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844A -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844A
KR20080099844A KR1020080103041A KR20080103041A KR20080099844A KR 20080099844 A KR20080099844 A KR 20080099844A KR 1020080103041 A KR1020080103041 A KR 1020080103041A KR 20080103041 A KR20080103041 A KR 20080103041A KR 20080099844 A KR20080099844 A KR 2008009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rce
display
input
re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812B1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필요한 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한 후, 상기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에 따라,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정보를 근거로 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믹스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별로 볼륨레벨을 조정하거나 앰비언스(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믹스 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와 관련되어 있는 소스 신호(또는 오브젝트 신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항상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비디오, 오디오, 소스, 오브젝트

Description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TERFACE OF MIX SIGNAL}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믹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필요한 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신호가 가장 흔하게 생성되고, 소비자들에게 가장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멀티채널 신호가 점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믹스 신호는 상기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 단위가 아니라, 채널 신호 단위로 처리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채널 신호 단위로 믹스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특정 소스 신호만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영화를 보면서 배우들 음성에 대한 볼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배경음악의 볼륨만을 높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믹스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를 소스별로 즉, 특정 소스신호별로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리믹싱하기 위해서는, 소스신호별로 볼륨레벨을 높이거나 낮춘다든지(레벨을 아예 0으로 하여 음을 소거한다든지), 소스신 호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리모컨은 믹스신호 전체의 볼륨레벨을 조정할 수만 있을 뿐,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들 각각의 볼륨레벨을 조정하거나 앰비언스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믹스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를 소스별로 즉, 소스신호별로 리믹싱하기 위해서는, 해당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야한다. 예를 들어, 믹스신호가 음악 파일일 경우, 사용자는 이 음악 파일에 관련된 소스신호들이 피아노, 바이올린, 플루트 등인지 알아야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믹스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의 정보만이 표시될 수 있을 뿐, 믹스신호와 관련되어 있는 소스신호들의 정보가 어떤 것인지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믹스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별로 볼륨레벨을 조정하거나 앰비언스(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믹스 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와 관련되어 있는 소스 신호(또는 오브젝트 신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한 후, 상기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에 따라,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정보를 근거로 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이동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이동키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환된 명령을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부는, 소스별 메뉴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소스별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소거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소거 명령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레벨조정 명령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에 따라,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정보를 근거로 앰비언스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앰비언스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딩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 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앰비언스조정 명령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 음소거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소스 음소거 명령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음소거 명령은, 상기 믹스신호에 포함되는 특정 소스신호가 재생되지 않게 하기 위한 명령인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축키 등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다수의 키 중 하나의 키, 다수의 소스 중 하나의 소스, 하나 이상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키에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을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소스는, 오디오 신 호의 소스, 및 비디오 신호의 소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은, 음소거 및 앰비언스 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택되는 단계는, 숫자키들 중 하나의 숫자키가 선택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키 중 하나의 키, 다수의 소스 중 하나의 소스, 및 하나 이상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각 키별 명령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키에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을 매칭시켜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소스는, 오디오 신호의 객체, 및 비디오 신호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은, 음소거 및 앰비언스 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믹스신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믹스신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계속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스신호 정보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는, 상기 믹스신호에 포함되어있는 소스신호의 악기명, 가수명, 및 등장인물명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상기 소스신호의 악기연주자명, 제작일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볼륨레벨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이퀄라이저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앰비언스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믹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믹스신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계속 유지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 볼륨레벨 조정화면, 이퀄라이저 조정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여부에 의해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등과 같은 믹스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별로 볼륨레벨을 조정하거나 앰비언스(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믹스신호를 매우 손쉽게 리믹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 중에서, 사람의 음성만을 음소거시키거나 음성의 볼륨레벨만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노래파일이 재생되는 도중에 입력장치(리모컨)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간단하게 가수의 음성만을 소거시키고 반주음악만을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주 리믹스하게 되는 소스(예:피아노)를 특정 키(예:1번 숫자키) 등에 단축키로 등록해둔 후, 단축키를 이용하여 소스별로 레벨조정이나 앰비언스를 조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된 입력장치(리모컨)를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리믹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 신호(또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와 관련되어 있는 소스신호(또는 오브젝트 신호)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계속 디스플레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믹스신호를 재생하거나 리믹싱하는 동안에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이 어떤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가 재생되거나 리믹싱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믹스신호별로 어떤 소스들(악기별 오디오신호 등)포함되어 있는 것인지 항상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소스별로 레벨을 조정하거나 앰비언스를 조정하기 전에, 해당 믹스신호에 소스들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입력부' 또는'키'라는 용어는, 특정 입력신호를 입 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버튼 키, 터치 센서 등의 입력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더의 블록도이다. 상기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더는 부가정보생성부(103) 및 부가정보인코딩부(105)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가정보생성부(103)는 통상적인 믹스 신호(101) 및 상기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102)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104)를 생성한다. 상기 믹스 신호(101)는 모노(mono), 스테레오(stereo)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multi-channel audio signal)가 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신호(102)는 상기 믹스 신호(101)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104)는 상기 믹스 신호를 소스 신호 단위로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부가 정보(104)는 상기 믹스 신호를 리믹싱하기 위한 믹스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믹스 파라터에는 인코더에서 소스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인코더 믹스 파라미터(Encoder mix parameter)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믹스 신호만을 이용하여 생성된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Blind mix 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스 파라미터의 예로는 각각의 소스 신호에 대한 게인 값 및 서브밴드 파위(subband powe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104)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및 생성 방법은 도 2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또한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102)만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104)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정보인코딩부(105)는 생성된 부가 정보(104)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106)를 생성한다. 상기 믹스 신호(101) 및 상기 부가 정보 신호(106)는 디코딩 장치로 전송된다.
도 2는 믹스 신호가 스테레오 신호인 경우, 도 1의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믹스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스테레오 신호(20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테레오 신호(stereo signal)(20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2
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들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타임 인덱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3
여기서, I는 스테레오 신호 내에 포함되는 소스 신호들의 개수이고, 은 소스 신호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5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6
는 각각의 소스 신호에 대한 진폭 패 닝(amplitude panning) 및 게인(gain)을 결정하는 값이다. 모든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7
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8
는 모두 순수한 소스 신호이거나, 또는 순수한 소스 신호에 약간의 잔향(reverberation) 및 효과음 신호성분(sound effect signal 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잔향 신호성분은 2개의 소스 신호, 즉, 왼쪽 채널로 믹스된 신호와 오른쪽 채널로 믹스된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개(0 <= M <= I)의 소스 신호들이 리믹스 되도록, 상기 소스 신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이다. 상기 소스 신호들은 서로 다른 게인 팩터들을 가지면서 스테레오 신호로 리믹스될 수 있다. 리믹스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0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1
는 리믹스되는 M개의 소스 신호들에 대한 새로운 게인 팩터들이다. 상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2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3
는 디코더 단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스테레오 신호(201) 및 M개의 소스 신호(202)를 이용하여 부 가 정보(207)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스테레오 신호와 약간의 부가 정보가 주어지는 경우에,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소스 신호 단위로 리믹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매우 적은 양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 표현되는 믹스 신호로부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리믹스 신호를 완벽하게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소스 신호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4
에 대한 접근 없이, [수학식 1]로 표현되는 통상적인 믹스 신호가 주어지는 경우에, [수학식 2]로 표현되는 리믹스 신호를 지각적으로 모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통상적인 스테레오 신호(201)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에 포함되는 M개의 소스 신호(202)가 입력된다.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는 부가 정보와 동기화되기 위해 어느 정도 딜레이 되어, 출력 신호로서 직접 이용될 수 있다.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 및 소스 신호들(202)은 필터뱅크(203)를 통하여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204 및 205)로 분해된다. 즉,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 및 소스 신호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처리되는데, 상기 시간-주파수 도메인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한다. 상기 서브밴드별 신호(204)는 각 서브밴드의 중심 주파수에서 유사하게 프로세싱된다. 특정한 주파수에서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쌍(204)은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5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6
로 표시된다. 여기서 k는 서브밴드 신호들의 시간 인덱스(time index)이다. 유사하게, M개의 소스 신호들(202)의 서브밴드 신호들(205)은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7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8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19
로 표시된다. 명료한 표현을 위해, 서브밴드(주파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소스 신호들(202)의 서브밴드 신호들(205)이 주어지면,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서브밴드별로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short-time subband power),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0
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쌍(204)을 이용하여, 서브밴드별로 게인 팩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2
를 생성한다. 상기 게인 팩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3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4
는 외부에서 직접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별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부가 정보(207)가 생성된다. 상기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상기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들 이외에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관련된 다른 정보를 부가 정보(207)로 생성할 수 있다. 부가정보인코딩부(208)는 상기 서브밴드별 부가정보(207)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209)를 생성한다.
많은 스테레오 신호(201)에 대하여, 게인 팩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6
는 고정적이 될 것이다. 만일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7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8
가 시간 k에 따라 가변적이라면, 상기 게인 팩터들은 시간의 함수로 생성될 것이다. 상기 게인 팩터들은 직접 양자화 및 부호화되지 않고, 먼저 양자화 및 부호화에 더 적합한 다른 값들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29
는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파워에 상대적인 값으로 정규화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테레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상대적으로 변화에 강하도록 만들어준다. 예를 들면,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0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1
는 아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게인 및 데시벨(dB) 단위의 레벨차로 전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2
또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3
는 부가 정보로서 직접 부호화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수학식 4]로 표현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상대적으로 정의된 값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4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를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폴 평균(single- pole averaging)을 사용한다. 즉,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5
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6
여기서, α∈[0,1]는 아래의 [수학식 6]와 같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추정 윈도우(estimation window)의 시간-상수를 결정한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7
여기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8
는 서브밴드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T=40 ms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39
는 숏-타임 평균(short-time averaging)을 나타낸다. 만일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0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1
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2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3
는 부가정보생성부(206)에서 생성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4
이므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5
는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6
유사하게,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7
는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메인을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로서 처리된다. 상기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는 지각적으로 유도된다. 예를 들면, 약 20ms의 길이를 가지는 사인파 분석창 및 통합창(sine analysis and synthesis window)을 가지는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TFT 계수들은 하나의 그룹이 ERB(equivalent rectangular bandwidth)의 약 2배가 되는 대역폭을 갖도록 그룹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는 다운믹싱부(402), 부가정보생성부(403) 및 부가정보인코딩부(406)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운믹싱부(402)는 복수의 소스 신호들(401)을 더하여 하나의 합 신호(sum signal)(404)을 생성한다.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는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와는 달리, 스테레오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에 상기 합 신호(404)를 전송한다. 부가정보생성부(403)는 상기 소스 신호들(401)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405)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405)는 각 소스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405)는 리믹스 렌더링부에서의 딜레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부가 정보(405)는 양자화 및 부호화에 더 적합한 다른 값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부가정보인코딩부(406)는 생성된 부가 정보(405)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407)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합 신호(404) 및 부가 정보 신호(407)는 디코딩 장치로 전송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운믹싱부(402)를 가지지 않는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소스 신호들(401)은 합 신호(404)로 변환되지 않고, 각 소스 신호들(401)이 직접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부가정보디코딩부(503) 및 리믹스 렌더링부(505)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믹스 신호(501) 및 부가 정보 신호(502)가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입력된다. 상기 믹스 신호(501)는 모노,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다. 부가정보디코딩부(503)는 부가 정보 신호(502)를 디코딩하여 부가 정보(504)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504)는 전송된 오디오 신 호(501)에 포함된 소스 신호들의 게인 팩터 및 서브밴드 파워 등을 포함한다. 리믹스 렌더링부(505)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user-mix parameter, 506)가 입력될 수 있다. 리믹스 렌더링부(505)는 믹스 신호(501), 전송된 부가 정보(504)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506)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507)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한다. 리믹스 신호(507)는 전송된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동채널 믹스 신호(Eq-channel mix signal)로 생성되거나, 또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업채널 믹스 신호(Up-channel mix signal)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5의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전송된 믹스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스테레오 신호(60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테레오 신호(601)는 필터뱅크(603)을 통하여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604)로 분해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한 주파수에서의 서브밴드별 신호(604)은
Figure 112008072969678-PAT00049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0
로 표현된다. 부가정보디코딩부(605)는 전송된 부가 정보 신호(602)를 복호화하여, 서브밴드별 부가 정보(606)를 생성한다. 또한, 리믹스 렌더링부(607)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는 서브밴드별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부가 정보(606)는 리믹스 될 M개의 소스 신호에 대한 서브밴드별 게인 팩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2
) 및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3
로 표현되는 서브밴드 파워를 포함한다. 리믹스 렌더링부(607)는 서브밴드별로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604), 전송된 부가 정보(606)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4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5
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상기 리믹스 신호(609)는 역필터뱅크(610)를 통해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스테레오 신호(61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6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7
로 변환된다.
리믹스 렌더링부(607)에서 생성된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서브밴드별 신호(604 및 609)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이 경우에, 소스 신호
Figure 112008072969678-PAT00058
는 서브밴드별 소스 신호 로 교체된다. 즉,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는 아래의 [수학식 9]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0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는 아래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1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기 위해, 최소자승추정법(least squares estimation)이 이용될 수 있다.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2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3
가 주어지면, 아래의 [수학식 11]와 같이 서로 다른 게인들을 가지는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가 상기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의 선형 조합으로 추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4
여기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5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6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7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8
는 가중 팩터들(weighting factors)이다. 이때, 생성되는 추정 에러(estimation error)는 아래의 [수학식 12]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69
상기 가중 팩터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0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1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2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3
는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 error),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4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5
가 최소가 되도록 서브밴드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추정 에러,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6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7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8
Figure 112008072969678-PAT00079
에 직교(orthogonal)될 때, 상기 평균제곱오차가 최소가 된다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0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1
는 아래의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2
여기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3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4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5
는 직접 생성될 수 있지만,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6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7
은 전송된 부가 정보(606)(예를 들면,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8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89
,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0
) 및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608)(예를 들면, 게인 팩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1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2
)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3
유사하게,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4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5
가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6
여기서,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7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8
는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099
만일, 상기 믹스 신호(604)의 위상이 서로 동기되거나(coherent) 또는 거의 동기화된다면, 아래의 [수학식 17]와 같이 표현되는 값이 1에 근접하게 된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100
이때, 상기 가중치들은 아래의 [수학식 1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101
이와 같이 생성된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는 전술한 것처럼 역필터뱅크(610)를 통해 시간-도메인의 리믹스 신호(611)로 변환된다. 상기 리믹스 신호(611)는 사용자가 제공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
Figure 112008072969678-PAT00102
Figure 112008072969678-PAT00103
)를 이용하여 각각의 소스 신호를 독립적으로 리믹스하여 생성된 리믹스 신호와 유사하게 들린다.
지금까지는 2채널 스테레오 신호의 리믹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스테레오 신호에 제한되지 않고,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예를 들면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리믹싱하는 것까지 확대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스테레오 신호와 유사하게,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리믹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학식 11]는 아래의 [수학식 19]과 같이 쓰여질 수 있다.
Figure 112008072969678-PAT00104
선택적으로, 믹스 신호의 채널들 중 특정한 채널은 리믹스하지 않고 남겨두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 서라운드 채널에 대하여, 2개의 뒤쪽 채널은 수정하지 않고, 앞쪽 채널에만 리믹싱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2 또는 3채널 리믹싱 알고리즘이 앞쪽 채널에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부가정보디코딩부(703), 공간정보통합부(705) 및 리믹스 렌더링부(707)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신호들의 합 신호(701) 및 부가 정보 신호(702)가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로 입력된다. 부가정보디코딩부(703)는 부가 정보 신호(702)를 디코딩하여, 부가 정보(704)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704)는 게인 팩터, 딜레이 상수 및 서브밴드 파워 등을 포함한다. 부가정보통합부(705)는 상기 부가 정보(704)를 이용하여, 상기 합 신호(701)를 복수의 소스 신호들(706)로 분리한다.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상기 소스 신호들(706)을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부가 정보로 전송 된 믹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708)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믹스 신호(801)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803)에 의해 부호화되어, 부호화된 믹스 신호(805)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믹스 신호(801)는 채널별 신호 또는 소스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803)는 AAC, MP3 인코더 등과 같은 종래의 인코딩 장치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804)는 상기 믹스 신호(801) 및 상기 믹스 신호에 포함되는 소스 신호(802)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신호(806)를 생성한다. 다중화부(807)는 부호화된 믹스 신호(805) 및 부가 정보 신호(806)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808)을 생성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부가 정보 신호(806)는 종래 장치들과 호환성을 가지도록, 종래 믹스 신호 포맷 내의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b는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결합에 대한 블록도이다. 역다중화부(810)는 전송된 비트스트림(809)으로부터 부호화된 믹스 신호(811) 및 부가 정보 신호(812)를 분리한다. 그 다음에,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813)는 상기 부호화된 믹스 신호(811)를 디코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815)에서 이용될 수 있는 믹스 신호(814)를 생성한다. 상기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813)는 AAC, MP3 디코더 등과 같 은 종래의 인코딩 장치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믹스 신호(814)는 채널별 신호 또는 소스 신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817)는 부가 정보 신호(812)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81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814)를 리믹스 신호(816)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상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믹스신호디코딩부(901), 파라미터생성부(902), 및 리믹스렌더링부(908)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펙터(Effecter, 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생성부(902)는 블라인드믹스 파라미터생성부(903), 사용자믹스파라미터생성부(904), 및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는 이퀴믹스파라미터생성부(906)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는 이퀴믹스렌더링부(909)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업믹스렌더링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스신호디코딩부(901)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파라미터생성부(902)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된 부가 정보 및 사용자 제어정보(또는, 구성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제어정보는 인코더 단에서 전송되지 않고, 디코더 단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믹스파라미터생성부(904)는 사용자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인코더 단에서 전송된 부가 정보에는 인코더 믹스 파라믹터(Encoder Mix Parameter)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믹스파라미터생성부(903)는 상기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Blind-Mix Parameter)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믹스 파라미터와 상기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는 택일적으로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로 입력된다.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는 부가 정보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는 리믹스 신호의 채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에 포함되는 이퀴믹스파라미터생성부(906)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에 포함될 수 있는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더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는 리믹스렌더링부(908)에 입력된다.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에 포함되는 이퀴믹스렌더링부(909)는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 및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이퀴채널 리믹스 신호(Eq-channel remix signal)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에 포함될 수 있는 업믹스렌더링부(910)는 상기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에서 생성된 리믹스 파라미터 및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더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업채널 리믹스 신호(Up-channel remix signal)를 생성한다. 상기 업믹스렌더링부(910)는 상기 이퀴채널렌더링부(909)에서 생성된 리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업채널 리믹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코딩 장치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한 믹스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이퀴채널 리믹스 신호로 출력하거나, 또는 업채널 리믹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는 이펙터(91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믹스 신호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구현된 모습의 일예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0)(이하, 입력 장치(100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와 연계되어 있고, 제1 입력부(1110)(소스 메뉴키), 제2 입력부(1120)(음성소거키), 제3 입력부(1130)(음성조정키), 제4 입력부(1140)(앰비언스 조정키), 제5 입력부(1150)(제1 소스 키(1150a)(피아노 키)), 제2 소스 키(1150b)(바이올린 키), 방향이동키(1160a), 포인팅 디바이스(1160b), 숫자 키(1170), 메모리부(1200), 제어부(1300), 디스플레이(140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는 도 5와 함께 설명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구성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입력 장치(10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입력부(1110)(소스 메뉴키)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소스별 메뉴란, 특정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소스별 메뉴가 표시된 상태 에서 소스별로 볼륨레벨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입력부(소스 메뉴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의 일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소스별 메뉴표시 화면은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의 디스플레이(1400)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110)(소스 메뉴키)는 누르는 횟수에 따라 명령실행 및 취소가 반복되는 토글 방식의 버튼키나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2 입력부(1120)(음성소거키)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음성소거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음성소거 명령이란, 특정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 중에서 사람의 음성(voice)의 레벨이 0이 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이다. 제2 입력부(음성소거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입력부(1120)(음성소거키)도 역시 누르는 횟수에 따라 명령실행 및 취소가 반복되는 토글 방식의 버튼키나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3 입력부(1130)(음성조정키)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음성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음성레벨조정 명령이란, 특정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 중에서 사람의 음성(voice)의 레벨만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기 위한 명령이다. 제3 입력부(음성조정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입력부(1120)(음성소거키)도 레벨 상승 명령 및 레벨 하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버튼키, 조그셔틀, 2방향의 조그버튼, 2방향의 터치스크롤, 2개의 터치센서, 터치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 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4 입력부(1140)(앰비언스 조정키)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앰비언스화면이란, 특정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의 상대적 위치가 표시되어, 방향이동키(1160a)나 포인팅 디바이스(1160b)를 이용하여 소스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이다. 제4 입력부(앰비언스 조정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앰비언스화면)의 일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제4 입력부(1140)(음성소거키)도 역시 누르는 횟수에 따라 명령실행 및 취소가 반복되는 토글 방식의 버튼키나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5 입력부(1150)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소스 음소거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소스 음소거 명령은, 특정 악기에 해당하는 소스신호가 재생되지 않게 하기 위한 명령이다. 제5 입력부(1150)는, 예를 들어, '피아노'에 해당하는 소스신호의 레벨을 거의 0으로 만들기 위한 제1 소스 키(1150a)(피아노 키))일 수도 있고, '바이올린'에 해당하는 소스신호의 레벨을 거의 0으로 만들기 위한 제2 소스 키(1150b)(바이올린 키)일 수 있다. 제5 입력부 중 제1소스키(피아노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고, 제5 입력부 중 제2소스키(바이올린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제5 입력부(1150)의 제1소스키, 제2소스키도 각각 누르는 횟수에 따라 명령실행 및 취소가 반복되는 토글 방식의 버튼키나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방향이동키(1160a)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방향이동에 관한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방향이동에 관한 명령은, 소스별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특정 소스 레벨조정 명령이 될 수 있고, 앰비언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특정 소스의 위치조정 명령이 될 수 있다. 방향이동키(1160a)는 4개의 버튼키, 4개의 터치센서, 4방향의 터치 스크롤, 터치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160b)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위치지정에 관한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위치지정에 관한 명령은, 방향이동키(1160a)와 마찬가지로, 소스별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특정 소스 레벨조정 명령이 될 수 있고, 앰비언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특정 소스의 위치조정 명령이 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160b)는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널(및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숫자 키(1170)는 그 입력신호가 제어부(1300)에 의해 숫자입력에 관한 명령으로 변환되는 입력장치이다. 숫자입력에 관한 명령은, 소스별 메뉴화면이나 앰비언스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그 숫자와 매칭되는 특정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별 메뉴화면에 "1. 음성, 2. 피아노, 3. 바이올린, 4. 플루트"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숫자 키(1170) 중에 "3번 키"를 선택하면, 3번과 매칭되는 '바이올린'이 선택되는 것이다. 숫자 키(1170)는 10개의 버튼키, 10개의 터치센서,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한다.
메모리부(1200)는 각 키별 명령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각 키별 명령정보란, 각 입력부(제1 입력부(1110), 제2 입력부(1120) 등)(숫자 키(1170) 포함)와 그에 해당하는 명령(소스별 메뉴표시 명령, 음성소거 명령 등)을 뜻한다. 한편, 사용자가 단축키 등록 과정을 통해 각 키별 명령정보를 새롭게 저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데, 이 단축키 등록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1과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한편, 메모리부(1200)는 소스별 메뉴화면, 음성소거 화면, 음성조정 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등에 관한 데이터가 더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300)는 입력부(1110, 1120, 1130, 1140, 1150 등)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를, 메모리부(12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키별 명령정보를 근거로 하여, 각 명령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부(11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2 입력부(1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소거 명령으로 변환한 후 음성소거 명령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506)를 출력하고, 제3 입력부(113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4 입력부(114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5 입력부(115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 음소거 명령으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1300)는 입력부(1110, 1140 등)의 입력에 따라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si)를 근거로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입력부(1110)를 통해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이 입력 된 경우, 소스 정보(si)를 근거로 디스플레이(1400)에 소스별 메뉴를 표시하고, 제4입력부(1140)를 통해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이 입력된 경우,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신호 정보(si)를 근거로 앰비언스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00)는 입력부(1120, 1130, 1140 등)를 통해 명령을 근거로,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506)를 출력하여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에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506)는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또한, 제어부(1300)는 소스별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1160b) 또는 방향이동키(1160a)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앰비언스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1160b) 또는 방향이동키(1160a)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 조정 명령으로 변환한다. 제어부(1300)가 상기한 입력신호들을 해당 명령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메모리부(1200)에 저장된 각 키별 명령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환된 명령( 소스별 레벨조정 명령, 앰비언스 조정 명령 등)을 근거로 하여 믹스신호에 대한 제어정보(506)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따라 소스별 메뉴화면 또는 앰비언스화면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장치이다. 나아가, 각 입력부(제1 입력부(1110) 등)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들(도 13, 도 14, 도 16, 도 17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입력 장치(2000)(이하, 입력 장치(200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 및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와 연계되어 있고, 제1 입력부(2110)(소스 메뉴키), 제2 입력부(2120)(음성소거키), 제3 입력부(2130)(음성조정키), 제4 입력부(2140)(앰비언스 조정키), 제5 입력부(2150)(제1 소스 키(2150a)(피아노 키)), 제2 소스 키(2150b)(바이올린 키), 방향이동키(2160a), 포인팅 디바이스(2160b), 숫자 키(2170), 메모리부(2200), 제어부(2300), 디스플레이(2400), 무선통신부(2500)를 포함한다. 이 중, 제어부(2300) 및 무선통신부(2500)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앞서 도 10 및 도 11과 함께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는 도 5와 함께 설명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구성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로부터 입력 장치(200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통신부(552), 메모리부(554), 인터페이스 제어부(556), 디스플레이부(558)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의 무선통신부(552)는 입력 장치(200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기서의 무선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메모리부(554)는 소스별 메뉴화면, 음성소거 화면, 음성조정 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556)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si)를 근거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근거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에 제어 정보(506)를 입력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506)는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558)는 인터페이스 제어부(556)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장치이다. 입력 장치(2000)에 디스플레이(2400)가 구비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의 디스플레이(558)는 필수적 구성요소가 아니다.
이하에서는, 입력 장치(2000)의 각 구성요소 중 제어부(2300) 및 무선통신부(2500)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어부(2300)는 제1 입력부(21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메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2 입력부(212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소거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3 입력부(213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음성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4 입력부(214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화면표시 명령으로 변환하고, 제5 입력부(215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 음소거 명령으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2300)는 소스별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2160b) 또는 방향이동키(2160a)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소스별 레벨조정 명령으로 변환하고, 앰비언스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인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2160b) 또는 방향이동키(2160a)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를 앰비언스 조정 명령으로 변환한다. 제어부(2300)가 상기한 입력신호들을 해당 명령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메모리부(2200)에 저장된 각 키별 명령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500)는 제어부(2300)에 의해 변환된 명령을 외부장치(특히,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로 전송한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가 소스별 메뉴화면에 관한 데이터 또는 앰비언스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무선통신부(2500)는 이를 수신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제2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000)가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와 연계되어 있다.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는 앞서 도 5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제2 인터페이스 장치(75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가 아닌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로부터 소스 정보(si)를 수신하고,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에 제어 정보(708)를 입력한다는 점 이외에는, 그 구성요소(752, 754, 756, 758)가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의 같은 이름의 구성요소(552, 554, 556, 558)와 각각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제2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2000)가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 및 제2 인터페이스 장치(750)와 연계되어 있다.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는 앞서 도 7과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제2 인터페이 스 장치(75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가 아닌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로부터 소스 정보(si)를 수신하고,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에 제어 정보(708)를 입력한다는 점 이외에는, 그 구성요소(752, 754, 756, 758)가 제1 인터페이스 장치(550)의 같은 이름의 구성요소(552, 554, 556, 558)와 각각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축키 등록을 선택하면, 입력 장치는 단축키 등록 명령을 수신한다(S110 단계). 단축키 등록 명령이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키(예: 숫자 키) 중에서 단축키로 사용할 키(예: 1번 키)를 선택한다(S120 단계). 입력 장치는 믹스신호에 사용될 수 있는 소스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S130 단계). 예를 들어, 믹스신호에 사용될 수 있는 소스들은 음성 오디오 신호 또는 악기별 오디오 신호(음성, 피아노, 바이올린, 플루트 등)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소스들의 리스트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단축키와 매칭시킬 소스를 선택한다(S140 단계). 예를 들어, 피아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기능(예: 음소거, 앰비언스 조정) 중에서 단축키로 사용할 기능(예: 음소거)을 선택한다(S150 단계). 이와 같이 사용자가 S120 단계, S140 단계, S150 단계를 통해 키, 소스, 기능을 선택하면, 입력 장치는 선택된 키, 선택된 소스, 선택된 기능을 단축키 등록 정보로서 저장한다(S160 단계). 예를 들어, 1번 키에 피아노 신호의 음소거 명령을 매칭시켜 저장한다. 그러면, 1번 키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 장치는 1번키의 입력신호를 피아노 신호의 음소거 명령으로 변환하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가 구현된 모습의 예들이다. 도 23, 도 24a, 및 2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3000)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와 연계되어 있으며, 입력부(3100), 제어부(3200), 제1 디스플레이(3300a), 제2 디스플레이(33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는 부가정보디코딩부(503) 및 리믹스 렌더링부(505)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구성 및 기능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입력부(3100)는 다수의 믹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여기서 믹스신호란,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된 채널별 오디오 신호(501)일 수 있다. 다수의 믹스신호들 중에 입력부(3100)에 의해 선택된 믹스신호(501p), 및 믹스신호(501p)의 부가정보신호(502p)가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에 입력된다. 입력부(3110)는 또한,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나아가, 소스 신호의 레벨 조정에 관한 명령, 소스 신호의 서브밴드별 레벨 조정(이퀄라이저 조정)에 관한 명령, 및 소스 신호의 앰비언스 조정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입력부(3110)는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방향 이동키, 터치 휠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고,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3200)는 입력부(3100)에 의해 선택된 믹스신호(501p)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si)를 조회한 후, 소스신호 정보(si)를 근거로 소스신호의 리스트(이하, 소스의 리스트)를 구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표시한다. 여기서, 소스신호 정보(si)는 입력부(3110)에 의해 선택된 믹스신호(501p)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신호에 관한 정보로서, 각 소스신호의 악기명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앞서 도 1과 함께 설명한 소스신호(102)의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소스신호 정보(si)는 메타데이터(악기연주자명, 제작일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스신호 정보(si)는 제어부(3200)가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의 부가정보디코딩부(503)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소스의 리스트는, 소스신호(502p)의 악기명, 가수명, 및 등장인물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0)는 또한, 입력부(3100)로부터 리믹싱에 관한 여러 가지 명령(소스 신호의 레벨 조정에 관한 명령, 소스 신호의 서브밴드별 레벨 조정에 관한 명령, 및 소스 신호의 앰비언스 조정에 관한 명령 등)이 수신되면, 그 명령을 제어정보(506)로 변환하여 리믹스 렌더링부(505)에 입력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506)는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된 제어 정보(506) 및 도 6과 함께 설명된 제어 정보(608)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제1 디스플레이(3300a)는 제어부(3200)의 제어에 따라 소스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다.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표시되는 소스의 리스트는, 상기 믹스신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는 계속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표시된다. 믹스신 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이라 함은. 예컨대, 선택된 믹스신호가 재생되고 있거나, 리믹싱(레벨 조정, 앰비언스 조정 등)되는 중임을 의미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다른 믹스신호가 선택되는 경우, 다른 믹스신호와 매칭되는 소스의 리스트가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표시된다. 제1 디스플레이(3300a)는 엘씨디(LCD)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발광소자들의 매트릭스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1 디스플레이(3300a)가 다수의 발광소자들로 구현되는 경우, 다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여부에 의해 소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제2 디스플레이(3300b)는 제어부(3200)의 제어에 따라 메타데이터, 볼륨레벨 조정화면, 이퀄라이저 조정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특정 소스가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이다. 도 25는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표시된 소스 리스트 중에서 '1.음성'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소스(1. 음성)의 메타데이터가 제2 디스플레이(3300b)에 표시된 모습이고, 도 26은 선택된 소스(1. 음성)의 볼륨레벨 조정화면이 제2 디스플레이(3300b)에 표시된 모습이다. 도 27은 선택된 소스(3. 바이올린)의 이퀄라이저 조정화면(서브밴드별 레벨조정화면)이 제2 디스플레이(3300b)에 표시된 모습이고, 도 28은 선택된 소스(2.피아노)의 앰비언스 조정화면이 제2 디스플레이(3300b)에 표시된 모습이다. 도 25 내지 도 28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제2 디스플레이(3300b)에 표시되는 화면이 계속 바뀌어도, 소스의 리스트는 제1 디스플레이(3300a)에 계속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3300b) 및 제1 디스플레이(3300a)는 기계적으로 또는 장치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2 디스플레이(3300b) 및 제1 디스플레이(3300a)는 하나의 패널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4000)는 입력부(4100), 제어부(4200), 제1 디스플레이(4300a), 제2 디스플레이(4300b)를 포함하고,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와 연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는 부가정보디코딩부(703), 부가정보통합부(705) 및 리믹스 렌더링부(707)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앞서 도 7과 함께 설명된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4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3000)와 비교할 때,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500) 대신에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700)와 연계되어 있고, 믹스신호(501p) 대신 합성 오브젝트 신호(701p)가 입력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을 뿐, 그 구성요소(4100, 4200, 4300a, 430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4100)의 같은 이름의 구성요소(4100, 4200, 4300a, 4300b)와 각각 거의 동일하므로 그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믹스신호라는 용어는 합성 오브젝트 신호의 개념까지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30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20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우선,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전송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믹스신호들의 정보를 믹스신호의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10 단계). 그러면, 사용자는 S210 단계에서 표시된 믹스신호의 리스트 중에서, 재생하고자 하거나 리믹싱하고자 하는 특정 믹스신호를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한다(S220 단계). 그러면,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S220 단계에서 선택된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부터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를 추출한다(S230 단계).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S230 단계에서 추출된 소스신호 정보를 근거로 소스의 리스트를 구성한다(S240 단계). 그런 다음,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소스의 리스트를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50 단계).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소스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한다(S260 단계). 그러면,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S260 단계에서 선택된 소스의 메타데이터(설정에 따라 볼륨레벨 조정화면, 이퀄라이저 조정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등)를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70 단계).
그런 다음, S220 단계에서 선택된 믹스신호의 선택이 종료되면(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믹스신호의 재생을 종료시키거나, 다른 믹스신호가 선택하는 경우)(S280 단계의 '예'), S250 단계에서부터 시작된 소스의 리스트의 표시를 종료한 다(S290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1의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믹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메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6은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5의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8a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b는 종래의 디코딩 장치와 결합하여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상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구현된 모습의 일예.
도 12는 제1 입력부(소스 메뉴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3은 제2 입력부(음성소거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4는 제3 입력부(음성조정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5는 제4 입력부(앰비언스 조정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6은 제5 입력부 중 제1소스키(피아노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7은 제5 입력부 중 제2소스키(바이올린키)가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제2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도.
도 22는 단축키 등록 명령이 입력된 후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가 구현된 모습의 예들.
도 25는 특정 소스가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표 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26은 특정 소스가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
도 27은 특정 소스가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
도 28은 특정 소스가 선택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의 순서도.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특정 믹스신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믹스신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계속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신호 정보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는, 상기 믹스신호에 포함되어있는 소스신호의 악기명, 가수명, 및 등장인물명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상기 소스신호의 악기연주자명, 제작일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볼륨레벨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이퀄라이저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앰비언스 조정화면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9. 다수의 믹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하는 소스신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상기 믹스신호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계속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 중 하나의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 볼륨레벨 조정화면, 이퀄라이저 조정화면, 앰비언스 조정화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발광소자들의 점멸여부에 의해 상기 소스신호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KR1020080103041A 2006-12-01 2008-10-21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897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830706P 2006-12-01 2006-12-01
US60/868,307 2006-12-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03A Division KR100885699B1 (ko) 2006-12-01 2007-06-26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844A true KR20080099844A (ko) 2008-11-13
KR100897812B1 KR100897812B1 (ko) 2009-05-15

Family

ID=3980572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03A KR100885699B1 (ko) 2006-12-01 2007-06-26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1020070063304A KR100913092B1 (ko) 2006-12-01 2007-06-26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3041A KR100897812B1 (ko) 2006-12-01 2008-10-21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080103040A KR100913095B1 (ko) 2006-12-01 2008-10-21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03A KR100885699B1 (ko) 2006-12-01 2007-06-26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1020070063304A KR100913092B1 (ko) 2006-12-01 2007-06-26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040A KR100913095B1 (ko) 2006-12-01 2008-10-21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0885699B1 (ko)
CN (1) CN10158392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8915A1 (en) * 2006-04-04 2009-04-02 Mikio Kizaki Vehicle assistance system
KR101958664B1 (ko) * 2017-12-11 2019-03-18 (주)휴맥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다양한 오디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509B2 (en) 2009-02-27 2012-07-24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ve shroud for handheld device
CN116419138A (zh) * 2010-03-23 2023-07-11 杜比实验室特许公司 音频再现方法和声音再现系统
EP2555536A1 (en) 2011-08-05 2013-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1262700B1 (ko) * 2011-08-05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EP2665208A1 (en) * 2012-05-14 2013-11-2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a Higher Order Ambisonics signal representation
JP2014015117A (ja) * 2012-07-09 2014-01-30 Mitsubishi Motors Corp 音響制御装置
JP6186435B2 (ja) * 2012-08-07 2017-08-23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ゲーム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を示すオブジェクトベースオーディオの符号化及びレンダリング
TWI530941B (zh) * 2013-04-03 2016-04-2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用於基於物件音頻之互動成像的方法與系統
EP3191940B1 (en) * 2014-09-10 2019-11-06 Lego A/S A method for establishing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functions
US11755282B1 (en) * 2022-10-11 2023-09-12 Avid Technology, Inc. Color-coded audio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3427A (en) 1995-04-21 1999-08-24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audio spatialization
KR100605888B1 (ko) * 1999-08-12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상태 표시 방법
KR100542129B1 (ko) * 2002-10-28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84551B1 (ko) * 2002-11-26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학 학습용 디브디 시스템 및 오디오 스트림 처리 방법
KR20040051324A (ko)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단축키 설정 및 실행 방법
KR20040087561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시어터 시스템의 스피커 음량 조절방법
KR20060005833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신호 볼륨 조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8915A1 (en) * 2006-04-04 2009-04-02 Mikio Kizaki Vehicle assistance system
US8428802B2 (en) * 2006-04-04 2013-04-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ssistance system
KR101958664B1 (ko) * 2017-12-11 2019-03-18 (주)휴맥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다양한 오디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82928B2 (en) 2017-12-11 2020-09-22 Humax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audio environments in multimedia content playba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812B1 (ko) 2009-05-15
KR20080050230A (ko) 2008-06-05
CN101583921B (zh) 2013-01-16
KR100913092B1 (ko) 2009-08-21
KR100885699B1 (ko) 2009-02-26
KR100913095B1 (ko) 2009-08-21
KR20080050231A (ko) 2008-06-05
KR20080100312A (ko) 2008-11-17
CN101583921A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095B1 (ko) 키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JP5081250B2 (ja) 命令入力装置及び方法、メディア信号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表示方法及びその具現装置、並びにミックス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5001384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885700B1 (ko)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443568B1 (ko) 오디오 디코더
JP5249408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5319704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MX2008012246A (es) Metodos y aparatos para codificar y descodificar señales de audio basadas en objeto.
JP5406276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891671B1 (ko)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91667B1 (ko) 믹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Canfer Music Technology in Live Performance: Tools, Techniques, and Interaction
KR100891669B1 (ko) 믹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91670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TWI831320B (zh) 電視
Reuter et al. Formant distances and the similarity perception of wind instrument timbres
KR100891668B1 (ko) 믹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2018718A1 (en) Selective tone shifting device
KR101657110B1 (ko) 휴대용 노래반주 셋탑 박스
KR100891665B1 (ko) 믹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