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304B1 -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304B1
KR101513304B1 KR1020080120271A KR20080120271A KR101513304B1 KR 101513304 B1 KR101513304 B1 KR 101513304B1 KR 1020080120271 A KR1020080120271 A KR 1020080120271A KR 20080120271 A KR20080120271 A KR 20080120271A KR 101513304 B1 KR101513304 B1 KR 10151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hinge plate
bumper
slide module
r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1907A (en
Inventor
민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304B1/en
Publication of KR2010006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서로 상대 이동됨으로써 오픈/클로즈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사이에 조립되는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오픈/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모듈; 을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at are opened / closed by being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A slide module including a hinge plate assemb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hinge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hinge plate in an open / close direction; .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0001]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오픈/클로즈 위치를 안내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for guiding an open / close position of the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the lik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오픈/클로즈 방식에 따라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경우 2개의 바디(body) 사이에 슬라이드 모듈이 마련되어 오픈/클로즈 위치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모듈에 관하여는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품 수를 단순화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 조립이 용이한 슬라이드 모듈의 개발이 특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Such a portable terminal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a folder type and a slide type according to an open / close method. Among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a slide module is provided between two bodies to open / close a position . With regard to the slide module, a lot of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development of a slide module which can simplify the number of parts and is easy to assemble into a portable terminal is in particular demand.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와 일체로 마련하는 한편 휴대 단말기의 오픈/클로즈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슬라이드 모듈에 마련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자체에 구비됨으로써, 부품 수가 감소되고 조립 용이성이 대폭 개선된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slide module is provided with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open / clos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provided in the slide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which is provided in the body 2 itself,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greatly improving ease of assem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서로 상대 이동됨으로써 오픈/클로즈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사이에 조립되는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오픈/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모듈; 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at are opened / closed by being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A slide module including a hinge plate assembl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 hinge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hinge plate in an open / close direction; .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클로즈 위치를 결정하는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1스토퍼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중 나머 지 하나에 마련된 제1범퍼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losed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clos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n one embodiment of the closed position determining means, a first stopp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selectively provided to a first bumper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by the contact.

따라서, 힌지 플레이트를 절곡시킴으로써 스토퍼를 형성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자체에 스토퍼가 마련되므로, 힌지 플레이트를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며, 힌지 플레이트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힌지 플레이트를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와 일체로 조립할 때 조립을 방해하는 걸림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topper is provid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forming the stopper by bending the hinge plate, it is easy to integrally form the hinge plate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hinge plate and to prevent the latching part which interferes with the assembly when the hinge plate is assembl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는 제1프론트 케이스 및 제1리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제2프론트 케이스 및 제2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리어 케이스 양측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프론트 케이스를 향하여 상기 제1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범퍼는 상기 제1리어 케이스를 향하여 상기 제2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범퍼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front case and a first rear case,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front case and a second rear case, and the hinge plate includes a first front case and a second rear case, And the first stopper is protrud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ear case toward the second front case, and the first bump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case, One rear cas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and the first stopper is contacted with the first bumper so th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즉, 제1바디의 제1리어 케이스 및 제2바디의 제2프론트 케이스가 서로 대면되는 부분에 힌지 플레이트의 동선(動線)으로부터 도피된 위치에 제1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제1리어 케이스 및 힌지 플레이트의 간섭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힌지 플레이트를 제1리어 케이스와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by providing the first stopp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rear cas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front case of the second body face each other and at a position that is escaped from the flow line of the hinge plate, The interference part of the plate is not generated, and the hinge plate can be assembled integrally with the first rear case.

또한, 상술한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과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의 오픈 위치 를 결정하는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이 함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양측면을 절곡시킨 슬라이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 또는 상기 베어링의 일단부에 해당하는 제2스토퍼가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에 마련된 제2범퍼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오픈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pen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n open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close position determining means. In one embodiment of the open position determining means, a sli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hinge plate is movably fitted to the guide rail,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portion and the guide rail, Or the second stopper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earing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bumper provided in the first front case so that the open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따라서, 상술한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과 마찬가지로, 힌지 플레이트를 돌출시킴으로써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슬라이딩부의 일단부 또는 베어링의 일단부를 제2스토퍼로 활용하고 제1프론트 케이스에 제2범퍼를 부착함으로써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closed position determining means, the open position determining means is not provided by protruding the hinge plate, and one end of the sliding portion or one end of the bearing is used as the second stopper, and the second bumper is attached Whereby the open position determining means can be constitu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슬라이드 모듈의 기구적 간섭 부분이 제거되므로 슬라이드 모듈이 조립되는 제1리어 케이스를 2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슬라이드 모듈의 일체화를 위한 복잡한 조립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을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chanical interference portion of the slide module is removed, the first rear case, in which the slide module is assembled, is divided into two parts, It is very easy to form the slide module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또한, 힌지 플레이트가 아니라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자체에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 및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되므로 반복적인 오픈/클로즈 동작에 불구하고 힌지 플레이트의 변형이 억제된다. Further, since the first positioning means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the deformation of the hinge plate is suppressed in spite of repeated open / close operations.

또한, 힌지 플레이트가 아니라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 오픈/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이 마련되므로 서로 다른 오픈/클로즈 위치를 갖는 다양한 기종의 휴대 단말기에 동일한 형상 및 치수의 힌지 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어 힌지 플레이트의 부품 공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Since the open / close positio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instead of the hinge plat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hinge plates having the same shape and dimensions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open / close positions, Can be achieved.

또한, 제1범퍼 및 제2범퍼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므로 오픈/클로즈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bumper and the second bumper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mpact due to the open / close operation can be mitiga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폰을 예로 들면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that is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 for example, as a slide phone.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 또는 클로즈 위치라 칭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 또는 오픈 위치라 칭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or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figuration, The st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ody 20 is ex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or an open posi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11)와 제1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1)와 제1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1)와 제1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1 and the first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first front case 11 and the first rear case 12. [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1 and the first rear case 12.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10),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6)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The display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 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first operation unit 16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0,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1.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The first operation unit 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제2프론트 케이스(21)와 제2리어 케이스(22)가 제2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0),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론트 케이스(21) 또는 제2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ront case 21 and the second rear case 22 can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0.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body 20,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21. [ The third operating unit 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and the interface 26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21 and the second rear case 22.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통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push) 또는 터치(touch)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6, 23, 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through a tactile sense.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the user, a touch pad, a wheel or jog type that rotates the key, And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The third operation unit 24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interface 26 is a path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nterface 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port, Lan port) or the like,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interface 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제2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22 side. The power supply unit 2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for charging.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제2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send it to the other part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여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 다.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29 and a mirror 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flash 29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mirror unit 30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제2리어 케이스(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sound output section 31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22.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2리어 케이스(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32 for reception of broadcasting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2 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32 may be install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second body 20.

제1바디(10)의 제1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의 제2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art of the slide module 33 which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3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21 side of the second body 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 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second body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28 to 32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he second rear case 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the first body 10, (Not shown).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 [ Furthermore,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not separately configur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25),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가 마련된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the sensing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 14, Unit 46, an interface 26,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a memory 44, a power supply unit 27, and a control unit 40 are provided.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4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4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and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43).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6, 23, and 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4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6, 23, and 24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input units 15 and 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 [ 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5 and 28 are stored in the memory 4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44. The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nd outputs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When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 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in the call signal reception mode, the communication mode or the recording mode, the voice recognition mode, And outputs the converted sound data to the outside. Also,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s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4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senses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4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And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27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26 may be connected to any external device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4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4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Such memory 4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type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and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s them to the control unit 40 .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receives additional data (e.g., EPG (Electric Program Guide), channel list, etc.) related to broadcas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4. [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7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오픈시 슬라이드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모듈을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며, 휴대 단말기의 오픈 위치를 결정하는 오픈 위치 결정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in an ope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4 viewed from the back; FIG. 4 and 5 together, the open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클로즈시 슬라이드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을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며, 휴대 단말기의 클로즈 위치를 결정하는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in a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6 viewed from the back; FIG. 6 and 7 together, the closed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clos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오픈/클로즈 위치를 결정하는 오픈/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을 슬라이드 모듈(33')에 형성하지 않고 제1바디(10') 또는 제2바디(20') 자체에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드 모듈(33')을 제1바디(10') 또는 제2바디(20')에 일 체로 조립할 때 걸림 부분을 제거한다. The open / closed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open / clos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or the second body 20' itself without being formed in the slide module 33 ' When the module 33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first body 10' or the second body 20 ', the engagement portion is remov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로서, 제1바디(10') 및 제2바디(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1스토퍼(128)가 제1바디(10') 및 제2바디(20')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제1범퍼(218)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제1바디(10')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로서, 슬라이드 모듈(33')의 단부에 해당하는 제2스토퍼(338)가 제1바디(10')에 마련된 제2범퍼(118)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제1바디(10')의 오픈 위치가 결정된다.6 and 7, a first stopper 128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is determined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bumper 218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bodies 20'. 4 and 5, the second stopper 338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lide module 33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second bumper 118 provided on the first body 10' So that the open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is determined.

따라서, 제1바디(10') 또는 제2바디(20')에 슬라이드 모듈(33')의 조립을 위한 특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슬라이드 모듈(33')의 조립을 위한 부품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for assembling the slide module 33 'can be greatly reduced without requiring a special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slide module 33' in the first body 10 'or the second body 20' .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제2바디(20') 및 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오픈/클로즈되는 제1바디(10')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제1바디(10')는 제1프론트 케이스(11')와 제1리어 케이스(12')를 구비하며, 제2바디(20')는 제2프론트 케이스(21')와 제2리어 케이스(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 22, 설명의 편의상 도 4 내지 도 7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를 구비한다. 제1프론트 케이스(11')와 제1리어 케이스(12')는 제1바디 결합공(112,122)에 의하여 체결된다.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s. 4 to 7 includes a second body 20 'and a first body 10' slidably opened and closed therewith. In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10 'includes a first front case 11' and a first rear case 12 ', and the second body 20' includes a second front case 21 ' And a second rear case (reference numeral 22 shown in Figs. 1 and 2 and not shown in Figs. 4 to 7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front case 11 'and the first rear case 12' are fastened by the first body coupling holes 112 and 122.

슬라이드 모듈(33')은 힌지 플레이트(334)와 힌지 스프링(333)으로 구성되며, 제2바디(20')에 대한 제1바디(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제1리어 케이스(12') 및 제2프론트 케이스(21') 사이에 장착된다. The slide module 33 'includes a hinge plate 334 and a hinge spring 333. The slide module 33' includes a first rear case 12 'for guiding sliding of the first body 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0 ' And the second front case 21 '.

힌지 플레이트(334)는 제2프론트 케이스(21')에 형성된 체결공(212) 및 힌지 플레이트(334)에 형성된 체결공(3342)에 체결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제2프론트 케이스(21')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hinge plate 334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21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astening holes 212 formed in the second front case 21' and the fastening holes 3342 formed in the hinge plate 334 Respectively.

힌지 스프링(333)은 제1바디(10')를 오픈/클로즈 방향으로 각각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것이다. 힌지 스프링(333)은 휴대 단말기의 오픈시 도 4의 참조부호 Fo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2스토퍼(338) 및 제2범퍼(118) 사이의 접촉력을 제공하고, 휴대 단말기의 클로즈시 도 6의 참조부호 Fc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제1스토퍼(128) 및 제1범퍼(218) 사이의 접촉력을 제공하며, 오픈/클로즈 동작시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일정한 작동감을 제공한다. 힌지 스프링(333)의 양단은 제1리어 케이스(12')에 마련된 고정핀(331) 및 힌지 플레이트(334)에 마련된 고정핀(33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The hinge spring 333 elastically biases the first body 10 'in the open / close dire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the hinge spring 333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Fo in FIG. 4 to provide a contact force between the second stopper 338 and the second bumper 118, And provides a contact force between the first stopper 128 and the first bumper 218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the Fc direction of the first bumper 218 and provides a certain operation feeling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open / close operation. Both ends of the hinge spring 333 are rotatably fixed to a fixing pin 331 provided on the first rear case 12 'and a fixing pin 332 provided on the hinge plate 334, respectively.

힌지 플레이트(334)의 양측에는 힌지 플레이트(334)의 양측을 절곡시킨 슬라이딩부(335)가 마련된다. 슬라이딩부(335)는 제1리어 케이스(12')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6)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33')이 제1바디(10')에 일체로 조립된다. 슬라이딩부(335) 및 가이드 레일(126) 사이에는 미끄럼 윤활을 위한 베어링(336)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both sides of the hinge plate 334, a sliding portion 335 is formed in which both sides of the hinge plate 334 are bent. The sliding part 335 is movably fitted in the guide rails 12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ar case 12 'so that the slide module 33'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first body 10 ' do.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336 for sliding and slid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portion 335 and the guide rail 126.

일 실시예로서, 힌지 플레이트(334)는 변형 방지를 위하여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베어링(336)은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고, 베어링(336)은 베어링 고정부(3346)에 의하여 힌지 플레이트(334)에 조립된다. 합성 수지 재질의 베어링(336) 및 힌지 플레이트(334)는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 편, 가이드 레일(126) 및 슬라이딩부(335)의 이탈 방지 및 슬라이딩시 타 부품의 간섭 방지를 위하여 슬라이딩부(335)를 감싸는 매니폴더(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earing 336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bearing 336 is fixed to the hinge plate 334 by means of the bearing fixing portion 3346, Is assembled to the plate (334). The synthetic resin bearing 336 and the hinge plate 334 can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insert injection. A manifold 125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sliding portion 335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guide rail 126 and the sliding portion 335 and to prevent interference of other components when sliding.

본 발명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상의 비교 실시예를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만약, 힌지 플레이트(334)에 돌출부나 만곡부가 존재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126)에 힌지 플레이트(334)를 한 번에 조립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가상의 비교 실시예로서, 힌지 플레이트(334)를 z축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스토퍼를 마련하는 경우, 힌지 플레이트(334)에 돌출된 스토퍼 또는 기타 만곡부로 인하여 걸림 부분이 발생하므로 힌지 플레이트(334)를 제1리어 케이스(12')에 조립하기 위하여 우선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제1리어 케이스(12')를 마련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된 제1리어 케이스(12')의 일부분에 힌지 플레이트(334)를 끼운 다음, 제1리어 케이스(12')의 나머지 부분을 힌지 플레이트(334)가 조립된 상기 제1리어 케이스(12')의 일 부분에 용접할 수밖에 없는 특수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힌지 플레이트(334)를 제1리어 케이스(12')와 일체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수와 부품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comparison example will be considered again. It is very difficult to assemble the hinge plate 334 to the guide rail 126 at a time when the hinge plate 334 has protrusions or curved portions. When a stopper is provided by bending the hinge plate 334 in the z-axis direction as a virtual comparative example, a stopper or other b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inge plate 334 generates a latching portion, so that the hinge plate 334 In order to assemble the first rear case 12 ', a first rear case 12' separated into two parts is provided. The hinge plate 334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first rear case 12 'on which the guide rail 126 is formed and then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rear case 12' A special structure that can not but be welded to a part of the first rear case 12 'is take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hinge plate 334 integrally with the first rear case 12 ',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working air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increase.

상기 가상의 비교 실시예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힌지 플레이트(334)의 일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스토퍼를 마련하지 않고, 본 발명은 제1리어 케이스(12') 및 제2프론트 케이스(21') 자체에 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힌지 플레이트(334) 및 제1리어 케이스(12')의 일체화 조립시 걸림 부분을 제거한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rear case 12 'and the second front case 21' without providing a stopper by bending a part of the hinge plate 334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derived from the virtual comparative example. The hinge plate 334 and the first rear case 12 'are integrally assembled to form a closed position determining means.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바디(10')의 클로즈 위치 결정을 위한 제1스토퍼(128) 및 제1범퍼(218)가 마련된다. 제1스토퍼(128)는 제2프론트 케이스(21')를 향하여 제1리어 케이스(12')의 배면에 돌출되고, 제1범퍼(218)는 제1리어 케이스(12')를 향하여 제2프론트 케이스(21')의 상면에 고정되며, 제1스토퍼(128)가 제1범퍼(218)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제1바디(10')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제1바디(10')가 클로즈 위치에 있을 때, 힌지 플레이트(334)가 제1스토퍼(128) 또는 제1범퍼(218)에 접촉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 플레이트(334)에 도피부(334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피부(3344)는 힌지 플레이트(334)의 크기 또는 제1범퍼(21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삭제될 수 있다. 6 and 7, a first stopper 128 and a first bumper 218 for determining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are provided. The first stopper 128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ear case 12 'toward the second front case 21' and the first bumper 218 protrudes toward the first rear case 12 '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first stopper 128 is interfered with the first bumper 218 to determine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10'. When the first body 1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hinge plate 334 is escaped to prevent the hinge plate 334 from interfering with the first stopper 128 or the first bumper 218,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3344 is provided. This escaping portion 3344 can be eliminat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hinge plate 334 or the position of the first bumper 218. [

또한, 제1범퍼(218)는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제1범퍼 고정부(219)에 범퍼 체결 부재(217)로 고정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범퍼(218)는 합성 수지 재질의 제2프론트 케이스(21')와 함께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동일한 금형에서 성형될 수 있다.The first bumper 21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urethane and fixed to the first bumper fixing portion 219 by a bumper fastening member 217. The first bumper 218 may be molded in the same mold by insert injection with the second front case 21 'made of synthetic resin.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힌지 플레이트(334)의 단부 또는 베어링(336)의 단부를 제2스토퍼(338)로 삼고, 제1프론트 케이스(11')에 마련된 제2범퍼(118)에 제2스토퍼(338)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오픈 위치 결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4 and 5, the end of the hinge plate 334 or the end of the bearing 336 is used as the second stopper 338 and the second bumper 118 (see FIG. 4) provided in the first front case 11 ' The second stopper 338 can be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338. [

본 발명은 오픈/클로즈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오픈 위치 및 클로즈 위치의 정확한 결정이 가능하고, 오픈/클로즈 동작시 슬라이드 모듈(33')의 평 탄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오픈/클로즈 동작에 따른 충격을 제1범퍼(218) 및 제2범퍼(118)에 의하여 완화할 수 있고, 반복적인 오픈/클로즈 동작에 불구하고 힌지 플레이트(334)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휴대 단말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pen / closed positioning mean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to secure the flatness of the slide module 33 'in the open / close operation, The first bumper 218 and the second bumper 118 can mitigate the impact of the hinge plate 334 and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hinge plate 334 despite the repeated open / .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slide module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us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can be made,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오픈시 슬라이드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in an ope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모듈을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4 viewed from the back;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클로즈시 슬라이드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ose slide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을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 6 viewed from the back;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제1바디(body) 11'...제1프론트 케이스(front case)10 '... a first body 11' ... a first front case,

12'...제1리어 케이스(rear case) 112,122...제1바디 결합공12 '... first rear case 112, 122 ... first body coupling hole

20'...제2바디 21'...제2프론트 케이스20 '... second body 21' ... second front case

212,3342...체결공 33'...슬라이드 모듈212,3342 ... fastening ball 33 '... slide module

118...제2범퍼(bumper) 119...제2범퍼 고정부118 ... second bumper 119 ... second bumper fixing section

125...매니폴더(manifolder) 126...가이드 레일(guide rail)125 ... manifold 126 ... guide rail

128...제1스토퍼(stopper) 217...범퍼 체결 부재128 ... first stopper 217 ... bumper fastening member

218...제1범퍼(bumper) 219...제1범퍼 고정부218 ... first bumper 219 ... first bumper fixing portion

331,332...고정핀 333...힌지 스프링(hinge spring)331, 332 ... fixing pin 333 ... hinge spring

334...힌지 플레이트(hinge plate) 3344...도피부334 ... hinge plate 3344 ... escapement

335...슬라이딩부 336...베어링(bearing)335 ... sliding portion 336 ... bearing

3346...베어링 고정부 338...제2스토퍼3346 ... bearing fixing portion 338 ... second stopper

Claims (3)

서로 상대 이동됨으로써 오픈/클로즈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at are opened / closed by being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제2바디에 대하여 오픈/클로즈되는 상기 제1바디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바디를 상기 오픈/클로즈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힌지 스프링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모듈; 을 포함하고,A hinge plate fixed to the second body to guide the first body open /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and movably fitted in the first body; A slide module having a hinge spring for biasing the slide module; / RTI &gt;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1스토퍼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된 제1범퍼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되며,The first stopper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bumper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th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 상기 제1바디는 제1프론트 케이스 및 제1리어 케이스를 구비하고,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front case and a first rear case, 상기 제2바디는 제2프론트 케이스 및 제2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며,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front case and a second rear case,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리어 케이스 양측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The hinge plat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and is movably fitted to the guide rails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ar case,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리어 케이스의 배면에 돌출되고,The first stopper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ear case, 상기 제1범퍼는 상기 제2프론트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The first bump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ase,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범퍼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클로즈 위치가 결정되고,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by the first stopper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bumper, 상기 힌지 플레이트의 양측면을 절곡시킨 슬라이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Wherein a sli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hinge plate is movably fitted in the guide rail,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며,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ing portion and the guide rail,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부 또는 상기 베어링의 일단부에 해당하는 제2스토퍼가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에 마련된 제2범퍼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의 오픈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an open position of the first body is determined by selectively contacting a second stopper, which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liding portion or one end of the bearing, with a second bumper provided on the first front c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20271A 2008-12-01 2008-12-01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513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271A KR101513304B1 (en) 2008-12-01 2008-12-01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271A KR101513304B1 (en) 2008-12-01 2008-12-01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907A KR20100061907A (en) 2010-06-10
KR101513304B1 true KR101513304B1 (en) 2015-04-17

Family

ID=4236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271A KR101513304B1 (en) 2008-12-01 2008-12-01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30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907A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91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66281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8714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0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101441922B1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13304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1020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3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47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4559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80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9535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6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2259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37700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8713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2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4559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7239B1 (en) Connecto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