치되는 제1자석부(371)와 제2바디(320)에 설치되는 제2자석부(372)가 근접하게 되어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310)의 후면은 제2바디(320)의 전면에 밀착되는 열린 상태가 구현되고, 이 상태는 제1자석부(371)와 제2자석부(372)의 인력에 의해 유지된다(도 15 참조)As the first body 310 is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320, the first magnet part 371 and the second magnet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320 ar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310. The portion 372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attraction force. Accordingly, an open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320 is implemented, and this state is applied to the attraction force of the first magnet part 371 and the second magnet part 372. Is maintained (see FIG. 15).

도 15의 상태에서 제1바디(310)를 제2바디(32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바디(310)의 제1자석부(371)와 제2바디(320)의 제2자석부(372)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면서 상호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1자석부(371)와 제2자석부(372) 사이의 척력은 제1바디(310)를 제2바디(3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자석부(371)와 제2자석부(372)는 제1바디(310)를 제2바디(320)에 대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 외에 제1바디(310)를 밀어 닫는 힘을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 When the first body 310 is appl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20 in the state of FIG. 15, the first magnetic part 371 and the second body 320 of the first body 310 are applied. As the two magnets 372 are staggered with each other, mutual repulsive forces act.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 part 371 and the second magnet part 372 serves to push up the first body 310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20. Accordingly, the first magnet part 371 and the second magnet part 372 push and close the first body 310 in addition to the action of maintaining the first body 3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20.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410)와 제2바디(42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또는 커버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415,425)와 리어 케이스(416,426)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케이스(415,425)와 리어 케이스(416,42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415,425,416,426)는 수지류가 사출되어 형성되거나 금속 판재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case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asing, a housing or a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410 and the second body 420 is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embedded. Front cases 415 and 425 and rear cases 416 and 426.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front cases 415 and 425 and the rear cases 416 and 426. Here, the cases 415, 425, 416, 426 may be formed by injecting resins, or may be formed by a metal plate or the like.

도 1에 의하면 제1바디(410)의 전면에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61), 음향을 출력하는 제1음향출력부(463), 영상을 입력하는 제1영상입력부(466) 및 정보를 입력하는 제1조작부(462)가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 has a display unit 461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a first sound output unit 463 for outputting sound, a first image input unit 466 for inputting an image, and information. A first manipulation unit 462 for inputting the information is provided.

디스플레이부(46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61)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461 may be form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The display unit 461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제1조작부(462)는 주로 디스플레이부(461)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462)는 디스플레이부(461)에 표시되는 포인터나 커서의 방향을 이동시키는 키들 또는 특정 기능들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키들로 배정될 수 있다. The first manipulation unit 462 mainly receives a user's command to contro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461. In detail, the first manipulation unit 462 may be assigned to ke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61, keys for moving the direction of the cursor, or keys for executing specific functions.

제1음향출력부(463)는 상대방의 통화를 들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음악이나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46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unit 46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configured to listen to a call of the other party or a speaker generating various music or alarm sounds. The first image input unit 466 may have a form of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도 10에 의하면, 제2바디(420)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67), 음향을 출력하는 제2음향출력부(468) 및 영상을 입력하는 제2영상입력부(470)가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a power supply unit 46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a second sound output unit 468 for outputting sound, and a second image for inputting an image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 An input unit 470 is provided.

도 18은 도 17의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8에 의하면, 제1바디(410)가 제2바디(420)에 대해 열린상태에 있을 때 제2바디(420)의 후면과 제2바디(320)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1바디(310)의 후면은 균등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제2바디(420)의 후면과 제2바디(420)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제1바디(410)의 후면은 균등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즉, 열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400)는 하나의 바(bar)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이루고 있다. 이로써, 제1바 디(410)가 제2바디(420)에 대해 이동하더라도 단을 만들지 않게 된다.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7.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first body 410 is in an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 the first body exposed by the rear of the second body 420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320 ( The rear surface of the 310 is evenly positione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 expos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420 are formed to be evenly positioned. That is, in the open state, the portable terminal 400 constitutes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even if the first body 410 mov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 a stage is not formed.

제2바디(420)의 프론트 케이스(425)의 전면(front fac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47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410)의 프론트 케이스(415) 또는 리어 케이스(416)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464)와 인터페이스(465)가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manipulation unit 475 for inputting information may be disposed on a front face of the front case 425 of the second body 420. The third manipulation unit 464 and the interface 465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415 or the rear case 416 of the first body 410.

제1 내지 제3조작부(462,475,46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462,475,46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462,475,464)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 또는 정보는 숫자, 적어도 일 국가의 언어, 또는 스크롤 방향, 시작, 종료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462, 475, and 46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s 462, 475, 46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by rotating a key or using a joystick. May also be implemented. Commands or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ion units 462, 475, 464 include numbers, languages of at least one country, or scroll direction, start, end, and the like.

예를 들어, 조작부(462,475,46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462, 475, 464 is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operate like a wheel or jog or joystick that rotates keys.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462)는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47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464)는 제1영상입력부(46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462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475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464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466.

상기 음향입력부(47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47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도 9와 같이, 제1바디(410)가 제2바디(420)와 완전히 중첩되게 배치된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고,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410)가 제2바디(4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에서 통화 모드, 편집 모드 등으로 작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body 410 operates mainly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410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420, and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body 410 operates in a call mode, an edit mode, or the like in an open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420 is exposed.

인터페이스(46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The interface 465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4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face 465 may be wired or wireless,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46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465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2음향출력부(468)는 제1음향출력부(463)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68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463,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470) 등이 제2바디(4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470) 등 과 같이 리어케이스(426)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이 제1바디(410)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416)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4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47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466)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470)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470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4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rear case 426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47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rear case 416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4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470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first image input unit 466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470 may be taken.

도 1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481)와,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482)와, 음향 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84)와,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83)와,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485)와,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81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482 for inputt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and audio or video information. An output unit 484, a memory 483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programs or data, a broadcast receiving unit 485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 unit 48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

무선통신부(481)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에는 음성, 화상 및 데이터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81)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8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80. Wireless communications may include voice, video and data communicatio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81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입력부(482)는 조작부(462,475,464), 영상입력부(466,470), 음향입력부(476) 및 센싱부 등을 포함한다. The input unit 482 includes an operation unit 462, 475, 464, an image input unit 466, 470, a sound input unit 476, a sensing unit, or the like.

조작부(462,475,46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를 제어부(480)에 인가한다. The operation units 462, 475, and 464 generate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pply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480.

영상 입력부(466,47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 등에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480)에 인가된다. The image input units 466 and 470 captur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and the captured image data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480.

음향 입력부()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켜서 그 신호를 제어부(480)에 인가한다.The sound input unit receives an external sound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480.

센싱부는 단말기의 개폐 상태 또는 단말기 위치 또는 인체 접촉여부 등과 같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480)에 인가한다. The sensing unit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a terminal position, or whether a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pplie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480.

출력부(484)는 디스플레이부(461), 음향출력부(463,468), 진동부, 광발생부 등을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484 includes a display unit 461, sound output units 463 and 468, a vibration unit, a light generation unit,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461)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 및 기능 수행 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The display 461 displays an image output when the terminal performs various status information and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80.

음향출력부(463,468)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서 수신된 음향신호 또는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들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The sound output units 463 and 468 output sound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80 or sound signals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performed in the terminal.

진동부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광발생부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어 조명용으로 사용되거나 인디케이터로 사용된다. The vibrator serves to vibrate the terminal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80, and the light generating unit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80 and is used for lighting or as an indicator.

메모리(483)는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방송 수신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프로그램 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emory 483 may serve to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r a user interface (UI) program for receiving a broadcast and accessing the Internet, or input / output data.

이러한 메모리(483)는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을 포함한다.This memory 483 includes a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수신부(48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방송수신부(485)는 방송에 관련된 부가정보(예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채널 리스트, 타임 테이블 등)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er 48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8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er 485 may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eg,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a channel list, a time table, etc.) or URL information.

인터페이스(465)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단말기로 전달하거나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The interface 465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480 or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전원공급부(467)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467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개폐 메카니즘을 가짐으로써, 닫힌 상태일 때 충분히 작은 길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400)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400)가 열리면, 제1바디(410)가 제2바디(4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겹쳐지면서 제1바디(410)의 제1조작부(462) 및 디스플레이부(461)는 제2바디(420)의 제2조작부(475)와 균등한 높이를 이루게 되어 사용하기 용이하고, 외관이 단이 지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By having such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as shown in Figs. 16 to 18, the portable terminal 400 having a sufficiently small length in the closed stat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400 is opened, the first body 410 and the display unit 461 of the first body 410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 The second body 420 of the second body 420 is equal to the height is easy to 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ppearance is shortened.

이러한 열린 상태로의 이동(shift)은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모듈에 의하여 제1바디(410)를 제2바디(420)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바디(410)가 제2바디(420)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를 구성하도록 제1바디(410)를 걸림시키고 걸림을 해제시키면 제1바디(410)를 닫힌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The shift to the open state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410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 by the operating modul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ody 310 and the second body 320. When the first body 410 is caugh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420 and the first body 410 is caught and released to release the first body 410 in a closed state Will be restored.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 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제1바디를 제2바디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열린 상태로 되므로, 제1바디의 전면과 제2바디의 전면을 균등한 상태로 이룰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열린 상태에서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얻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body is appli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is open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so that the first body is opened. Not only can the front face and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body be equalized, but also it is easy to obtain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in the open stat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작동모듈에 의하여 제1바디의 개폐 동작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body by the operation module is more effective.

Claims (16)

제1바디; First body;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완전히 겹쳐지는 닫힌 상태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를 갖도록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2바디; 및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have a closed state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first body and an open state with at least a portion exposed to the first body; And 상기 제1바디를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수평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겹쳐져 상기 열린 상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바디를 걸림시키고, 상기 걸림을 해제시키면 상기 제1바디를 상기 닫힌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When the first body is appli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is latch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thereby locking the first body to form the open state, and the locking is performed. When released,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operation module for returning the first body to the clo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바디의 전면은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바디의 전면과 균등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is configured to be equally position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when the first body is in the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바디의 후면과 균등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equal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when the second body is in the open st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전면은,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상기 제1바디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는 제1평면; 및A first plane exposed when the first body is in an open state; And 상기 제1평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지 않는 제2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plane formed below the first plane and not exposed when the first body is in an open sta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바디의 후면은 상기 제2바디의 제1평면 및 제2평면에 대응되는 역상(逆狀)의 제1대응평면 및 제2대응평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rresponding plane and the second counterplanar of the reverse ph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of the second body are formed,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odule, 상기 제1바디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상기 고정부재에 구속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A guide member which is constrained to the fixing member and guides the fixing member to move horizontally;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바디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부재; 및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move the fix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상기 고정부재 및 가이드부재가 상기 링크부재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바디를 걸림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locking part for locking the first body when the fix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moved vertically by the link member.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바디의 후면에 평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parallel to the back of the first body,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guide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2바디의 이동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link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이드부재와 링크부재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닫힌 상태로 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first spring disposed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link member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ward the closed st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링크(link)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9, wherein the link member is formed in a link form.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제2바디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부재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spring disposed between the link member and the second body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link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is rais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cking unit,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상기 제1바디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when the first body is in an open 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cking unit, 상기 제1바디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자석부; 및A first magnet par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상기 제2바디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바디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에 의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1바디가 일정거리로 이동되면 상기 제1자석부와 척력에 의하여 상기 제1바디를 수직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It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body and when the first body is in the open position to maintain the open state by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the attraction, and if the first body is mov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magnet portion And a second magnet part arranged to push the first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epulsive forc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rst magnetic part and the second magnet part,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제1바디가 열린 상태로 이동시 상기 제2바디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챔퍼(chamfe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hamf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body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body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in an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정보를 입력하는 제1조작부가 배치되고,In front of the first body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first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is disposed, 상기 제2바디의 상기 제1평면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first plane of the second body.
KR1020070057882A 2007-06-13 2007-06-13 Portable terminal KR101427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82A KR101427258B1 (en) 2007-06-13 2007-06-13 Portable terminal
TW097121594A TWI377897B (en) 2007-06-13 2008-06-10 Mobile terminal
DE102008027768.1A DE102008027768B4 (en) 2007-06-13 2008-06-11 Mobile terminal
US12/138,274 US8180417B2 (en) 2007-06-13 2008-06-12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82A KR101427258B1 (en) 2007-06-13 2007-06-13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94A true KR20080109494A (en) 2008-12-17
KR101427258B1 KR101427258B1 (en) 2014-08-06

Family

ID=4036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882A KR101427258B1 (en) 2007-06-13 2007-06-13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5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76B1 (en) * 2009-05-25 2011-05-12 주식회사 다이아벨 Lif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102579B1 (en) * 2009-11-20 2012-01-03 암페놀엠씨피코리아(유) Slide switchgear and cellular phone slide switchgear of the slide type which has this
WO2022119047A1 (en)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11588224B2 (en) 2020-12-01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893A (en) * 2003-11-28 2005-06-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losing structure using magnet
KR100681353B1 (en) * 2004-07-14 2007-02-09 이근주 cellular phones of sliding movement type
KR100662443B1 (en) * 2005-12-1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708607B1 (en) * 2006-01-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oth keyp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76B1 (en) * 2009-05-25 2011-05-12 주식회사 다이아벨 Lif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102579B1 (en) * 2009-11-20 2012-01-03 암페놀엠씨피코리아(유) Slide switchgear and cellular phone slide switchgear of the slide type which has this
WO2022119047A1 (en)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11588224B2 (en) 2020-12-01 2023-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258B1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417B2 (en) Portable terminal
CN101547229B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665240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liding door for a socket
KR101810463B1 (en) Mobile terminal
US8644026B2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109494A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41B1 (en) Portable terminal
KR20170054877A (en) Mobile terminal
KR10160470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73342B1 (en) Handset device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918989B1 (en) Mobile terminal
KR1014744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201910B1 (en) Mobile terminal
KR10154559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47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7441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45572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3797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304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474435B1 (en) Portable terminal
KR20080109286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63905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