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613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613A
KR20080107613A KR1020070055578A KR20070055578A KR20080107613A KR 20080107613 A KR20080107613 A KR 20080107613A KR 1020070055578 A KR1020070055578 A KR 1020070055578A KR 20070055578 A KR20070055578 A KR 20070055578A KR 20080107613 A KR20080107613 A KR 2008010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refrigerant
swash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706B1 (ko
Inventor
박태영
임권수
윤덕빈
김민규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06B1/ko
Priority to US12/134,735 priority patent/US20080302128A1/en
Publication of KR2008010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6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having multiple cylinders driven by a rotating swash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되어 외부 회로로 토출되는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하고, 이 오일을 다시 사판실로 회귀시켜 사판실 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에서 회전하는 사판이 구동축에 일체 결합하고, 상기 사판실의 일측에는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이 상기 사판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냉매 흡입통로를 통하여 사판실로 흡입된 냉매가 각 실린더보어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보어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후 실린더블록의 전,후방토출실을 통하여 외부 냉매회로로 유동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록에 상기 전, 후방 토출실과 모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 후방 토출실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및 오일이 합류되고, 일측에 상기 합류된 냉매 및 오일을 오일분리챔버로 토출하는 토출홀을 구비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연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와 오일을 원심분리하는 원통형상의 오일분리관을 포함하는 오일분리챔버와, 상기 오일분리챔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분리관에 의하여 분류된 냉매를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챔버와, 상기 오일분리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관에 의하여 분류된 오일을 사판실로 회귀시키는 오일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윤활유, 원심, 오일분리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도 1(a)는 종래 압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1(b)는(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후방 실린더블록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압축기 410: 전방 하우징
411,421: 토출실 420: 후방 하우징
430: 전방 실린더블록 431,441: 실린더보어
432,442: 흡입통로 433,443: 축지지공
434,444: 토출통로 436: 사판실
440: 후방 실린더블록 446: 흡입포트
450: 구동축 451: 냉매 흡입유로
460: 사판 470: 피스톤
510: 오일분리챔버 520: 토출챔버
540: 연통로 541: 토출홀
550: 오일분리관 560: 오일리턴부
561: 오일저장실 562: 오일감압부
563: 오일회수로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되어 외부 회로로 토출되는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하고, 이 오일을 다시 사판실로 회귀시켜 사판실 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된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켜 응축기로 토출한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경사진 사판의 회전으로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사판식 압축기, 2개의 스크롤의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하는 스크롤식 압축기, 회전 베인(v ane)에 의해 압축하는 베인 로터리식 압축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 압축기에는 상기 사판식 압축기 외에도 크랭크식과 워블 플레이트식 등이 있으며, 상기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에도 용도에 따라 고정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와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등이 있다.
도 1 및 2 는 종래의 고정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된 한 쌍의 실린더블록(11, 12)에는 프론트하우징(13) 및 리어하우징(14)이 접합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13)에는 토출실(131)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하우징(14)에는 토출실(141) 및 흡입실(142)이 형성된다.
실린더블록(11)과 프론트하우징(13)과의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15), 리드형성 플레이트(16) 및 리테이너형성 플레이트(17)가 개재된다.
그리고, 실린더블록(12)과 리어하우징(14)의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18), 리드형성 플레이트(19) 및 리테이너 형성플레이트(20)가 개재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15, 18)에는 토출공(151, 181)이 형성되며, 상기 리드형성 플레이트(16, 19)에는 토출리드(161, 191)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리드(161, 191)는, 토출공(151, 181)을 개폐한다.
상기 실린더블록(11, 12)에는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21)은, 실린더블록(11, 12)에 관통 형성된 축지지공(111, 121)에 삽입통과되며, 회전축(21)은, 축지지공(111, 121)을 통하여 실린더블록(11, 12)에 의해서 직접 지지된다.
회전축(21)에는 사판(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사판(23)은 실린더블록(11, 12)사이의 사판실(24)에 수용된다. 실린더블록(11)의 단면과 사판(23)의 기부(231)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5)이 개재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 실린더블록(11)에는 복수의 실린더보어(27)가 회전축(21)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보어(27, 28)에는 양두 피스톤(29)이 수용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l)과 일체로 회전하는 사판(23)의 회전운동은, 슈(30)를 통하여 양두피스톤(29)에 전해지며, 양두피스톤(29)은 실린더보어(27, 28)내를 전후로 왕복운동 한다. 양두피스톤(29)은, 실린더보어(27,28)내의 압축실(271, 281)을 구획한다.
회전축(21)은, 실링주면(112, 122)을 통하여 실린더블록(11, 12)에 의해서 직접 지지된다.
회전축(21)내에는 공급통로(21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통로(211)의 시작단은, 회전축(21)의 내 단면에 있으며 리어하우징(14)내의 흡입실(142)과 연통된다. 상기 회전축(21)에는 도입통로(31, 32)가 공급통로(211)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블록(11)에는 흡입통로(33)가 실린더보어(27)와 축지지공(111)을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통로(33)의 입구(331)는, 실링주면(112)상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입통로(31, 32)의 출구(311, 321)는, 흡입통로(33, 34)의 입구(331, 341)에 간헐적으로 연통한다.
실린더보어(27)가 흡입행정의 상태(즉, 양두 피스톤(29)이 도 1(a)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1)와 흡입통로(33)의 입구(331)가 연통한다. 실린더보어(27)가 흡입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회전축(21)의 공급통로(211)내의 냉매가 도입통로(31) 및 흡입통로(33)를 경유하여 실린더보어(27)의 압축실(271)로 흡입된다.
실린더보어(27)가 토출행정의 상태(즉, 양두피스톤(29)이 도 1(a)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1)는 흡입통로(33)의 입구(331)와 차단되며, 상기 실린더보어(27)가 토출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실(271)내의 냉매가 토출공(151)로부터 토출리드(161)를 밀어 젖혀 토출실(131)로 토출되고, 상기 토출실(131)로 토출된 냉매는, 외부냉매회로(미도시)로 유출된다. 상기 외부냉매회로에 유출된 냉매는, 흡입실(142)로 환류된다.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보어의 압축 행정 시 냉매 및 오일의 일부는 피스톤과 실린더보어의 주면 사이를 통하여 사판실로 수용되나,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냉매의 대부분은 토출실을 통하여 외부냉매회로로 토출되며, 상기 외부냉매회로로 토출되는 냉매와 함께 실린더보어로 유입된 오일도 대부분이 외부 냉매회로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사판실 내에는 윤활유의 부족현상이 발생되며, 사판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에 전달하는 슈와 사판 사이와 같은 윤활유가 요구되는 부분에 충분한 윤활유가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토출실의 일측에 오일분리챔버 및 토출챔버를 형성하고, 이 오일분리챔버와 토출챔버 사이에 원 통형상의 오일분리관을 형성하여, 압축 냉매 중의 오일을 분리한 후 이 분리된 오일을 사판실로 회귀시킴으로써, 사판실 내의 윤활성이 향상된 압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에서 회전하는 사판이 구동축에 결합하고, 상기 사판실의 일측에는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이 상기 사판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냉매 흡입통로를 통하여 사판실로 흡입된 냉매가 각 실린더보어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보어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후 실린더블록의 전,후방토출실을 통하여 외부 냉매회로로 유동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록에 상기 전, 후방 토출실과 모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 후방 토출실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및 오일이 합류되고, 상기 합류된 냉매 및 오일을 오일분리챔버로 토출하는 토출홀과 연통되는 연통로와,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연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와 오일을 원심분리하는 원통형상의 오일분리관을 일측에 구비하는 오일분리챔버와, 상기 오일분리챔버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분리관에 의하여 분류된 냉매를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챔버와, 상기 오일분리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 분리부에 의하여 분류된 오일을 사판실로 회귀시키는 오일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 축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홀은 한 개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한 냉매의 유입방향은 상기 오일분리관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후방 실린더블록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압축기(400)는, 실린더블록(430)(440)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436)에서 회전하는 사판(460)이 구동축(450)에 일체 결합하고, 상기 사판실의 일측에는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축(450)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431)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470)이 상기 사판(460)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냉매 흡입통로를 통하여 사판실(436)로 흡입된 냉매가 각 실린더보어(431)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보어(431)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후 실린더블록의 전,후방토출실(411)(421)을 통하여 외부 냉매회로로 유동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토출실(411)(421)과 모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 후방 토출실(411)(42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및 오일이 합류되고, 상기 합류된 냉매 및 오일을 오일분리챔버(510)로 토출하는 토출홀(541)과 연통하는 연통로(540)와, 상기 연통로(540)의 일측에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연통로(5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와 오일을 원심분리하는 원통형상의 오일분리관(550)이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분리챔버(510)와,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분리관(550)에 의하여 분류된 냉매를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챔버(520)와,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관에 의하여 분류된 오일을 사판실(436)로 회귀시키는 오일리턴부(56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450)은 양측이 상기 전, 후방 실린더블록(430)(440)의 축지지공(433)(44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일단부는 상기 전방 하우징(41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전자클러치(미도시)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관통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후방 하우징(420)의 냉매저류실(424)과 연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축(450)에는 상기 사판실(436)에서 회전하는 사판(460)이 경사지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후방 실린더블록(440)의 흡입포트를 통해 사판실(436)내로 흡입된 흡입 냉매가 실린더보어(431)(44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판실(436)과 실린더보어(431)(441)를 연통시키는 냉매 흡입유로(451)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입구(452)는 상기 사판실(436)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출구(453)는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의 각 흡입 통로(432)(442)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입구(452)는 상기 사판(460)의 허브(461)와 구동축(45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입구(452)는 구동축(450)의 일측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출구(453)는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동축(450)의 회전 시 상기 사판실(436)의 양측에 구비된 각 실린더보어(431)(441)로 동시에 냉매가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축(450)에 형성된 냉매 흡입유로(451)의 각 출구(453)방향은 상기 피스톤(470)의 개수 등 설계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은 내부의 사판실(436)양측으로 각각 다수의 실린더보어(431)(44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4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축지지공(433)(443)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에는 상기 사판실(436)에서 상기 구동축(450)의 냉매 흡입유로(451)로 흡입된 냉매가 구동축(450)의 회전 시 순차적으로 각 실린더보어(431)(441)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지지공(433)(443)과 상기 각 실린더보어(431)(441)를 연통시키는 흡입통로(432)(4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중 하나의 외측면에는 외부의 냉매를 상기 사판실(436)로 공급할 수 있도록 사판실(436)과 연통하는 흡입포트(미도시)와, 상기 전,후방 하우징(410)(420)의 토출실(411)(421)내의 냉매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실(411)(421)과 연통하는 토출공(44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에는 상기 전,후방 하우징(410)(420)의 토출실(411)(421)과 상기 토출공(447)를 연결하는 토출통로(434)(444)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 통로(434)(444)들은 연통로(540)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통로(540)는 상기 토출통로(434)(444)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실린더보어(431)(441)에서 압축된 냉매 모두는 상기 토출통로(434)(444)를 통하여 이 연통로(540)로 모이게 된다.
상기 연통로(540)에서 모인 냉매는 토출홀(541)을 통하여, 연통로의 일측에 형성된 오일분리챔버(510)로 흡입된다.
상기 오일분리챔버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 중 오일만을 원심분리하는 오일분리관(55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오일분리관(550)은, 일단이 오일분리챔버(510)와 연통되며, 타단이 후술할 토출챔버(520)와 연통된다.
상기 토출홀(541)은 상기 오일분리관(550)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는 상기 오일분리관(550)의 주위를 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하여 유분리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 오일분리관의 주위를 회전하게 되고, 이 때 비중이 비교적 큰 오일은 외측으로 이동한 후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 후술할 오일리턴부(560)로 이동하고, 비교적 비중이 작은 냉매는 상기 오일분리관의 내측 중공부를 통하여 토출챔버(5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토출챔버로 유입된 냉매는 토출공(447)를 통하여 외부 냉매회로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오일분리관(550)에 의하여 유분리된 오일은 오일리턴부(560)로 이송된다.
상기 오일리턴부(56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에서 유분리된 오일을 사판실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으로, 오일저장실(561), 오일감압부(562), 오일회수로(563)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저장실(561)은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550)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한다. 상기 오일저장실은 실린더보어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오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므로, 고압 영역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감압부(562)는 상기 오일저장실(561)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저장실(561)로부터 공급된 오일의 압력을 감압시킨다. 본 실시예의 오일감압부(562)는, 일단은 오일저장실(561)과 연통되며 타단은 오일회수로와 연통되고, 오일유동통로의 직경이 변화하는 오리피스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오일의 압력만 낮출 수 있다면 상기 오리피스관 이외에 다양한 오일 감압장치가 이용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상기 오리피스관을 통과한 오일은, 오일유동통로의 직경 변화에 따라 오일압이 감소하게 되어 저압의 오일로 변화된다.
상기 오일감압부(562)를 통하여 감압된 오일은, 실린더블록 상에 형성된 오일회수로(563)를 통하여 사판실(436)로 이동된다.
상기 오일회수로(563)는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오일감압부(562)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사판실(436)과 연통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압축기의 냉매 흐름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400)는 전자클러치(미도시)로부터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구동축(4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사판(460)이 회전하고, 이때 상기 사판(46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는 다수의 피스톤(470)들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의 실린더보어(431)(441)내부를 왕복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 및 압축하는 작용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로 공급된 냉매는 압축행정 시에 상기 실린더보어(431)(441)내에서 피스톤(470)에 의해 압축된 후 전,후방 하우징(410)(420)의 토출실(411)(421)로 토출되며, 그 후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430)(440)의 토출통로(434)(444)를 통하여 연통로(540)로 유입된다.
상기 연통로(540)에 모인 냉매는,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오일분리챔버(510)로 공급되고, 이 때, 상기 오일분리챔버(510)로 공급된 냉매가 오일분리관(550)의 주위를 회전하며 오일과 분리된다.
그리고, 오일과 분리된 냉매는 오일분리관(550)의 중공부를 통하여 토출챔버(520)로 이동한 후, 토출 포트(447)를 통하여 외부 냉매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오일분리관(550)에 의하여 냉매와 분리된 오일은 오일저장실(561)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저장실(561)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감압부(562)로 유입되며, 상기 오일감압부(562)에서 고압의 오일은 오리피스관을 통과하며 그 압력이 저하된다.
저압으로 형성된 오일은 오일회수로(563)로 유입되며, 상기 오일회수로(563)를 통하여 다시 사판실(436)로 유입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축(450)의 내부에 냉매 흡입유로(451)를 형성하여 상기 사판실(436)내의 냉매를 상기 실린더보어(431)(441)로 직접 공급하는 구동축 일체형 흡입 로터리 밸브(Suction rotary valve)구성을 적용한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40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압축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압축기에 동일한 방법 및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 후방 토출실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를 하나의 연통로로 모집하고, 상기 모집된 냉매를 오일분리챔버와 토출챔버 사이에 설치된 오일분리관을 이용하여 오일과 분리한 후, 상기 오일을 오일리턴부를 통하여 다시 사판실로 공급함으로써, 사판실에서의 윤활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일분리챔버 및 토출챔버를 형성하고, 이를 경유하여 고압의 냉매를 외부 냉매로 공급함으로써, 냉매의 맥동압을 저감시켜 소음이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리턴부에는 오리피스관을 이용한 오일저압부를 형성하여, 사판실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미리 저압으로 감압한 후 다시 사판실로 공급함으로써, 사판실 내로 고압의 냉매가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 내부 구조에 무리가 가하여 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압축기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실린더블록(430)(440)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436)에서 회전하는 사판(460)이 구동축(450)에 결합하고, 상기 사판실의 일측에는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 흡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450)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431)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470)이 상기 사판(460)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고, 상기 냉매 흡입통로를 통하여 사판실(436)로 흡입된 냉매가 각 실린더보어(431)로 공급되며, 상기 실린더보어(431)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후 실린더블록의 전,후방토출실(411)(421)을 통하여 외부 냉매회로로 유동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토출실(411)(421)과 모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 후방 토출실(411)(42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합류되고, 상기 합류된 냉매를 오일분리챔버(510)로 토출하는 토출홀(541)과 연통되는 연통로(540)와,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상기 연통로(5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541)을 통하여 유입된 냉매와 오일을 원심 분리하는 원통형상의 오일분리관(550)을 내측에 구비하는 오일분리챔버(510)와,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분리관(550)에 의하여 분류된 냉매를 수용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챔버(520)와,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 분리부에 의하여 분류된 오일을 사판실(436)로 회귀시키는 오일리턴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541)은 한 개 형성되며, 상기 토출홀을 통한 냉매의 유입방향은 상기 오일분리관(550)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리턴부(560)는,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챔버(510)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실(561)과; 일단이 상기 오일저장실(56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오일저장실(561)로부터 공급된 오일을 감압시키는 오일감압부(562)와;상기 오일감압부(562) 및 상기 사판실(436)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감압부를 통과한 오일이 사판실에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오일회수로(563)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감압부(562)는 일측이 오일저장실(561)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오일회수로(563)와 연통되는 오리피스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흡입통로(451)는 구동축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사판실(436)로부터 상기 구동축(450)의 내측에 형성된 냉매 흡입유로(451)로 흡입된 냉매가 상기 구동축(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와 각 실린더보어를 순차적으로 연통시켜 각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도록 상기 실린더블록(430)(440)에 다수의 흡입통로(432)(442)를 형성하고, 상기 냉매 흡입유로(451)의 입구(452)는 상기 사판(460)의 허브(461)와 구동축(45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070055578A 2007-06-07 2007-06-07 압축기 KR10105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78A KR101058706B1 (ko) 2007-06-07 2007-06-07 압축기
US12/134,735 US20080302128A1 (en) 2007-06-07 2008-06-06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78A KR101058706B1 (ko) 2007-06-07 2007-06-07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13A true KR20080107613A (ko) 2008-12-11
KR101058706B1 KR101058706B1 (ko) 2011-08-22

Family

ID=4009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78A KR101058706B1 (ko) 2007-06-07 2007-06-07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302128A1 (ko)
KR (1) KR101058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72A (ko) * 2010-06-17 2011-12-23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101462515B1 (ko) * 2009-04-29 2014-11-1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449B1 (ko) * 2007-06-01 2009-09-14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KR20170008602A (ko) * 2015-07-14 2017-01-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양두 사판식 압축기
KR102436356B1 (ko) 2016-03-23 2022-08-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JP7377095B2 (ja) * 2019-12-19 2023-1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ポンプ・モータ
DE102020200775A1 (de) 2020-01-23 2021-07-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aszyklon-Ölabscheider und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394A (en) * 1991-05-10 1993-02-0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a central inlet passage
JP3120697B2 (ja) * 1995-05-25 2000-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H0960591A (ja) * 1995-08-21 1997-03-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のオイル分離機構
JP3608299B2 (ja) * 1996-07-09 2005-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10103228A (ja) * 1996-09-30 1998-04-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2000080983A (ja) * 1998-07-09 2000-03-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US6742350B2 (en) * 2001-11-03 2004-06-01 Nippon Soken, Inc. Hybrid compressor device
JP4211477B2 (ja) * 2003-05-08 2009-01-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冷媒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515B1 (ko) * 2009-04-29 2014-11-1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20110137572A (ko) * 2010-06-17 2011-12-23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2128A1 (en) 2008-12-11
KR101058706B1 (ko) 201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706B1 (ko) 압축기
KR101159863B1 (ko) 압축기
KR101031812B1 (ko) 압축기
KR101181120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오일 분리구조
KR20100091796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46095B1 (ko) 압축기
KR101069064B1 (ko) 압축기
KR101093964B1 (ko) 압축기
KR101069035B1 (ko) 압축기
KR20080009361A (ko) 압축기
KR101069088B1 (ko) 압축기
KR101089980B1 (ko) 압축기
KR101038385B1 (ko) 압축기
KR101037176B1 (ko) 압축기
KR101041948B1 (ko) 압축기
KR101336436B1 (ko) 사판식 압축기용 피스톤
KR20080006258A (ko) 압축기
KR101041949B1 (ko) 압축기
KR101094625B1 (ko) 압축기
KR20060082146A (ko) 압축기의 토출실 구조
KR101032184B1 (ko) 압축기
KR101058306B1 (ko) 압축기
KR20080006257A (ko) 압축기
KR101031811B1 (ko) 압축기
KR101031813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