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10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1910B1 KR101201910B1 KR1020110012973A KR20110012973A KR101201910B1 KR 101201910 B1 KR101201910 B1 KR 101201910B1 KR 1020110012973 A KR1020110012973 A KR 1020110012973A KR 20110012973 A KR20110012973 A KR 20110012973A KR 101201910 B1 KR101201910 B1 KR 101201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upport
- mobile terminal
- terminal
- insertion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2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제2케이스의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제2케이스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서트홀(insert hall)을 구비함으로써, 나사결합을 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에 가공되는 홀들을 최소화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가져오고, 단말기의 경량화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a display unit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support unit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case. The support part may be screwed with the plate-shaped body formed to support the display part, the insertion protrusion formed at least one end of the body and the second case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of the second case. By having at least one insert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by minimizing the holes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case for screwing, bringing the freedom of design, lightweight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erminal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a display portion, wherein one body slides relative to another body.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for example,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hav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The terminal can move And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impler structure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rigidity and having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a load of a display modu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2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몸체와, 상기 제2케이스의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제2케이스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인서트홀(insert hall)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a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And a support part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ase and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 at least one end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body of the plate-shaped body formed to support the display part and the second cas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ase, the other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ert hole (insert hole) is provid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일부가 상기 몸체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extends from the body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tep with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돌기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일면에 망상(網狀)의 보강부재가 부착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to one surface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insertion protrus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돌기가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개구홀(hall)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케이스에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groove may prevent the insertion protrus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formed in the second case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a second surface formed to cover the insertion protrusion to be insert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케이스의 측단에 상기 지지부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제2케이스의 일면에서 제1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separation portion is extende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toward the first case and disposed to abut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to prevent lateral fluctu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t the side end of the second case. It contains more wealth.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적층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단에 지지부의 일면에서 제1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lateral fluctuations of the stacked display parts, a guide part extended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ward the first case and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display part is provided at a side end of the support part.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를 제2케이스에 고정하는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을 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에 가공되는 홀들을 최소화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가져오고, 단말기의 경량화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implify the process of fixing the support to the second case using a screw.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holes that are processed in the second case for screw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obtained, and the weight of the terminal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지지부와 제2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지지부와 제2케이스가 결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2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2케이스의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nd the second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second case of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ase in a state cut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se in a state cut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FIG. 9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a line IV-IV of FIG. 6.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로서,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1 and 2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특히, 폭방향(가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길이방향(세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베이스(130)에 대한 '이동'으로서 슬라이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스윙(swing) 또는 스위블(swivel)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이동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와 같이 상부 바디(1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13)를 설치하고, 하부 바디(120)의 상면에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제2 조작부(123)를 설치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r parts that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음향 입력부(117)는 마이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기준으로 음향 출력부(114)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바디(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Like the
제2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 이에 의해, 닫힌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제1바디(110)에 의해 오버랩되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배치된 제2 조작부(123)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노출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노출된 제2 조작부(123)의 키들은 디스플레이부(113)에서 출력되는 내용과 관련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23)가 언어키(한글 자음 및 모음/영어 알파벳 등) 및 숫자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어키는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언어키가 쿼티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영문으로 문자, 메모, 이메일 등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The exposed keys of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related to contents output from the
제2 조작부(123)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If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is a touch screen, the icons of the function keys may be output to the exposed portions of the touch screen in a state capable of touch input. For example, if a video is output on the
상기 설명에서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바디(1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주면과 평행한(마주하는) 측면에는 제3 조작부(124),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a third manipulation unit 124, an interface 126,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parallel to (or facing) the main surface of the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a wheel that rotates keys or a jog or a joystick.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manner and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he functional aspect, th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1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제2바디(120)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The second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슬라이딩 시에 제2바디(120)는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슬라이드 모듈(360, 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제1바디(110)를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order to make the
제1바디(110)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되면, 제2바디(120)의 전면의 노출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된다. 노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의 언어키 및 숫자키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s the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4 to 10, a terminal having a suppo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formed to support the display un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지지부와 제2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지지부와 제2케이스가 결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과 도 8은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2케이스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도 6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nd the second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second case of Figure 5 combined. 7 and 8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case in a state cut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and FIGS. 9 and 10 are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sectional drawing in the cut | disconnected state.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케이스(프론트 케이스, 111)와 제2케이스(리어케이스, 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1 and 4, 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그리고 음향 입력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통화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터치 입력 가능한 숫자 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제1바디, 110), 디스플레이부(113)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단말기 바디(11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를 구비한다. 4 to 6, the
지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제2케이스(112)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지지부(140)는 몸체(141), 몸체(141)로부터 동일 평면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143) 및 삽입돌기(143)가 형성된 타측방향에 나사(144)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된 인서트홀(142)을 포함한다.The
지지부(140)의 몸체(141)는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몸체(141)에 디스플레이부(113)가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11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몸체(141)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충격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어야, 디스플레이부(113)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The
몸체(141)의 양측단에는 적층되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5)는 몸체(141)로부터 제1케이스(111)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부(113)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인서트홀(142)은 몸체(14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41)로부터 연장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홀(142)을 나사(144)가 관통하여 제2케이스(112)에 형성된 홀과 나사결합하여 지지부(140)를 제2케이스(112)에 고정하게 된다.The
삽입돌기(143)는 제2케이스(112)에 형성된 지지홈(150)에 삽입된다. 삽입돌기(143)는 지지부(140)의 몸체(141)로부터 연장되고, 연장되는 삽입돌기(143)의 일부가 몸체(141)의 동일평면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된다.
삽입돌기(143)의 연장되는 어느 일부에는 망상(網狀)의 보강부재(143a)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43a)로 인하여 삽입돌기(143) 및 지지부(140)의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망상으로 이루어져 단말기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The reinforcing
일 예로, 삽입돌기(143)는 동일평면으로부터 경사를 갖도록 한번 절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몸체(141)와 평행하도록 경사면에서 다시 한번 절곡된다. 여기서 평행한 삽입돌기(143)의 일부는 제2케이스(112)에 형성된 지지홈(150)에 삽입된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홈(150)은 삽입돌기(143)가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개구홀(153)이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또한, 지지홈(150)은 삽입돌기(143)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제1면(151)과 제1면(151)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돌기(143)의 이탈을 방지하며, 삽입돌기(143)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51)은 제2케이스(112)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고, 리세스된 면이 삽입돌기(143)의 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면(151)과 제2면(152)은 삽입되는 삽입돌기(143)를 지지홈(150)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삽입돌기(143)와 지지홈(150)의 구성은 단말기 조립시 상당한 이점을 가져온다. 제2케이스(112)에 지지부(140)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삽입돌기(143)가 형성된 부분이 지지홈(15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적어도 삽입돌기(143)가 형성된 부분에는 나사(144)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을 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112)에 가공되는 홀(160)들을 최소화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가져오고, 단말기의 경량화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제2케이스(112)에는 지지부(140)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70)는 제2케이스(112)의 일면에서 제1케이스(111)를 향하여, 즉 상향하여 연장되고, 지지부(140)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지지부(140)는 조립시, 지지부(140)의 삽입돌기(143)가 제2케이스(112)의 지지홈(150)의 제1면(15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고, 지지부(140)의 인서트홀(142)과 제2케이스(112)의 홀(160)의 개구부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가공을 하여 지지부(140)를 제2케이스(112)에 고정하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Claims (7)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으로 정보를 표시하도록,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2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에 양측이 고정되며 중앙 부분이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몸체;
상기 제2케이스의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한쌍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제2케이스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적어도 한쌍으로 형성되는 인서트홀(insert hall)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몸체와 경사지도록 연장되다가 다시 절곡되어 상기 몸체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 terminal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A display unit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ned portion of the first cas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case, both sides are fixed to the second case and includes a support formed to elastically deform a central portion,
The support portion
A plate-shaped body formed to support the display unit;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in at least one pair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of the second case; And
At least one pair of insert hole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acing the one side to be screwed with the second case,
The insertion protrusion
A mobile terminal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support, the extended portion is bent to be inclined with the body and then bent again to extend parallel to the body.
상기 삽입돌기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일면에 망상(網狀)의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member is attached to one surface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insertion protrusion (網狀).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돌기가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개구홀(hall)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groov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케이스에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groove may prevent separa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formed in the second case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and cover the insertion protrusion to be inserted.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rface formed to.
상기 제2케이스의 측단에 상기 지지부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제2케이스의 일면에서 제1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Move to a side end of the second case to prevent the lateral oscillation of the support further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toward the first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support terminal.
적층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측방향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단에 지지부의 일면에서 제1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단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guide part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oward the first case and disposed to abut on both ends of the display part, so as to prevent lateral fluctuations of the stacked display par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973A KR101201910B1 (en) | 2011-02-14 | 2011-02-14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973A KR101201910B1 (en) | 2011-02-14 | 2011-02-14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996A KR20120092996A (en) | 2012-08-22 |
KR101201910B1 true KR101201910B1 (en) | 2012-11-16 |
Family
ID=4688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2973A KR101201910B1 (en) | 2011-02-14 | 2011-02-14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91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9795B1 (en) | 2012-12-11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r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6834B1 (en) * | 2015-04-27 | 2020-10-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11
- 2011-02-14 KR KR1020110012973A patent/KR10120191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9795B1 (en) | 2012-12-11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nner frame provided therer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996A (en)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0463B1 (en) | Mobile terminal | |
US8880129B2 (en) | Mobile terminal | |
US8634885B2 (en) | Mobile device having a plate in a gap between sliding bodies | |
KR20090007166A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1734286B1 (en) | Connecting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20130076709A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54187B1 (en) | Hinge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67761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20191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04703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376610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090017908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604753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45594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70380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20087731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02008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9535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63816B1 (en) |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29919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45591B1 (en) | Portable terminal | |
KR20130092037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59004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45572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70378B1 (en) |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