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364A -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364A
KR20080102364A KR1020087018664A KR20087018664A KR20080102364A KR 20080102364 A KR20080102364 A KR 20080102364A KR 1020087018664 A KR1020087018664 A KR 1020087018664A KR 20087018664 A KR20087018664 A KR 20087018664A KR 20080102364 A KR20080102364 A KR 2008010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module
data
mediu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929B1 (ko
Inventor
필립 스나우바에르트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8010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3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random access, e.g. carrier-sense multiple-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H04L12/40176Flexible bus arrangements involving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AC 모듈이라고 표현된 매체 접속 제어 하위층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에 관한 것으로, 이 디바이스는 MAC 모듈에 연결된 MAC 인터페이스 모듈(11)을 포함하고, 이 MAC 인터페이스 모듈(11)은 제 1 모드에서는 제 2 MAC 인터페이스 모듈(31)에 연결기(50)로 연결되거나 제 2 모드에서는 물리적 인터페이스 모듈(41)에 연결기(51)로 연결되도록 적응되는데, 이 제 2 MAC 인터페이스 모듈(31)은 이 제 2 MAC 인터페이스 모듈(31)에 연결된 MAC 모듈(30)을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2)에 위치한다. 제 1 모드에서, 디바이스(1)는 제 2 디바이스(2)와 반이중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과, 매체 사용중인 신호를 제 2 디바이스(2)에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TO TRANSMIT A BUSY MEDIUM SIGNAL TO ANOTHER DEVICE}
본 발명은 반이중 방식으로 공통 송신 매체 상에서 통신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디바이스와 또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MII 인터페이스라고 표현된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층을 이더넷 물리적 층에 연결하는 것을 의도한다. 그것은 10Mbit/s 및 100Mbit/s의 데이터 속도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MII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물리적 층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MII 인터페이스 표준은 이후 문서 (a)라고 부르고 2002년 3월 8일자로 된 2002년판 IEEE Standard 802.3의 부록 22A와 조항 22에 설명된다. 이더넷 물리적 층은 매체를 경유한 데이터의 전송을 다룬다. 그 매체는 전이중(full duplex) 또는 반이중(half duplex)일 수 있다. 반이중 동작에서는, 데이터가 매체 상에서 전송될 때, 이더넷 물리적 층이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사용중인 매체를 표시한다. MAC 층은 그 매체가 데이터 전송 전에 사용중이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해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감시한다. 전이중 동작에서는,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이 MAC 층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MII 표준은 MAC MII 모듈, 연결기 및 PHY MII 모듈의 형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MII 표준에서 표시된 것처럼, 인터페이스의 구현은 다음 형태, 즉 인쇄 회로판 위의 트레이스(trace)로 구현된 칩-투-칩(chip-to-chip) 인터페이스, 2개 이상의 인쇄 회로판 사이의 마더 모드-도터 보드(motherboard to daughterboard) 인터페이스 또는 케이블과 연결기로 부착되는 2개의 인쇄된 회로 조립체 사이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넷 MAC 층을 구현하는 칩셋은 MII 표준에 따라, 인쇄 회로판 위의 트레이스로 이더넷 물리적 층을 구현하는 칩셋에 연결될 수 있다.
MII 인터페이스는 또한 이더넷 매체 접속 제어를 또다른 이더넷 매체 접속 제어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이더넷 MAC 층을 구현하는 칩셋은 MII 표준에 따라, 인쇄 회로판 위의 트레이스로 이더넷 MAC 층을 구현하는 칩셋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MII 인터페이스는 MAC MII 모듈, 연결기 및 또다른 MAC MII 모듈을 포함한다. MAC MII 모듈 사이의 연결은 PHY MII 모듈을 우회하고, 이더넷 물리적 층을 우회한다.
MAC 층은 물리적 층 위에 구축된 매체 독립적인 설비를 정의한다.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은 물리적 층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MAC 층에 대한 입력을 준다. MAC 층이 서로 연결될 때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은 활동하지 않는 상태에 묶여버린다. 그러면 MAC 층은 전이중 모드에서 작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MAC 층은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무시한다.
제 1 디바이스와, MII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 1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흐름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제 1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이 제한된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시스템 RAM은 또한 그 크기가 제한될 수 있는데, 즉 몇 가지 이유로 버퍼가 가득 차게 되면 프레임이 잃어버려질 수 있다. 흐름 제어를 사용하게 되면 제 2 디바이스에서는 프레임 송신이 중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디바이스는 시스템 RAM에서의 버퍼 오버플로(overflow)나 제 1 디바이스의 대역폭 제한 때문에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누락하지 않는다. 기능상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버퍼 공간을 사용한다.
전이중 모드에서 백 프레셔(back pressure)를 구현하는 방법이 문서(a)의 섹션 22, 31, 31A에서 설명된다. 그것은 MAC 층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MAC 층 제어 패킷을 사용한다. 제어 패킷은 MAC 층에 의해 발생되고 수신된다.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백 프레셔하기를 원할 때에는, 다른 디바이스에 데이터 전송을 일시 중지하라고 요구하는 제어 패킷을 발생시킨다. 다른 디바이스가 패킷의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또다른 제어 프레임이 보내진다. 이 방법의 단점은, 제 1 디바이스가 여분의 버퍼 공간과, 여분의 데이터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버퍼 관리 시스템을 요구하도록 하는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응답 지연 시간이다.
본 발명은 MAC 하위층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MAC 모듈이라고 표현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 MAC 모듈은 MAC-투-MAC(MAC-to-MAC) 모드에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 링크를 통해 제 2 MAC 모듈에 연결되거나/연결되고, MAC-투-PHY(MAC-to-PHY) 모드에서 물리적 모듈에 연결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디바이스는 MAC-투-MAC 모드에서 제 2 MAC 모듈과 반이중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과, 매체 사용중 신호를 상기 반이중 모드에서의 상기 제 2 MAC 모듈에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제 1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은 제 2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과 반이중 방식으로 통신한다. 제 1 디바이스는 매체가 사용중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매체 사용중 신호를 보내고, 제 2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그 매체에 보낼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디바이스는 사용중인 매체 지속 기간을 제 2 MAC 모듈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는 매체 사용중 신호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임의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지속 기간을 표시한다. 이 지속 기간의 끝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재개하는 것이 허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디바이스는 제 2 MAC 모듈로부터 최대 데이터 속도까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최대 데이터 속도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로 데이터의 수신시 제 2 MAC 모듈에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 디바이스는 이 지속 기간 동안 제 2 MAC 모듈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그 지속 기간 동안 제 2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AC 모듈은 매체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MAC 모듈 또는/및 상기 물리적 모듈에 연결되도록 적응되고, 사용중인 매체 신호는 캐리어 감지 신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AC 모듈은 MAC-투-MAC 모드와 MAC-투-PHY 모드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수단을 구현하는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한 디바이스에서 제 2 MAC 모듈과 반이중 방식으로 통신하는 MAC 모듈이라고 표현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MAC 모듈은 MAC-투-MAC 모드에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MAC 모듈에 연결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MAC 모듈에, 지속 기간을 표시하는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제 2 MAC 모듈에 의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최대 데이터 속도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로 상기 제 2 MAC 모듈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MAC 모듈에 사용중인 매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라는 용어는 디스켓이나 카세트와 같은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저장 공간뿐만이 아니라, 전기 도는 광학 신호와 같은 신호일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원(support)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결코 제한적이지 않은 다음 실시예와 실행 예에 의해 더 잘 이해되고 예시된다.
도 1은 신호의 타입을 가지고,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에 참여하는 층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흐름 제어의 구현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제 1 디바이스가 연결할 수 있는 제 2 디바이스와 제 3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흐름 제어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가 전송될 때 사용된 것과 같은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제 2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제 2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일시 중지시키고, 제 1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제 1 디바이스의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표현된 블록은 순수하게 기능적인 엔티티(entity)이고, 이들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된 엔티티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즉, 그것들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개발되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MII로 표현된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별한 환경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타입의 인터페이스 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 2 디바이스(2)인 제 3의(third party) 표준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1 디바이스(1)를 나타낸다.
제 1 디바이스는 백 프레셔 층(5) 쪽으로, MII로 표현된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11)를 구비한 데이터 링크 층(4)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링크 층(4)은 또한 더 높은 층(3)으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 링크 층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한다. 이 데이터 링크 층은 패킷을 송신할 때 에러 확인 필드를 추가한다. 이 데이터 링크 층은 데이터를 수신할 때 에러 확인 필드를 확인한다. 데이터 링크 층은 송신 매체로의 접속을 제어 및 감시한다.
더 높은 층은 데이터 패킷을 발생시키고 수신한다. 이 더 높은 층은 버퍼링 수단을 포함한다. 그것은 제 2 디바이스를 백 프레셔할 시기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링크 층은 버퍼링 수단을 포함하고, 제 2 디바이스를 백 프레셔할 때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데이터 링크 층(7)과 더 높은 층(6)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 링크 층은 MII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MII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제 1 디바이스에 있는 MII 인터페이스는 백 프레셔 층으로 수정된다. 디바이스들 사이에는 어떠한 이더넷 물리적 층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디바이스들은 도 3에 표시된 것처럼 연결된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다.
- 데이터 입력(Data in)(8): 데이터 입력과 제어 신호, 데이터 링크 층을 위한 입력,
- 데이터 출력(Data out)(9): 데이터 링크 층으로부터의 데이터 출력과 제어 신호들, 및
- 매체 사용중 및 충돌 신호(10): 데이터 링크 층을 위한 입력.
매체 사용중 신호는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에 대응한다. 충돌 신호는 상이한 디바이스가 동시에 보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반이중 시스템에서의 에러 상태이다.
제 1 디바이스(1)의 MII 인터페이스(11)에서의 신호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백 프레셔 층(5)의 기능을 수행하는 백 프레셔 모듈(23)을 강조하고, MII 인터페이스(11)와 데이터 링크 층으로의 그것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신호들을 강조한다. 백 프레셔 모듈(23)은 멀티플렉서(24)와 흐름 제어 모듈(21)을 포함한다.
도 2는 MAC(20)으로 표현된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도시하는데, 이는 도 1에 나타난 데이터 링크 층(4)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것은, 예컨대 이더넷 MAC일 수 있다.
멀티플렉서(24)는 아래에 정의된 것처럼,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정확한 신호를 MAC(20)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 높은 층(3)은 프레임 버퍼(22)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 버퍼(22)는 백 프레셔 메커니즘의 시작 또는 중지를 표시하는 것을 허용하는 흐름 제어 모듈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MII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더넷 MAC 모듈이나 이더넷 PHY 모듈에 연결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다음으로서 행동한다.
- 이더넷 PHY: MII PHY 모드라고 하고, 역(Reverse) MII라고도 알려져 있음, 또는
- 이더넷 MAC: MII MAC 모드라고 한다.
도 3은 제 1 디바이스가 연결할 수 있는 제 2 디바이스와 제 3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제 2 디바이스(2)는 MAC 모듈(30)에 내부적으로 연결되는 MII 인터페이스(31)를 포함한다. MII 인터페이스(31)는 연결기(50)로 제 1 디바이스의 MII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제 3 디바이스(40)는 내부적으로 PHY 모듈(42)에 연결되는 MII 인터페이스(41)를 포함한다. MII 인터페이스(41)는 연결기(51)로 제 1 디바이스의 MII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연결기(50,51)는 문서(a)의 조항 22에서 정의된다.
이더넷 MAC 모드와 이더넷 PHY 모드 중에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MII_모드는 MII 표준에서 표시되지 않고, 이후 추가로 설명된다.
다음 표는 제 1 디바이스의 MII 신호들을 표시한다.
이름 방향 설명
MII 데이터 인터페이스
TX_CLK In 클록을 송신한다
TXD[3:0] Out 데이터를 송신한다
TX_EN Out 인에이블을 송신한다
TX_ER out 에러를 송신한다
RX_CLK in 클록을 수신한다
RXD[3:0] in 데이터를 수신한다
RX_DV in 유효 데이터를 수신한다
RX_ER in 에러를 수신한다
CRS in/out 캐리어 감지 표시
COL in/out 충돌 표시
MII 관리 인터페이스
MDC Out 관리 데이터 클록
MDIO in/out 관리 데이터 입력/출력
MII 모드 선택
MII_Mode In MII MAC 또는 MII PHY 모드 선택
MII MAC 모드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이더넷 PHY나 이더넷 PHY로서 행동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이 모드에서, 제 1 디바이스에서 이더넷 MAC의 MII 인터페이스는 MII 타이밍 요구사항에 따른다. 다음 표는 제 1 디바이스를 이더넷 PHY로서 행동하는 제 2 디바이스에 어떻게 연결하는지를 표시한다. 화살표는 신호의 방향을 표시한다.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RX_CLK TXD TX_EN TX_ER ← → → → TX_CLK TXD TX_EN TX_ER
TX_CLK RXD RX_DV RX_ER ← ← ← ← RX_CLK RXD RX_DV RX_ER
COL CRS ← ← COL CRS
MDC MDIO → ↔ MDC MDIO
MII_Mode ←1
다음 표는 제 1 디바이스를 MII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제 2 디바이스에 어떻게 연결하는지를 설명한다. 동작 모드는 전이중 또는 반이중의 10Mbit/s 및 100Mbit/s이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이더넷 PHY로서 행동한다. 캐리어 감지 신호(CRS)와 충돌 신호(COL)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고, 반이중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표는 어떻게 데이터 신호를 연결하는지를 표시한다.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TX_CLK TXD TX_EN TX_ER → → → → RX_CLK RXD RX_DV RX_ER
RX_CLK RXD RX_DV RX_ER → ← ← ← TX_CLK TXD TX_EN TX_ER
COL CRS → → COL CRS
MDC MDIO open open MDC MDIO
MII_Mode ←0
제 1 디바이스는 MII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전원이 들어오면(power-up), 제 1 디바이스는 작용중인 모드가 MII MAC 모드인지 MII PHY 모드인지를 알아야 한다. 이는 MAC 모드:MII_Mode를 선택하기 위해 여분의 핀(pin)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표는 핀 MII_Mode의 허용된 값들을 표시한다.
설명
'1' MII MAC 모드로서, 이더넷 MAC의 표준 MII 인터페이스
'0' MII PHY 모드로서, 제 1 디바이스는 전이중 또는 반이중 이더넷 PHY로서 행동한다
제 1 디바이스의 흐름 제어 모듈(21)은 MAC(20)의 CRS, COL 및 전이중 제어 신호들을 제어한다. 이 흐름 제어는 버퍼 충진(buffer filling)이 높은 임계값에 도달할 때 개시된다. 이 흐름 제어는 버퍼 충진이 낮은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 디스에이블되고, 이러한 낮은 임계값은 높은 임계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 흐름 제어 메커니즘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캐리어 감지(CRS)를 지닌 반이중 흐름 제어가 사용되면,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이더넷 PHY로서 행동한다. 제 1 디바이스는 CRS 신호와 COL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1 디바이스는 역(reverse) MII라고도 알려진 MII PHY 모드에서 동작한다.
제 2 디바이스가 데이터의 송신을 시작하면(S1,S3), 제 1 디바이스의 흐름 제어 모듈은 CRS 신호를 활동하는 상태로 되게 한다(S2,S4). 데이터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다. 데이터는 먼저 더 높은 층(3)의 버퍼(22)에 저장된다. 더 높은 층은 그것 자체의 속도로 버퍼로부터 읽어들인다. 그 속도는 제 2 디바이스가 전달할 수 있는 것보다 낮다. 버퍼는 읽는 것보다 많은 데이터가 쓰일 때 충진을 개시한다.
일정한 시각에서, 버퍼 충진 레벨은 높은 임계값에 도달한다(S5). 프레임 버퍼(22)에서 높은 임계값이 도달되면, 제 1 디바이스가 CRS 신호를 활동하는 상태로 유지한다(S6). 더 높은 층은 백 프레셔 층에 CRS 신호를 활동하는 상태로 유지하라고 지시한다.
그러면 제 2 디바이스가 CRS 신호가 문서(a)의 조항 4.2.3.2와 조항 4.2.8에 표시된 것처럼 비활동 중인 상태로 될 때까지 다음 프레임을 보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한편, 더 높은 층은 버퍼(22)로부터 읽는 것을 계속한다. 프레임 버퍼(22)가 낮은 임계값(S7) 아래로 내려가면, CRS 신호는 단언되지 않는다(de-asserted). 더 높은 층은 백 프레셔 층에 CRS 신호를 활동하지 않는 상태로 할 것을 지시한다. 제 2 디바이스는 문서(a)의 조항 4.2.3.2에 표시된 것처럼, 인터프레임 갭(interframe gap) 후, 즉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허용된다(S8).
시스템 메모리에서의 높은 임계값에 도달되면, 제 2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높은 임계값은 버퍼가 그 프레임의 나머지를 저장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
버퍼 충진 레벨을 사용하는 것은 흐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다. 더 높은 층의 구현에 따라 다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흐름 제어 모듈은 MII 인터페이스가 반이중 모드에서 동작할 때 MII 인터페이스에 대한 CRS 신호를 발생시킨다. 흐름 제어가 시작될 때, CRS 신호는 활동하는 상태로 만들어진다. 제 2 디바이스가 CRS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그것 자신의 전송을 연기해야 한다.
- MII MAC 모드에서는, 신호인 crs_mac과 col_mac이 이더넷 PHY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 MII PHY 모드에서는, 신호인 crs_phy와 col_phy가 이더넷 MAC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멀티플렉서(24)는 선택되는 MII-Mode에 따라 올바른 신호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백 프레셔 메커니즘의 예를 준다.
도 5는 데이터, 프레임1, 프레임2를 제 1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 2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제 1 디바이스는 데이터 속도를 다룰 수 있다. 어떠한 백 프레셔도 요구되지 않는다. MII 표준에 의해 요구되는 것처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CRS를 활동하는 상태로 만든다. 프레임3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보내진다.
도 6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프레임1은 t1과 t2 사이에서 수신된다. 제 1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한, CRS(캐리어 감지) 신호를 활동하는 상태로 만든다. 프레임2는 t3에서 수신된다. 제 1 디바이스는 t4에서 CRS를 활동하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에 백 프레셔를 가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오직 CRS가 t5에서 활동하지 않는 상태가 될 때, 또다른 프레임인 프레임3을 보낼 수 있다.
도 7은 제 2 디바이스에 백 프레셔를 가하는 동안, 제 1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것을 표시한다. 제 2 디바이스는 t1에서 제 1 디바이스에 프레임1을 보내고, 제 1 디바이스는 t5까지 CRS를 유지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에 백 프레셔를 가한다. 그 사이에, 제 1 디바이스는 t3와 t4 사이에서 프레임2를 제 2 디바이스에 보낸다. 백 프레셔 기간이 끝난 후,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데이터인 프레임3을 보낼 수 있다.
도 8은 제 1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것의 일 예를 도시한다. 그것은 DSL 호스트나 이더넷 스위치와 같은 집적 회로(IC2)인 제 2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MII 인터페이스로 IEEE 802.11과, Wi-Fi 표준을 따르는 무선 LAN 어댑터인 집적 회로(IC1)일 수 있다.
Wi-Fi 부분은 오직 30Mbps까지 다룰 수 있고, MII 표준은 반이중으로 100Mbps까지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어떠한 백 프레셔 메커니즘도 포함되어있지 않다면 데이터를 잃어버리게 되고, 연결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가 다룰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데이터를 손실하게 된다.
IC1의 MII 인터페이스는 IC2의 MII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연결기는 IC1과 IC2 사이의 인쇄 회로판 위의 트레이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이중 방식으로 공통 송신 매체 상에서 통신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 디바이스와 또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MAC 하위층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MAC 모듈이라고 표현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로서,
    상기 MAC 모듈은 MAC-투-MAC(MAC-to-MAC) 모드에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 링크를 통해 제 2 MAC 모듈(30)에 연결하거나/연결하고, MAC-투-PHY(MAC-to-PHY) 모드에서 물리적 모듈(42)에 연결하도록 적응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MAC-투-MAC 모드에서 상기 제 2 MAC 모듈(30)과 반이중(half-duplex)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과,
    매체 사용중 신호를 상기 반이중 모드에서의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사용중인 매체 지속 기간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AC 모듈(30)로부터 최대 데이터 속도까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최대 데이터 속도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 로 데이터의 수신시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모듈(11)은 매체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MAC 모듈 또는/및 상기 물리적 모듈에 연결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중인 매체 신호는 캐리어 감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AC-투-MAC 모드와 MAC-투-PHY 모드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접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IC1).
  9. 한 디바이스에서 제 2 MAC 모듈(30)과 반이중 방식으로 통신하는 MAC 모듈이라고 표현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MAC 모듈(20)은 MAC-투-MAC 모드에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연결하도록 적응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지속 기간을 표시하는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지속 기간 동안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의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제 2 MAC 모듈(30)과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최대 데이터 속도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로 상기 제 2 MAC 모듈(30)로부터 데이터 수신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MAC 모듈(30)에 사용중인 매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MAC 모듈(30)과 디바이스의 매체 접속 제어 모듈(20)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87018664A 2006-02-20 2007-02-09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KR101351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447024.8 2006-02-20
EP06447024A EP1821462A1 (en) 2006-02-20 2006-02-20 Method and device to transmit a busy medium signal to another device
PCT/EP2007/051237 WO2007096254A1 (en) 2006-02-20 2007-02-09 Method and device to transmit a busy medium signal to anoth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364A true KR20080102364A (ko) 2008-11-25
KR101351929B1 KR101351929B1 (ko) 2014-01-16

Family

ID=3620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664A KR101351929B1 (ko) 2006-02-20 2007-02-09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8878B2 (ko)
EP (2) EP1821462A1 (ko)
JP (1) JP4971366B2 (ko)
KR (1) KR101351929B1 (ko)
CN (1) CN101385283A (ko)
WO (1) WO20070962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7049B2 (en) 2018-02-09 2022-06-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254B2 (ja) * 2008-08-05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6521020B2 (ja) * 2017-10-11 2019-05-29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ーフティコントローラ
KR101912872B1 (ko) * 2018-06-04 2018-10-30 주식회사 위더스플래닛 고밀집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WiFi 네트워크 시스템
US11055254B2 (en) * 2019-12-09 2021-07-06 The Aerospace Corporation Mixed media ethernet switch
US11556488B2 (en) * 2020-03-13 2023-01-17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ingle-pair to multi-pair ethernet converter
DE102021105867A1 (de) * 2020-03-13 2021-09-16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Einzelpaar-zu-Mehrpaar-Ethernet-Wand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870A (en) * 1996-09-11 1999-05-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Arrangement for initiating and maintaining flow control in shared-medium, full-duplex, and switched networks
US6704280B1 (en) * 1999-06-10 2004-03-09 Nortel Networks Limited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traffic policing over a network
US20040085910A1 (en) * 2002-11-01 2004-05-06 Zarlink Semiconductor V.N. Inc. Media access control device for high efficiency ethernet backplane
US7774506B2 (en) * 2003-08-19 2010-08-10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client over-subscription in ring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7049B2 (en) 2018-02-09 2022-06-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7631A1 (en) 2008-11-05
EP1987631B1 (en) 2012-10-10
KR101351929B1 (ko) 2014-01-16
JP4971366B2 (ja) 2012-07-11
US8018878B2 (en) 2011-09-13
JP2009527934A (ja) 2009-07-30
US20100316100A1 (en) 2010-12-16
EP1821462A1 (en) 2007-08-22
CN101385283A (zh) 2009-03-11
WO2007096254A1 (en)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929B1 (ko) 사용중인 매체 신호를 또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방법 및 디바이스
US6701406B1 (en) PCI and MII compatible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HPNA) interface device
US5509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ynamic, multi-speed bus architecture having a scalable interface
US5305317A (en) Local area network adaptive circuit for multiple network types
US8660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ctivity of a remote link partner to trigger training of Ethernet channels to support energy efficient Ethernet networks
US8295194B2 (en) Wired network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60055114A1 (en) High-speed serial ring
US5574726A (en) Inter-repeater backplane
US7924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mode between network devices in a network
US6625163B1 (en) Collision detection on a differential bus
US502550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ontroller interfaces to a standard digital modem and including integral conflict resolution
US4989203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ontroller interfaces to a standard digital modem and including separate contention resolution
CN103885910B (zh) 多设备在主模式下进行iic通信的方法
US20030088796A1 (en) Communication adapter
US6493351B1 (en) Collision detection on a differential bus
US4993023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ontroller interfaces to a standard digital modem and including multiplexed contention resolution
CN213521913U (zh) 一种以太网接口电路
US20200285602A1 (en) eUSB2 to USB 2.0 Data Transmission with Surplus Sync Bits
US6947438B1 (en) PCI and MII compatible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HPNA) interface device
TW200425681A (en) De-activation, at least in part, of receiver, in response, at least in part, to determination that an idle condition exists
US5777996A (en) Inter-repeater backplane for allowing hot-swapping of individual repeater circuits
US20040174819A1 (en) Physical layer (PHY) with smart cable analyzing (SCA)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3871177B2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7356555B2 (en) In-protocol impedance compensation control
KR100612250B1 (ko) Gmii와 spi-3 인터페이스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