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671B1 -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671B1
KR100891671B1 KR1020070063292A KR20070063292A KR100891671B1 KR 100891671 B1 KR100891671 B1 KR 100891671B1 KR 1020070063292 A KR1020070063292 A KR 1020070063292A KR 20070063292 A KR20070063292 A KR 20070063292A KR 100891671 B1 KR100891671 B1 KR 10089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signal
source control
mixed signal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229A (ko
Inventor
정양원
오현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0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using sound class specific coding, hybrid encoders or object based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subband decomposition
    • G10L19/0208Subband voco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등의 믹스신호를 사용자가 소스별로 제어할 수 있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믹스신호를 리믹스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정보를 저장시킨 다음, 추후 그 믹스신호를 리믹싱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패닝(panning) 효과 또는 페이딩(fading) 효과를 특정 구간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제어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미디어, 비디오, 오디오, 소스

Description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ING MIX SIGNA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1의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메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6은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5의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8a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b는 종래의 디코딩 장치와 결합하여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상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패닝 효과의 경우 시점 정보, 종점 정보 및, 시점 및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페이딩 효과의 경우 시점 정보, 종점 정보 및, 시점 및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표시한 화면의 예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17은 소스 제어정보가 생성되고 이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등의 믹스신호를 사용자가 소스별로 제어할 수 있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신호가 가장 흔하게 생성되고, 소비자들에게 가장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멀티채널 신호가 점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믹스신호는 상기 믹스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 단위가 아니라, 채널 신호 단위로 처리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채널 신호 단위로 믹스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믹스신호를 구성하는 특정 소스 신호만을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영화를 보면서 배우들 음성에 대한 볼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배경음악의 볼륨만을 높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믹스신호(또는 합성 소스 신호)를 소스별로 즉, 소스신호별로 리믹싱하여 믹스신호를 재생시킨 다음에, 이전에 리믹싱된 믹스신호를 차후에 재생하고자할 경우에는, 예전에 입력한 제어정보를 그대로 다시 입력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믹스신호를 리믹스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정보를 저장시킨 다음, 추후 그 믹스신호를 리믹싱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패닝(panning) 효과 또는 페이딩(fading) 효과를 특정 구간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제어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은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는, 상기 믹스신호, 및 상기 믹스신호의 부가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게인팩터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시점 정보, 상기 시점에서의 게인팩터, 종점 정보, 및 상기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가 하나 이상일 경우,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소스 제어정보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은, 상기 믹스신호의 소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명령은, 일부의 소스에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된 소스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택명령은, 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일부의 소스에 각각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 선택명령에 따라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믹스신호에 대한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는 일부 소스에 관한 것인 경우, 그 외의 소스에 관한 소스 제어정보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스킵하고, 상기 믹스신호를 리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받는 단계 이후, 상기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믹스신호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신호의 잔여 재생시간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재생시간 동안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이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현재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할 경우, 상기 현재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의 처리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로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별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믹스신호의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스 제어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 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믹스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 또는 제어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을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하나의 소스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는, 하나의 비트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제어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하나의 소스 제어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부가정보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정보 및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를 업믹스하기 위한 업믹싱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정보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 및 출력채널 컨피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제어정보 및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를 업믹스하기 위한 업믹싱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믹스신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믹스신호는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합성 소스신호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더의 블록도이다. 상기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더는 부가정보생성부(103) 및 부가정보인코딩부(105)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가정보생성부(103)는 통상적인 믹스 신호(101) 및 상기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102)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104)를 생성한다. 상기 믹스 신호(101)는 모노(mono), 스테레오(stereo)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multi-channel audio signal)가 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신호(102)는 상기 믹스 신호(101)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104)는 상기 믹스 신호를 소스 신호 단위로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상기 부가 정보(104)는 상기 믹스 신호를 리믹싱하기 위한 믹스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믹스 파라터에는 인코더에서 소스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인코더 믹스 파라미터(Encoder mix parameter)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믹스 신호만을 이용하여 생성된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Blind mix para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스 파라미터의 예로는 각각의 소스 신호에 대한 게인 값 및 서브밴드 파위(subband powe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104)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및 생성 방법은 도 2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또한 믹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102)만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104)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정보인코딩부(105)는 생성된 부가 정보(104)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106)를 생성한다. 상기 믹스 신호(101) 및 상기 부가 정보 신호(106)는 디코딩 장치로 전송된다.
도 2는 믹스 신호가 스테레오 신호인 경우, 도 1의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믹스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스테레오 신호(20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테레오 신호(stereo signal)(20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2
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구성하는 소스 신호들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타임 인덱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3
여기서, I는 스테레오 신호 내에 포함되는 소스 신호들의 개수이고,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4
은 소스 신호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5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6
는 각각의 소스 신호에 대한 진폭 패닝(amplitude panning) 및 게인(gain)을 결정하는 값이다. 모든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7
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상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8
는 모두 순수한 소스 신호이거나, 또는 순수한 소스 신호에 약간의 잔향(reverberation) 및 효과음 신호성분(sound effect signal 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잔향 신호성분은 2개의 소스 신호, 즉, 왼쪽 채널로 믹스된 신호와 오른쪽 채널로 믹스된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개(0 <= M <= I)의 소스 신호들이 리믹스 되도록, 상기 소스 신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신호를 수정하는 것이다. 상기 소스 신호들은 서로 다른 게인 팩터들을 가지면서 스테레오 신호로 리믹스될 수 있다. 리믹스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0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1
는 리믹스되는 M개의 소스 신호들에 대한 새로운 게인 팩터들이다. 상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2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3
는 디코더 단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스테레오 신호(201) 및 M개의 소스 신호(202)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207)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스테레오 신호와 약간의 부가 정보가 주어지는 경우에,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소스 신호 단위로 리믹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매우 적은 양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 표현되는 믹스 신호로부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리믹스 신호를 완벽하게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소스 신호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4
에 대한 접근 없이, [수학식 1]로 표현되는 통상적인 믹스 신호가 주어지는 경우에, [수학식 2]로 표현되는 리믹스 신호를 지각적으로 모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통상적인 스테레오 신호(201)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에 포함되는 M개의 소스 신호(202)가 입력된다.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는 부가 정보와 동기화되기 위해 어느 정도 딜레이 되어, 출력 신호로서 직접 이용될 수 있다.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 및 소스 신호들(202)은 필터뱅크(203)를 통하여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204 및 205)로 분해된다. 즉, 상기 스테레오 신호(201) 및 소스 신호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처리되는데, 상기 시간-주파수 도메인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한다. 상기 서브밴드별 신호(204)는 각 서브밴드의 중심 주파수에서 유사하게 프로세싱된다. 특정한 주파수에서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쌍(204)은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5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6
로 표시된다. 여기서 k는 서브밴드 신호들의 시간 인덱스(time index)이다. 유사하게, M개의 소스 신호들(202)의 서브밴드 신호들(205)은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7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8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19
로 표시된다. 명료한 표현을 위해, 서브밴드(주파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소스 신호들(202)의 서브밴드 신호들(205)이 주어지면,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서브밴드별로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short-time subband power),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0
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쌍(204)을 이용하여, 서브밴드별로 게인 팩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2
를 생성한다. 상기 게인 팩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3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4
는 외부에서 직접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별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부가 정보(207)가 생성된다. 상기 부가정보생성부(206)는 상기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들 이외에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관련된 다른 정보를 부가 정보(207)로 생성할 수 있다. 부가정보인코딩부(208)는 상기 서브밴드별 부가정보(207)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209)를 생성한다.
많은 스테레오 신호(201)에 대하여, 게인 팩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5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6
는 고정적이 될 것이다. 만일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7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8
가 시간 k에 따라 가변적이라면, 상기 게인 팩터들은 시 간의 함수로 생성될 것이다. 상기 게인 팩터들은 직접 양자화 및 부호화되지 않고, 먼저 양자화 및 부호화에 더 적합한 다른 값들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29
는 스테레오 신호(201)의 서브밴드 파워에 상대적인 값으로 정규화될 수 있다. 이것은 스테레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상대적으로 변화에 강하도록 만들어준다. 예를 들면,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0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1
는 아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게인 및 데시벨(dB) 단위의 레벨차로 전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2
또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3
는 부가 정보로서 직접 부호화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수학식 4]로 표현되는 스테레오 신호에 상대적으로 정의된 값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4
숏-타임 서브밴드 파워를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폴 평균(single-pole averaging)을 사용한다. 즉,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5
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6
여기서, α∈[0,1]는 아래의 [수학식 6]와 같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추정 윈도우(estimation window)의 시간-상수를 결정한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7
여기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8
는 서브밴드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T=40 ms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39
는 숏-타임 평균(short-time averaging)을 나타낸다. 만일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0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1
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2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3
는 부가정보생성부(206)에서 생성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4
이므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5
는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6
유사하게,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7
는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도메인을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오디오 신호 및 부가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로서 처리된다. 상기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는 지각적으로 유도된다. 예를 들면, 약 20ms의 길이를 가지는 사인파 분석창 및 통합창(sine analysis and synthesis window)을 가지는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TFT 계수들은 하나의 그룹이 ERB(equivalent rectangular bandwidth)의 약 2배가 되는 대역폭을 갖도록 그룹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는 다운믹싱부(402), 부가정보생성부(403) 및 부가정보인코딩부(406)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운믹싱부(402)는 복수의 소스 신호들(401)을 더하여 하나의 합 신호(sum signal)(404)을 생성한다. 제2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는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와는 달리, 스테레오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에 상기 합 신호(404)를 전송한다. 부가정보생성부(403)는 상기 소스 신호들(401)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405)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405)는 각 소스 신호에 대응하는 서브밴드 파워 및 게인 팩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405)는 리믹스 렌더링부에서의 딜레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부가 정보(405)는 양자화 및 부호화에 더 적합한 다른 값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부가정보인코딩부(406)는 생성된 부가 정보(405)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가 정보 신호(407)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합 신호(404) 및 부가 정보 신호(407)는 디코딩 장치로 전송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운믹싱부(402)를 가지지 않는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소스 신호들(401)은 합 신호(404)로 변환되지 않고, 각 소스 신호들(401)이 직접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부가정보디코딩부(503) 및 리믹스 렌더링부(505)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믹스 신호(501) 및 부가 정보 신호(502)가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입력된다. 상기 믹스 신호(501)는 모노,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다. 부가정보디코딩부(503)는 부가 정보 신호(502)를 디코딩하여 부가 정보(504)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504)는 전송된 오디오 신 호(501)에 포함된 소스 신호들의 게인 팩터 및 서브밴드 파워 등을 포함한다. 리믹스 렌더링부(505)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user-mix parameter, 506)가 입력될 수 있다. 리믹스 렌더링부(505)는 믹스 신호(501), 전송된 부가 정보(504)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506)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507)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한다. 리믹스 신호(507)는 전송된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동채널 믹스 신호(Eq-channel mix signal)로 생성되거나, 또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업채널 믹스 신호(Up-channel mix signal)로 생성될 수 있다.
도 6은 스테레오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도 5의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전송된 믹스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및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스테레오 신호(60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테레오 신호(601)는 필터뱅크(603)을 통하여 시간-주파수 도메인의 서브밴드별 신호(604)로 분해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한 주파수에서의 서브밴드별 신호(604)은
Figure 112007046585818-pat00049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0
로 표현된다. 부가정보디코딩부(605)는 전송된 부가 정보 신호(602)를 복호화하여, 서브밴드별 부가 정보(606)를 생성한다. 또한, 리믹스 렌더링부(607)에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는 서브밴드별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부가 정보(606)는 리믹스 될 M개의 소스 신호에 대한 서브밴드별 게인 팩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2
) 및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3
로 표현되는 서브밴드 파워를 포함한다. 리믹스 렌더링부(607)는 서브밴드별로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604), 전송된 부가 정보(606)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608)를 이용하여,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4
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상기 리믹스 신호(609)는 역필터뱅크(610)를 통해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스테레오 신호(61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6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7
로 변환된다.
리믹스 렌더링부(607)에서 생성된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서브밴드별 신호(604 및 609)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이 경우에, 소스 신호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8
는 서브밴드별 소스 신호
Figure 112007046585818-pat00059
로 교체된다. 즉,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는 아래의 [수학식 9]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0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는 아래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1
리믹스 신호(609)를 생성하기 위해, 최소자승추정법(least squares estimation)이 이용될 수 있다.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2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3
가 주어지면, 아래의 [수학식 11]와 같이 서로 다른 게인들을 가지는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가 상기 서브밴드별 믹스 신호(604)의 선형 조합으로 추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4
여기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5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6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7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8
는 가중 팩터들(weighting factors)이다. 이때, 생성되는 추정 에러(estimation error)는 아래의 [수학식 12]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69
상기 가중 팩터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0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1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2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3
는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 error),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4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5
가 최소가 되도록 서브밴드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추정 에러,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6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7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8
Figure 112007046585818-pat00079
에 직교(orthogonal)될 때, 상기 평균제곱오차가 최소가 된다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생성되는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0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1
는 아래의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2
여기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3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4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5
는 직접 생성될 수 있지만,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6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7
은 전송된 부가 정보(606)(예를 들면,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8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89
,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0
) 및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608)(예를 들면, 게인 팩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1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2
)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3
유사하게,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4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5
가 아래의 [수학식 15]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6
여기서,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7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8
는 아래의 [수학식 1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099
만일, 상기 믹스 신호(604)의 위상이 서로 동기되거나(coherent) 또는 거의 동기화된다면, 아래의 [수학식 17]와 같이 표현되는 값이 1에 근접하게 된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0
이때, 상기 가중치들은 아래의 [수학식 1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1
이와 같이 생성된 서브밴드별 리믹스 신호(609)는 전술한 것처럼 역필터뱅크(610)를 통해 시간-도메인의 리믹스 신호(611)로 변환된다. 상기 리믹스 신호(611)는 사용자가 제공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2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3
)를 이용하여 각각의 소스 신호를 독립적으로 리믹스하여 생성된 리믹스 신호와 유사하게 들린다.
지금까지는 2채널 스테레오 신호의 리믹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스테레오 신호에 제한되지 않고,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예를 들면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리믹싱하는 것까지 확대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스테레오 신호와 유사하게,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리믹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학식 11]는 아래의 [수학식 19]과 같이 쓰여질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4
선택적으로, 믹스 신호의 채널들 중 특정한 채널은 리믹스하지 않고 남겨두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1 서라운드 채널에 대하여, 2개의 뒤쪽 채널은 수정하지 않고, 앞쪽 채널에만 리믹싱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2 또는 3채널 리믹싱 알고리즘이 앞쪽 채널에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부가정보디코딩부(703), 공간정보통합부(705) 및 리믹스 렌더링부(707)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신호들의 합 신호(701) 및 부가 정보 신호(702)가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로 입력된다. 부가정보디코딩부(703)는 부가 정보 신호(702)를 디코딩하여, 부가 정보(704)를 생성한다. 상기 부가 정보(704)는 게인 팩터, 딜레이 상수 및 서브밴드 파워 등을 포함한다. 부가정보통합부(705)는 상기 부가 정보(704)를 이용하여, 상기 합 신호(701)를 복수의 소스 신호들(706)로 분리한다.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상기 소스 신호들(706)을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부가 정보로 전송 된 믹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707)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708)를 이용하여 리믹스 신호(709)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a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믹스 신호(801)는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803)에 의해 부호화되어, 부호화된 믹스 신호(805)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믹스 신호(801)는 채널별 신호 또는 소스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인코딩 장치(803)는 AAC, MP3 인코더 등과 같은 종래의 인코딩 장치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인코딩 장치(804)는 상기 믹스 신호(801) 및 상기 믹스 신호에 포함되는 소스 신호(802)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신호(806)를 생성한다. 다중화부(807)는 부호화된 믹스 신호(805) 및 부가 정보 신호(806)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808)을 생성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부가 정보 신호(806)는 종래 장치들과 호환성을 가지도록, 종래 믹스 신호 포맷 내의 보조 데이터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b는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결합에 대한 블록도이다. 역다중화부(810)는 전송된 비트스트림(809)으로부터 부호화된 믹스 신호(811) 및 부가 정보 신호(812)를 분리한다. 그 다음에,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813)는 상기 부호화된 믹스 신호(811)를 디코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815)에서 이용될 수 있는 믹스 신호(814)를 생성한다. 상기 통상적인 디코딩 장치(813)는 AAC, MP3 디코더 등과 같 은 종래의 인코딩 장치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믹스 신호(814)는 채널별 신호 또는 소스 신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817)는 부가 정보 신호(812)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81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814)를 리믹스 신호(816)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상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는 믹스신호디코딩부(901), 파라미터생성부(902), 및 리믹스렌더링부(908)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펙터(Effecter, 9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생성부(902)는 블라인드믹스 파라미터생성부(903), 사용자믹스파라미터생성부(904), 및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는 이퀴믹스파라미터생성부(906)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는 이퀴믹스렌더링부(909)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업믹스렌더링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스신호디코딩부(901)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된 부호화된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파라미터생성부(902)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된 부가 정보 및 사용자 제어정보(또는, 구성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제어정보는 인코더 단에서 전송되지 않고, 디코더 단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믹스파라미터생성부(904)는 사용자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인코더 단에서 전송된 부가 정보에는 인코더 믹스 파라믹터(Encoder Mix Parameter)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믹스파라미터생성부(903)는 상기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Blind-Mix Parameter)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믹스 파라미터와 상기 블라인드 믹스 파라미터는 택일적으로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로 입력된다.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는 부가 정보 및 사용자 믹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는 리믹스 신호의 채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에 포함되는 이퀴믹스파라미터생성부(906)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믹스파라미터생성부(905)에 포함될 수 있는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는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더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리믹스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리믹스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는 리믹스렌더링부(908)에 입력된다.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에 포함되는 이퀴믹스렌더링부(909)는 상기 리믹스 파라미터 및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의 채널 수와 동일한 채널 수를 가지는 이퀴채널 리믹스 신호(Eq-channel remix signal)를 생성한다. 상기 리믹스렌더링부(908)에 포함될 수 있는 업믹스렌더링부(910)는 상기 업믹스파라미터생성부(907)에서 생성된 리믹스 파라미터 및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 신호의 채널 수보다 더 많은 채널 수를 가지는 업채널 리믹스 신호(Up-channel remix signal)를 생성한다. 상기 업믹스렌더링부(910)는 상기 이퀴채널렌더링부(909)에서 생성된 리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업채널 리믹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코딩 장치는 인코딩 단에서 전송한 믹스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이퀴채널 리믹스 신호로 출력하거나, 또는 업채널 리믹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믹스 렌더링부는 이펙터(91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믹스 신호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1100)는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와 연계되어 있고, 제어부(1110), 메모리(1120), 입력부(1130), 디스플레이(1140), 및 통신부(1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는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메모리(1120)는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별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이다. 이 경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는, 부가정보 디코딩부(503)로부터 수신한 믹스신호의 부가정보(si)일 수도 있고, 믹스신호(501) 그 자체일 수도 있다. 한편, 소스 제어정보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여기서 게인팩터는 앞서 도 6과 함께 설명된 게인팩터(ci 및 di)(608)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게인팩터(ci 및 di)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시간 인덱스(k)를 붙여서 ci(k), di(k)(k는 시간 인덱스)로 표기하면, 수학식 10은 다음 수학식 20과 같이 고쳐 쓸 수 있다.
Figure 112007046585818-pat00105
한편, 소스 제어정보는 특정 구간에서의 패닝(panning) 효과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2분 24초부터 2분 42초 구간에서 사람 음성신호가 우측 채널에서 좌측 채널로 서서히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패닝 효과이다. 이 경우, 시점 정보(예: ks=2분 24초), 종점 정보(예: kf=2분 42초), 시점에서의 게인팩터(예: ci(ks)=1, di(ks)=0), 종점에서의 게인팩터(ci(kf)=0, di(kf)=1)만을 포함하고, 시점 및 종점사이에서의 게인팩터(ci(k), di(k), 여기서 ks<k<kf)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패닝 효과의 경우 시점 정보, 종점 정보 및, 시점 및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k=ks(시점) 및 k=kf(종점)에서의 게인팩터(ci, di)가 표시되어 있고, 시점 및 종점사이의 게인팩터는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점 및 종점에서의 게인팩터가 소스 제어정보로서 메모리(1120)에 저장되어 있으면, 그 사이 구간에서의 게인팩터(빗금친 부분)는 제어부(1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제어정보는 특정 구간에서의 페이딩(fading) 효과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1분 24초부터 1분 42초 구간에서 여성 음성신 호가 서서히 높아지거나(fade in) 서서히 낮아지는(fade out) 것이 페이딩 효과이다. 이 경우도, 패닝(panning) 효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점 정보(예: ks=1분 24초), 종점 정보(예: kf=1분 42초), 시점에서의 게인팩터(예: ci(ks)=0, di(ks)=0), 종점에서의 게인팩터(ci(kf)=1, di(kf)=1)만을 포함하고, 시점 및 종점사이에서의 게인팩터(ci(k), di(k), 여기서 ks<k<kf)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페이딩 효과의 경우 시점 정보, 종점 정보 및, 시점 및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경우도,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점 및 종점 구간에서의 게인팩터(빗금친 부분)는 메모리(1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제어부(1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미디오신호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ci)를 메모리(1120)로부터 독출하여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저장된 소스 제어정보(ci)의 조회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110)는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표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표시한 화면의 예들이다. 도 14는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에 소스 정보까지 표시된 화면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30)를 통해 특정 소스 제어정보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ci)를 메모리(1120)로부터 독출하여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로 출력한다. 만약, 도 14에 표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믹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소스들(예: 피아노, 바이올린, 여성 보컬, 플루트) 중에서 하나(예: 여성 보컬)에 대한 선탱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 부(1110)는 선택된 소스(예: 여성 보컬)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예: ci =[c3(k), d3(k)])만을 출력한다. 나아가, 다수의 소스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소스 제어정보 중에서 특정 소스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예: ci[1] =[c2(k), d2(k)])를 선택하고, 제2 소스 제어정보 중에서 특정 소스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예: ci[2] =[c3(k), d3(k)])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c2(k), d2(k)], [c3(k), d3(k)])를 출력할 수 있고, 이를 새로운 소스 제어정보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10)는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에 관하여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10)는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메모리(1120)에 저장한다. 이때,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는 전체 소스에 관한 것이 아니라, 일부 소스에 관한 것일 수 있는데, 이때 그 이외의 소스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는 변경되지 않고 원래의 소스 제어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특정 소스 제어정보를 변경하는 순간, 리믹스 렌더링부(505)는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스킵하고, 믹스신호(501) 및 부가정보(502)만을 이용하여 출력채널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디스플레이(114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1110)가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ci)를 출력하 는 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믹스 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ci)가 존재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스 제어정보(ci)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리믹스 렌더링부(505)에서는 믹스신호(501) 및 부가정보(502)만을 이용하여 출력채널을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ci)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110)는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140)를 통해 출력한 후, 입력부(1130)를 통해 소스 제어정보가 입력되면, 믹스신호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메모리(1120)에 저장한다. 한편, 리믹스 렌더링부(505)에 의해 믹스신호(501)가 리믹스되어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된 경우, 리믹스 렌더링부(505)는 믹스신호의 재생을 중단하지 않고,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믹스신호의 잔여 재생시간을 리믹싱한다. 한편, 소스 제어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게인팩터(ci(k), di(k)(k는 시간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때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서 입력한 후, 현재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 현재 소스 제어정보((ci(kc), di(kc)(kc는 현재 시간))를 전체 믹스신호에 대응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130)는 소스 제어정보, 소스 제어정보 변경명령, 소스 제어정보 선택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디스플레이(1140)는 소스 제어정보 입력 화면,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 소스 제어정보 선택화면 등이 표시되는 표시장치이다.
통신부(1150)는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소스 제어정보(ci)를 제2 리믹스 제어 장치(미도시)에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여기서, 소스 제어정보는 믹스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비트열일 수 있다. 제2 리믹스 제어 장치(미도시)에 관해서는 도 17 내지 도 19와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1200)는 믹스신호 처리 장치(700)와 연계되어 있고, 제어부(1210), 메모리(1220), 입력부(1230), 및 디스플레이(1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믹스신호의 처리 장치(700)는 앞서 도 7과 함께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1200)의 제어부(1210), 메모리(1220), 입력부(1230), 및 디스플레이(1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1100)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거의 동일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다수의 믹스신호 중 리믹싱하고자 하는 특정 믹스신호를 선택한다(S110 단계). 그러면, 믹스신호 처리 장치는 믹스신호의 부가정보를 디코딩한다. 믹스신호 제어 장치는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믹스신호 또는 믹스신호의 부가정보)를 믹스신호 처리 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S120 단계). 그런 다음 믹스신호 제어 장치는 S120 단계에서 수신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S110 단계에서 선택된 믹스신호와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S130 단계).
만약, 사용자가 저장된 소스 제어정보의 조회를 선택할 경우(S140 단계의 '예'),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50 단계).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의 예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3 내지 도 14와 같다. 사용자가 특정 소스 제어정보(전체 또는 일부 소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한다(S150 단계).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두 번째 리믹스 정보("2. 리믹스 정보2")를 클릭하거나, 도 14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두 번째 리믹스정보("2. 리믹스 정보2")의 "피아노"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이다. 그러면, 믹스신호 처리 장치는 S150 단계에서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전체 또는 일부 소스)를 독출하여 믹스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S160 단계). 그러면, 믹스신호 처리 장치는 S160 단계에서 출력된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그 소스 제어정보에 따라 믹스신호를 리믹싱한다(S180 단계). 만약,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는 경우(S190 단계), 변경된 제어정보를 저장한다(S200 단계).
만약, 사용자가 저장된 소스 제어정보의 조회를 선택하지 않고(S140의 '아니오'),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S210 단계의 '예'), 믹스신호 제어 장치는 소스 제어정보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하면 그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한다(S220 단계). 그런 다음, 믹스신호 제어 장치는 S220 단계에서 수신된 소스 제어정보를 믹스신호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서 저장 한다(S230 단계).
도 17은 소스 제어정보가 생성되고 이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믹스신호 제어 장치(1100)가 소스 제어정보(ci)를 통신망을 통해 제어정보 제공 서버(2000)에 제공하거나,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2100)에 직접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믹스신호 제어장치(1100)는 앞서 도 10 또는 도 15와 함께 설명된 믹스신호 제어 장치(1100, 120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소스 제어정보(ci)를 수신한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2100)는 소스 제어정보(ci)를 이용하여 해당 믹스신호를 리믹스한다.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21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8과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8을 참조하면,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2100)는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와 연계되어 있고, 통신부(2110), 입력부(2120), 제어부(2130), 및 디스플레이(2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는 앞서 도 5와 함께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믹스 신호 디코딩 장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통신부(2110)는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ci)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ci)는 각각 비트열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비트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소스 제어정보(ci)는 인코딩 장치에서 생성된 것(ci(preset))일 수 도 있고,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ci(UCC))일 수도 있다. 입력부(2120)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ci)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제어부(2130)는 입력부(2120)를 통해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ci)를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로 출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2140)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믹스신호 제어 장치(1200)는 우선, 믹스 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한다(S310 단계). 그러면 소스 제어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한다(S320 단계). 만약 사용자가 표시된 소스 제어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면(S330 단계)의 '예'),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를 믹스신호 처리 장치(500)로 출력한다(S340 단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장치(3100)는 파라미터 생성부(3110) 및 업믹스 렌더링부(3120)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생성부(3110)는 부가정보(502), 제어정보(ci)를 수신하여 업믹싱 파라미터(UPBS)를 생성한다. 부가정보(502) 대신에 믹스 신호(501)를 수신하여 믹스 신호(501)를 근거로 부가정보(502)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정보(ci)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g) 및 출력채널 컨피그정보(cf)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g)는 앞서 도 6과 함께 설명된 게인팩터(ci 및 di)(608)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피그정보(cf)는 출력채널의 개수정, 출력채널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생성부(3110) 가 생성하는 업믹싱 파라미터(UPBS)(Upmix Parameter Bit Stream)는 믹스 신호(501)의 채널수보다 많은 채널수로 렌더링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이다. 업믹싱 파라미터는 다른 장치에 전송될 수 있도록 인코딩된 비트열로 구성될 수 있다.
업믹스 렌더링부(3120)는 업믹싱 파라미터(UPBS) 및 믹스 신호(501)를 수신하여 업채널 믹스 신호(UCMS)(Up-channel Mix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업채널 믹스 신호(UCMS)는 믹스 신호(501)의 채널 수보다 많은 채널 수를 가진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스신호 제어 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고(S410 단계),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 및 출력채널 컨피그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한다(S420 단계). 그런 다음, S410 단계에서 수신된 부가정보 및 S420 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업믹싱 파라미터를 생성한다(S430 단계). 그런 다음, 이 업믹싱 파라미터 및 믹스 신호를 이용하여 리믹싱된 업믹스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S440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믹스신호를 리믹스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정보를 저장시킨 다음, 추후 그 믹스신호의 리믹싱하는데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리믹싱한 믹스신호를 별도의 조작 없이도 계속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히 패닝(panning) 효과 또는 페이딩(fading) 효과를 특정 구간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구간 내에서의 제어정보를 제외시켜도 추후 동일한 효과를 내는 소스 제어정보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정보의 데이터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소스 제어정보가 믹스신호 또는 믹스신호의 부가정보와는 독립적으로 유통되어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도 소비될 수 있기 때문에, 믹스신호를 리믹싱한 사용자는 편곡자 내지 편집자로서의 위상에 오를 수 있다.

Claims (32)

  1.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는, 상기 믹스신호, 및 상기 믹스신호의 부가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팩터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시점 정보, 상기 시점에서의 게인팩터, 종점 정보, 및 상기 종점에서의 게인팩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가 하나 이상일 경우,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소스 제어정보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의 목록은, 상기 믹스신호의 소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명령은, 일부의 소스에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선택된 소스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명령은, 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일부의 소스에 각각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 선택명령에 따라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믹스신호에 대한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는 일부 소스에 관한 것인 경우, 그 외의 소스에 관한 소스 제어정보는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스킵하고, 상기 믹스신호를 리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 이후,
    상기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믹스신호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믹스신호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소스 제어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소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믹스신호의 잔여 재생시간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재생시간 동안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이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현재 소스 제어정보의 저장을 선택할 경우, 상기 현재 소스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18. 믹스신호의 처리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로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별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믹스신호의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믹스신호에 대응되는 소스 제어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스 제어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스 제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믹스신호 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
  21.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제어정보는, 믹스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믹스신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는, 다른 사용자의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 또는 제어정보 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방법.
  24.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소스 제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소스 제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 믹스신호 제어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 장치.
  25.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을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하나의 소스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는, 하나의 비트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제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28.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제어정보 중 하나의 소스 제어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소스 제어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장치.
  29.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부가정보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정보 및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를 업믹스하기 위 한 업믹싱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소스별 채널별 게인팩터 및 출력채널 컨피그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방법.
  32. 믹스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제어정보 및 부가정보를 근거로, 상기 믹스신호를 업믹스하기 위한 업믹싱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신호 제어장치.
KR1020070063292A 2006-12-01 2007-06-26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91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830706P 2006-12-01 2006-12-01
US86830406P 2006-12-01 2006-12-01
US60/868,307 2006-12-01
US60/868,304 2006-12-01
US89416207P 2007-03-09 2007-03-09
US60/894,162 2007-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29A KR20080050229A (ko) 2008-06-05
KR100891671B1 true KR100891671B1 (ko) 2009-04-03

Family

ID=3980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292A KR100891671B1 (ko) 2006-12-01 2007-06-26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91B1 (ko) * 2008-07-10 2013-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정보 기반의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에서의 오디오 객체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941A (ko) * 2004-07-09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음원 위치 정보를 이용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60049980A (ko) * 2004-07-09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1784819A1 (en) 2004-11-02 2007-05-16 Coding Technologies AB Stereo compatible multi-channel audio co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941A (ko) * 2004-07-09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음원 위치 정보를 이용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60049980A (ko) * 2004-07-09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1784819A1 (en) 2004-11-02 2007-05-16 Coding Technologies AB Stereo compatible multi-channel audio cod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trick De Smet et al., 'Subband based audio mixing for internet streaming applications', ICASSP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29A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9881B2 (ja) オーディオソースのパラメトリックジョイント符号化
KR100913092B1 (ko) 믹스신호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JP5001384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5238707B2 (ja) オブジェクトベースオーディオ信号のエン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JP5174027B2 (ja) ミックス信号処理装置及びミックス信号処理方法
US9319014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CA2712941C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20090220095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JP5249408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90110234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JP5406276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891671B1 (ko) 믹스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91667B1 (ko) 믹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91669B1 (ko) 믹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91670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91668B1 (ko) 믹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