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606A - 파우치형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606A
KR20080102606A KR1020070049249A KR20070049249A KR20080102606A KR 20080102606 A KR20080102606 A KR 20080102606A KR 1020070049249 A KR1020070049249 A KR 1020070049249A KR 20070049249 A KR20070049249 A KR 20070049249A KR 20080102606 A KR20080102606 A KR 2008010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pouch typ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383B1 (ko
Inventor
정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83B1/ko
Priority to JP2007243813A priority patent/JP5248069B2/ja
Priority to US12/036,006 priority patent/US8034481B2/en
Priority to CN2008100912647A priority patent/CN101312253B/zh
Publication of KR2008010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83B1/ko
Priority to US13/196,167 priority patent/US8268483B2/en
Priority to US13/312,185 priority patent/US83183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장재의 부식 및 내부에서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실링부를 구비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극 탭이 가로지르는 끝단 중 하나 또는 둘 다 실링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두께가 얇은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극 탭과 파우치 외장재의 금속층을 단락시킴으로써, 외장재의 금속층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장재 내에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는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 탭 테이프, 부식, 스웰링

Description

파우치형 이차 전지{Pouch type secondary battery}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구비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b 및 도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부 외장재 120 : 상부 실링부
200 : 하부 외장재 210 : 공간부
220 : 하부 실링부 300 : 외장재
310 : 열융착층 320 : 금속층
330 : 절연막 400 : 전극 조립체
410 : 양극판 415, 615 : 양극 탭
420 : 음극판 425, 625 : 음극 탭
430 : 세퍼레이터
510, 510´, 510˝, 520, 710, 720 : 탭 테이프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장재의 부식 및 내부에서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형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캔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 파우치형은 금속포일층과 상기 금속포일층의 상면과 하면에 코팅되는 합성수지층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파우치 외장재를 사용하여 외관을 구성하기 때문에, 금속 캔을 사용하는 원통형 또는 각형보다 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이차 전지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직방형 외장재를 한 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을 접철하여 상부 외장재와 하부 외장재로 이루어진다. 하부 외장재에는 프레스(press) 가공 등을 통해 공간부가 형성된다.
하부 외장재의 공간부에는 판형의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을 적층하고, 와형으로 권취된 젤리 롤(Jelly roll) 형상의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다.
하부 외장재의 공간부 주위의 가장자리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 외장재의 가장자리를 밀착시키고 밀착된 부분을 가열 가압하면 밀봉된 형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형성된다.
전극 조립체의 양극과 음극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탭이 형성된다. 이들 전극 탭은 젤리 롤이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젤리 롤에서 돌출되어, 외장재의 밀봉된 한 변을 통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극 탭들은 알루미늄, 구리 또는 니켈로 형성되며, 큰 전압 강하 없이 전류의 통로가 될 만큼 충분한 두께 및 치수를 가져야 한다.
외장재 내면의 폴리머막과 전극 탭 사이의 접착을 강화하기 위해 폴리머막 표면에 특정 성분을 함유시키거나, 접착 성분을 가진 별도의 접착 테이프를 전극 탭과 외장재가 겹치는 부분의 전극 탭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외장재를 접촉시켜 융착시킬 때 온도와 압력이 지나치게 높거나, 융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이유로 외장재 내측면의 폴리머막이 밀려나거나 손상되어 전극 탭과 외장재의 금속 포일 사이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전극 탭이 금속 포일과 단락이 이루어질 경우, 금속 포일을 통해 두 전극 탭 사이에 방전이 이루어져 과열 및 스웰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불량으로 인한 제품 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음극을 갖는 전극 탭과 외장재의 금속 포일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금속 포일이 음극 전위로 이동하면서 1V 이하의 금속 부식 전위에 도달한 후 장시간에 거쳐 부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장재의 차단 능력이 떨어지면서 전극 조립체 내부의 유기 전해액이 증발되거나 외부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어 외장재 내에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장재의 금속층을 양극 탭과 의도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실링부를 구비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극 탭이 가로지르는 끝단 중 하나 또는 둘 다 실링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두께가 얇은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연성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장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일면에 형성되는 열융착층 및 상기 열융착층이 형성되는 반대되는 금속층의 면에 형성되는 절연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금속층은 상기 양극 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구비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1b 및 도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a 내지 도1c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상부 외장재(100) 및 하부 외장재(200)로 이루어지는 외장재(300)에 전극 조립체(400)를 수용하여 밀봉함으로써 베어 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양한 보호회로 및 PTC 소자, 써미스터 등의 안전 소자들을 구비하며, 이차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차 전지의 과열,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의 이상 동작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보호회로기판을 더 구비한 코어 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 팩 형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가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외장재(100, 200)는 일 가장자리면이 일체로 접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면들은 개방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외장재(100) 또는 하부 외장재(200) 중 어느 한 외장재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4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210)가 프레스(press) 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외장재(200)에 공간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공간부(210)를 따라 열융착하여 밀봉시킬 수 있는 밀폐면 역할을 하는 하부 실링부(220)가 하부 외장재(20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부 외장재(200)는 하부 실링부(220)에 대응되는 상부 실링부(120)를 포함한다.
외장재(300)는 열융착성을 가져 실링재 역할을 하는 열융착층(310),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며,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 역할을 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층(320) 및 절연막(330)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외장재(300)는 금속층(320)을 중심으로 일면에는 열융착층(310)이 형성되며, 열융착층(310)이 형성되는 반대면에 절연막(330)이 형성된다.
금속층(320)은 통상의 알루미늄, 스틸, 스텐레스 스틸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융착층(310)은 변성 폴리프로필렌(Casted Polypropylene : CPP) 또 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3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조립체(400)는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410),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420) 및 상기 양극판(410)과 음극판(4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430)를 젤리 롤(Jelly role)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410)은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극판(410) 일면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양극 탭(415)이 젤리-롤이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접합된다.
상기 음극판(420)은 니켈(Ni)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극판(420) 일면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음극 탭(425)이 젤리-롤이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접합된다.
또한, 양극 탭 및 음극 탭(415, 425)에는 밀봉을 돕는 접착성 탭 테이프(510, 520)가 실링부(120, 220)와 겹치는 부분에 구비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실링부(120, 220)가 융착되는 경우에 양극 탭(415)이 외장재(300)의 금속층(320)과 쉽게 단락이 될 수 있도록,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는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425)와 다른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다.
즉,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는 양극 탭(415)이 돌출되는 방 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11)이 실링부(120, 220)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반면,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는 음극 탭(425)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21)이 실링부(120, 220)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가 음극 탭(425)이 실링부(120, 220))와 단락되지 않도록 음극 탭(425)를 감싸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A영역에서와 같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가 탭 테이프(510)의 개재없이 직접 융착되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이 단락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극 탭(415)이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과 단락되기 때문에, 금속층은 1V 이하의 부식 전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의 재질이 음극 탭(5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의 재질보다 더 연성이거나 용융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여 더 빨리 용융되어 단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한 이하 설명에서, 참조 번호(120, 220, 400, 425, 425, 520)는 도1의 참조 번호(120, 220, 400, 425, 425, 52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는 전 극 조립체(400)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17)이 실링부(120, 220)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반면,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는 전극 조립체(400)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23)이 실링부(120, 220)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가 음극 탭(425)이 실링부(120, 220)와 단락되지 않도록 음극 탭(425)를 감싸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B영역에서와 같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가 탭 테이프(510´)의 개재없이 직접 융착되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이 단락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극 탭(415)이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과 단락되기 때문에, 금속층은 1V 이하의 부식 전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의 재질이 음극 탭(5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의 재질보다 더 연성이거나 용융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여 더 빨리 용융되어 단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결합 상태의 평면도 및 양극 탭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한 이하 설명에서, 참조 번호(120, 220, 400, 425, 425, 520)는 도1의 참조 번호(120, 220, 400, 425, 425, 52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는 양 극 탭(415)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15) 및 전극 조립체(400)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17)이 실링부(120, 220)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반면,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는 음극 탭(425)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25) 및 전극 조립체(400) 방향으로 형성되는 끝단(527)이 실링부(120, 220)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음극 탭(4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가 음극 탭(425)이 실링부(120, 220)와 단락되지 않도록 음극 탭(425)를 감싸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C영역 및 D영역에서와 같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가 탭 테이프(510˝)의 개재없이 직접 융착되어 양극 탭(415)과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이 단락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극 탭(415)이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과 단락되기 때문에, 금속층은 1V 이하의 부식 전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4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10˝)의 재질이 음극 탭(5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520)의 재질보다 더 연성이거나 용융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여 더 빨리 용융되어 단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탭을 감싸는 탭 테이프의 네 가장자리 중에서, 양극 탭이 가로지르는 두 가장자리 중 하나 또는 둘 다 실링부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양극 탭과 실링부가 탭 테이프 개재없이 융착되어 양극 탭과 실링부의 금속층이 단락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극 탭이 실링부의 금속층과 단락되기 때문에, 금속층은 1V 이하의 부식 전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한 이하 설명에서, 참조 번호(100 ~ 430)는 도1의 참조 번호(100 ~ 43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양극판(410)으로부터 돌출되는 양극 탭(615)과 음극판(420)으로부터 돌출되는 음극 탭(625)에는 각각 밀봉을 돕는 접착성 탭 테이프(710, 720)가 실링부(120, 220)와 겹치는 부분에 구비된다.
이때, 양극 탭(6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710)는 음극 탭(6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720)보다 얇게 형성한다.
따라서, 실링부(120, 220)가 온도 및 압력에 의해 융착되는 경우, 얇은 탭 테이프(710)가 쉽게 손상되므로, 양극 탭(615)이 외장재(300)의 금속층(320)과의 단락이 용이하게 된다.
양극 탭(615)이 실링부(120, 220)의 금속층(320)과 단락되면, 금속층(320)은 1V 이하의 부식 전위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외장재 내에 발생하는 부식 및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얇은 탭 테이프(710)를 구비하는 양극 탭(615)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탭 테이프(720)를 구비하는 음극 탭(625)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즉, 양극 탭(615)의 두께와 양극 탭(61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710)의 두께를 합한 두께가 음극 탭(625)의 두께와 음극 탭(625)에 구비되는 탭 테이프(720)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두께의 불균형으로 인한 융착 지점이 서로 상이하여 실링부의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독립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제4 실시예도 함께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양극 탭과 파우치 외장재의 금속층을 단락시킴으로써, 외장재의 금속층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장재 내에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는 스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실링부를 구비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극 탭이 가로지르는 끝단 중 하나 또는 둘 다 실링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부 외장재; 및
    상기 상부 외장재와 일 가장자리면이 접합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부 외장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상부 외장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부 실링부; 및
    상기 하부 외장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하부 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일면에 형성되는 열융착층; 및
    상기 열융착층이 형성되는 반대되는 금속층의 면에 형성되는 절연막으로 이루어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양극 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층은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연성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은 상기 음극 탭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의 두께와 상기 제2 탭 테이프의 두께를 합한 두께가 상기 음극 탭의 두께와 상기 제1 탭 테이프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3.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
    상기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음극 탭; 및
    상기 양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두께가 얇은 제2 탭 테이프를 포함하는 양극 탭을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가장자리에 상부 실링부를 포함하는 상부 외장재; 및
    가장자리에 하부 실링부를 포함하는 하부 외장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외장재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일면에 형성되는 열융착층; 및
    상기 열융착층이 형성되는 반대되는 금속층의 면에 형성되는 절연막으로 이루어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양극 탭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층은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연성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은 상기 음극 탭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탭 테이프는 상기 제1 탭 테이프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의 두께와 상기 제2 탭 테이프의 두께를 합한 두께가 상기 음극 탭의 두께와 상기 제1 탭 테이프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20070049249A 2007-05-21 2007-05-21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0891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49A KR100891383B1 (ko) 2007-05-21 2007-05-21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2007243813A JP5248069B2 (ja) 2007-05-21 2007-09-20 パウチ型二次電池
US12/036,006 US8034481B2 (en) 2007-05-21 2008-02-22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N2008100912647A CN101312253B (zh) 2007-05-21 2008-04-23 袋型二次电池
US13/196,167 US8268483B2 (en) 2007-05-21 2011-08-02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13/312,185 US8318348B2 (en) 2007-05-21 2011-12-06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49A KR100891383B1 (ko) 2007-05-21 2007-05-21 파우치형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06A true KR20080102606A (ko) 2008-11-26
KR100891383B1 KR100891383B1 (ko) 2009-04-02

Family

ID=4007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49A KR100891383B1 (ko) 2007-05-21 2007-05-21 파우치형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034481B2 (ko)
JP (1) JP5248069B2 (ko)
KR (1) KR100891383B1 (ko)
CN (1) CN10131225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8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13157823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과 음극의 용접 부위 형상이 다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428002B1 (ko) * 2009-07-16 2014-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발적 내부식층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 제조방법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
US8802281B2 (en)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US9005783B2 (en) 2009-12-08 2015-04-14 Samsung Sdi Co., Ltd. Pouch-type rechargeable battery with polarized body and cover
WO2017171353A1 (ko)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
US11394093B2 (en) 2019-02-14 2022-07-19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1345B2 (en) * 2007-11-30 2013-08-06 A123 Systems Llc Battery cell design with asymmetrical terminals
KR101108118B1 (ko) * 2008-11-27 2012-01-31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KR101403930B1 (ko) *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US9048487B2 (en) * 2010-09-13 2015-06-0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13482B1 (ko) 2010-12-14 2012-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254865B1 (ko) * 2011-03-10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709645B2 (en) * 2011-07-01 2014-04-29 Apple Inc. Battery pouch sheet edge insulation
KR101240753B1 (ko) 2011-07-06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099761B2 (en) * 2011-10-07 2015-08-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emperature protection element connected to lead tab and connection tab
KR101488411B1 (ko) * 2012-01-02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결부재, 측면 지지부재 및 하단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04105355A (zh) * 2013-04-12 2014-10-1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改善金手指耐腐蚀性能的方法、制造pcb板的方法及pcb板
KR20140136831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8312B1 (ko) * 2013-09-26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US10079370B2 (en) * 2014-11-28 2018-09-18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8117654A1 (ko) 2016-12-20 2018-06-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3561898A4 (en) * 2016-12-20 2020-08-26 SK Innovation Co., Ltd. POCKET-TYPE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07316972A (zh) * 2017-07-26 2017-11-03 苏长敏 应用于锂离子电池的导电极耳胶及阻燃导电极耳胶组件
KR102328646B1 (ko) * 2017-10-25 2021-1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1276873B2 (en) * 2019-04-15 2022-03-15 Sk Innovation Co., Ltd. Superwid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double tabs
CN110137425A (zh) * 2019-06-21 2019-08-16 珠海冠宇电池有限公司 一种改善锂离子电池电化学腐蚀的方法
CN111900272B (zh) * 2020-06-30 2022-12-27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DE102022106690A1 (de) 2022-03-22 2023-09-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 und Batteriestack mit Potentialausgleich zur Umhüll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4567A (en) * 1915-09-14 1917-07-24 Edward J Quigley Soft collar.
KR200328155Y1 (ko) * 1998-10-13 2003-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CN1330019C (zh) * 1998-11-06 2007-08-01 株式会社杰士汤浅 非水二次电解质电池
JP4169426B2 (ja) * 1999-03-29 2008-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薄型電池
JP2000353502A (ja) * 1999-06-11 2000-12-19 Gs-Melcote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201459B2 (ja) * 2000-03-31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288769C (zh) * 2001-01-18 2006-1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以及引线绝缘膜
KR100544119B1 (ko) 2003-06-24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516774B1 (ko) 2003-10-16 2005-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561303B1 (ko) 2004-09-22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786936B1 (ko) * 2004-10-14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특성이 개선된 이차전지
JP4961673B2 (ja) * 2005-03-08 2012-06-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用タブリードの製造方法
KR100684724B1 (ko) * 2005-04-2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안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002B1 (ko) * 2009-07-16 2014-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발적 내부식층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 제조방법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
US9005783B2 (en) 2009-12-08 2015-04-14 Samsung Sdi Co., Ltd. Pouch-type rechargeable battery with polarized body and cover
US8802281B2 (en)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WO2013157827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형상의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13157823A1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과 음극의 용접 부위 형상이 다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0103385B2 (en) 2012-04-16 2018-10-16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athode and anode having different welding portion shap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7171353A1 (ko)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
KR20170111994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
US11394093B2 (en) 2019-02-14 2022-07-19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48069B2 (ja) 2013-07-31
US20110287294A1 (en) 2011-11-24
US8318348B2 (en) 2012-11-27
US8268483B2 (en) 2012-09-18
US8034481B2 (en) 2011-10-11
JP2008288186A (ja) 2008-11-27
CN101312253A (zh) 2008-11-26
KR100891383B1 (ko) 2009-04-02
US20120077071A1 (en) 2012-03-29
US20080292962A1 (en) 2008-11-27
CN101312253B (zh)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38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CN109473572B (zh) 具有利用排出气体断开连接器的结构的电池模块
KR100561284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7722984B2 (en) Reinforce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101216422B1 (ko) 실링부의 절연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487880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5254332B2 (ja) 大容量電池パック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2003242952A (ja) 2次電池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8417A (ko) 배터리 팩
KR20080087192A (ko) 우수한 내구성의 이차전지
KR101261243B1 (ko) 변형된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2179687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1549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154600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24355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한 안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090127398A (ko) 이차 전지
KR10145825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4258461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67042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60034508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2013152935A (ja) 大容量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