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700A -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 Google Patents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700A
KR20080102700A KR1020070049452A KR20070049452A KR20080102700A KR 20080102700 A KR20080102700 A KR 20080102700A KR 1020070049452 A KR1020070049452 A KR 1020070049452A KR 20070049452 A KR20070049452 A KR 20070049452A KR 20080102700 A KR20080102700 A KR 2008010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ody portion
optical fiber
needle tube
thermal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277B1 (ko
Inventor
정병조
이용흠
이경중
신태민
임도형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27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2005/0612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using probes penetrating tissue; interstitial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인체의 피부내에 침습시켜 레이저에 의해 열을 가하는 온열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를 공급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전달하는 침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침관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침관에 내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는 광섬유가 환부 근처까지 침습하여 정확한 용량의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전통적인 온열 자극 방법인 적외선 온열 자극 방법이나, 찜질법, 한방치료에서의 쑥뜸 등의 부작용 없이,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온도의 열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Apparatus for Invasive thermal stimulation using optical fiber}
도 1은 종래기술로서 피부에 레이저가 직접 조사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료용 레이저가 생성되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외부에서 생성된 레이저를 공급받는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가 시술에 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레이저 S: 표피
T: 환부 10: 몸체부
12: 광원 14: 제어부
15: 온도센서 16: 필터
18: 집속렌즈 10a, 35b: 나사산
19: 슬롯 20: 침관
30, 30a, 30b: 결합부재 35a: 홈부
40: 광섬유 50: 광섬유 카트리지
100: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200: 채널
300: 외부 광원
본 발명은 온열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인체내의 임의의 환부에 주입시켜 열을 가할 수 있으므로, 치료에 필요한 정확한 온도로, 정확한 환부에 치료를 할 수 있는 있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화학적 작용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서 볼 수가 있지만, 생체에 대해서도 광을 조사하면 그 광학적 작용에 의해서 ATP가 생산되어 세포가 활성화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레이저 광을 생체세포를 소손(燒損)하지 않을 정도의 저 에너지로 하여 생체에 조사(照射)하면 생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환부의 자연치유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인데, 이것은 이미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한 외과수술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의료현장에는 잘 알려져 있었다.
최근 이 작용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저출력 레이저광 치료법(Low Level Laser Therapy: LLLT)이 개발되어 여러 질병분야에서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광의 생화학적 작용은 광의 파장, 편광성, 강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실험에 의하면 인체에는 600nm ~ 1000nm 범위의 편광으로서 100mW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광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은 He-Ne 레이저나 반도체 레이저 또는 YAG 레이저 등을 이용하면 발생시킬 수가 있는데 특히 크기나 가격면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가 유리하여 지금은 GaAs(파장: 904nm), GaAlAs(파장: 780~870nm), InGaAlP(파장: 630~685nm)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LLLT 요법에서 가장 보급되어 있는 것은 각종 통증치료인데 캐나다의 플로그 교수가 He-Ne 레이저를 경혈에 조사하여 통증제거에 큰 효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이 계기가 되어 발전하였다. 현재는 경혈만이 아니고 환부에 직접 조사함으로서 통증은 물론이고 질환 자체를 치유시키는데도 대단히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그 응용분야는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LLLT는 종래 난치로 알려져 있는 각종 만성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환자에의 고통도 부작용도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의료비 부담도 재래의 전통적 치료방식에 비해서 극히 적어도 된다는 등 획기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저 치료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비침습성(무수술성)임으로 인하여, 피부 및 조직 경계면에서 확률론적 에너지 확산이 매우 심하여 특정 경혈점이나 심부 조직에 온열 자극을 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경험론적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GaAs(파장: 904nm), GaAlAs(파장: 780~870nm), InGaAlP(파장: 630~685nm)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는, 인체의 피부 중 표피에서부터 확률론적으로 에너지가 확산됨으로 인해, 표피로부터 5mm 이상의 깊이에는 레이저 에너지가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온열 자극을 필요로 하는 환부가 표피로부터 5m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온열 치료를 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온열 자극 방법인 적외선 온열 자극 방법이나, 찜질법은 주로 피부나 조직을 자극할 뿐이며, 치료를 요하는 환부에 정확히 열을 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방치료에서는 환부에 침을 놓고 쑥뜸을 침에 올려서 열을 가함으로써 온열 자극하고 있으나, 침 전체가 뜨거워짐으로 인하여 조직 손상 및 온도조절의 곤란성 및 시술의 곤란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 발명자는 환자의 신체 중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온도의 열을 가할 수 있는 장치를 창안하기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 중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 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온열 자극이 가능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부에 정확한 온도의 온열을 가할 수 있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는,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전달하는 침관(20);
상기 몸체부와 상기 침관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 및
상기 침관에 내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자체적으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 상기 광원을 차단가능한 필터(14);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광원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온도센서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원(12)은 GaAs, GaAlAs, InGaAlP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에 의해 생성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는 광채널에 의해 상기 레이저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상기 레이저를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관(20)은, 일측이 원통관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0)와 결합하여 상기 레이저를 입력받고, 타측이 예각침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슬롯(19)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침관(20)의 일측에 고정 부착된 니들 홀더(30a)로서, 상기 슬롯(19)에 대한 압착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는 나사산(10a)을 가지는 슬롯(19)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침관(20)의 일측에 고정 부착된 스크류 홀더(30b)로서, 상기 슬롯(19)의 나사산(10a)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침관(20)은 다수의 광섬유(40)가 균일분포로 평행 결합된 광섬유 카트리지(50)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상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기재되어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피부에 레이저가 직접 조사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전통적인 온열 자극 방법인 적외선 온열 자극 방법이나, 찜질법은 주로 피부나 조직을 자극할 뿐이며, 치료를 요하는 환부에 정확히 열을 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방치료에서는 환부에 침을 놓고 쑥뜸을 침에 올려서 열을 가함으로써 온열 자극하고 있으나, 침 전체가 뜨거워짐으로 인하여 조직 손상 및 온도조절의 곤란성 및 시술의 곤란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전통적인 온열 방식의 단점을 해소하는 레이저 치료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비침습성(무수술성)임으로 인하여, 피부 및 조직 경계면에서 확률론적 에너지 확산이 매우 심하여 특정 경혈점이나 심부 조직에 온열 자극을 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경험론적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GaAs(파장: 904nm), GaAlAs(파장: 780~870nm), InGaAlP(파장: 630~685nm)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는, 인체의 피부 중 표피에서부터 확률론적으로 에너지가 확산됨으로 인해, 표피로부터 5mm 이상의 깊이에는 레이저 에너지가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레이저(L)가 직접 조사되는 부위(S1)를 넘어서 주위 영역(S2)에서는 빛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어 확률론적으로 급격히 확산되며, 확장 영역(S3)에서는 빛 에너지는 완전히 열 에너지로 변환됨으로 인하여 환부(T)에는 더 이상 빛 에너지가 도달하지 않고 열 에너지의 극소량만이 도달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온열 자극을 필요로 하는 환부가 표피로부터 5m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온열 치료를 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5mm 이상의 깊이에 위치한 환부에 온열용 레이저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환부로부터 5mm 이내에 레이저를 공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는, 상부에 레이저를 공급하는 몸체부(10), 결합부재(30),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다른 일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하는 침관(20), 및 침관에 내삽되는 광섬유(40)를 구비한다.
몸체부(10)는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공급할 수도 있다. 반도체 레이저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저출력의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He-Ne 레이저나 YAG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광원을 외장으로 갖추어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광원(12)은 자체 발생형과 외부 조절달형의 어느 것이든 가능하지만, 환부 치료에 적합한 전력을 출력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는, 온도센서로 레이저의 현재상태를 조사하여 필터를 통해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와,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관(20)은 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한다. 즉, 침관(20)의 일측은 몸체부에 결합되어 레어저를 전달받아, 침관(20)의 다른 일측에서 치료를 요하는 환부(T)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력한다.
침관(20)의 내부에는 레이저의 균일한 출력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의 종류 및 환부(T)의 분포에 따라 침관의 내경 및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침관(20) 내에 포함되는 광섬유(40)의 개수는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광섬유(40)를 내삽시킬 경우에는, 간편하게 삽탈가능하도록 광섬유 카트리지(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30)는 몸체부(10)와 침관(20)을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의료용 기기에서 침관(20)과 같은 일회성 자재는 언제든지 분리가능해야 하므로, 결합부재(30)는 몸체부(10)와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제1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 자극장치(100)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몸체부(10), 몸체부의 슬롯(19), 슬롯에 삽탈가능하도록 홈부(35a)를 구비하여 몸체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0a), 결합부재(30a)와 고정결합되고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타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하는 광섬유(40)를 내삽하는 침관(20), 및 침관에 내삽되어 레이저를 전달하는 광섬유(40)를 구비한다.
몸체부(10)는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공급할 수도 있다.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저출력의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광원(12)은 GaAs, GaAlAs, InGaAlP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에 의해 생성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Ne 레이저나 YAG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광원을 외장으로 갖추어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광원(12)은 자체 발생형과 외부 조달형의 어느 것이든 가능하지만, 환부 치료에 적합한 전력을 출력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는, 온도센서로 레이저의 현재상태를 조사하여 필터를 통해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와,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에 있어서, 몸체부(10)와 침관(2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a)는 침관(20)의 교체를 가능케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즉, 의료용 기 기에서 침관(20)과 같은 일회성 자재는 언제든지 분리가능해야 하므로, 결합부재(30a)는 몸체부(10)와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0)는 슬롯(19)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19)은, 레이저의 내부 통로가 되는 동시에, 침관(20)과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30a)는 니들 홀더(needle holder)로서, 슬롯(19)에 삽탈가능하도록 슬롯(19)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홈부(35a)를 구비한다. 이로써, 결합부재(30a)는 슬롯(19)에 대한 압착력에 의해 몸체부(10)와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결합부재(30a)와 고정결합된 침관(20)이 몸체부(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침관(20)은 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한다. 즉, 침관(20)의 일측은 몸체부에 결합되어 레어저를 전달받아, 타측에서 치료를 요하는 환부(T)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관(20)은 일측이 원통관의 형태를 구비하고 몸체부(10)와 결합하여 레이저를 입력받고, 타측이 예각침의 형태를 구비하여 환부에 용이하게 침투가능하여 레이저를 인가할 수 있다.
침관(20)의 내부에는 레이저의 균일한 출력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의 종류 및 환부(T)의 분포에 따라 침관의 내경 및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침관(20) 내에 포함되는 광섬 유(40)의 개수는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광섬유(40)를 내삽시킬 경우에는, 간편하게 삽탈가능하도록 광섬유 카트리지(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 카트리지(50)는 다수의 광섬유(40)가 균일분포로 평행 결합되어, 치료의 종류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확한 출력의 레이저를 균일하게 출력시키는데 유리하다.
( 제2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몸체부(10), 몸체부의 일부로서 숫나사산(10a)을 가지는 슬롯(19), 슬롯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산(35b)를 구비하여 몸체부와 스크류 결합되는 결합부재(30b), 결합부재(30b)와 고정결합되고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하는 침관(20), 및 침관에 내삽되는 광섬유(40)를 구비한다.
몸체부(10)는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공급할 수도 있다.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저출력의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광원(12)은 GaAs, GaAlAs, InGaAlP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에 의해 생성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Ne 레이저나 YAG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광원을 외장으로 갖추어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광원(12)은 자체 발생형과 외부 조절달형의 어느 것이든 가능하지만, 환부 치료에 적합한 전력을 출력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는, 온도센서로 레이저의 현재상태를 조사하여 필터를 통해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와,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에 있어서, 몸체부(10)와 침관(2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b)는 침관(20)의 교체를 가능케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즉, 의료용 기기에서 침관(20)과 같은 일회성 자재는 언제든지 분리가능해야 하므로, 결합부재(30b)는 몸체부(10)와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0)는 숫나사산(10a)을 가진 슬롯(19)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19)은, 레이저의 내부 통로가 되는 동시에, 침관(20)과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30b)는 스크류 홀더(screw holder)로서, 슬롯(19)의 나사산(10a)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숫나사산(10a)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치수를 가지는 암나사산(10b)을 구비한다. 이로써, 결합부재(30b)는 슬롯(19)에 대한 나사결합에 의해 몸체부(10)와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결합부재(30b)와 고정결합된 침관(20)이 몸체부(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침관(20)은 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레이저를 전달한다. 즉, 침관(20)의 일측은 몸체부에 결합되어 레어저를 전달받아, 타측에서 치료를 요하는 환부(T)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관(20)은 일측이 원통관의 형태를 구비하고 몸체부(10)와 결합하여 레이저를 입력받고, 타측이 예각침의 형태를 구비하여 환부에 용이하게 침투가능하여 레이저를 인가할 수 있다.
침관(20)의 내부에는 레이저의 균일한 출력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의 종류 및 환부(T)의 분포에 따라 침관의 내경 및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침관(20) 내에 포함되는 광섬유(40)의 개수는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수의 광섬유(40)를 내삽시킬 경우에는, 간편하게 삽탈가능하도록 광섬유 카트리지(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3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료용 레이저가 생성되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의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공급할 수도 있다.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저출력의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므로,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광 원(12)은 GaAs, GaAlAs, InGaAlP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에 의해 생성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12)은 자극 원리에 의해 동일한 파장의 빛을 방사시켜 생성하고, 생성된 빛을 매질에서 반복하여 반사시켜 증폭시킨 후, 이러한 빛을 슬릿을 통과시키고 대물렌즈를 이용함으로써 콜리메이트시켜서 평행한 고출력 광으로서의 레이저(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Ladiation)을 출력한다.
자체적으로 레이저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는, 광원(12), 광원을 차단가능한 필터(14), 및 필터를 통해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14), 및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침관(20)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0)는 치료에 요하는 적절한 레이저 출력을 위하여 레이저(L)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를 포함하고, 제어부(14)는 온도센서(15)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레이저의 출력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외부에서 생성된 레이저를 공급받는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는, 몸체부(10)에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He-Ne 레이저나 YAG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광원(200)을 외장으로 갖추어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의 광원(200)으로부터 레이저를 공급받는 경우에는, 레이저가 균일한 입사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채널(3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300)은, 레이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균일한 입사각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무선채널 보다는 광섬유의 유선채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가 시술에 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온열자극이 필요한 부위가 표피(S)로부터 상당히 깊숙히 위치한 부위일 경우에는, 레이저의 성질이 유지된 채 환부 근처에 에너지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무릎의 연골부위(C)는 열류가 흐르지 못하여 차가워지기 쉽고 관절염이 쉽게 발생하며, 시리고 통증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의 침관(20)이 연골 부위(C)까지 침습하여 광에너지 및 열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는 광섬유가 환부 근처까지 침습하여 정확한 용량의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전통적인 온열 자극 방법인 적외선 온열 자극 방법이나, 찜질법, 한방치료에서의 쑥뜸 등의 부작용 없이,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온도의 열을 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한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으로부터 치환, 소 거, 병합 등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몸체부(10)에서 슬롯(19)을 구비하고 결합부재(30)에서 슬롯을 밀착결합 또는 암나사 결합에 의해 삽탈가능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그와 반대로 결합부재(30)에서 슬롯(19)을 구비하고 몸체부(10)에서 밀착결합 또는 암나사 결합에 의해 삽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균등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신체 중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온열 자극이 가능한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부에 정확한 온도의 온열을 가할 수 있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100)는 광섬유가 환부 근처까지 침습하여 정확한 용량의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전통적인 온열 자극 방법인 적외선 온열 자극 방법이나, 찜질법, 한방치료에서의 쑥뜸 등의 부작용 없이, 치료를 요하는 환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온도의 열을 가할 수 있다.

Claims (11)

  1. 광원을 구비한 몸체부;
    그 내부에 광섬유를 구비하며,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절단면을 가지는 침관;을 구비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광원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3. 생체 치료용 레이저를 공급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전달하는 침관(20);
    상기 몸체부와 상기 침관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 및
    상기 침관에 내포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자체적으로 레이저를 생성하는 광원(12); 상기 광원을 차단가능한 필터(14);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레이저 광선을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광원에 의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온도센서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출력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2)은 GaAs, GaAlAs, InGaAlP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하는 반도체에 의해 생성된, 반도체 레이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광채널에 의해 상기 레이저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상기 레이저를 집속시켜 상기 침관을 향해 출력하는 집속렌즈(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20)은, 일측이 원통관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0)와 결합하여 상기 레이저를 입력받고, 타측이 예각침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슬롯(19)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침관(20)의 일측에 고정 부착된 니들 홀더(30a)로서, 상기 슬롯(19)에 대한 압착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나사산(10a)을 가지는 슬롯(19)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침관(20)의 일측에 고정 부착된 스크류 홀더(30b)로서, 상기 슬롯(19)의 나사산(10a)에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침관(20)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11.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관(20)은 다수의 광섬유(40)가 균일분포로 평행 결합된 광섬유 카트리지(50)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KR1020070049452A 2007-05-22 2007-05-22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KR10091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52A KR100914277B1 (ko) 2007-05-22 2007-05-22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52A KR100914277B1 (ko) 2007-05-22 2007-05-22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700A true KR20080102700A (ko) 2008-11-26
KR100914277B1 KR100914277B1 (ko) 2009-08-27

Family

ID=402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52A KR100914277B1 (ko) 2007-05-22 2007-05-22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57B1 (ko) * 2008-07-18 2011-0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
KR20160116272A (ko) * 2015-03-27 2016-10-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진동,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다중 자극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90B1 (ko) 2009-06-29 2011-11-30 광주과학기술원 광섬유에 금속을 전기 도금한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3856B1 (ko) * 2010-09-02 2011-05-16 주식회사 투아이스펙트라 뜸 및 마사지용 레이저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41U (ko) * 1999-04-22 1999-10-05 이종영 1회용광섬유침
US6503269B2 (en) * 2000-06-12 2003-01-07 Scott A. Nield Method of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using optical energy and optical temperature feedb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57B1 (ko) * 2008-07-18 2011-0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
KR20160116272A (ko) * 2015-03-27 2016-10-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진동,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다중 자극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277B1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58B1 (ko) 침습형 이중 파장 레이저 침
US6355054B1 (en) Laser system for improved transbarrier therapeutic radiation delivery
US20060276861A1 (en) Non-invasive method and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nasal obstruction
US6413267B1 (en) Therapeutic laser device and method including noninvasive subsurface monitoring and controlling means
US9782221B2 (en) Treatment using low intensity laser therapy
EP1991315B1 (en) An applicator for treating skin
KR101877320B1 (ko)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US20120116271A1 (en) Cellulite treatment
CN102281917A (zh) 软组织的光热治疗
US20080269734A1 (en) Optical Array for Treating Biological Tissue
BR112014027439B1 (pt) Sistema para remoção minimamente invasiva de gordura em uma área-alvo
KR100914277B1 (ko)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EP2672912B1 (en) Fiber embedded hollow needle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laser energy
US9149647B2 (en) Method for deep tissue laser treatments using low intensity laser therapy causing selective destruction of Nociceptive nerves
KR20110002594A (ko) 다중 파장 레이저 침 장치
Schikora Laserneedle acupuncture: a critical review and recent results
Möller et al. Interstitial laser thermotherapy: comparison between bare fibre and sapphire probe
US116484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regeneration
CN214049056U (zh) 一种弧面理疗头
KR102190881B1 (ko) 복합파장 및 프로그램화된 스캔핸드피스를 사용한 고강도 통증치료용 레이저장치
KR20100092077A (ko) 의학 치료용 멀티 레이저 장치
KR100457964B1 (ko) 레이저빔 조사장치
KR100503594B1 (ko) 광화학적 치료용 레이저/엘이디 샤워
RU23790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тканевого об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ткани лазерным излучением
KR101381031B1 (ko) 광 파워밀도 조절이 용이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