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213A -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213A
KR20080105213A KR1020070052481A KR20070052481A KR20080105213A KR 20080105213 A KR20080105213 A KR 20080105213A KR 1020070052481 A KR1020070052481 A KR 1020070052481A KR 20070052481 A KR20070052481 A KR 20070052481A KR 20080105213 A KR20080105213 A KR 2008010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laying
soft
low
bearing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병식
도종남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213A/ko
Publication of KR2008010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연약층의 상부에 토목섬유 또는 대나무시트와 같은 보강재를 포설하여 보강재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설된 보강재의 상부에 CBR(California bearing ratio)이 45% 이상인 석탄회(저회, bottom coal ash)를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함에 따라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약지반의 부등침하 및 지지력의 보강을 위하여 저회(bottom ash)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지지력을 확보하고 이로 인하여 연약지반으로의 장비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CONSTRUCTION METHOD OF GROUND REINFORCING MATERIALS SPREADER FOR IMPROVEMENT SUPPORT FORCE OF WEAKNESS GROUND}
도 1은 종래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에 있어서, 지반의 변형 또는 연약층의 밀림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사용되는 저회에 대한 CBR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입도분포 및 물리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다짐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회전체를 보여주는 도 면이다.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위에 저회를 포설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에서 배토판 앞에 밀려 적체되는 연약점토 및 저회를 장비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작업이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지반보강재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회전판 날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독립구조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주행성 평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주행성 평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부등침하 및 지지력의 보강을 위하여 저회(bottom ash)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연약지반으로의 장비진입을 위한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연약지반을 탈수공법에 의해 개량하는 경우에 약 50~150 톤급 정도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을 박아 지반을 개량한다.
그러나, 대상 지반이 해성점토나 해성점토로 매립된 지역과 같이 초연약지반인 경우에, 이 지반에 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하게되며, 이러한 장비를 상기 지반으로 진입을 시키기 위하여 사전 조치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 방법으로 주로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과 표층 고화 처리방법이 있다.
첫 번째, 종래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 토층 상단에 토목 섬유(101)를 깔고, 그 상부에 소형 습지 도저(102)를 사용하여 1회에 약 50cm 정도로 수차례 반복하여 소정의 두께만큼 토사 또는 모래 를 포설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연약층(또는 연약지반) 위에서 소형 도저(102)로 토사 또는 모래와 같은 복토재를 운반 포설하는 방법으로서, 습지 도저 본체와 복토용 토사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로 인하여 지중응력이 중복되어 응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약층 상단까지 장비가 직접 진입하여 복토재를 밀어 포설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및 운반 토사의 하중으로 인한 연약층 함몰과 포설되는 복토재 전방의 연약층이 융기와 복토재를 밀면서 포설함에 따라 수평력에 의하여 연약층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서 더 이상 복토시공이 어려워 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두 번째, 표층 고화 처리방법은 연약층 상층부의 일정 부분에만 시멘트 등을 주입, 믹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우선 공사비가 고가이고, 고화된 지층과 연약층 간의 토질 특성이 달라 불규칙한 하중 전달로 후속 공정인 하부 연약층 개량시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더하여, 보통 연약지반상에 고장력 투수성 매트를 깔고 도저로 모래를 밀면서 기초지반에 소정의 두께로 모래를 부설하는 방법인 경우에 있어서, 연약지반이 양질의 모래로 구성되어 상당한 지지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별문제 없이 상기 설명한 모래 부설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점성토로 구성된 해안습지를 간척하거나 해당 매립지 인근지역(해안, 하천, 호수, 항만 등)에 양질의 모래가 없어 연약토인 점성토나 고유기질 점토 또는 하수 슬러지 등을 준설하여 매립하는 경우도 증가 추세에 있는바, 이와 같이 기초지반이 연약토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에 설명한 방법으로 모래 부설작업을 진행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연약지반(또는, 기초지반)이 연약토일 경우에는, 그 상부에 고장력 매트를 부설한다 할지라도, 그 상부에서 상당 중량 이상의 장비가 진입할 경우에, 상기 연약지반은 심한 침하현상이 발생됨과 함께 그에 따른 융기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연약토에 모래를 부설하기 위하여 연약지반 내의 물이 탈수될 때까지 상당한 기간을 기다려야 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과 공사비용의 증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저회(또는 석탄회)를 사용하여 연약지반의 상부에 포설하여 점성토 지반이 복합지반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단저항의 증가와 지지력 증가 및 슬라이딩 파괴를 저감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연약층의 변형 및 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회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연약층(또는 연약지반 또는 연약토층)의 상부에 보강재를 포설하여 보강재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설된 보강재의 상부에 CBR(California bearing ratio)이 45% 이상인 저회를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함에 따라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회의 CBR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회는 체가름 시험 결과 통일분류상으로 'SW'이며, #200 체 통과량이 2.99%이고, #4 체 통과량이 99.47%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공법에 적용시에는 입도가 0.15 내지 50m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저회의 입도가 0.15mm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경우 저회 포설층의 투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50mm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게 되면 저회의 공극이 커지므로 지지력이 약해져 추가 침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회는 내부마찰각이 2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회의 다짐에너지와 최대건조밀도는 서로 비례관계를 갖고, 상기 저회의 최적함수비는 상기 다짐에너지와 반비례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토목섬유 또는 대나무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 점에서부터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포설하여 대상지역의 전체로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반이 상대적으로 더욱 연약하여 상기 포설장치의 전진이 더 이상 어려운 지점에 다달으면, 그 지점에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정지시키는 2단계와, 상기 정지 지점에서 들어올려져 있던 회전체를 배토판 앞으로 하강시켜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지반보강재를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하는 3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상기 3단계까지의 과정을 수 차례 반복 실행하여 상기 저회의 포설작업을 완료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설장치는, 상기 연약층 위에 상기 저회의 포설을 위해 미리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광폭의 무한궤도를 가지며, 엔진부 및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전방에 지반보강재를 밀고가는 배토판과, 상기 배토판을 주몸체부에 기계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며, 주몸체부에 힌지식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토판 고정축과,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토판 고정축을 상,하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고정축 승강장치와, 상기 배토판의 전방에 상하로 힌지식 거동이 가능하게 상기 배토판 고정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토판에 의해 밀려 적체된 상기 저회를 회전에 의해 상기 배토판의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하는 상기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저회 분산 포설용의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상기 주몸체부에 연결되고 와이어 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함에 따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제 1지점까지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제 1지점까지 일정 두께로 상기 저회가 포설된 이후에 상기 일측 지점에서 이동없이 상기 제 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지점까지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2'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포설장치는, 상기 연약층 상에 포설된 상기 보강재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중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상기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회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상기 저회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상기 저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퍼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상기 저회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으로 구성 되며, 상기 연결호퍼의 양측면부에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연약층에서의 상기 포설장치의 주행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1)에 의하여 테르자기(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형상 및 상기 보강재의 인장효과를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1)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Fs는 설계안전율, γ는 부설저회 단위중량, Qd는 극한지지력. Df는 재하지역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QB는 부설저회 하중, Q는 상재하중, Nc와 Nq는 지지력 계수, QM은 장비하중, B는 장비하중 재하폭, c는 연약층 전단강도, θ는 토목섬유와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다.
또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2)에 의하여 판이론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2)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2
일 수 있다.
여기서, Fs는 지지력, Ta는 천공시 손상을 고려한 토목섬유의 허용인장력, d는 저회포설층두께, θ는 토목섬유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 Df는 재하지역에서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R은 장비하중이 연약층에 전달되는 반경, b는 장비하중 재하폭, γ는 저회(포설저회) 단위중량, c는 연약층 전단강도, Sa는 토목섬유와 연약층의 마찰저항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3)에 의하여 Meyerhof의 지지력공식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3)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3
일 수도 있다.
여기서, L은 하중의 작용길이, H는 저회포설층두께, Ks는 펀칭전단계계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사용되는 저회에 대한 CBR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입도분포 및 물리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다짐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사용되는 저회의 특성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또는 석탄회)는 도 3에 도시된 CBR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CBR이 47%로 나타나기 때문에, 노상재 뿐만 아니라 보조기층 또는 기층재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고, 반면에 비회의 경우에는 2.0%를 나타낸다.
참고로, 한국도로공사(2002)의 도로설계요령 5권 포장에는 "CBR45이상, NO.40체 통과분이 소성지수가 6이하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와 상기 저회의 공학적 특성이 유사하다는 것이 증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의 입도는 자갈 내지 대부분이 모래와 유사하였고, 통일분류상으로 SW(입도 분포가 좋은 모래)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비회는 통일분류상으로 SM(실트질 모래)으로 판단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저회는 #200 체 통과량이 2.99%이고, #4 체 통과량이 99.47% 인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축압축시험결과를 참조하면, 비회와 저회 의 점착력은 0~0.03kg/cm2으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내부마찰각의 경우는 저회가 33°, 비회가 28°로 나타난다.
참고로, 한국철도시설공단(2001)의 "흙의 종류별 토질정수 분류"를 참고하면 저회(내부마찰각 33°)는 단위중량이 1.6~1.9tf/m3이고 내부마찰각 35~45°인 약간 느슨한 모래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회의 다짐시험결과를 보면, 상기 저회의 다짐에너지와 최대건조밀도는 서로 비례관계를 갖고, 상기 저회의 최적함수비는 상기 다짐에너지와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즉, 일반 흙에서와 같이 다짐에너지의 증가에 따라 최대건조밀도는 증가하고 최적함수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제 1실시 예)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상기와 같은 특성치를 갖는 석탄회(저회, bottom coal ash)를 지반보강재로써 사용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를 사용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연약지반의 상부에 보강재를 포설하여 보강재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설된 보강재의 상부에 CBR(California bearing ratio)이 47%인 저회를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함에 따라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는 토목섬유 또는 대나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재(410, 도 8b 참조)로써 상기 토목섬유(410)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포설하여 대상지역의 전체로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반이 상대적으로 더욱 연약하여 상기 포설장치의 전진이 더 이상 어려운 지점에 다달으면, 그 지점에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정지시키는 2단계와, 상기 정지 지점에서 들어올려져 있던 회전체를 배토판 앞으로 하강시켜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저회를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하는 3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상기 3단계까지의 과정을 수 차례 반복 실행하여 상기 저회의 포설작업을 완료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보강재 포설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상기 연약지반에서의 상기 포설장치의 주행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3가지의 경우를 예를 들 수 있다.
첫 번째,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1)에 의하여 테르자기(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형상 및 상기 보강재의 인장효과를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1)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4
일 수 있다.
여기서, Fs는 설계안전율, γ는 부설저회 단위중량, Qd는 극한지지력. Df는 재하지역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QB는 부설저회 하중, Q는 상재하중, Nc와 Nq는 지지력 계수, QM은 장비하중, B는 장비하중 재하폭, c는 연약층 전단강도, θ는 토목섬유와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다.
두 번째,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2)에 의하여 판이론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2)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5
일 수도 있다.
여기서, Fs는 지지력, Ta는 천공시 손상을 고려한 토목섬유의 허용인장력, d는 저회포설층두께, θ는 토목섬유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 Df는 재하지역에서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R은 장비하중이 연약층에 전달되는 반경, b는 장비하중 재하폭, γ는 저회(포설저회) 단위중량, c는 연약층 전단강도, Sa는 토목섬유와 연약층의 마찰저항력이다.
세 번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3)에 의하여 Meyerhof의 지지력공식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3)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6
일 수도 있다.
여기서, L은 하중의 작용길이, H는 저회포설층두께, Ks는 펀칭전단계계수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실시 예에서의 포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설장치를 통한 저회포설층 형성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포설장치(300)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연약지반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토사, 토석, 모래, 쇄석 등의 저회를 효율적으로 이동하여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몸체부(310), 배토판(320), 배토판 고정축(330), 고정축 승강장치(340) 및 회전체(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몸체부(310)는 상기 연약층 위에 저회의 포설을 위해 미리 포설된 토목섬유(410)(도 8b 참조)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광폭의 무한궤도(311)를 가지며, 엔진부(312) 및 운전석(313)이 또한 마련된다.
상기 배토판(320)은 상기 주몸체부(31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전방에 저회를 밀고 간다. 이와 같은 배토판(320)은 불도저의 귀삽날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토판 고정축(330)은 상기 배토판(320)을 주몸체부(310)에 기계적으로 연결 및 고정한다. 이 배토판 고정축(330)은 주몸체부(310)에 힌지식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축 승강장치(340)는 상기 주몸체부(3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토판 고정축(330)을 상,하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이 고정축 승강장치(340)는 유압실린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50)는 상기 배토판(320)의 전방에 상하로 힌지식 거동이 가능하게 상기 배토판 고정축(330)에 설치되며, 배토판(320)에 의해 밀려 적체된 저회를 회전에 의해 배토판(320)의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한다.
여기서, 이러한 회전체(3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350s)과, 그 회전축(350s)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된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의 다수의 회전날개(350w)로 구성된다.
또한, 이 회전체(350s)는 와이어 로프(360)에 의해 상기 주몸체부(310)에 연결되어 와이어 로프(360)를 감았다 풀었다 함에 따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 회전체(350)의 일측에는 회전체(350)의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은 유압시스템으로부터 공 급받도록 구성되는 한편, 모터의 온/오프 작동은 운전석(313)의 운전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연약층 위에 저회를 포설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연약층 위에 지반보강재인 저회를 포설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에 따라 상기 지반보강 시공 대상지역의 연약층 위에 저회를 포설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서 토목섬유(410)를 포설한다. 물론, 상기 토목섬유(410)를 포설하는 작업은 생략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저회만을 일정 두께로 포설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설된 토목섬유(410)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상기 본 발명의 지반보강재 포설장치(300)를 이용하여 저회(420)를 포설하여 대상지역의 전체로 복토층을 형성해 나간다. 상기 복토층은 토목섬유와 같은 보강재 포설층과 그 상부에 포설된 저회포설층을 포함한 층일 수 일 수 있다.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반이 상대적으로 더욱 연약하여 지반보강재 포설장치(300)의 전진이 더 이상 어려운 지점에 다달으면, 도 8b에서와 같이, 그 지점에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300)를 정지시킨다. 이때까지 회전체(350)는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이다.
그런 후, 도 8c에서와 같이, 그 정지 지점에서 상기 들어올려져 있던 회전체(350)를 배토판(320) 앞으로 하강시켜 회전체(350)를 회전시킴으로써 저회(420)를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회전체(350)를 이용하여 저회(420)를 전방으로 분산 포설하는 것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을 부연해 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운전자)는 지반보강재 포설장치(30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그동안에 줄곧 들어올려져 있던 회전체(350)를 배토판(320) 앞으로 내려, 회전체(35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체(350)의 회전날개(350w)가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배토판(320) 앞에 적체되어 있던 저회(420)는 회전날개(350w)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방으로 흩뿌려져 포설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운전자)에 의해 회전체(3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저회(420)의 분산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회전체를 이용한 저회의 전방으로의 분산 포설이 일단락되면, 상기 도 8a 내지 도 8c 까지의 과정을 수차례 반복 실행하여 지반보강재 포설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상기 회전체(350)를 처음부터 배토판(320) 앞으로 내려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연약층이 전체적으로 매우 연약하여 작업의 초기단계부터 연약층이 밀려 지반보강재 포설장치(300)의 전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회전체(350)를 처음부터 배토판(320) 앞으로 내려 그 회전체(350)에 의해 저회를 전방으로 분산 포설하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연약층이 매우 연약하지 않을 경우라도, 회전체(350)를 처음부터 배토판(320) 앞으로 내려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350)의 사용여부는 작업 현장의 상황 및 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될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연약층의 특정 지역이 더욱 연약하여 밀고 나가는 배토판(330) 전방에 연약층이 밀려 적체되는 경우, 배토판 (330)을 밀고나가기 어렵게 되는 바, 이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된 스크류(350)를 배토판(330) 앞에 장착하여 배토판(330) 앞에 밀려 적체되는 연약점토 및 저회를 장비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포설작업을 한결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스크류(350)는 물론 처음부터 배토판(330)에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연약층이 전체적으로 매우 연약하여 작업의 초기단계부터 연약층이 밀릴 것이 예상되는 경우 스크류(350)를 처음부터 배토판 (330) 앞에 장착하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연약층이 매우 연약하지 않을 경우라도, 스크류(350)를 처음부터 배토판(330) 앞에 장착하고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와이어 로프(360)를 이용하여 스크류(350)를 최대한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스크류(350)를 다시 내려 스크류(350)를 함께 작동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스크류(350)의 사용여부 및 그 사용 형태는 작업 현장의 상황 및 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될 것이다.
(제 2실시 예)
본 발명의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상기와 같은 특성치를 갖는 석탄회(저회, bottom coal ash)를 지반보강재로써 사용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를 사용하여 지반보강재 포설방법은 연약층의 상부에 보강재를 포설하여 보강재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설된 보강재의 상부에 CBR(California bearing ratio)이 45% 이상인 저회를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함에 따라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저회의 특성치는 상기 제 1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제 1지점((1), 도 11 참조)까지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제 1지점까지 일정 두께로 상기 저회가 포설된 이후에 상기 일측 지점에서 이동없이 상기 제 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지점((2), 도 12 참조)까지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2'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면, 상기 연약층에서의 상기 포설장치의 주행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3가지의 경우를 예 를 들 수 있다.
첫 번째,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1)에 의하여 테르자기(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형상 및 상기 보강재의 인장효과를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1)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7
일 수 있다.
여기서, Fs는 설계안전율, γ는 부설저회 단위중량, Qd는 극한지지력. Df는 재하지역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QB는 부설저회 하중, Q는 상재하중, Nc와 Nq는 지지력 계수, QM은 장비하중, B는 장비하중 재하폭, c는 연약층 전단강도, θ는 토목섬유와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다.
두 번째,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2)에 의하여 판이론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2)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8
일 수도 있다.
여기서, Fs는 지지력, Ta는 천공시 손상을 고려한 토목섬유의 허용인장력, d는 저회포설층두께, θ는 토목섬유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 Df는 재하지역에서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R은 장비하중이 연약층에 전달되는 반경, b는 장비하중 재하폭, γ는 저회(포설저회) 단위중량, c는 연약층 전단강도, Sa는 토목섬유와 연약층의 마찰저항력이다.
세 번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3)에 의하여 Meyerhof의 지지력공식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3)
Figure 112007039553275-PAT00009
일 수도 있다.
여기서, L은 하중의 작용길이, H는 저회포설층두께, Ks는 펀칭전단계계수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실시 예에서의 포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설장치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저회포설층 형성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포설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 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포설장치에서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는 상승시키고 후반부는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설장치는 벨트 컨베이어(510), 지반보강재 분사장치(520),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530), 연결호퍼(540), 지반보강재 공급수단(550)으로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참조번호 570은 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로프, 580은 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기둥, 590은 엔진 및 기름탱크, 500은 운전실을 각각 나타낸다.
벨트 컨베이어(510)는 연약층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410)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저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지반보강재 분사장치(5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 (51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510)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인 저회를 분산 포설한다. 이와 같은 지반보강재 분사장치(5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판 날개(520w)를 갖는 수차구조로 구성된다.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530)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510)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5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이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530)은 벨트 컨베이어(510)의 전반부에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510)의 전반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벨트 컨베이 어(5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실린더(530a)와, 벨트컨베이어 (510)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530a)의 작동에 따라 하나의 지지점 역할을 하면서 벨트 컨베이어(510)가 힌지식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힌지(530b)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용 실린더 (530a)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호퍼(540)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510) 후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 어(510)에 저회를 공급한다.
지반보강재 공급수단(550)은 임의의 운송수단(예컨대, 덤프 트럭)에 의해 운송되어온 저회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54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지반보강재 공급수단(5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10) 구조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510) 구조체와는 별개의 독립구조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일체형 지반보강재 공급수단(550)은 상기 연결호퍼 (540)의 양측면부에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는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 첫단계인 포설된 보강재인 토목섬유(410)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제 1지점까지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는 지반보강재 분사장치(520)를 통하여 일정량의 저회가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지점까지 일정 두께로 상기 저회가 포설된 이후에 상기 일측 지점에서 이동없이 상기 제 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지점까지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2'단계에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530)을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510)의 전반부에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510)의 전반부는 일정 높이로 상승되고, 이로 인하여 밸트컨베이어의 전반부에 설치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를 통하여 분출되는 저회는 제 1점보다 더 이격된 제 2지점까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디 저회는 제 2지점까지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될 수 있다.
한편,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독립구조체형의 지반보강재 공급수단(550')은 자체 운전에 의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차량체로서, 외부의 운송수단(덤프 트럭)으로부터 저회를 적하받는 공급호퍼(551)와, 공급호퍼(551)의 상승 및 하강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벨트 컨베이어(552)와, 공급호퍼 (551)로부터 저회를 인계받아 연결호퍼(540)로 공급해주는 슈트(chute)(553)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며, 내부에 엔진 등이 설치되어 있는 몸체부(554)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00은 운전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회(또는 석탄회)를 사용하여 연약층의 상부에 포설하여 점성토 지반이 복합지반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단저항의 증가와 지지력 증가 및 슬라이딩 파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약층의 변형 및 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회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7)

  1. 연약층의 상부에 보강재를 포설하여 보강재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설된 보강재의 상부에 CBR(California bearing ratio)이 45% 이상인 저회를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로 포설함에 따라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의 CBR은 4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는 통일분류상으로 'SW'이며, 입도가 0.15mm 내지 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는 내부마찰각이 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의 다짐에너지와 최대건조밀도는 서로 비례관계를 갖고, 상기 저회의 최적함수비는 상기 다짐에너지와 반비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토목섬유 또는 대나무 시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포설하여 대상지역의 전체로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반이 상대적으로 더욱 연약하여 상기 포설장치의 전진이 더 이상 어려운 지점에 다달으면, 그 지점에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를 정지시키는 2단계와, 상기 정지 지점에서 들어올려져 있던 회전체를 배토판 앞으로 하강시켜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지반보강재를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하는 3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상기 3단계까지의 과정을 수 차례 반복 실행하여 상기 저회의 포설작업을 완료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장치는,
    상기 연약층 위에 상기 저회의 포설을 위해 미리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광폭의 무한궤도를 가지며, 엔진부 및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전방에 지반보강재를 밀고가는 배토판과, 상기 배토판을 주몸체부에 기계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며, 주몸체부에 힌지식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토판 고정축과,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토판 고정축을 상,하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고정축 승강장치와, 상기 배토판의 전방에 상하로 힌지식 거동이 가능하게 상기 배토판 고정축에 설치되며, 상기 배토판에 의해 밀려 적체된 상기 저회를 회전에 의해 상기 배토판의 전방으로 균질하게 분산 포설하는 상기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350s)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저회 분산 포설용의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상기 주몸체부에 연결되고 와이어 로프를 감았다 풀었다 함에 따라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 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포설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설된 보강재 위의 일측 지점에서부터 제 1지점까지 상기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1'단계와, 상기 제 1지점까지 일정 두께로 상기 저회가 포설된 이후에 상기 일측 지점에서 이동없이 상기 제 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 2지점까지 상기 저회를 일정 두께로 포설하여 상기 복토층을 형성해 나가는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장치는,
    상기 연약층 상에 포설된 상기 보강재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중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상기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회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상기 저회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반부 및 후반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높이 조절수단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상기 저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퍼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상기 저회를 공급받아 상기 연결호퍼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 구조체와 일체형으로 구성 되며, 상기 연결호퍼의 양측면부에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층에서의 상기 포설장치의 주행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1)에 의하여 테르자기(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형상 및 상기 보강재의 인장효과를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1)
    Figure 112007039553275-PAT00010
    이고,
    단, Fs는 설계안전율, γ는 부설저회 단위중량, Qd는 극한지지력. Df는 재하지역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QB는 부설저회 하중, Q는 상재하중, Nc와 Nq는 지지력 계수, QM은 장비하중, B는 장비하중 재하폭, c는 연약층 전단강도, θ는 토목섬유와 수평면과 이루는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2)에 의하여 판이론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2)
    Figure 112007039553275-PAT00011
    이고,
    Fs는 지지력, Ta는 천공시 손상을 고려한 토목섬유의 허용인장력, d는 저회포설층두께, θ는 토목섬유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 Df는 재하지역에서의 연약지반 근입깊이, R은 장비하중이 연약층에 전달되는 반경, b는 장비하중 재하폭, γ는 저회(포설저회) 단위중량, c는 연약층 전단강도, Sa는 토목섬유와 연약층의 마찰저항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성의 평가는 (식3)에 의하여 Meyerhof의 지지력공식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하되,
    상기 지지력(Fs)는
    (식3)
    Figure 112007039553275-PAT00012
    이고,
    L은 하중의 작용길이, H는 저회포설층두께, Ks는 펀칭전단계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1020070052481A 2007-05-30 2007-05-30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20080105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81A KR20080105213A (ko) 2007-05-30 2007-05-30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81A KR20080105213A (ko) 2007-05-30 2007-05-30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13A true KR20080105213A (ko) 2008-12-04

Family

ID=4036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481A KR20080105213A (ko) 2007-05-30 2007-05-30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2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0B1 (ko) * 2008-12-10 2009-12-21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매트(Mat)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 표층보강공법
WO2014088327A1 (ko) * 2012-12-04 2014-06-12 이엑스티 주식회사 변단면 파일이 설치된 지반의 물성 환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지력 산정 방법
CN108593391A (zh) * 2018-07-23 2018-09-28 四川正达检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工程土工承载比试件的成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0B1 (ko) * 2008-12-10 2009-12-21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매트(Mat)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 표층보강공법
WO2014088327A1 (ko) * 2012-12-04 2014-06-12 이엑스티 주식회사 변단면 파일이 설치된 지반의 물성 환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지력 산정 방법
CN108593391A (zh) * 2018-07-23 2018-09-28 四川正达检测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工程土工承载比试件的成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460B1 (en) Self-propelled pavement material placing machine and methods for backfilling micro-trenches
CN107287999A (zh) 刚性桩复合地基联合排水固结加固公路软土地基施工工法
CN107938455A (zh) 软土层夹玄武岩层结构的路基地基的加固结构及加固方法
CN103835203A (zh) 一种深厚软基后顶升轻质路堤结构及施工方法
CN111764214A (zh) 软土路基土工合成材料立体加固处理施工工法
EP1084301B1 (en) A method of stabilising the ground in road construction work
KR20080105213A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CN103276716B (zh) 一种过渡段cfg桩与褥垫层复合地基加固施工法
KR10046717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100607536B1 (ko) 견인수단이 구비된 다짐장치
CN104790274A (zh) 一种软基路面喷粉处理装置
KR100898806B1 (ko) 연약지반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시공방법
Breitenbach Rockfill placement and compaction guidelines
CN104790282A (zh) 一种软基路面喷浆处理装置
KR20029643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100374996B1 (ko) 부유식 벨트 콘베이어를 이용한 초연약지반의 성토공법
KR100665019B1 (ko)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포설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WO2016028234A1 (en) Subbase layer and method of its realization
KR100652508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그를 이용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200395566Y1 (ko)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포설장치
KR200325150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0314956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0356942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20100062412A (ko) 컨베이어를 구비한 성토재 포설장비
DE202004011324U1 (de) Vorrichtung und Nachverdichtungsvorrichtung zum Verdichten von Abdichtungsschichten von Deponieabdich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