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696A -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696A
KR20080102696A KR1020070049441A KR20070049441A KR20080102696A KR 20080102696 A KR20080102696 A KR 20080102696A KR 1020070049441 A KR1020070049441 A KR 1020070049441A KR 20070049441 A KR20070049441 A KR 20070049441A KR 20080102696 A KR20080102696 A KR 20080102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soap
chrysanthemum
grass
soa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468B1 (ko
Inventor
강창석
박정욱
Original Assignee
강창석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석, 박정욱 filed Critical 강창석
Priority to KR102007004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46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비누베이스에 줄 풀, 국화, 탱자 등의 한방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는 물론 각질제거효과가 우수한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방비누, 줄 풀, 국화, 탱자, 수세미,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치료

Description

한방비누조성물 및 제조방법{Medicinal herbs soap compos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통상의 비누베이스에 줄 풀, 국화, 탱자 등의 한방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는 물론 각질제거효과가 우수한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한방에서는 태열이라고도 불리우는 유전적 민감성 피부염으로, 주된 유발원인은 가계적 또는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환경 공해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유전적인 잠재적 유발 소인을 더욱 강력하게 드러나도록 할 뿐 아니라, 유전적 소인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아토피성 피부염을 빈발시키고 있다고 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환경 변화 (음식, 기후, 특정 물질 변화)에 대해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하는 것으로, 환경공해가 인간의 면역체계 질서를 파괴시키기 때문에 유전적 소인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빈발하게 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종래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하 거나 피부에 도포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고 면역기전 장해로 인하여 감염이 악화되며, 장기간 외용할 경우에도 피부 저항력을 약화시키는 부작용 뿐 아니라, 그 사용을 중지할 경우 스테로이드성 접촉성 피부염이라는 심각한 증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여드름은 얼굴이나 가슴, 목, 어깨 등의 상단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그의 발병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리라 추정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피지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과 모피지선(毛皮脂膳)에서 번식하여 피지를 분해하고 유리지방산을 생성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가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으로 추정된다. 즉, 안드로겐에 의해 피지선이 비대해지고 피지분비가 왕성해지며 모낭벽세포(follicular epithelial cell)에 이상각화가 일어나 모낭구가 막혀 피지가 배출되지 못하여 정체되고 여기에 혐기성 여드름균(P.acnes)이 번식하여 지방을 분해, 유리지방산을 형성한다. 유기지방산은 모낭 벽을 직접 자극하고 진피내로도 들어가 염증을 일으킨다.
여드름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직접 피부에 크림이나 액상의 치료제,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카본, 살리실산, 아젤라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레티온산 등을 도포하는 경우와 항생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천연물이 아닌 합성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도포할 경우 피부에 심한 자극을 주어 장기간 사용하면 접촉 피부염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따라 환경공해와 함께 점차 증가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및 여드름 환자들에 대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고 상시 사용 가능한 치료 방법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일반적인 비누(soap)는 고급 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으로 된 피부 세정용 생활용품으로서, 피부를 세척하여 기름용 때(노폐물)를 제거하고 이에 의해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비누는 통상적으로 피부의 세정을 통해 노폐물 제거에는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나 피부자극 등에 의한 여드름이나 기미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미용효과 및 아토피성 비누 제품이 계속 출시되고 있으나 새로운 피부자극을 유발하거나 피부병을 유발시키는 등의 부작용에 따른 폐해가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통상적인 비누 베이스에 합성화학물질이 아닌 접촉 피부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천연 한방 생약성분인 줄 풀, 국화 및 탱자나무를 첨가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는 물론 각질제거효과가 우수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줄 풀, 국화 및 탱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비누조성물은 추가로 프로폴리스(propolis), 갈대뿌리 및 수세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한방생약 추출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한방 생약성분 및 그 약효는 다음과 같다.
줄 풀(Zizania Linne)은 강 옆이나 연못, 방죽 같은 데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벼과에 딸린 여리 해 살이 풀로서, 잎과 뿌리, 줄기에는 단백질과 정유, 회분, 그리고 미네랄 성분, 유기 게르마늄이 많이 들어 있다. 줄 풀을 끓인 물에 목욕을 하면 섭씨 180도에서도 죽지 않는 특이한 미생물이 생기며, 이러한 미생물의 작용으로 줄 풀을 끓인 물은 상온에서 오랫동안 두어도 상하거나 변질되지 않으며 이 물로 목욕을 하면 피부 깊숙이 숨어 있는 온갖 병균과 노폐물, 독소들이 몸 밖으로 빠져 나와 몸이 날아갈 듯이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살결이 고와지고 습진, 옴, 종기, 당뇨병, 고혈압, 중풍, 심장병, 변비, 비만, 동맥경화 등의 질병에 효과가 있고, 몸 안에 있는 온갖 독을 풀어주고 대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줄 풀에 들어 있는 게르마늄 성분은 몸 안에서 산소의 양을 늘려 주고 세포의 노화를 막으며, 무기 게르마늄과는 달리 독성이나 부작용 없다.
국화는 여러 해 살이 풀로서, 꽃에는 향기가 있고 정유를 지니고 있으며, 두통, 현기증, 안질 등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또한 그 향과 몸에 유익한 성분들이 풍부하여 술이나 음료 등의 재료로 쓰이고 있다.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tin)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3m에 달하며, 날카로운 가시가 많고, 가지는 녹색이며 꽃은 백색으로 5월에 피며 가을에 탁구공 크기의 노란 열매가 맺힌다. 이 열매는 인체에 독성이 없기 때문에 악효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서,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탱자나무는 항염,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있다.
프로폴리스는 단일물질이 아니고 여러 가지 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로서 지금까지 약 149가지 화합물과 22가지 미네랄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수지가 50%, 밀납30%, 정유 등의 유성성분 10%, 화분 5%, 유기물 및 미네랄 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폴리스 속에는 후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바이러스에 대하여 탁월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다.
갈대(reed)는 학명이 Phragmites communis이며 외떡잎식물 화본목 화본과에 속하며,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갈대는 코이졸(coixol),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아스파라긴, 셀룰로오스, 리그닌, 자일란(xylan), 회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효로는 새살을 나게 하고 상처 흔적을 남지 않게 하며, 진토(鎭吐), 소염(消炎), 이뇨, 해열, 해독작용이 있다.
수세미는 약용 부분이 실 모양으로 여러 층 얽혀 있고 그 모양과 길이가 오이와 비슷하며, 주요 성분은 사포닌, 기베를린, 갈락토스, 크실로스 등이다. 수세미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이뇨작용과 해독작용이 있으며, 또한 서늘하고 보습효과가 있어서 이전부터 수세미 줄기를 잘라 수액을 받아 화장수로 사용하였으며, 수세미 열매 혹은 즙을 내어 피부에 발라주면 가려움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약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줄 풀, 국화, 탱자의 추출물은 꽃, 잎, 줄기 및 뿌리로부터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방비누 조성물에서 줄 풀, 국화 및 탱자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미약하며, 3종을 동시에 혼합 사용하는 것이 상승효과가 있다. 줄 풀, 국화 및 탱자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지만, 각각 균등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줄 풀, 국화, 탱자는 채취한 생것 그대로 또는 건조시켜 물과 대등한 비율로 배합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15 내지 20시간 달여서 약 10분의 1정도로 축소, 압축시켜서 혼합 추출 농축액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비누조성물은 통상의 비누 베이스에 줄 풀, 국화 및 탱자의 혼합추출물을 0.1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을 0.1중량% 미만 사용할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의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30중량% 이상 사용할 때에는 과량 사용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증가를 기대할 수 없고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비누 제품은 줄 풀, 국화, 탱자나무 이외에 프로폴리스(Propolis), 갈대뿌리 및 수세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한방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한방비누는 필요에 따라 색소, 살균제, 소염제, 산화방지제, 방부제등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줄 풀, 국화, 탱자나무, 프로폴리스(Propolis), 갈대뿌리, 수세미 등의 한방재료의 혼합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베이스에 배합시켜 대기온도에서 4 내지 6주간 방치하여 물이 증발시켜 고형의 한방비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대기에서 장시간 자연 건조시키기 때문에 줄 풀, 국화, 탱자나무 등의 약효성분들이 파괴되지 않고 비누베이스에 그대로 골고루 흡수되어 치료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비누 조성물은 줄 풀, 국화, 탱자나무, 프로폴리스(propolis), 갈대뿌리, 수세미 등의 한방생약 성분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항진균, 항염 및 보습효과의 시너지 작용을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의 특징인 피부 건조 및 습진을 개선하고 미생물에 의한 2차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하며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비누조성물은 피부염,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높고 또한 각질제거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순수한 식물성 약재 추출물을 사용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이 상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화장비누 베이스 98.5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의 혼합 추출물 0.5중량%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비누 베이스 95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 프로 폴리스의 혼합 추출물 5중랑%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화장비누 베이스 85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 갈대뿌리의 혼합 추출물 15중량%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화장비누 베이스 80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 수세미의 혼합 추출물 20중랑%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화장비누 베이스 82중랑%(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 프로폴리스, 수세미의 혼합 추출물 18중량%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화장비누 베이스 75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줄 풀, 국화, 탱자, 프로폴리스, 갈대뿌리, 수세미의 혼합 추출물 25중량%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장비누 베이스 95중량%(수분 14중량% 포함)와 수세미 추출물 5중량%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한방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한방비누 조성물에 대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여 위하여 여드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피부에서의 미생물수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해 보았다.
피시험자의 상박 내측에 지금 47mm의 영양 평판 배지를 첨보시키고 30분 동안 피부 미생물이 복제되도록 기다린 후 떼어서 37℃에서 1일간 배양하여 집착수를 측정하고 이것을 세정전의 미생물 수로 한다. 2일 경과 후 같은 피시험자의 상박 내측을 한방비누 조성물로 세정하고 1분 경과 후에 같은 방법으로 영양 평판 배지를 첩보하고 30분 후 떼어서 37℃에서 1일 배양 후 미생물수를 측정하여 세정수의 미생물수로 한다. 그리고 미생물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식으로 미생물 제거율을 구한다.
(세정전의 미생물수 - 세정 후 미생물 수)/(세정 전 미생물수) x 100
미생물 제거율은 90%이상이 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영양배지는 육즙 3그람, 펩톤 5그람, 한천 15그름을 1리터 멸균수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표 4에서 미생물수와 미생물 제거율은 10명에서 측정한 수치를 평균하여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0750490575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줄 풀, 국화, 탱자, 프로폴리스, 갈대뿌리, 수세미의 한방생약 성분을 함유한 한방비누는 미생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율이 94% 이상으로 높으며,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1-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한방비누 조성물 100g으로 남,여 3-5세 유아패널 50명을 대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치료효과 및 각질제거 효과에 대한 패널 평가 테스트를 하였다. 사용기간은 4주이며 가려움증 부위에 한방비누로 각각 아침과 저녁에 2회 걸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5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5점 척도법]
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패널시험 평균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7504905756-PAT00002
Figure 112007504905756-PAT00003
상기 표1의 패널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6이 아토피성 질환, 여드름 질환의 치료효과 및 각질 제거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통상의 베이스에 수세미를 단독 사용한 화장비누는 효과가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줄 풀, 국화, 탱자, 프로폴리스, 갈대뿌리, 수세미의 한방생약 성분의 추출물을 함유한 한방비누 조성물은 아토피성 질환, 여드름 질환의 치료효과 및 각질 제거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또한 순수한 식물 추출물로서 인체에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이 상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통상적인 화장비누베이스에 줄 풀, 국화 및 탱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줄 풀, 국화, 탱자의 혼합추출물이 줄 풀, 국화, 탱자를 채취한 생것 그대로 또는 건조시킨 것을 물과 균등한 비율로 배합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15 내지 20시간 달여서 약 10분의 1정도로 축소, 압축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비누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줄 풀, 국화, 탱자의 혼합추출물이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중랑%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비누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프로폴리스(propolis), 갈대뿌리 및 수세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한방비누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효과, 여드름치료효과 또는 각질제거효과를 갖는 한방비누조성물.
  6. 줄 풀, 국화, 탱자를 채취한 생것 그대로 또는 건조시킨 것을 물과 균등한 비율로 배합하여 100℃ 이상의 온도로 15 내지 20시간 달여서 약 10분의 1정도로 축소, 압축시켜 혼합 추출물을 얻고, 이러한 혼합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 베이스에 배합시켜 대기온도에서 4 내지 6주간 유지시켜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049441A 2007-05-22 2007-05-22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10089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41A KR100892468B1 (ko) 2007-05-22 2007-05-22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41A KR100892468B1 (ko) 2007-05-22 2007-05-22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96A true KR20080102696A (ko) 2008-11-26
KR100892468B1 KR100892468B1 (ko) 2009-04-10

Family

ID=402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41A KR100892468B1 (ko) 2007-05-22 2007-05-22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19B1 (ko) * 2009-03-27 2011-09-14 전라남도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2162A (ko) 2014-02-27 2015-09-07 주식회사 지본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75A (ko) * 2012-10-22 2014-04-30 셀루스 주식회사 갈대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샴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66A (ko) * 1997-07-07 1999-02-05 김선자 피부의 세정 및 미용을 위한 비누의 조성물
KR100472052B1 (ko) * 2003-02-24 2005-02-21 (주)애지바이오화장품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19B1 (ko) * 2009-03-27 2011-09-14 전라남도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2162A (ko) 2014-02-27 2015-09-07 주식회사 지본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468B1 (ko) 200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4042528A (zh) 草本养发防脱去屑洗发原液及制作方法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6109898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CN104403843A (zh) 一种手工皂及制备方法
KR101427099B1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392445B (zh) 一种草本止痒露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9055048A (zh) 一种纯天然保湿祛痘手工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010178B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KR20190068361A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274811B1 (ko) 소엽추출물 및/또는 해금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7083B1 (ko) 싸리나무오일이 첨가된 천연비누 제조 방법
KR100892468B1 (ko) 고형의 한방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3356468B (zh) 剥离型白芨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KR102227533B1 (ko)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101896252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CN105997826A (zh) 一种含纳米银的婴童中药洗手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