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841A -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841A
KR20080106841A KR1020080046307A KR20080046307A KR20080106841A KR 20080106841 A KR20080106841 A KR 20080106841A KR 1020080046307 A KR1020080046307 A KR 1020080046307A KR 20080046307 A KR20080046307 A KR 20080046307A KR 20080106841 A KR20080106841 A KR 2008010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aracter
key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US12/602,898 priority Critical patent/US8405526B2/en
Priority to PCT/KR2008/003051 priority patent/WO2008150084A2/en
Publication of KR2008010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3개 또는 4개의 입력 접점들을 구비하는 입력키와 이를 키패드에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현재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 가능토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크기가 작은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소형 전자 기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키들이 차지하는 면적에 비해 훨씬 많은 종류의 문자를 배열할 수 있어 최소한의 조작으로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문자 입력, 키패드, 입력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3개 또는 4개의 입력 접점들을 구비하는 입력키와 이를 키패드에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현재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 가능토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 입력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가 주로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전화기의 표준 입력 장치, 컴퓨터의 키보드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의 모니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먼저, 전화기의 표준 입력 장치는 전화기의 번호 패드를 이용해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기에서 특정 번호판을 몇 번 누르냐에 따라 특정 영문자로 인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화기 자체에 데이터 변환 장치가 없는 경우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지만, 휴대폰 자체가 하나의 작은 컴퓨터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현재에는 이를 준수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또한, 이 방식은 한 손으로 수화기를 들고 다른 손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번호판을 누르는 형태로 사용되는 반면, 현재에는 한 손에 휴대폰을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번호판을 누르거나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키보드를 치듯이 빠른 손놀림으로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졌다. 그런데, 전화기의 표준 기판으로 되어 있는 3*4인 12개의 키 입력 장치에 많은 문자들을 배열하다 보니 같은 번호판을 여러 번 누를 수밖에 없는 원리가 되었고, 이는 결국 동일한 글자를 입력하는데 컴퓨터 키보드에 비해 훨씬 많은 키를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특히, 과거 전화기는 문자 입력보다는 번호 입력에 역점을 두었던 반면, 갈수록 휴대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전화번호는 기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찾게 되고, 문자는 입력 당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장을 입력하기 때문에 문자의 입력 횟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편, PDA에 많이 사용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은 가는 막대로 화면에 나타난 키보드 모양이나 문자판 패널 모양을 터치하여 숫자와 문자를 입력하는데, 이러한 방식도 한 손 입력이라 상당히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결국 상기 3개의 입력 방식에서 가장 빠른 방법은 키보드 입력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키보드 부피가 너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그대로 적용한 예가 전자 사전인데, 이는 오히려 너무 작은 공간에 너무 많은 키의 키보드를 배열하여 불편함을 주는 형태가 되었다.
따라서 문자 입력 키 숫자는 늘리면서 좀 더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여 휴 대용 소형 전자기기의 특성상 입력이 편리한 한 손 또는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이 편리한 새로운 방식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이 제안되었다.
'정보기기의 자판입력부'(고안등록 20-340166)는 하나의 버튼(입력키)에 3개 또는 4개의 방향에 서로 다른 문자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즉, 3개 방향의 버튼 모양을 T자형 형태를 취하고 있고, 배열한 버튼의 개수도 전화기 표준기판과 동일한 12개를 배열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T자형 버튼은 좌우 키 방향이 동일한 수평 방향이고 좌우 측 입력키가 같이 배열되어 좌우측 키를 누를 때 바로 옆의 키도 같이 눌러질 가능성이 높아 오타의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키패드에 버튼 배열 개수도 12개가 되어 키패드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T자형 버튼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버튼에 3개 또는 4개의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최적의 입력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패드에 3개 또는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다수의 입력키들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최소한의 공간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손 또는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이 편리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할당 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입력키 모양은 Y자 또는 역Y자 형태로 3개의 방향의 입력 접점들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된 형태 또는 각 입력 접점들이 3개로 분리된 형태로 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종래 T자형 입력키의 경우, 좌우키가 동시에 눌러져 오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으로 오타의 가능성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는 입력키의 모양을 Y자형 또는 V자형으로 변경한 본 발명에 의해 극복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 들마다 문자가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키패드에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가 3행 3열로 총 9개 배치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키패드에 총 배열되는 입력키의 개수는 1문자 1타가 가능한 최소의 개수인 9개로 만듦으로써 입력키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줄이면서 문자 입력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입력 접점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4개의 문 자 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입력키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된 형태 또는 4개로 분리된 형태로 상기 키패드에 7개 입력키들이 H자 형태, 또는 T자 형태로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의 경우도 1문자 1타가 가능한 최소의 개수인 총 7개를 배열하고 그 배치도 사용자가 가장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등 소형 전자기기의 문자 또는 번호 입력에 있어서 하나의 버튼에 3개 또는 4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기존 전화기 표준기판에 비해 한손 또는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훨씬 빠른 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권은 물론 자국어의 발음을 영문화시켜 키보드에 입력하는 일본, 중국에까지 영어 1문자 1타라는 목표가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 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Y자 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입력키에 3개의 입력 접점이 포함된다. 입력키에서 눌려지는 입력 접점의 위치에 따라 3개의 입력 접점 중 하나에 키 신호가 출력된다.
Y자 형 입력키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가능하다. 일체형의 경우는 입력키가 하나로 구성된 형태이고(도 1a의 왼쪽), 분리형의 경우는 전체적인 형태는 일체형과 유사하나 입력 접점들이 위치에 따라 분리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나타낸다(도 1a의 오른쪽).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버튼(입력키)의 경우, T자 형태의 버튼에서 발생하는 오타의 확률을 줄이기 위해 T자형의 좌우측 키의 방향을 수평에서 위 또는 아래로 향하도록 하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이 달라져 오타의 가능성이 줄일 수 있는데 이 같은 모양을 적용하였을 시 입력키의 모양이 Y자 또는 역Y자 형태를 갖추게 된다.
또한, 오타의 가능성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Y형 버튼의 중앙을 오목하게 만들고 3방향의 입력 접점 위치는 볼록하게 만들어 엄지손가락이 중앙에 안착되기 좋도록 하여 엄지손가락이 이곳에 안착된 상태에서 입력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의 왼쪽 Y형 일체형 입력키의 상측 그림은 입력키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V자 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V자 형태 입력키는 V자 형태에서 상단의 좌우 끝점과 중앙 하단의 모서리를 입력 접점으로 하는 버튼 형태이다. 이 방법은 Y자 형태와 같이 좌우의 키 입력 방향이 일정 각도 위로 향하기 때문에 T자형에서 발생하는 오타의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은 물론 영문 사용자들의 경우, T자형과 Y자형을 사용하는데서 오는 문자 배열의 혼란을 해결하는데 좋은 버튼 방식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문의 경우, 기존 전화기 표준 기판은 2번에 ABC, 3번에 DEF, 4번에 GHI가 할당되는데 이를 T자형이나 Y자형에 배열할 시 도 1a와 같이 좌(A), 우(B), 하단(C)의 순서로 문자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해당 글자를 쓰는 순서와 동일한 반면, 해당 문자의 위치를 찾는데 약간의 혼란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러나, V자 형태는 도 1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글자를 쓰는 순서와 동일한 좌(A), 중앙하단(B), 우(C) 형태로 할당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수평 방향인 ABC와 유사한 배열 형태가 되어 영문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V자 형태에 문자가 할당되는 입력 접점 위치를 볼록하게 만들면 오타의 가능성은 더욱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b의 왼쪽 V형 일체형 입력키의 하측 그림은 입력키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물론, Y자형도 V자형과 마찬가지로 좌(A), 중앙 하단(B), 우(C) 형태로 배열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글자를 쓰는 순서와 다른 점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키의 배치 방식에 있어서도 전화기 표준 번호판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 유용하다. 그러나, 3개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는 기존 1개의 입력 접점 만 갖는 입력키에 비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휴대폰 등에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키패드의 크기를 최대한 줄이면서 입력에 불편함이 없는 최소의 개수만 3개 접점에 적용하고 나머지는 기존 1개의 접점을 갖는 버튼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1문자 1타가 가능한 키의 개수가 총 몇개 필요한지를 먼저 계산해야 하는데, 한글의 경우는 자모음을 합해 총 24개의 키가 필요하고, 영문의 경우는 26개의 키가 필요하여 결국 3개의 접점 입력키는 3행 3열로 배치되는 9개의 입력키 만을 적용하면 27개의 키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 영문 모두 소화해 낼 수 있으므로 가장 합리적인 배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Y자 형태의 입력키를 3열 3행의 9개로 실제 키패드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2a는 역 Y자 형태의 입력키를 9개 배치한 경우, 도 2b는 Y자 형태의 입력키를 9개 배치한 경우이고, 도 2c는 역 Y자 형태의 입력키와 Y자 형태의 입력키를 혼합하여 배치한 경우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좌우 열은 Y자 형태로 배치하고 중앙 열은 역Y자 형태를 배열하게 되면 좌우키가 상호 겹치지 않아 입력 오류는 물론 키패드의 좌우 폭을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d 내지 도 2f는 V자 형태의 입력키를 3열 3행의 9개로 실제 키패드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2d는 V자 형태의 입력키를 9개 배치한 경우, 도 2e는 V자 형태의 배열 방식에서 중앙의 열을 좌우의 열에 비해 약간 높이를 낮춘 경우이며, 도 2f는 좌우의 열은 V자 형태, 중앙의 열은 역V자 형태를 배치한 경우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는 4개의 입력 접점(1, 2, 3 및 4)을 가지며, 각각의 입력 접점들은 상, 하, 좌, 우 4방향에 십자가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키는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십자가 형태의 배치는 게임 등에서 방향키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입력키에서 4개의 입력 접점은 십자가 형태뿐만 아니라 X자 형태로 4개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입력 접점의 위치만 상이할 뿐이다. X자형의 배치는 입력 접점이 2행 2열로 입력 접점이 배치되기 때문에 할당되는 문자도 2행 2열의 가로쓰기 형태가 되므로 십자가 형태의 배치보다 배열된 문자의 인지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각 입력키의 입력 접점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배열 방법은 상기와 같은 상하좌우 방식과 가로쓰기 배열 방법 외에, 상황에 따라 좌우상하,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세로 쓰기 등 여건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변형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버튼(입력키) 방식의 경우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버튼 방식에 비해 입력할 수 있는 키의 개수가 1개가 많아 배열하는 버튼 수를 더욱 줄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총 7개의 버튼을 배열하면 28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 영문 모두 수용하는데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이용하여 문자입력 장치를 H자형과 T자형의 배치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자 형태의 배치는 한글입력 방식과 전자사전 등과 같이 가로형 방식에서 좌, 우의 키패드를 이격시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한편, T형 배치는 기존 전화 표준 기판과 유사성이 많은 가로쓰기 형태이기 때문에 영문권에서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H자 형태 배치의 배열 방식은 좌측열과 우측열에 각각 3개의 입력키가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입력키가 선택적으로 추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공백 입력, 또는 엔터 기능과 같이 특수 기능을 위해 1방향 또는 2방향의 입력키도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H자 형태의 배치에서 아래 행으로 갈수록 입력키들의 간격이 좁아져 입력키들이 전체적으로 V자 형태(또는 U자 형태)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문자 입력시 기존 전화기 표준기판을 기준으로 3번 키를 입 력하는 것보다 '#'키를 입력하기가 훨씬 힘들기 때문에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입력키들이 중앙으로 이동하게끔 설계한 것이다.
아울러 H자 형태 배치의 배열 방식은 숫자판 입력에 있어서도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좌측 3열을 이용하고, 왼손 엄지손가락은 우측 3열을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가 T자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1행과 2행에 각각 3개의 입력키들이 배치되고 이들 하부에 하나 이상의 입력키가 선택적으로 추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공백 입력, 또는 엔터 기능과 같이 특수 기능을 위해 1방향 또는 2방향의 입력키도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T자형 배치는 기존 전화 표준 기판과 유사성이 많은 가로쓰기 형태이기 때문에 영문권에서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하단의 중앙에 배치된 입력키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의 구조상 이용하기 편하게끔 하기 위해 중앙에 배치한 형태이다.
또한 T자형에서는 숫자 번호판의 입력 형태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는 중앙 또는 좌측의 번호판을 누르는 것이 편리하고, 왼손 엄지손가락은 이와 반대가 된다.
한글 입력의 경우, H자 T자형 모두 좌측에 자음을 배열하고 우측에 모음을 배열하면 사용자가 문자를 찾기가 그만큼 편리하고,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 좌우 엄지손가락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H자형 배치 방식을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예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T자형 배치 방식을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7개의 입력키들이 H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입력키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할당하는 경우, 좌측에는 자음을 할당하고 우측에는 모음을 할당하여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기 편하게끔 만들어 마치 컴퓨터의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다만, 쌍자음과 복모음 중 'ㅒ', 'ㅖ'에 대해서는 'Shift'키를 별도로 두지 않고 같은 글자(모음은 'ㅐ'+'ㅐ'='ㅒ')를 두 번 입력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하여 생략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Shift'키 또는 '추가'키 등으로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글 배열 방식의 장점을 알아보기 위해, 예를 들어 '휴대폰'이란 문자를 입력해 보면 기존 휴대폰의 한글 입력 방식은 모든 제품을 테스트해 본 결과, 총 11회 ~ 14회의 많은 키를 눌러야 하지만 상기 실시 예의 경우에는 키보드와 동일한 7회의 입력 과정만 거치면 가능하기 때문에 입력시간이 거의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7개의 입력키들이 H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입력키에 알파벳을 할당하는 경우, 영문의 경우도 한글과 큰 차이 없이 좌, 우 각각 3개의 버튼에 문자를 할당하고 남은 문자를 중앙에 할당하여 양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단 1회의 입력으로 모든 문자의 자소가 입력 가능하게 구성하여 입력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볼 수가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7개의 입력키들이 H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입력키에 한글, 영문자 및 숫자가 모두 할당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패드 좌측열과 우측열에 3개씩의 입력키를 배치하고 남은 문자를 위해 추가로 중앙에 입력키를 배치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5d 및 도 5e는 H자 형태로 배열된 입력키들이 전자 기기의 키패드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입력키들을 핸드폰의 키패드에 H자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불과 3개의 입력키에 10개의 숫자와 문자(* 및 #)의 할당이 가능하여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전화 버튼을 누를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의 구조상 편리한 좌측의 번호 키를 누르고, 왼손 엄지손가락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양손 엄지손가락을 모두 사용할 때는 한 손 엄지손가락에 1, 2, 3, 4 키에 할당시키고, 또 한 손 엄지손가락에는 5, 6, 7, 8 키에 이를 할당시키면 보다 빠른 키 입력이 가능하게끔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입력키들을 소형 전자 기기인 전자 사전이나 가로형 핸드폰 등의 키패드에 H자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양손으로 소형 전자기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하기 편리하게끔 H형 방식을 기본으로 좌, 우 키를 분류 이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경우이다.
또한 중앙에 별도로 'Space'키와 좌, 우에 'Enter'키를 만들었는데, 이는 손가락 이동량을 최소화하면서 한 손 엄지손가락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f를 참조하면, 입력키들이 상기 H자 형태 또는 T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아래 행 또는 상부에 위치한 입력키들의 간격이 중앙 행에 위치한 입력키들의 간격보다 좁게 또는 넓게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4방향 H형기기와 H형을 가로형 소형전자기기에 각 입력키는 게임용 방향키와 진행키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입력키들이 T자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한글, 영어 및 숫자가 각각 할당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1행과 2행에 3개의 입력키들이 배치되고, 중앙의 2열에는 3개의 입력키가 배치되어 7개의 입력키들이 T자 형태로 키패드에 배치되는 경우로써, A형은 2열에 위치하는 중앙 3개의 버튼에 번호와 문자를 배열하여 오른손, 왼손 엄지손가락을 가랄 것 없이 범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끔 하였고, B형은 1열과 3열에 배치된 각각 2개의 입력키에 1~8까지의 번호를 각각 할당하여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좌측 버튼을, 왼손 엄지손가락은 우측 버튼을 이용하기 편하게끔 하면서 중앙의 2열에 배치된 입력키들 중 하나에 남은 숫자나 문자를 배열하여 오른손과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C형은 모든 버튼에 번호를 배열하여 사용자 편의대로 사용하게끔 하였다.
도 6b를 참조하면, T자 형태 배치의 입력키들에 한글을 배열하는 경우, 1열(좌측)에 배치된 입력키들에는 자음을 할당하고, 3열(우측)에 배치된 입력키들에는 모음을 할당하고, 남는 문자는 2열(중앙)에 배치된 입력키들에 할당하되 상단에는 자음을 하단에는 모음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손가락의 엇갈림을 피하도록 했다. 단, 상기에서 자음과 모음 배열은 여건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T자 형태 배치의 입력키들에 영문자를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하면, 문자 순서 배열 방식이 기존 전화기의 표준 키패드와 비슷한 가로쓰기 방식이어서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T자 형태의 배치 방식에서 입력키들에 포함된 입력 접점들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경우 T형 배열 및 입력 접점까지도 모두 가로쓰기 방식이어서 사용자의 인지 능력이 더욱 확실히 뛰어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입력키들을 도 1b에서 설명한 대각선의 분리형 입력키로 설치한다면 완전한 가로쓰기 형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방식은 영문권 사용자에게 확실한 장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7개의 입력키들이 T자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입력키에 한글, 영문자 및 숫자가 모두 할당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패드 1행과 2행에 3개씩의 입력키를 배치하고 남은 문자를 위해 추가로 3행에 입력키를 배치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 전화기의 경우 총 12개의 버튼이 필요한 것이 불과 7개의 버튼에 총 28개의 문자의 할당이 가능한 형태가 되었다.
또한 3행의 입력키 일측에 별도로 'Space'키와 좌, 우에 'Enter'키를 만들었는데, 이는 손가락 이동량을 최소화하면서 한 손 엄지손가락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입력키들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것인지, 숫자를 입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전환키를 3행의 입력키 타측에 별 도로 구비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들의 형태와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입력키의 외형을 사각형과 원형으로 대비시켜 나타낸 실시 예로 키 버튼 외형은 원형뿐 아니라 사각형, 마름모, 타원형 등 디자인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영문자의 배열은 전화기 표준 기판의 각 번호에 할당된 영문자와 동일하게 할당된 것으로 영문권 사용자의 혼란이 우려된다면 사용자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편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면 될 수 있다. 도시된 영문자 배열 방법은 이미 오랜 기간 해당 방식을 이용하여 번호와 영문자가 손에 익은 영문권과 발음을 영문자로 표현하여 문자로 입력하는 일본, 중국인들에게는 오히려 불편함이 없을 수도 있다. 특히 무엇보다 1문자 1타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어떤 혼란보다도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또, 'W'와 'Y'키의 경우 한글 사용 시에는 특수문자나 기능키로 이용할 수도 있어 한글 사용자에게도 사용하기 편리한 배열이라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3개의 입력 접점과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혼합하여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일예이다.
국내에서는 전화기 표준 번호판에 영문자를 할당할 때 'Q'와 'Z'를 1번에 위치시키지만 해외에서는 'Q'는 7번에 위치시켜 7번에는 'P', 'Q', 'R', 'S'의 4개 문자가 할당되고, 'Z'는 9번에 위치시켜 9번에는 'W', 'X', 'Y', 'Z'의 4개 문자가 할당되는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사용자의 혼돈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 전화기 표준 번호판과 유사한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가 배치되는 키패드에서 전화기 표준 번호판의 7번과 9번 위치만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로 변경하여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방법은 문자 입력뿐만 아니라 좌, 우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 부분에 양손 엄지손가락을 안착하여 모바일 게임과 같은 게임의 방향키와 진행키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Y자 형태의 입력키를 3열 3행의 9개로 실제 키패드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2d 내지 도 2f는 V자 형태의 입력키를 3열 3행의 9개로 실제 키패드에 적용한 실시 예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4개의 접점을 갖는 입력키인 H자형과 T자형의 기본 배치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H자형 배치 방식을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예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T자형 배치 방식을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키들의 형태와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3개의 입력 접점과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를 혼합하여 적용한 문자입력장치의 일예이다.

Claims (16)

  1.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문자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입력키 모양은 Y자 또는 역Y자 형태로 3개의 방향의 입력 접점들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된 형태 또는 각 입력 접점들이 3개로 분리된 형태로 된 문자 입력 장치.
  2.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문자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입력키 모양은 V자 또는 역V자 형태를 가지며, 좌우 2개 방향의 입력 접점과 1개의 중앙 모서리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된 형태 또는 각 입력 접점들이 3개로 분리된 형태로 된 문자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Y자 모양 입력키는 중앙을 오목하게 만들고 3개의 입력 접점 위치를 볼록하게 만든 형태인 문자 입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모양 입력키는 중앙을 오목하게 만들고 2개의 입력 접점과 1개의 모서리 입력 접점을 볼록하게 만든 형태의 문자 입력 장치.
  5.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입력 접점들을 가지며 각 입력 접점들에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문자가 입력가능하고,
    상기 키패드에는 3개의 접점을 갖는 입력키가 3행 3열로 총 9개 배치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Y자형 또는 V자형을 갖는 문자 입력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 배열된 입력키들을 홀수번째 열과 짝수번째 열이 서로 역 모양으로 뒤집어 엇갈리게 배열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홀수번째 열에 비해 짝수번째 열을 소정 간격만큼 내리거나 올려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4개의 입력 접점들을 가지며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4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입력키는 4개의 입력 접점들이 하나의 일체형으로 된 형태 또는 4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키패드에 7개 입력키들이 H자 형태, 또는 T자 형태로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이 상기 H자 형태 또는 T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아래 행 또는 상부에 위치한 입력키들의 간격이 중앙 행에 위치한 입력키들의 간격보다 좁게 또는 넓게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이 상기 H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중앙에 배치한 1개의 입력키를 중앙 보다 높게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이 상기 T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7개의 입력키들이 1행과 2행에 각각 3개의 입력키들이 배치되고, 3행에는 하나의 입력키가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이 상기 T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중앙 열이 올라가거나 내려 간 형태를 갖는 문자 입력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H자 형태로 배치되어 가로 형태의 소형 전자기기의 입력 장치의 경우, H자 형태의 좌우 입력키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로 3개씩 이격시키고 중앙의 1개의 입력키는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할당하여 총 7개를 배치하는 문자 입력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H자 형태로 배치되어 가로 형태의 소형 전자기기의 입력 장치의 경우, H자 형태의 좌우 입력키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로 3개씩 이격시켜 총 6개로 형성하거나, 중앙을 기점으로 3개씩 이격시키고 중앙에 좌우 모두 1개씩 할당하여 총 8개의 입력키가 배치되는 문자 입력 장치.
  16. 키패드에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입력키가 구비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서로 다른 키 신호를 출력하는 3개 또는 4개의 입력 접점들을 가지며 입력 접점들마다 문자가 각각 할당되어 하나의 입력키로 3개 또는 4개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입력키가 3행 3열로 총 9개 배치되고,
    4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가 전화기 표준 번호판의 7번과 9번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입력키는 3개의 입력 접점을 갖는 입력키로 구성된 문자 입력 장치.
KR1020080046307A 2007-06-04 2008-05-19 문자 입력 장치 KR20080106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02,898 US8405526B2 (en) 2007-06-04 2008-05-30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PCT/KR2008/003051 WO2008150084A2 (en) 2007-06-04 2008-05-30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96 2007-06-04
KR20070054196 2007-06-04
KR1020070054788 2007-06-05
KR20070054788 2007-06-05
KR1020070058636 2007-06-15
KR1020070058636A KR20070075381A (ko) 2007-06-04 2007-06-15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560A Division KR20090108682A (ko) 2009-09-28 2009-09-28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841A true KR20080106841A (ko) 2008-12-09

Family

ID=38500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636A KR20070075381A (ko) 2007-06-04 2007-06-15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0080046307A KR20080106841A (ko) 2007-06-04 2008-05-19 문자 입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636A KR20070075381A (ko) 2007-06-04 2007-06-15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5526B2 (ko)
KR (2) KR200700753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4383B2 (en) * 2009-04-30 2012-09-11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Group keypads in compliance with standard keyboard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1715B2 (en) * 2001-05-24 2003-04-01 Philip Swanson Alphanumeric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050168447A1 (en) * 2004-01-30 2005-08-04 Caine Michael E. Keypad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elec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key inputs associated with a single k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381A (ko) 2007-07-18
US8405526B2 (en) 2013-03-26
US20100201547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8292A1 (en) Keypad
KR200207298Y1 (ko) 문자 입력 키보드
KR20080106841A (ko) 문자 입력 장치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0927061B1 (ko) 문자 입력이 가능한 숫자 키패드를 갖는 키보드
KR20090108682A (ko) 문자 입력 장치
KR100340789B1 (ko)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3519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
KR20140145908A (ko) 소형 전자 기기에서 오타 방지를 위한 글자판(키보드)
KR20040092626A (ko) 한글 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단말 장치
KR101368718B1 (ko)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30060607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키패드의 문자 배열 방식
KR200290468Y1 (ko) 전화기
KR200254882Y1 (ko) 유니버살 단축자판
KR101084692B1 (ko) 영어 문자 입력 방법
WO2008150084A2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0470749B1 (ko) 휴대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100756428B1 (ko) 휠타입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장치
KR20040044238A (ko) 다중문자 입력방법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JP5021715B2 (ja) 日本語文字入力方法
KR20040040524A (ko)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