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788A -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788A
KR20080105788A KR1020070053818A KR20070053818A KR20080105788A KR 20080105788 A KR20080105788 A KR 20080105788A KR 1020070053818 A KR1020070053818 A KR 1020070053818A KR 20070053818 A KR20070053818 A KR 20070053818A KR 20080105788 A KR20080105788 A KR 2008010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ing
display
interactive fun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029B1 (ko
Inventor
김인환
김창수
손광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29B1/ko
Priority to EP08009957.5A priority patent/EP1998537B1/en
Priority to US12/130,743 priority patent/US8010162B2/en
Publication of KR2008010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와; 입력부와;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생 시에, 상기 정보들 중에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 방송 장면에 표시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방송 화면에 표시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터랙티브 기능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 in thereof}
도 1은 단말기에서 종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의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단말기 210 : 통신부
211 : 방송 수신기 212 : 무선기(RF)
220 : 입력부 230 : 메모리
240 : 음향부 250 : 표시부
260 : 제어부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재생 시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에는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방송 기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청자는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을 이용하여 직접 퀴즈쇼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든지, 설문조사, 투표, 홈쇼핑, 홈뱅킹, 전자메일 등을 할 수 있다.
도 1은 단말기에서 종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드라마 관련 방송을 재생 중, 상기 방송에 물품 구매를 위한 인터랙티브 기능(10)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방송 화면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10)을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는 현재 방송 화면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10)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10)을 나타내는 아이콘(20)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아이콘(20)은 단지 현재 방송 화면에 인터랙티브 기능(10)이 있다는 것만 사용자에게 알려줄 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10)의 종류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방송 화면에 표시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표시부와; 입력부와;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생 시에, 상기 정보들 중에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방향 이동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신호에 따라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을 변경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터칭되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을 변경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녹화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재생 시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은 방송망,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점이 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일정 주기로 블링킹(Blinking)하여 표시하거나,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OSD(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상기 표시부 화면상의 방송을 재생하고 남는 공간에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복수개 이상 표시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정보들이 식별되게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복수개 이상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정보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로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진동음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실행하는 점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점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업데이트 중이거나 또는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를 상기 정보에 식별되게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재생 화면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은 인터랙티브 방송 서비스를 위한 기능으로써, 메시지 보내기,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투표(Voting), 정보의 업/다운로드, 화상 통화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인 점이다.
또한, 상기 정보는 텍스트와, 이미지와, 아이콘과, 3차원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점이다.
또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에서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의 변경이 가능한 점이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는 실시간 수신되는 방송 신호이거나 또는 미리 녹화된 방송 신호인 점이다.
또한, 상기 정보는 방송망,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파악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정보들 중 상기 파악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일정 주기로 블링킹(Blinking)하여 표시하거나,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OSD(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상기 화면상의 방송을 재생하고 남는 공간에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가 복수개 이상 표시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정보들이 식별되게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가 복수개 이상 표시될 경우,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정보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로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진동음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 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업데이트 중이거나 또는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를 상기 정보에 식별되게 표시하는 점이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 노트북, 데스크탑, MP3, PDA, 휴대폰,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게임기, 디지털 TV, 디지털 카메라,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 신호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지상파 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T-DMB') 시스템, 위성 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S-DMB') 시스템,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시스템, MediaFLO(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word Link Only) 시스템,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시스템 등이 있다. 물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각종 시스템에 의하여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시스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DMB 시스템에서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 또는 DVB-H 시스템에서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EPG 또는 ESG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본 발명이 핸드폰과 같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 및 구현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0)는, 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메모리(230)와, 음향부(240)와, 표시부(250)와,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기(211)와 무선기(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약칭함)(212)로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예를 들면, 배터리부, 카메라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망, 인터넷 망 및 방송 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써, 방송 수신기(211)와 RF(212)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기(211)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역 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RF(212)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예컨대 키패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200)에 각종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220)는 상기 단말기(200)의 구성에 따라 방향 키, 로터리 키(lottery key), 스크롤 키(scroll key), 조그 셔틀(jog shuttle), 조그 다이얼(jog dial), 터치 휠, 광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표시부(25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입력부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220)는 상기 단말기(200)의 구성에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메모리(230)는 상기 단말기(200)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들 및 이에 따른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30)는 상기 방송 수신기(211)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방송 신호 안에는 EPG, ESG 등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인터랙티브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써, 텍스트와, 이미지와, 아이콘과, 3차원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형상이 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한 아이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아이콘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아이콘이라는 명칭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아이콘은 단말기(200) 출시 시에 상기 메모리(230)에 디폴트로 저장되어 있거나, 방송 수신기(211)를 통해 방송 망으로부터 수신하여 획득된 것이거나, RF(212)를 통해 이동통신 망 또는 인터넷 망으로부터 수신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송 망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방송 수신기(211)를 통해 수신되는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과, 타 방송 채널과, 방송 프로그램 정보인 ESG 또는 EPG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재생 중인 방송 채널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할 경우 상기 현재 재생 중인 방송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형태의 정보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별로 또는 화면별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망의 경우에는, 상기 RF(212)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통신 사업자 또는 타 통신 사업자와 통신 연결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망의 경우에는, 상기 RF(212)를 통해 외부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 연결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음향부(240)는 메모리(230)에 기 저장된 음향을 스피커(S)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M)으로부터 외부 음향을 입력받는다.
또한, 음향부(240)는 방송 수신기(211)를 통해 복호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S)로 출력하거나, RF(212)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S)로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상기 단말기(200)의 실시간 동작 상황, 및 상기 단말기(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5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터치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상기 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메모리(230), 음향부(240)와,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후술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 방법이 상기 단말기(200)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방송 신호 재생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재생한다(S301).
이때, 상기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기(211)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이거나, 또는 메모리(230)에 미리 녹화된 방송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은 인터랙티브 방송 서비스를 위한 기능으로써, 메시지 보내기,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투표(Voting), 정보의 업/다운로드, 화상 통화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인 점이다.
제어부(260)는 상기 재생 중인 방송 장면과 동기화된 인터랙티브 기능을 표시부(250)에 표시할 경우,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파악한다(S302).
제어부(26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아이콘들 중에 상기 파악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검색하고(S303), 상기 검색된 아이콘을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S304).
이때, 상기 방송이 재생되는 화면상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할 경우, 사용자의 방송 시청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면상에서 방송을 재생하고 남는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콘은 텍스트와, 이미지와, 3차원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악된 인터랙티브 기능이 홈쇼핑 제품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 기능이면, 제어부(260)는 상기 아이콘들 중 "전화 연결" 텍스트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또는 전화기 형상의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한 캐릭터가 전화를 받는 형태의 3차원 이미지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S303 단계에서 검색된 아이콘을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에 바로 표시하지 않고,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있을 때, 상기 검색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아이콘의 표시를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된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아이콘의 표시를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50)가 터치 스크린 타입이면,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아이콘이 복수개 이상 표시될 경우 상기 아이콘들의 표시 배열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에 상기 아이콘을 일정 주기로 깜박거리게 표시(Blinking)하거나,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OSD(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반투명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빨리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S303 단계에서 아이콘이 복수개 이상 검색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검색된 아이콘들이 각각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내에서 상위에 속하는 아이콘의 밝기를 최고값으로 하여 표시하고, 중위에 속하는 아이콘의 밝기를 중간값으로 하여 표시하고, 하위에 속하는 아이콘의 밝기를 최소값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S303 단계에서 아이콘이 복수개 이상 검색될 경우,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아이콘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250)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방송을 재생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아이콘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S303 단계에서 아이콘이 검색되면, 음향부(240)를 통해 상기 검색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향 및 진동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260)는 상기 검색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 티브 기능이 "전화 연결"이면, 음향부(240)를 제어하여 "전화 연결할 수 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S305),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실행한다(S306).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이 홈쇼핑 제품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 기능인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60)는 RF(212)통해 상기 판매자와 전화를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와 같이 인터랙티브 기능이 실행된 후에,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과 관련된 내용을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이 상기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 기능이면, 상기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S305),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이 상기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 기능인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60)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판매자의 주소와, 전화번호와, 이름, 구매할 물품의 정보가 포함된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제어부(260)는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통해 업데이트 중이면, 상기 방송 재생 화면에 상기 세부 정 보 업데이트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세부 정보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업데이트의 완료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다양한 표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의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현재 재생 중인 홈쇼핑 관련 방송 재생 화면에 제품 정보 다운로드 기능(410)과, 판매자로의 메시지 송신 기능(420), 및 판매자와의 전화 연결 기능(430)이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다운로드 기능(410)과 메시지 송신 기능(420), 및 전화 연결 기능(430)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상기 방송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아이콘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들(410, 420, 430)을 각각 나타내는 형상이 될 수도 있고, 텍스트와, 3차원 형상의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에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을 일정 주기로 깜박거리게 표시(Blinking)하거나, 오버레이(Overlay) 표시하거나, OSD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반투명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250)가 터치 스크린 타입일 경우, 사용자가 다운로드 아이콘(410)을 터치하여 메시지 아이콘(420)으로 이동시키면[도 4b], 상기 다운로드 아이콘(410)과 메시지 아이콘(420)의 표시 배열을 변경시킬 수 있다[도 4c].
즉,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을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표시 배열 변경도 가능하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을 제1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홈쇼핑 관련 방송을 재생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이 상기 제2 영역에 리스트 스타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이 상기 제2 영역에 회전형 스타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을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이 각각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아이콘(430)을 상위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메시지 아이콘(420)을 중간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다운로드 아이콘(410)을 하위 우선 순위로 설정하였으면, 제어부(260)는 상기 전화 아이콘(430)의 밝기를 최고로 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아이콘(420)의 밝기를 중간으로 하여 표시하고, 상기 다운로드 아이콘(410)의 밝기를 최소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g 및 도 4h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 중 상기 판매자와 전화 연결을 하기 위해 상기 전화 아이콘(430)을 선택하면 제어부(260)는 RF(212)통해 상기 홈쇼핑 제품 판매자와 전화를 연결하고, 상기 전화가 연결 중인 상태(431)를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도 4g]. 이때, 제어부(260)는 상기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도 4h].
도 4i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들(410, 420, 430) 중 메시지 아이콘(430)을 선택하면 제어부(260)는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판매자로 전송할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창(42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j 내지 도 4l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전화 아이콘(430)을 선택하면,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전화 아이콘(430)의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도 4j].
만약, 제어부(260)는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통해 업데이트 중이면, 상기 방송 재생 화면에 상기 세부 정보 업데이트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440)을 표시할 수도 있다[도 4k].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세부 정보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업데이트의 완료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아이콘(450)을 표시할 수도 있다[도 4l].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은, 현재 방송 장면에 표시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방송 화면에 표시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재생 화면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은, 인터랙티브 방송 서비스를 위한 기능으로써,
    메시지 보내기,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투표(Voting), 정보의 업/다운로드, 화상 통화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텍스트와, 이미지와, 아이콘과, 3차원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 재생 화면상에서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실시간 수신되는 방송 신호이거나 또는 미리 녹화된 방송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방송망,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파악하는 단계;
    기 구비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정보들 중 상기 파악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일정 주기로 블링킹(Blinking)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를 상기 화면상의 방송을 재생하고 남는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가 복수개 이상 표시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정보들이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정보가 복수개 이상 표시될 경우,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정보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진동음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방송 재생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업데이트 중이거나 또는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를 상기 정보에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21. 표시부;
    입력부;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재생 시에, 상기 정보들 중에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방향 이동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신호에 따라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이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터칭되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정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배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녹화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랙티브 기능이 포함된 방송 신호를 재생 시에, 상기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type)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은,
    방송망,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디폴트(Default)로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일정 시 간 경과 후 상기 정보의 표시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일정 주기로 블링킹(Blinking)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1.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상기 표시부 화면상의 방송을 재생하고 남는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복수개 이상 표시할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빈도, 및 중요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정보들이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복수개 이상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정보들을 리스트, 그리드(Grid), 및 회전형 스타일 중 어느 하나의 스타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기.
  3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진동음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3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된 인터랙티브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세부 정보가 업데이트 중이거나 또는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를 상기 정보에 식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70053818A 2007-06-01 2007-06-01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35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18A KR101351029B1 (ko) 2007-06-01 2007-06-01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EP08009957.5A EP1998537B1 (en) 2007-06-01 2008-05-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12/130,743 US8010162B2 (en) 2007-06-01 2008-05-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18A KR101351029B1 (ko) 2007-06-01 2007-06-01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788A true KR20080105788A (ko) 2008-12-04
KR101351029B1 KR101351029B1 (ko) 2014-01-10

Family

ID=3973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818A KR101351029B1 (ko) 2007-06-01 2007-06-01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10162B2 (ko)
EP (1) EP1998537B1 (ko)
KR (1) KR101351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353B2 (ja) 2007-05-17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634388B1 (ko) * 2009-12-07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5638252B2 (ja) * 2010-01-29 2014-12-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20120326993A1 (en) * 2011-01-26 2012-12-27 Weisman Jordan 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interactive overlays for video
US8989521B1 (en) * 2011-11-23 2015-03-24 Google Inc. Determination of dance steps based on media content
US9800458B1 (en) * 2013-05-14 2017-10-24 Google Inc. Dynamic, interactive objects for posting
CN104301202A (zh) * 2014-02-25 2015-01-21 王石强 一种即时通讯的振动信息表达方法和系统
KR102521343B1 (ko) * 2016-04-25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668422A (zh) * 2020-12-19 2021-04-16 中建浩运有限公司 一种展会观众行为分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743A (ja) 2000-04-03 2001-10-12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tv及びインターネットtvを使用した広告方法
US6668177B2 (en) * 2001-04-26 2003-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US7623824B2 (en) * 2002-12-16 2009-11-24 Nokia Corporation Broadcast media bookmarks
US20030203731A1 (en) * 2002-04-29 2003-10-30 Lavaflow, Llp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of displaying account information
KR20040085660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랙티브 전용 부팅 장치 및 방법
KR20040099734A (ko) * 2003-05-20 2004-12-02 주식회사 아이엠에스 코리아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에서 노출되는 공연소품 판매방법 및그 시스템
WO2006117777A2 (en) * 2005-04-29 2006-11-09 Hingi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sioning content data
KR100735354B1 (ko) * 2005-08-1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10162B2 (en) 2011-08-30
EP1998537A2 (en) 2008-12-03
EP1998537B1 (en) 2015-01-21
US20080300023A1 (en) 2008-12-04
EP1998537A3 (en) 2012-12-05
KR101351029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29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정보 표시 방법
US8826343B2 (en) Method of providing key frames of video in mobile terminal
KR101517638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CN102598701B (zh) 为网络电视提供内容信息
KR1013561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채널정보 표시 방법과방송정보 표시 방법
US7999788B2 (en) Television interfacing
CN103500081A (zh)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JP2009516424A (ja) モバイルtvデバイスのための電子番組表
CN103618959A (zh) 一种视频播放的方法及设备
CN104811781A (zh) 视频跨屏播放方法及装置
KR10133535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프로그램 영상정보 제공 방법
KR20090001031A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 제공 방법
KR20160018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10059423A (ko) 컨텐츠 구매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97775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106710A (ko)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JP5345862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04674A (ko) 클립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113622A (ko) Epg정보를 이용한 디지탈방송의 프로그램 선택방법
KR20070083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1316218B1 (ko)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연락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276827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선국 방법
US9414101B1 (en)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via a cable television distribution network in response to input from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140094873A (ko) 영상 표시부의 분할된 일부를 선택함에 따라 연결되는 영상물의 스토리를 달리 제공하는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636574B1 (ko) 공통 포맷을 갖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화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