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723A -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723A
KR20080098723A KR1020070043947A KR20070043947A KR20080098723A KR 20080098723 A KR20080098723 A KR 20080098723A KR 1020070043947 A KR1020070043947 A KR 1020070043947A KR 20070043947 A KR20070043947 A KR 20070043947A KR 20080098723 A KR20080098723 A KR 2008009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ft ground
sump
pump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132B1 (ko
Inventor
최귀봉
최재호
송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07004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1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벌 등의 연약지반 매립을 위한 탈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하성토층(12)의 자중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배수층(13)의 압밀수을 집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집수정(10) 및 집수정 내부에 위치된 수중펌프(16)와; 상기 집수정(10) 내에 집수되는 수위를 측정하여 수중펌프(16)를 가동시켜 배수할 있도록 하는 수위 감지센서 선(17) 및 전선(18)과; 각 공구에 설치된 집수정(10)의 수중펌프(16)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서브 패널(20)과; 상기 각각의 서브패널(20)과 연결되어 집수정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메인패널(21)과; 상기 메인패널(21)을 한국통신 통신선(22')에 연결하고 관리자의 컴퓨터(PC)(23)에 연결하여 관리자가 컴퓨터로 다수의 집수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배수 및 탈수의 효율을 증대시켜 연약지반 처리시 소요되는 압밀기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를 자동화 관리 시스템화 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시공방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 압밀수, 집수정, 배수층, 수중펌프, 수위 감지센서

Description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Soft ground pressure dehydration draining control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수중펌프와 수위 감지센서 및 전선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의 점토층과 준설토에 드레인 을 설치하고 배수층에 집수정을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의 압밀수가 배수되어 강도증가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재하성토층을 반복 성토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설치된 집수정의 수중펌프를 관리하기 시스템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설치된 다수의 집수정의 수중펌프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집수정 11:드레인
12:재하성토층 13:배수층
14:매트 15:준설토층
15':점토층 16:수중펌프
17:수위 감지센서 선 18:전선
20:서브패널 21:메인패널
22:한국통신 22':한국통신선
23:PC
30:연약지반 존
본 발명은 갯벌 등의 연약지반 매립을 위한 탈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재하성토 층의 하중에 의해 토립자 내의 물이 직접 혹은 연약토층에 관입된 드레인을 통해 상부의 수평 배수층으로 배수되면 수평 배수층에 설치된 집수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집수정에 모인 물을 수중펌프로 강제 배수시킬 수 있도록 집수정, 수위 감지센서, 서브패널, 메인패널, 한국통신 전용선, PC으로 연결되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약지반의 효율적인 배수와 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갯벌 등을 매립시 연약지반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성토를 하면서 집수정의 물을 펌프로 계속 배출시켰으나 갯벌을 매립하는 지역이 광대한 관계로 수많은 집수정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집수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즉, 수 많은 집수정 마다 펌프를 설치하여 집수정에 집수된 물을 배출시키고 있으나 집 수정에 설치된 펌프가 고장시 사람이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확인해야하고 확인이 안 될 경우 집수정의 물을 배수시키지 못함으로써 수평 배수층 내의 수위가 상숭됨에 따라 물이 상승된 부분만큼 부력에 의해 중량 감소효과가 있어 압밀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연약지반 매립을 위한 탈수공법에 있어 재하성토의 하중에 의해 토립자내 물이 압밀되어 집수정으로 모이게 할 수 있도록 수평 배수층에 집수정을 설치하여 압밀수가 부유되지 않고 집수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집수정에 모인 물을 펌프에 의해 강제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집수정, 수위 감지센서, 서브패널, 메인패널, 한국통신 전용선, PC으로 연결시켜 관리 시스템을 자동화 함으로서 효율적인 배수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에 상단의 수평 배수층에 집수정을 설치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된 배수장치에 있어서,
지지력을 확보하고 장비 투입을 위해 연약지반 저면 매트를 포설하고 그 상부에 수평 배수층을 포설시키는 단계;
연약지반 내의 물을 보다 더 빨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약층 내에 드레인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을 타입한 후 배수층에 다수의 집수정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에 집수정을 설치한 후 연약지반이 상부에 성토된 흙에 의해 압밀되도록 재하성토 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 설치된 집수정에 수중펌프와 수위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서브패널, 메인패널, PC로 연결하여 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의 연약지반 배수관리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하성토층(12)의 자중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배수층(13)의 압밀수을 집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집수정(10) 및 집수정 내부에 위치된 수중펌프(16)와;
상기 집수정(10) 내에 집수되는 수위를 측정하여 수중펌프(16)를 가동시켜 배수할 있도록 하는 수위 감지센서 선(17) 및 전선(18)과;
각 공구에 설치된 집수정(10)의 수중펌프(16)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서브 패널(20)과;
상기 각각의 서브패널(20)과 연결되어 집수정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메인패널(21)과;
상기 메인패널(21)을 한국통신 통신선(22')에 연결하고 관리자의 컴퓨터(PC)(23)에 연결하여 관리자가 컴퓨터로 다수의 집수정을 사무실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 선(17)은 집수정(10) 하부에 위치한 수증펌프(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집수정(10) 일측에 구비된 서브패널과 연결되어 집수정 내의 수위 상하한선(High/Low)을 감지하고 집수된 물이 펌프 작동 존(Run pump)에 도달하면 수중펌프(16)가 작동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수정 내에 설치된 전선(18)은 서브 패널(20)과 수중펌프(16)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패널(20)과 메인패널(21)은 한국통신(22)의 통신선(22')에 연결되어 관리자의 PC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패널(21)은 통신선(22')에 연결되어 송수신될 수 있도록 P.L.C(Programable Logic Controler)를 부착하고, 서브패널(Sub Pannel)(20)에서 입력된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자의 PC(23)에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저면 매트 포설 및 수평 배수층 포설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실시되는 연약지반은 그 대상이 여러 지역이 될 수 있으나 그 대표적인 것이 갯벌이다.
본 발명의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시공은 갯벌과 같은 연약지반을 매립시 실 시되는 것으로 먼저 매립시공하고자 하는 연약지반은 바다를 매립하기 위해 방조제나 호안등이 축조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호안이 축조되면 준설토를 매립지인 점토층(15') 상부에 복토하여 준설토층(15) 을 형성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매립지역의 점토층(15')에 갯벌 등 주변의 점토를 퍼올리게 됨으로 점토층과 준설토층은 수분이 많이 함유된 연약지반으로 시공장비 진입이 어려운 상태이므로 먼저 연약지반 표면에 저면 매트를 포설한다.
상기 연약지반 표면에 설치되는 매트(14)는 상부에 성토되는 재하성토층이 균일화 될 수 있도록 하며 지반이 압밀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연약지반 표면에 매트(14)를 설치한 후에는 포설 장비를 이용하여 복토재를 포설시켜 배수층(13)을 형성함으로 토목섬유인 매트(14)를 지지하고 인장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매트(14) 위에 포설되는 배수층(13)은 골재로 이루어져 연약지반에서 발생되는 압밀수가 배수층(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매트(14)와 배수층(13)은 차후 설치되는 재하성토층에 의해 연약지반 내의 압밀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동시에 연약지반에 재하성토층을 형성하기 위해 시공장비가 진입하기 위한 지지력 확보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압밀수 배수를 위한 수평배수층 재료는 투수계수가 좋은 모래, 자갈로 시공되며 두께는 통상 50㎝∼80㎝ 포설하나 이 정도의 두께로는 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하므로 추가 복토하게되는데 이대 재료로는 비용이 저렴한 토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단계: 드레인 설치
상기와 같이 배수층을 형성한 후에는 연약지반 내의 물을 지반 위로 끌러 내 배수시키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드레인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다수의 관로를 갖는 플라스틱 관을 형성하여 외면을 부직포로 포설한 드레인(11)을 연약토층에 타입하여 지반에 함유된 물이 드레인(11)을 타고 올라와 배수층(13)으로 모아져 배수시킬 수 있도록 위함이다.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드레인(11)의 간격은 통상1.0∼2.0m 간격으로 타입되며 드레인 필터의 종류는 P.B.P(Plastic Board Drain), 센드 드레인(Sand Drain), 팩 센드 드레인(Pack Sand Drain) 등이 있으며, 목적은 연약층 내의 수분을 상부 수평 배수층을 통하여 발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3단계: 집수정 설치
집수정(10)은 하단부에 수평 배수층(13)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집수정(10)은 통상 Φ600m/m의 파형강관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파형강관 저면이 수평배수층 보다 낮게 설치되며 집수정 내에 구멍을 내어 물이 유입되게 한다. 상기 집수정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필터 매트로 감싼다.
즉, 집수정은 연약지반에 타입된 다수의 드레인을 통해 상승된 물이 수평 배수층으로 이동되며, 이동되는 물은 집수정으로 모아져 강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집수정의 간격은 통상 50m에서 80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정에 집수된 수심은 보통 50㎝∼60㎝ 내외이므로 이때 수중펌프를 가동시켜 강제배수토록 한다.
제 4단계 : 재하성토층 형성
상기와 같이 집수정(10)설치된 배수층(13) 상부에 매립토를 성토하여 성토하고자 하는 높이 까지 성토하여 재하성토층(12)을 형성한다.
상기 연약지반 위에 매립 성토되는 지역은 광대하게 일시에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 지역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연약지반에 매립토를 성토하면 재하성토 층(12)의 하중에 의해 토립자내 물이 직접 혹은 연약토층에 관입된 드레인(11)을 통해 상부의 수평 배수층으로 배수되면 수평배수층(13)에 설치된 집수정(10)으로 물이 유입되어 강제배수 시키게된다.
재하성토 층은 성토중량을 이용하여 하중이 연약층에 도달되면 그 압력에 의해 토립자내의 물을 상부에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보통 2∼5m정도 성토한다.
이때 성토는 일시에 재하하면 연약토층이 측방으로 유동하여 이미 타입된 드레인이 망실되므로 통상 1m 정도로 점진적으로 성토한다.
성토기간(압밀기간)은 연약토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200일에서 500일정도 소요된다. 이 기간 중 압밀수 배수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집수정에 집수된 물을 신속하게 배수시키지 못하면 연약지반을 배수시키지 못하는 결과가 되므로 집수정에 성치된 수중펌프의 동작유므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 5단계 : 배수관리 시스템 설치
상기 설치된 다수의 집수정(10) 내의 바닥에 수중펌프(16)를 설치하고 수중펌프 일측에는 전선(18)과 수위 감간지센서선(17)을 설치하고 전선(18)과 수위 감지센서선(17)은 상부의 서브 패널(20)과 연결된다.
상기 수중펌퍼(16)의 고장 유무 또는 작동 유무는 관리자가 사무실에서 PC로 환인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 내에 집수되는 수위의 위치에 따라서 수중펌프(16)를 이용하여 강제 배수시킬 수 있도록 수위 감지센서 선(17)과 서브 패널(20)을 연결하고 서부패널은 한국통신(22)의 통신선(22')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PC(23)와 연결하고, 관리자는 PC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집수정에 집수되는 물을 강재 배수시킴으로써 관리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수중펌프와 수위 감지센서 및 전선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집수정(10)은 몸체에 다수의 유공(10a)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필터 매트(Filter mat)(10b)로 감겨져 있으며, 집수정(10)은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의 연약지반에서 압밀되는 물이 집수정(10)의 유공(10a)을 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정(10) 외면에 감겨진 필터 매트(Filter mat)(10b)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유공(10a)을 통하여 물이 집수정(10)으로 유입시 흙은 걸러지고 물만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집수정(10) 내부 바닥에는 수중펌프(16)가 설치되어 배수관(호스)(16a)을 통하여 집수정에 집수된 물을 강제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집수정(10) 내에는 전선(18)과 수위 감지센서선(17)이 설치되어 수중펌프(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위 감지센서선(17)은 집수정 내에 집수되는 수량의 상한선과 하안선(High/Low)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위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는 수중펌프의 작동존(Run pump)을 설정하여 집수정 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수중펌프(16)가 가동 및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의 점토층과 준설토에 드레인 을 타입하고 배수층에 집수정을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이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의 토립자에 함수된 물을 재하성토층(12)의 중량에 의한 압밀 방법에 의해 연약지반을 배수(또는 탈수)시키는 방법으로 최대한 배수와 탈수의 효과를 증대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연약지반의 압밀수를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연약지반을 효과적으로 압밀하기 위해 연약지반에 배수층을 형성한 후에 드레인을 타입한다.
상기와 같이 연약지반에 드레인(11)을 설치하여 드렌인(11) 상단부가 수평 배수층과 연결되도록 하고 수평 배수층(13)에는 집수정(10)의 하단부가 설치되어 상부에 성토된 재하성토층(12)의 하중에 의하여 연약지반의 물이 암밀되어 드레인 필터(11)에 의해 상승되어 배수층(13)에 도달하면 배수층에 설치된 집수정(10)으로 집수되어 수중펌프로 강재 배수된다.
상기 드레인 필터는 연약지반에 타설되어 물을 등잔의 심지와 같이 빨아올리는 작용을 하여 배수층으로 부상되도록하고 배수층에 도착한 물은 수평으로 형성된 배수층으로 이동되다가 집수정의 필터 매트(Filter mat)(10b)와 유공(10a)를 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집수된다.
이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상면에 토목섬유인 저면 매트(14)를 설치한 후 저면 매트(14) 상면에 포설장비를 이용하여 배수층(13)을 포설한다.
상기 연약지반 상면에 설치되는 저면 매트는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압밀시 지반의 물이 상부로 올라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인장력을 갖고 연약지반을 재하성토층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저면 매트와 배수층을 설치한 후 배수층 상면에 매립토를 이용하여 성토하면 성토된 재하성토층 의하여 연약지반이 침하되면서 지반 내에 함수된 물을 압밀시켜 상부의 배수층(13)으로 모이게 되며, 배수층에 모인 물은 배수층에 다수 설치된 집수정(10)으로 집수 된다.
연약지반이 재하성토층에 의해 압밀시 연약지반의 토립자 내의 물은 상부의 매트를 통과하여 골재로 이루어진 배수층으로 모이게 되며, 매트는 재하성토층 하중에 의해 압밀된 물이 강재배수되면서 지반침하의 불균형이 이루어지더라도 인장강도에 의해 골재와 재하성토의 하중을 균일하게 작용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재하성토층에 의해 압밀되는 압밀수는 배수층을 따라서 집수정으로 집수 되어 수중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강재배수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의 압밀수가 배수됨에 따라 발생된 지반침하에 대응되도록 재하성토 층을 반복 성토한 상태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와 같이 연약지반에 드레인(11)을 타입하여 압밀되는 물을 수평 배수층으로 상승시키고 배수층에 도달한 물은 집수정으로 모여 수중펌프에 의해 강재 배수되는 과정에서 집수정의 물을 배수시킬수록 연약지반은 침하됨으로 상부에 위치한 재하성토층(12')이 같이 침하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성토된 재하성토층(12')이 침하되면 그 위에 다시 2차 성토하여 재하성토층(12)를 형성하여 연약지반을 압밀토록 한다.
상기 도3은 1차 성토된 재하성토층(12')과 2차 성토된 재하성토층(12)을 도시 한 것으로 도3에서만 1차 2차 재하성토층을 구분하기 위해 도면번호를 12'(1차)와 12(2차)로 표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설치된 집수정의 수중펌프를 관리하기 시스템 계통도이다.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수평 배수층에 집수정(10)이 설치되고 집수정 내에 수중펌프(16)와 이를 전기 선으로 연결하는 전선(18) 및 수위 감지센서 선(17)을 설치한 다음 전선(18)과 수위 감지센서 선(17)은 지상에 설치된 서브패널(20)과 연결되고 각각의 공구에 설치된 서브패널(20)은 메인서브패널(20)과 연결되어 한국통신(22)의 통신선(22')과 연결되어 관리자의 PC(23)에 연결된다. 상기 서브 패널(20)은 수중펌프(16)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고 수위 감지센서 선(17)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원차단기, 전자접속기, 과부히보 호장치(Eocr), 수위조절계가 구비된 회로기판이 설치된 것이며, 서브 패널(20)의 전기 및 전자적인 회로구성도는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서브패널(20)의 신호를 관리자의 PC(23)에 출력하고 관리자의 PC(23)에서 받은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 패널(21)은 신호의 수신과 출력이 한국통신(22)의 통신선(23)에 의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P.L.C(Programable Logic Controler)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연약지반 상부에 복토된 수평 배수층에 다수의 집수정(10)을 설치하고 집수정 내에 수중펌프(16)와 수위 감지센서 선(17)을 설치하여 서브패널(20), 메인패널(21), 관리자의 PC(23)를 한국통신의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배수창치를 관리함으로써, 연약지반의 배수 및 탈수관리를 관리자가 사무실에서 펌프의 작동 유무, 모터의 전류 체크, 집수정 내의 수위, 펌프의 가동시간 및 설정, 전원공급 여부를 간단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집수정에서 배출되는 유량 등의 데이터를 모니터링 또는 출력하여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연약지반에 설치된 다수의 집수정의 수중펌프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계통도이다. 도 5는 각각의 구획된 공구별로 집수정(10)을 설치하고 각 공구의 집수정(10)을 서브패널(20)과 연결하고 다수의 서브패널(20)은 일측의 메인패널(21)과 연결한 다음 메인 패널은 한국통신(22)의 통신선(22')과 연결되어 관리자의 PC(23)와 접속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로, 항만, 산업개발구역, 농경지를 형성하기 위한 연약지반 매립시 지반의 토립자에 함수된 물을 배수 및 탈수시 재하성토의 하중에 의한 압밀수를 집수정으로 집수시켜 집수된 물을 수중펌프로 강재 배수시 관리자가 사무실의 PC로 관리함으로써, 집수정에 설치된 수중펌프를 집수정 마다 일일이 방문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할 필요 없이 관리할 수 있는 효과와, 각각의 집수정에서 배수되는 유량을 체크 및 데이터화 하여 연약지반의 성토를 관리할 수 있으며, 압밀수의 집수량에 따른 수위를 체크하여 배수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 및 탈수의 효율을 증대시켜 연약지반의 매립공기를 단축하고 더불어 연약지반의 배수를 자동화시스템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관리 데이터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재하성토층(12)의 자중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배수층(13)의 압밀수을 집수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각각의 집수정(10) 내부에 구비된 수중펌프(16)와;
    상기 집수정(10) 내에 집수되는 수위를 측정하여 수증펌프(16)를 가동시켜 배수할 있도록 하는 수위 감지센서선(17)및 전선(18)과;
    각 공구에 설치된 집수정(10)의 수중펌프(16)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유량계(16b) 일측에 설치된 서브 패널(20)과;
    상기 각각의 서브패널(20)과 연결되어 집수정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메인패널(21)과;
    상기 메인패널(21)을 한국통신 통신선(22')에 연결하여 관리자의 컴퓨터(PC)(23)에 연결하여 관리자가 컴퓨터로 다수의 집수정을 사무실에서 컴퓨터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감지센서 선(17)은 집수정(10) 바닥에 위치한 수중펌프(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집수정(10) 일측에 구비된 서브패널과 연결되어 집수정 내의 수위 상하한선(High/Low)을 감지하고 집수된 물이 펌프 작동존(Run pump)에 도달하면 수중펌프(16)가 작동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패널(21)은 통신선(22')에 연결되어 송수신될 수 있도록 P.L.C(Programable Logic Controler)를 부착하고, 서브패널(Sub Pannel)(20)에서 입력된 정보를 취합하여 관리자의 PC(23)에 출력 및 명령을 수행하여 집수정의 물을 배수관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 시스템.
KR1020070043947A 2007-05-07 2007-05-07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KR10087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47A KR100875132B1 (ko) 2007-05-07 2007-05-07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47A KR100875132B1 (ko) 2007-05-07 2007-05-07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23A true KR20080098723A (ko) 2008-11-12
KR100875132B1 KR100875132B1 (ko) 2008-12-22

Family

ID=402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947A KR100875132B1 (ko) 2007-05-07 2007-05-07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144A (zh) * 2011-05-11 2011-12-2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确定含水层平均厚度的定量方法
CN115305901A (zh) * 2022-08-16 2022-11-08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定向回灌兼应急抽水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144A (zh) * 2011-05-11 2011-12-2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确定含水层平均厚度的定量方法
CN115305901A (zh) * 2022-08-16 2022-11-08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定向回灌兼应急抽水井
CN115305901B (zh) * 2022-08-16 2024-05-28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定向回灌兼应急抽水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132B1 (ko) 2008-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CN216475132U (zh) 一种基坑快速降水系统
CN1657712A (zh) 地下建筑物的排水抗浮方法及其所用的装置
KR101129402B1 (ko) 필터 막힘 검측부를 가지는 지하수 배수장치
KR100875132B1 (ko) 연약지반 압밀수 배수 관리시스템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US20140227035A1 (en) Well pad drain and containment recovery system
KR101136545B1 (ko) 지하수 배수장치의 필터 및 배수부 막힘 검출장치
CN212200668U (zh) 一种电缆沟结构
CN210737511U (zh) 塔式地下水压力回灌设备
CN114293578A (zh) 一种地下室降排水及水位监测的系统及其施工方法
CN208201900U (zh) 一种降水机构及筏板封水口装置
CN209837072U (zh) 一种基坑降水系统
RU2640600C1 (ru) Пристенный дренаж
CN207392219U (zh) 非监护式网孔型集水排水设备
CN107386338B (zh) 一种房屋建筑基底排水减压设计结构
CN113882415B (zh) 一种排水方法
CN220013737U (zh) 一种地下室基坑排水系统
CN215105433U (zh) 一种超深地下空间结构底板下减压排水装置
KR100736631B1 (ko)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CN217231958U (zh) 一种地下室外墙疏排水装置
CN210288499U (zh) 坡地建筑的地下室抗浮结构
CN213279110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电缆沟
CN203546742U (zh) 一种深基坑预降承压水施工装置
CN214833278U (zh) 一种用于施工现场集排水的简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