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607A -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607A
KR20080101607A KR1020070059536A KR20070059536A KR20080101607A KR 20080101607 A KR20080101607 A KR 20080101607A KR 1020070059536 A KR1020070059536 A KR 1020070059536A KR 20070059536 A KR20070059536 A KR 20070059536A KR 20080101607 A KR20080101607 A KR 2008010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wall
connection
insulating wal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의석
Original Assignee
홍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의석 filed Critical 홍의석
Publication of KR2008010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45Fibres
    • F17C2203/035Glass w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는, 내부의 저장실 외벽을 형성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 상기 저장실이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차 단열벽;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을 통과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통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차 방벽과 마주하는 면에는 합성수지재질의 밀봉필름이 일체로 마련되는 제 2차 연결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은 상기 제 2차 방벽에 열간 압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액화가스, 단열벽, 밀봉필름

Description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A Wall Structure of Storage For Liquid Ga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운반선의 저장실의 벽구조를 제조하는 과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운반선의 저장실의 벽구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에 의한 벽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에 의한 벽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선체 12: 저장실
14: 제 1차 방벽 16: 제 1차 단열벽
17: 제 1차 연결단열벽 18: 제 2차 단열벽
19: 제 2차 연결단열벽 20: 제 2차 방벽
30: 제 2차 연결 방벽 40: 밀봉필름
본 발명은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의 벽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NG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영하 160도 이하로 냉각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예를 들면 1/600 정도로 줄인 무색투명한 초저온 액체(액화가스)를 말한다. 상기 LNG가 에너지 자원으로 등장함에 따라 상기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반방안이 검토되었으며, 그 결과 LNG 수송선이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 LNG 수송선은 영하 160도 이하의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실이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저장실의 외벽의 구조가 중요하게 되는데, 특히, LNG의 초저온성을 견딜 수 있는 재료 및 상기 저장실의 저온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단열재료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액화가스 저장실의 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으로 적층되는 단열벽(2)과 그 단열벽(2) 사이에 마련되는 방벽(4)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방벽(4)을 시공할 때,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비닐필름을 접착 테이프로 고정한 후 접착제를 주걱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방벽의 접착면에 로울 러(6) 등을 문질러 미접착면이 없도록 하는 수동 작업에 의해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벽의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접착제를 바르고, 그 위에 방벽을 설치하고, 다시 로울러도 문질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많아져 전체적인 작업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해 접착제를 도포하므로, 접착제로 고르게 도포되지 않고,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벽의 설치가 간단한 액화가스의 저장실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벽을 설치하기 위한 접착층의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액화가스의 저장실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는, 내부의 저장실 외벽을 형성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 상기 제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을 통과하 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차 방벽과 마주하는 면에는 합성수지재질의 밀봉필름이 일체로 접합된 제 2차 연결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은 상기 제 2차 방벽에 열간 압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의 저장실 외벽을 형성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 상기 제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을 통과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2차 연결방벽; 그리고, 상기 제 2차 방벽 및 상기 제 2차 연결방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2차 방벽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접합시켜 주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밀봉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필름을 상기 제 2차 방벽 상에 가접하고, 그 위에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덮은 다음 열간 압착에 의해 상기 제 2차 방벽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각의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제 2차 연결단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필름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필름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차 연결방벽과 상기 제 2차 방벽은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차 연결방벽과 상기 제 2차 방벽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방벽 또는 제 2차 연결방벽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층을 중간층으로 하고, 상하로 유리섬유로 감싸도록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을 선체에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제 2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2단계; 상기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하방에 밀봉필름이 접합된 제 2차 연결방벽을 덮어주는 제 3단계;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을 상기 2차 방벽과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제 4단계; 상기 4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을 설치하는 제 5단계; 그리고, 상기 제 5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1차 방벽을 설치하 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을 선체에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제 2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 조립체의 설치된 제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 밀봉필름을 가접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가 완료된 상기 밀봉필름 위에 제 2차 연결방벽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상기 제 2차 방벽과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을 설치하는 제 5단계; 그리고, 상기 제 5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제 1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각의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제 2차 연결단열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은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방벽의 하부에 결합벽을 부착하고, 이를 결합하고자 하는 부분에 안착시킨 후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여, 상기 방벽의 설치가 간단하여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줄어 작업효율이 높아지고, 미리 준비된 결합부를 방벽에 부착하여 열간 압축하므로, 항상 일정한 두께의 층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운반선의 저장실의 벽 구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에 의한 벽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에 의한 벽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스운반선 즉,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저장실의 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실의 벽구조는, 외관을 형성하는 선체(10)와,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스를 저정하는 저장실(12)의 내측벽을 형성하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14)과, 상기 저장실(12)이 내부에서 열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 1차 단열벽(16)과, 상기 저장실(12)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열을 차단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2차 단열벽(18)과,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12)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20)과,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2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통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2차 연결방벽(30)을 포함하 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2)의 벽구조에서 제일 하층에 선체(10)가 마련된다. 상기 선체(10)는 상기 저장실(12)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선체(10)가 상기 가스운반선의 하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바다와 접하게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체(10)가 상기 가스운반선의 내부 및 상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공기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체(10)는 외부의 바다 또는 공기와 접하는 것으로, 부식에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저장실(12)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12)은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에 저장되는 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스는 상기 저장실(12)에 적재되어 수송될 때 일반적으로 액화되어 수송되는데, 이는 상기 가스를 기체상태로 운반할 때보다 액체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훨씬 부피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가스를 액화하기 위해, 상당히 저온의 상태로 상기 저장실(12)에 보관되게 된다.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의 경우 끊는점이 영하 약 160도 정도이므로, 상기 가스를 액체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 영하 약 160도 이하로 유지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저장실(12) 내부와 상기 선체(10)의 사이에는 상기 저장실(12)의 내부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지 않도록 단열부(13)가 마련된다. 상기 단열 부(13)는 단열가능한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상기 단열부(13)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이나, 펄라이트(perite)가 충진된 나무조립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13)는 여러가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저장실(12)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제 1차 방벽(1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차 방벽(14)은 상기 저장실(12)에 적재되어 있는 액체가 상기 저장실(12)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차 방벽(14)은 상기 저장실(12)에 적재된 초저온 상태의 액체가 상기 저장실(12)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기계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차 방벽(14)은,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니켈과 철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방벽(14)의 외측에는 1차 단열벽(16)이 마련된다. 상기 1차 단열벽(16)은, 상기 저장실(12)의 내부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은 단열기능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의 재질은 강화 폴리우레탄 폼 또는 펄라이드(perlite)가 충진된 나무박스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은 하나의 단체가 아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립체(16a, 16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을 복수개의 조립체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의 각각의 조립체(16a, 16b)의 사이에는 제 1차 연결 단열벽(17)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차 연결 단열벽(17)은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을 형성하는 각각의 조립체(16a, 16b)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채워,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 1차 연결 단열벽(17)도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를 연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1차 단열벽(16)과 마찬가지로 단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의 하방에는 제 2차 단열벽(18)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차 단열벽(16)과 상기 선체(10)의 사이에 제 2차 단열벽(18)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차 단열벽(18)도 상기 제 1차 단열벽(16)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실(12) 내부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단열벽(18)도 제 1차 단열벽(16)과 마찬가지의 재질 즉, 강화 폴리우레탄 폼 또는 펄라이트가 충진된 나무박스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차 단열벽(18)도 하나의 단체가 아닌 복수개의 조립체(18a, 18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의 각각의 크기는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보다 크게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단열벽(18)의 상방에는 제 2차 방벽(20)이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차 방벽(20)은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 각각의 상면에 마련된다. 상기 제 2차 방벽(20)은 상기 제 1차 방벽(14)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실(12)에 적재되어 있는 액체가 상기 제 1차 방벽(14)을 통과하여 누출되더라 도, 상기 제 2차 방벽(20)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차 방벽(20)은 상기 제 1차 방벽(14)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 1차 방벽(14)과 상이하게 상기 저장실(12) 내벽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 단열벽(16)과 제 2차 단열벽(18)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차 방벽(14)의 구조와 상이한 다른 구조의 제 2차 방벽(20)이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차 방벽(20)은 유리섬유층(22), 알루미늄호일층(24), 유리섬유층(26)의 삼중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각층은 접착제(2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 방벽(20)이 구성되는 것은, 제 2차 방벽(20)이 초저온 상태에서의 기계적 특성, 단열성능, 온도에 따른 물성변화 등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의 사이에는 제 2차 연결 단열벽(19)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차 연결 단열벽(19)도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을 형성하는 각각의 조립체(18a, 18b)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채워,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 2차 연결 단열벽(19)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를 연결하는 역할과 동시에 상기 제 2차 단열벽(18)과 마찬가지로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차 단열벽(18)과 상기 제 1차 단열벽(16) 사이에 제 2차 연결방벽(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도 상기 제 2차 방벽(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실(12)에 적재되어 있는 액체가 상기 제 1차 방벽(14)을 통과하여 누출되더라도,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은 상기 제 2차 방벽(20)과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은 유리섬유층(32), 알루미늄층(34), 유리섬유층(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층은 접착제(38)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은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일부와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의 크기와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의 크기가 상이한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 18a, 18b) 사이로 상기 저장실(12)의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 연결단열벽(17)의 크기와 상기 제 2차 연결단열벽(19)의 크기가 상이하여, 상기 제 1차 연결단열벽(17)의 하면이 상기 제 2차 연결단열벽(19)과 상기 제 2차 연결단열벽(19)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 모두 면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차 연결단열벽(19)과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 사이에 발생하는 틈으로 상기 제 1차 방벽(14)을 통과하여 누출된 액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 방벽(20)에 일부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하면에는 밀봉필름(40)이 마련된다. 상기 밀봉필름(40)은 상기 제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결합시켜 상기 제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 사이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봉필름(40)은 상기 제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결합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는 것이라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밀봉필름(4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밀봉필름(40)은 에폭시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필름(40)이 0.5~1㎜의 두께로 성형된 경우 100~120℃로 가열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약 1㎏/㎠의 압력으로 눌러주면 상기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열간 압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온도조건과 압력조건은 밀봉필름의 두께 및 재료의 성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 및 에폭시 계열의 합성수지는 인장강도와 마모저항이 우수하고, 어떠한 피착제에도 우수한 접합능력을 가져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성질을 가진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인 물성으로 인해, 상기 밀봉필름(40)을 상기 제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상방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 등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결합벽(40)은 상기 제 2차 방벽(2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판 대신에 고주파 융착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상방에 간단한 공정으로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필름(40)을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하면에 먼저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필름(40)이 부착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상방에 안착시키고,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게 되면,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과 상기 제 2차 방벽(2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필름(40)을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상방에 먼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밀봉필름(40)을 상기 각각의 제 2차 단열벽(18a, 18b)의 상방에 마련되는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가접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밀봉필름(40)이 상기 제 2차 방벽(20) 사이에 부착되고 나면,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상기 밀봉필름(40) 위에 부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이나 고주파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상기 제 2차 방벽(20) 사이에 완전하게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운반선의 저장실 의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체(10)의 바닥면에 제 2차 단열벽(18)을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2차 단열벽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립체(18a, 18b)의 하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10)의 바닥면에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은 상기 선체(10)의 바닥면에 접착제가 아닌 다른 고정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차 단열벽(18)과 선체(10)에 통공을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차 단열벽 개개의 조립체(18a, 18b)의 상면에 제 2차 방벽(20)을 부착한다. 상기 제 2차 방벽(20)은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 상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 (18a, 18b) 상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차 방벽(20)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에 먼저 부착하고 난 후, 상기 제 2차 방벽(20)이 부착된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를 상기 선체(10)의 소정의 자리에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단열벽(18)과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조립이 완료된 경우, 제 2차 연결 단열벽(19)을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의 사이에 삽입시킨다. 상기 제 2차 연결 단열벽(19)은 상기 제 2차 단열벽(18)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의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제 2차 방벽(20)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조립체(18a, 18b)의 상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차 연결 단열벽(19)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를 상기 제 2차 방벽(20)이 설치된 상기 제 2차 단열벽(18)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도,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안착시킨다. 상기 제 1차 단열벽(16)도 상기 제 2차 방벽(20)에 접촉시킬 때,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차 연결방벽(30)의 하면에 밀봉필름(40)을 부착시킨다. 상기 밀봉필름(40)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마주하는 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물론, 상기 밀봉필름(40)이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필름(40)이 부착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크기는 상기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 사이의 공간보다는 작고, 상기 제 2차 연결단열벽(19) 상면의 크기보다는 커야 한다.
이는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상기 제 2차 방벽(20)의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폐하도록 하여, 저장실(12)의 액체가 상기 제 1차 방벽(14)를 통과하여 누출되더라도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과 상기 제 2차 방벽(20)이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봉필름(40)이 마련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소정의 위치에 안착시키고,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상방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밀봉필름(40)이 열에 의해 녹아 상기 제 2 차 방벽(20) 및 제 2차 연결방벽(30) 사이에 융착되고, 상기 고온의 누름판을 제거함으로써 다시 냉각되면서 상기 제 2차 방벽(20) 및 제 2차 연결방벽(30)의 사이에 상기 밀봉필름(40)이 고정되어, 상기 제 2차 방벽(20) 및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이 완전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 대신에 고주파 융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벽(40)이 부착된 제 2차 연결방벽(30)을 상기 제 2차 방벽(2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상기 제 2차 방벽의 사이에 결합시킬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필름을 상기 제 2차 방벽 사이에 먼저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차 방벽 사이에 상기 밀봉필름을 먼저 가접합시킨 후, 상기 밀봉필름 상에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안착시키고,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 또는 고주파 융착장치에 의해 상기 제 2차 방벽 사이에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이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을 고정시키고 난 후, 상기 제 1차 연결 단열벽(17)을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1차 연결 단열벽(17)에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차 연결방벽(30) 및 제 1차 단열벽의 조립체(16a, 16b)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차 연결 단열벽(17)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 1차 방벽(14)을 상기 제 1차 단열벽(16)의 상방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인 가스운반선의 저장실의 벽구조가 완성되게 된다. 물론, 상술한 구조는 저장실의 바닥뿐만 아니라 측면 및 천정면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결합부(40)를 별개로 마련하여, 상기 제 3방벽(30)의 하면에 부착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상기 결합부(4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 3방벽(30)의 최하층에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합성고무로 된 층을 일체로 구비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 2차 연결방벽의 하부에 합성수지계 성분의 밀봉필름을 부착하고, 이를 제 2차 단열벽 상면에 적층된 제 2차 방벽과 마주하는 다른 제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켜 주기 위하여 이 부분에 안착시킨 후 열간 압착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의 설치가 간단하여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줄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차 단열벽 상면에 적층된 제 2차 방벽과 마주하는 다른 제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켜 주기 위하여 이 부분에 합성수지계 성분의 밀봉필름을 가접합시키고, 그 위에 제 2차 연결방벽을 덮은 후 열간 압착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의 설치가 간단하여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줄어 작업효율이 높아 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차 방벽과 제 2차 연결방벽 사이에 미리 준비된 밀봉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접합되므로 항상 일정한 두께의 접착제 층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밀봉필름에 의한 작업은 액체가스 저장실의 단열벽체 작업 중 수직벽 및 전정에 대한 방벽 설치 작업 시 종래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시하던 경우에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려 작업이 불편했던 문제점을 개선하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내부의 저장실 외벽을 형성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
    상기 제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을 통과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차 방벽과 마주하는 면에는 합성수지재질의 밀봉필름이 일체로 접합된 제 2차 연결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은 상기 제 2차 방벽에 열간 압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2. 내부의 저장실 외벽을 형성하면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 1차 방벽;
    상기 제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이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제 1차 단열벽을 통과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차단되도록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
    상기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상기 저장실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2차 방벽;
    상기 각각의 제 2차 방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2차 연결방벽; 그리고,
    상기 제 2차 방벽 및 상기 제 2차 연결방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2차 방벽과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접합시켜 주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밀봉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필름을 상기 제 2차 방벽 상에 가접하고, 그 위에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덮은 다음 열간 압착에 의해 상기 제 2차 방벽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각의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제 2차 연결단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 저장실의 벽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필름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 저장실의 벽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필름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 저장실의 벽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과 상기 제 2차 방벽은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연결방벽과 상기 제 2차 방벽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방벽 또는 제 2차 연결방벽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층을 중간층으로 하고, 상하로 유리섬유로 감싸도록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9.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을 선체에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제 2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2단계;
    상기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하방에 밀봉필름이 접합된 제 2차 연결방벽을 덮어주는 제 3단계;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을 상기 2차 방벽과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제 4단계;
    상기 4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을 설치하는 제 5단계; 그리고,
    상기 제 5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1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
  10.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2차 단열벽을 선체에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상면에 제 2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 조립체의 설치된 제 2차 방벽 사이의 공간에 밀봉필름을 가접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가 완료된 상기 밀봉필름 위에 제 2차 연결방벽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 2차 연결방벽을 상기 제 2차 방벽과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복수개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제 1차 단열벽을 설치하는 제 5단계; 그리고,
    상기 제 5단계가 완료된 구조 위에 제 1차 방벽을 설치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 단열벽의 각각의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제 2차 연결단열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은 고온으로 가열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열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3단계가 완료된 상기 2차 연결방벽과 상기 2차 방벽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가스의 저장실의 벽구조 제조방법.
KR1020070059536A 2007-05-17 2007-06-18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101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8208 2007-05-17
KR1020070048208 2007-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07A true KR20080101607A (ko) 2008-11-21

Family

ID=402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536A KR20080101607A (ko) 2007-05-17 2007-06-18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6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72B1 (ko) * 2010-11-26 2013-07-05 한국가스공사 육상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400148B1 (ko) * 2013-11-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435381B1 (ko) * 2011-12-16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 보드와 그 설치 방법, 상기 단열 보드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2315218B1 (ko) * 2020-07-23 2021-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72B1 (ko) * 2010-11-26 2013-07-05 한국가스공사 육상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435381B1 (ko) * 2011-12-16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 보드와 그 설치 방법, 상기 단열 보드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1400148B1 (ko) * 2013-11-28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KR102315218B1 (ko) * 2020-07-23 2021-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221B2 (ja) コルゲート金属シートを備えたコーナー配置が設けられた二次密閉膜を有する密閉断熱タンク
KR100258206B1 (ko) 극저온 유체 밀폐 용기용 단열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체
AU2012291901B2 (en) Sealed, thermally-insulating vessel
CN103153776B (zh) 用来运输液化气的船的货箱
KR101505798B1 (ko) 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KR20170021833A (ko) 밀봉된 절연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08895B2 (en) Pump tower installation structure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336051B2 (ja) 流体貯蔵容器の断熱のための自立型ケースを製造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自立型ケース
KR20130033470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패널 보강구조
KR20160146667A (ko) 코너에서의 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는 편향 요소를 포함하는, 밀봉된 그리고 절연된 베셀
KR20080101607A (ko) 액화가스의 저장실의 벽 구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402332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isolation panels
KR20120136333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CN111295327B (zh) 热绝缘结构材料以及使用其的低温和极低温液化气载体
CN114458946A (zh) 一种用于存储液氢和液氦的金属薄膜存储舱
KR20120136327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설치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2013547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단열구조체
JP6589148B2 (ja) 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構造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断熱容器
KR20110133887A (ko) 극저온 액체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KR101865674B1 (ko) 고성능 단열 구조재가 적용된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그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제조방법, 및 그 고성능 단열 구조재
CN114962982A (zh) 一种用于船舶等运输设备的液化气体储存舱
KR101814445B1 (ko) 액화가스 화물창용 패널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화물창
CN114562675A (zh) 一种用于存储液氢和液氦的金属存储舱
CN114771799B (zh) 一种用于低温液货舱的冷藏系统及低温液货舱
KR101194574B1 (ko)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