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524A -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 Google Patents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524A
KR20040040524A KR1020020068670A KR20020068670A KR20040040524A KR 20040040524 A KR20040040524 A KR 20040040524A KR 1020020068670 A KR1020020068670 A KR 1020020068670A KR 20020068670 A KR20020068670 A KR 20020068670A KR 20040040524 A KR20040040524 A KR 2004004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phone
unit
ke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봉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6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524A/ko
Publication of KR2004004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숫자기호 입력키, 문자 입력키, 네비게이션 입력키 및 폰 입력키를 구획하여 분할하는 것에 의해 키신호 입력시 그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PDA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는 숫자 및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기호 입력키부; 영문 및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키부; 내장된 프로그램 이용시 커서 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키부; 및 최근 통화목록 조회 및 프로그램 종료에 이용되는 폰기능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는 상기 키보드의 상단 제1열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문자 입력부는 영문과 한글이 혼용되는 키들을 배열하되 상기 키보드의 상단 제2열 부터 제4열에 행렬로 배열시키되, 상기 영문은 통상적인 쿼티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배열된 통상적인 2벌식이며, 제4열의 양단에 각각 시프트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열되며, 상기 네비게이션키부는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와 문자입력키부의 우측에 배열되어 방향키, 엔터키, 탭키 및 델키를 포함하고, 상기 폰기능키부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부의 하부에 배열하되 폰북과 종료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keyboard arrangement structure of PDA phone}
본 발명은 PDA폰(Personal Digital Assisant, 개인용 디지털 정보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숫자기호 입력키, 문자 입력키, 네비게이션 입력키 및 폰 입력키를 구획하여 분할하는 것에 의해 키신호 입력시 그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PDA폰의 키보드 자판배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선단말기나 무선단말기에는 그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또는 키패드 등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입력수단들은 각각의 기능키들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다.
컴퓨터의 키보드의 예를 들면, 각각의 키들이 행렬로 배열되어 통상 6열의 구조를 가지고, 1열은 기능키, 2열은 숫자/특수기호 키, 3열 내지 5열은 문자키, 6열은 스페이스 및 토글키들을 배열하되 보드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부분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보드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부분에는 방향전환키나 숫자키들 및 그 밖의 특수키들이 행렬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들면, 키보드의 상단에 방향전환키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검색 및 송신키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숫자 및 문자 입력키들이 행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 자판 배열구조는 그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최우선으로 하여 배열된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본원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PDA폰 역시 사용상의 편리성이 고려된 자판배열을 갖는 키보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PDA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 자판 배열에 있어서, 사용상 편리하게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PDA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DA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는 숫자 및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기호 입력키부; 영문 및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키부; 내장된 프로그램 이용시 커서 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키부; 및 최근 통화목록 조회 및 프로그램 종료에 이용되는 폰기능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는 상기 키보드의 상단 1열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문자 입력부는 영문과 한글이 혼용되는 키들을 배열하되 상기 키보드의 상단 2열 부터 4열에 행렬로 배열시키되, 상기 영문은 통상적인 쿼티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배열된 통상적인 2벌식이며, 4열의 양단에 각각 시프트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열되며, 상기 네비게이션키부는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와 문자입력키부의 우측에 배열되어 방향키, 엔터키, 탭키 및 델키를 포함하고, 상기 폰기능키부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부의 하부에 배열하되 폰북과 종료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A폰을 전개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DA 키보드의 문자 입력키 자판배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숫자/기호입력키부 20; 문자입력키부
30; 네비게이션키부 40; 폰기능키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A폰의 액정표시패널을 전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DA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를 보인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 부호 10은 본 발명의 PDA폰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PDA폰(10)은 핸드폰과 PDA를 힌지결합하여 하나의 통신 단말기로 통합한 것이다.
상기 PDA폰(10)은 액정패널(11)과 키보드(20)를 각각 분리시키되 이들을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시킨 것으로, 상기 액정패널(11) 측은 통상의 핸드폰이고, 상기 키보드(20) 측은 PDA용 보드를 내장하고 있으며,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액정패널(11)과 키보드(20)를 절첩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액정패널(11) 전면에 구비된 핸드폰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PDA로 사용할 경우에는 액정패널(11)을 키보드(20)로부터 오픈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액정패널(11)은 PDA용 액정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핸드폰과 PDA로 하나로 통합시킨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PDA를 사용하기 위한 키보드(20)에 구비된 키버튼들의 배열구조를 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키보드(20)는 그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액정패널(11)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상기 키보드(20)에는 다수의 키버튼들이 그룹별로 배열되어 있고, 이 그룹들 은 숫자/기호입력키부(21), 문자입력키부(22), 네비게이션키부(23) 및 폰기능키부(24)로 구분된다.
상기 숫자/기호입력키부(21)는 키보드(20)의 상단 제1열에 배열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1부터 0까지 10개 키버튼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키버튼에는 시프트(Shift)키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각종 특수기호(예를 들면, !,@,# ...괄호기호)들을 배열하고 있다.
상기 문자입력키부(22)는 영문과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문자입력키부(22)는 영문과 한글을 혼용할 수 있는 키버튼들을 배열하되 상기 키보드(20)의 상단 제2열 부터 제4열에 걸쳐 행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영문 키버튼들은 통상적인 쿼티(Qwerty)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배열된 통상적인 2벌식으로 배열되며, 또한 제 4열의 양단의 첫째 행과 마지막 행에는 각각 시프트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스키 전 행에는 한/영 토글키를 배열하여 이 한/영 토글키를 이용하여 영문모드와 한글모드로 전환시켜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한글모드의 경우 이중자음(??, ??, ??, ??, ??)과 이중모음(??, ??, )을 사용할 때 시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해당 키버튼을 누르는 사용방식은 통상적인 컴퓨터 키보드의 사용방식과 동일하다.
상기 네비게이션키부(23)는 PDA회로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커서 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해당 기능을 개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20)의 우측에 배열된다.
즉, 상기 네비게이션키부(23)는 상기 숫자/기호입력키부(21)와 문자입력키부(22)의 우측에 대략 정사각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부(23)의 중앙에 사방으로 4개의 방향전환키가 배열되며, 그 방향전환키의 중앙에 엔터키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그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상위키, 탭(Tab)키, 델(Del)키, Fn키를 배열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탭키는 입력모드에서 입력간 이동 또는 메뉴모드간 이동시 사용되는 키이며, 상기 Fn키는 PDA의 특수기능키이다.
상기 폰기능키부(24)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부(2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문자입력키부(22)의 제4열에 연이어 배열시키되 폰복키와 종료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폰북키는 최근 통화목록등을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키이고, 종료키는 응용프로그램 종료 및 통화를 종료하는데 사용되는 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과 PDA가 하나로 결합된 통신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PDA의 키보드에 구비된 각종 키버튼들의 배열을 좌우상하로 구분하여 그룹을 형성하되 그 그룹들을 실시예와 같이 배열을 개시함으로써 간편하면서 쉽게 입력할 수 있다.

Claims (1)

  1. 피디에이폰의 자판 배열구조에 있어서,
    숫자 및 특수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기호 입력키부;
    영문 및 한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키부;
    내장된 프로그램 이용시 커서 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키부; 및
    최근 통화목록 조회 및 프로그램 종료에 이용되는 폰기능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는 상기 키보드의 상단 제1열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문자 입력부는 영문과 한글이 혼용되는 키들을 배열하되 상기 키보드의 상단 제2열 부터 제4열에 행렬로 배열시키되, 상기 영문은 통상적인 쿼티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배열된 통상적인 2벌식이며, 제4열의 양단에 각각 시프트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열되며,
    상기 네비게이션키부는 상기 숫자/기호 입력키부와 문자입력키부의 우측에 배열되어 방향키, 엔터키, 탭키 및 델키를 포함하고,
    상기 폰기능키부는 상기 네비게이션키부의 하부에 배열하되 폰북과 종료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자판배열 구조.
KR1020020068670A 2002-11-07 2002-11-07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KR20040040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70A KR20040040524A (ko) 2002-11-07 2002-11-07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70A KR20040040524A (ko) 2002-11-07 2002-11-07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524A true KR20040040524A (ko) 2004-05-13

Family

ID=3733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70A KR20040040524A (ko) 2002-11-07 2002-11-07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5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7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меющее несколько клавишных панелей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898222A1 (en) Keypad
TW200529636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349976B1 (ko)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5531064A (ja) キーボード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100769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340789B1 (ko)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20040040524A (ko) 피디에이폰의 키보드 키버튼 배열구조
KR100557139B1 (ko) 키보드의 키 배열
JPH07200120A (ja) 隣接文字表示キーボード
JP2001331253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415728B1 (ko)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KR200240641Y1 (ko) 휴대형 정보 단말기용 키보드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90008Y1 (ko) 지그재그형 다접점 키버튼
KR20040044238A (ko) 다중문자 입력방법
KR20080106841A (ko) 문자 입력 장치
KR20060091359A (ko) 한글 입력 방법
KR101004567B1 (ko) 건반형 키패드를 구비한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