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510A -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 Google Patents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510A
KR20080101510A KR1020070048716A KR20070048716A KR20080101510A KR 20080101510 A KR20080101510 A KR 20080101510A KR 1020070048716 A KR1020070048716 A KR 1020070048716A KR 20070048716 A KR20070048716 A KR 20070048716A KR 20080101510 A KR20080101510 A KR 2008010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lower
self
generator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217B1 (ko
Inventor
이재하
강민성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1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61Rotary generators driven by animals 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5/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 F03G5/06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 F03G5/062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driven by humans
    • F03G5/065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driven by humans operated by the h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02K7/145Hand-held machin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는, 랙기어를 갖는 파지부와; 랙기어와 맞물려 랙기어의 좌우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하부기어 및 제1 하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상부기어를 갖는 제1 기어부와; 제1 상부기어와 맞물리는 연결 상부기어 및 연결 상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 하부기어를 갖는 연결기어부와; 송풍부 몸체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 자가발전기의 외측면에서 개구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 흡입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출구 및 연결 하부기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를 갖는 송풍부와; 연결기어부의 연결 상부기어와 맞물리거나, 송풍부와 맞물리는 제2 기어부; 및 제2 기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자를 가진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땀을 바람으로 증발시키고, 송풍부 몸체의 관성모멘트를 활용하여, 파지동작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적은 힘으로 지속적으로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자가발전기, 송풍부, 연결기어부, 송풍팬, 파지부

Description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SELF POWER GENERATOR HAVING AN AIR BL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의 기본적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가발전기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 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가 발전기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송풍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가 송풍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와 리모컨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와 별개의 전자기기가 전기적으 로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지부 110 : 랙기어
200 : 제1 기어부 210 : 제1 하부기어
230 : 제1 상부기어 300 : 연결기어부
310 : 연결 상부기어 330 : 연결 하부기어
400 : 송풍부 410 : 몸체
430 : 흡입구 440 : 배출구
450 : 돌기 460 : 축
470 : 외측기어부 500 : 제2 기어부
600 : 발전기 700 : 접속단자
800 : 접속부재
본 발명은 자가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반복된 파지동작에 의해 바람이 발생되는 송풍기가 구비된 자가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수동식의 휴대가능한 자가발전기 제품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부터 원하는 출력을 내기 위하여,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파지동작을 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는 땀이 배어나게 된다. 특히 여름철이나, 겨울철이라도 실내온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땀으로 인해 종래의 자가발전기의 사용을 꺼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땀을 바람으로 증발시키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파지동작의 반복에 따른 회전방향의 변화를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를 기존의 전기전자장치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는, 랙기어를 갖는 파지부와; 랙기어와 맞물려 랙기어의 좌우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하부기어 및 제1 하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상부기어를 갖는 제1 기어부와; 제1 상부기어와 맞물리는 연결 상부기어 및 연결 상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 하부기어를 갖는 연결기어부와; 송풍부 몸체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 자가발전기의 외측면에서 개구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 흡입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출구 및 연결 하부기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를 갖는 송풍부와; 연결기어부의 연결 상부기어와 맞물리거나, 송풍부와 맞물리는 제2 기어부; 및 제2 기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자를 가진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에 있어서, 제2 기어부와 송풍부가 맞물리는 경우, 송풍부 몸체 외면에 외측기어부가 구비되어, 외측기어부와 제2 기어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의 돌기는 송풍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송풍팬은 송풍기 몸체와 결합됨으로써, 연결 하부기어가 송풍부의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면 송풍팬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의 돌기는 송풍팬 중심에 구비된 중공형의 축 내면에 형성되고, 연결 하부기어가 송풍부의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면 송풍팬이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팬은 송풍기 몸체와 결합될 수도 있고,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기가 결합되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파지부(100)의 좌우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발생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송풍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400)의 작동원리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방식은 송풍부의 몸체를 회전시켜 송풍팬을 간접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도 1 참조)이고, 제2 방식은 송풍부의 송풍팬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도 2 참조)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파지부(100), 제1 기어부(200), 연결기어부(300), 송풍부(400), 제2 기어부(500) 및 발전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100)는 반복되는 파지동작에 따른 좌우운동을 제1 기어부(200)로 전달하는 랙기어(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어부(200)는 제1 하부기어(210)와 제1 상부기어(230)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기어(210)는 랙기어(110)와 맞물려 랙기어(110)의 좌우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제1 상부기어(230)는 제1 하부기어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하부기어(2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면,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제2 상부기어(230)는 그 회전력을 연결기어부(300)를 거쳐 제2 기어부(5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어부(300)는 제1 기어부(200)와 제2 기어부(500) 사이 에 배치되며, 제1 기어부(2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송풍부(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기어부(300)는 연결 상부기어(310), 연결 하부기어(330), 지지부(350) 및 탄성부재(370)로 이루어지며, 송풍부(400)는 몸체(410), 송풍팬(420), 흡입구(430). 배출구(440), 돌기(450) 및 축(460)으로 이루어지며, 실시예에 따라 축(460)이 중공형으로 될 수 있고, 외측기어부(470)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상부기어(310)는 제1 상부기어(230) 및 제2 상부기어(510)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상부기어(230)가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연결 상부기어(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상부기어(5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연결 상부기어(310)의 하측에는 연결 하부기어(330)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하부기어(330)는 송풍부의 몸체(410)와 맞물리는 제1 방식(도 1 참조)과, 송풍부의 축(460)과 맞물리는 제2 방식(도 2 참조)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제1 방식을 위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맞물리는 부분이 상이할 뿐 구성적 측면에서 제2 방식은 제1 방식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4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의 A 타입 및 B 타입은 일방향 회전방식이다.
도 6의 A 타입은 연결 하부기어(330)의 단부에 지지부(350)가 외측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면상으로 연결 하 부기어(3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연결 하부기어의 지지부(350)가 송풍부의 돌기(450a)와 맞물려 송풍부의 몸체(4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그러나 연결 하부기어(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연결 하부기어의 지지부(350)가 송풍기의 돌기(450b)와 맞물리지 않고 넘어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연결 하부기어(3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지지부(350)가 돌기(450a)와 맞물려 송풍팬(420)을 회전시키나, 연결 하부기어(33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지지부(350)가 돌기(450b)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송풍팬(420)을 회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의 B 타입은 A 타입을 개량한 방식으로서, 연결 하부기어(330)의 지지부(350) 내부에 탄성부재(370)가 구비되게 한 방식이다. 이 경우, 연결 하부기어(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연결 하부기어의 지지부(350)는 송풍기의 돌기(450b)와 접촉되면 탄성부재(370)가 수축되면서 돌기(450b)를 넘어가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일방향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연결 하부기어(330)가 탄성부재(370)가 구비된 지지부(350)를 가지며, 연결 하부기어(3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탄성부재(370)에 의해 지지부(350)가 돌기(450a)와 맞물려 송풍팬(420)을 회전시키나, 연결 하부기어(33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돌기(450b)에 부딪혀 수축된 탄성부재(370)에 의해 지지부(350)가 돌기(450b)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송풍팬(420)을 회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의 몸체(410)는 플라이휠(flywheel)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성모멘트(moment of inertia)가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름, 중량이 제품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일정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성모멘트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지속하려는 성질의 크기를 말한다. 따라서 송풍부의 몸체(410)를 플라이휠로써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하부기어(330)가 송풍부의 중공형 축(460) 내부에 삽입되어 송풍팬(420)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의 경우, 송풍팬(420)이 몸체(4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송풍부의 몸체(410)를 플라이휠로 활용하여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송풍팬(420)이 몸체(4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기어부(500)는 발전부(6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이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제2 기어부(500)가 연결기어부(300)의 연결 상부기어(310)와 맞물려 회전력을 발전부(600)에 전달하는 방식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100)를 일정시간 계속 쥐고 있거나 계속 펴고 있으면, 회전력이 발생되지 않아 발전기(600)의 회전자(미도시)가 회전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쥐었다 펴는 파지동작의 변환시에 회전방향이 바뀌게 되어 회전자에 물리적으로 무리를 주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전기(600)의 회전자의 회전방식은 송풍 기(400)와 같이 일방향 회전방식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부(400)와 제2 기어부(500)가 맞물려 회전되는 방식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제2 기어부(500)는 송풍부(400)와 같이 일방향 회전방식을 취하게 된다. 다만 회전방향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제2 기어부(500)의 직경이 송풍부 몸체(4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송풍부 몸체(410)의 관성모멘트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전기전자장치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가 구비된 자가발전기가 리모콘의 내부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10)와; 자가발전기(10)가 일측에 내장되고, 자가발전기로부터 전기적 접속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전기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자가발전기 일체형 전기전자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별도로 제작되어 별개의 전지전자장치에 전기를 공급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에는 전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접속단자(700)가 더 구비되며, 별개의 전기전자장치와는 접속코드(예를 들어 (800)타입)나 접속단자 등의 접속부재(8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10)가 일 측에 구비된 접속단 자(700)를 통해 접속코드 방식의 접속부재(800)를 거쳐 휴대폰(20) 또는 랜턴(2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도 9 및 도 10과 같은 접속코드 방식 뿐 아니라, 자가발전기(10)의 접속단자와 전기전자장치(20)의 접속단자를 기계적 결합으로 접합시키는 방식(미도시)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가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경우(도 8 참조)나, 별개의 전기전자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도 9 및 도 10 참조)에 있어서, 전기전자장치는 전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모든 장치가 이에 해당 될 수 있으며, 특히 휴대 가능한 소형 전기전자제품, 예를 들어 휴대용 랜턴, 소형 리모콘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기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땀을 바람으로 증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송풍부의 몸체의 관성모멘트를 활용하여, 파지동작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적은 힘으로 지속적으로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기전자장치에 일체형으로 내장시켜 활용가능하며, 나아가 자가발전기를 독자적으로 제작하여, 기존의 전기전자장치에 편리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랙기어를 갖는 파지부와;
    랙기어와 맞물려 랙기어의 좌우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하부기어 및 제1 하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상부기어를 갖는 제1 기어부와;
    제1 상부기어와 맞물리는 연결 상부기어 및 연결 상부기어와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 하부기어를 갖는 연결기어부와;
    송풍부 몸체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 자가발전기의 외측면에서 개구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 흡입구와 연통되어 공기를 유출시키는 배출구 및 연결 하부기어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를 갖는 송풍부와;
    연결기어부의 연결 상부기어 또는 송풍부와 맞물리는 제2 기어부; 및
    제2 기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자를 가진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 기어부와 송풍부가 맞물리는 경우, 송풍부 몸체 외면에 외측기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외측기어부와 제2 기어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 기어부의 직경이 송풍부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송풍부의 돌기는 송풍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송풍팬은 송풍기 몸체와 결합됨으로써, 연결 하부기어가 송풍부의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면 송풍팬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송풍부의 돌기는 송풍팬 중심에 구비된 중공형의 축 내면에 형성되고, 연결 하부기어가 송풍부의 돌기와 맞물려 회전되면 송풍팬이 회전되며,
    송풍팬은 송풍부 몸체와 결합 또는 미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결 하부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돌기와 맞물려 송풍팬을 회전시키나,
    연결 하부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돌기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송풍팬을 회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연결 하부기어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지지부를 가지며,
    연결 하부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부가 돌기와 맞물려 송풍팬을 회전시키나,
    연결 하부기어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돌기에 부딪혀 수축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부가 돌기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송풍팬을 회전시키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가발전기와;
    상기 자가발전기가 일측에 내장되고, 자가발전기로부터 전기적 접속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전기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자가발전기 일체형 전기전자장치.
KR1020070048716A 2007-05-18 2007-05-18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KR10089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16A KR100894217B1 (ko) 2007-05-18 2007-05-18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16A KR100894217B1 (ko) 2007-05-18 2007-05-18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10A true KR20080101510A (ko) 2008-11-21
KR100894217B1 KR100894217B1 (ko) 2009-04-22

Family

ID=4028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16A KR100894217B1 (ko) 2007-05-18 2007-05-18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8476A (zh) * 2021-09-24 2022-01-21 江苏科技大学 一种饮水鸟式能量采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1204A (zh) * 2010-08-30 2012-03-21 苏州市荣宇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的发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46Y1 (ko) * 1998-02-02 2002-07-04 신석균 자가발전에의한밧데리호환충전기
KR100372196B1 (ko) * 2000-09-05 2003-02-14 김보섭 자가 발전기를 이용한 강제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20020057520A (ko) * 2001-01-05 2002-07-11 송안인 휴대기기의 충전장치
KR20020072608A (ko) * 2001-03-12 2002-09-18 송안인 충전장치를 가진 후레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8476A (zh) * 2021-09-24 2022-01-21 江苏科技大学 一种饮水鸟式能量采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217B1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1128B1 (en) Manual powered generator and assemblies therewith
JP3220298U (ja) 手持ち及び据置き両用扇風機
EP4039126A1 (en) Dryer
CA2112286A1 (en) Spherical massage device
RU2002128371A (ru) Пылесос с щеткой, содержащей тканев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ла
EP2138126A3 (en) Electric toothbrush
CN208106807U (zh) 便携式手持摇头风扇
RU2010137101A (ru) Узел рукоятки для всасывающего узла
KR100917670B1 (ko) 냉온 선풍기
CN209689110U (zh) 运动挂载装置
KR100894217B1 (ko) 송풍부가 구비된 자가발전기
US20090123301A1 (en) Manual hand crank pump and method
KR20200133480A (ko) 다기능 휴대용 선풍기
CN202589888U (zh) 一种便携式眼保健装置
WO2012002816A3 (en) Rotary machine fo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JP5736286B2 (ja) 電動作業機製造方法
KR101140644B1 (ko) 헬스 자전거
CN212756572U (zh) 一种臭氧杀菌装置
CN210423115U (zh) 一种双风机多风向蓝牙智能电风扇
CN207302328U (zh) 一种具有旋转编码开关的医疗设备红外遥控器
JP2018101922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303007Y1 (ko) 전방위 송풍기능을 갖는 선풍기
CN213684593U (zh) 脖戴风扇
JP2001193633A (ja) 風力発電機
CN217462616U (zh) 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