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179A -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179A
KR20080098179A KR1020070043532A KR20070043532A KR20080098179A KR 20080098179 A KR20080098179 A KR 20080098179A KR 1020070043532 A KR1020070043532 A KR 1020070043532A KR 20070043532 A KR20070043532 A KR 20070043532A KR 20080098179 A KR20080098179 A KR 2008009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ouse
communication unit
digitizer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기
Original Assignee
유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기 filed Critical 유영기
Priority to KR102007004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8179A/ko
Publication of KR2008009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의 상기 제2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제1 통신부와,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차단한 후 상기 입력받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제어부와,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위치 정보 및 제1 위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마우스, 디지타이저

Description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POSITION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MOUSE COMMUNICATING WITH DIGITIZER, AND METHOD FOR INPUTT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결합 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형태 및 결합 수단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우스
200 : 디지타이저
210 : 전자펜
220 : 타블렛
300 : 컴퓨터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마우스로 사용하면서도, 마우스에 디지타이저를 접속시킴으로써 컴퓨터에 대한 별도의 연결 없이도 디지타이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컴퓨터 등에 쓰이는 포인팅 장치로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 터치 패드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컴퓨터에 대해 유선 케이블과 같은 연결을 각 장치마다 별개로 필요로 한다.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컴퓨터에 연결되는 장치들도 많아지고,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에 연결된 각종 케이블에 대해 관리의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컴퓨터에 구비되는 USB와 같은 연결 단자의 개수가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별도의 연결 허브를 구비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컴퓨터로의 연결 단자를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마우스와 디지타이저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통합된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의 상기 제2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제1 통신부와,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차단한 후 상기 입력받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제어부와,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위치 정보 및 제1 위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 및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는, 각각 디지타이저와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통신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출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부 및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단자부와 제1 단자부가 정확히 접속되도록 위치 맞춤하는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볼록부재 및 오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공진 회로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구동부와, 상기 전자펜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타블렛;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타블렛은 상기 마우스가 놓여지는 패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전자펜을 안착시키기 위한 전자펜 고정 수단,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권취수납하는 릴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가 상기 마우스에 의한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에 디지타이저가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타이저가 상기 마우스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마우스에 의한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에 의한 제2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100)를 통해 컴퓨터(300)에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위치 정보인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와,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2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110),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에서 출력하는 제1 위치 정보와 제1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제2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부(134)를 구비하는 제1 제어부(130) 및 컴퓨터(300)에 연결되는 제3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가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200)를 통해 컴퓨터(300)에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위치 정보인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위치 정보 생성부(230)와, 제2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100)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제어부(240)와,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100)의 제1 통신부(110)와 접속하여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2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그리고 각 장치의 일례를 들어 이하에서 도면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과 관련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일례를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100)는 마우스인 것으로 하고,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200)는 전자펜(210)과 타블렛(220)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인 것 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마우스(100)는 제1 단자부(112)와 결합 수단(114)을 구비하는 제1 통신부(110),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 제1 제어부(130) 및 제3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디지타이저(200)는 공진 회로(212)를 구비하는 전자펜(210)과 전자펜(210)의 위치를 감지하는 타블렛(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디지타이저(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디지타이저(200)는, 사용자가 컴퓨터(300)에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입력하기 위한 도구인 전자펜(210)과, 전자펜(210)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절대 위치로 인식하여, 이를 제2 위치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타블렛(220)으로 이루어진다.
전자펜(210)은 내부에 커패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212)가 구비되어 있는 패시브 타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 공진 회로(212)에 의해 타블렛(220)의 감지부(232) 상에 대해서 절대 위치가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즉, 공진 회로(212)는 타블렛(220)에서 방출하는 전기장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유도 전류를 생성하며 이 유도전류에 의해 전자펜 고유의 전기장을 방출하게 되고, 타블렛(220)에서는 전자펜(210)의 공진 회로(212)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감지하여, 전자펜(210)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물론, 전자펜(210)이 액티브 타입으로서, 내부에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하거나 타블렛(22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구성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200)의 전자펜(210)은 패시 브 타입인 것으로 설명한다.
타블렛(220)은 전자펜(210)이 전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시에, 전자펜(210)의 현재 위치 및 움직임을 절대 위치로서 인식하고, 인식한 절대 위치를 특정 포맷의 제2 위치 정보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타블렛(220)은, 전자펜 구동부(234)와 감지부(232)로 구성되는 제2 위치 정보 생성부(230), 제2 제어부(240), 및 제2 단자부(252)와 결합 수단(254)을 구비하는 제2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자펜 구동부(234)는 전자펜의 공진 회로(212)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감지부(232)는, 전자펜의 공진 회로(212)가 전자펜 구동부(234)에서 공급하는 에너지에 의해 공진함으로써 방출하는 고유의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자펜(21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위치에 관련한 절대 위치(또는 전자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전자펜의 움직임에 대한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측정한다. 즉, 감지부(232)는, 공진 회로(212)에서 방출하는 전기장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펜(2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라인 안테나 및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라인 안테나 및 루프 안테나에 의해 감지된 전자펜(210)의 위치를 감지부(232)의 표면을 좌표 평면으로 하는 절대 좌표를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절대 좌표를 나타내는 제2 위치 정보를 제2 제어부(240)에 제공한다.
제2 제어부(240)는, 상용 전원과 같은 외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입력되거나, 타블렛(220)의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된 상태에서 타블렛 구동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턴온되거나, 디지타이저(200)가 마우스(100)와 접속되어 마우스(10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제2 위치 정보 생성부(230)의 전자펜 구동부(234)를 구동시켜 전자펜의 공진 회로(212)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감지부(232)를 구동시켜 전자펜(210)의 위치를 감지/인식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위치 정보 생성부(230)가 제2 위치 정보를 제2 제어부(240)에 제공하는 상태에서 디지타이저(200)와 마우스(100)와의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는, 제2 위치 정보를 제2 통신부(250)를 통해 마우스(100) 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전자펜(210)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기능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의 누름 또는 눌림 해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들이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250)는 마우스(100)에 접속하여, 마우스(100)와 각종 데이터를 통신한다. 즉, 제2 통신부(250)는, 마우스(100; 더욱 상세히는 제1 통신부의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인 접속용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단자부(252)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단자부(252)가 마우스(100) 제1 단자부(112)와 정확한 위치에 결합 및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결합 수단(25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결합 수단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200)가 구동 전원을 컴퓨터(300)로부터 마우스(100)를 통해 공급받는 패시브 타입인 경우에는, 제2 통신부(250)에 별도의 전원 단자를 더 구비하게 되지만, 이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마우스(100)는, 포인팅 동작을 위한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를 구비한다.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는 광 센서 또는 롤러 센서 등을 이용하여 마우스(100)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러한 움직임을 기초로 마우스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제1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제1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또한, 마우스(100)는 상술한 디지타이저(200)의 제2 통신부(250)와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10)를 구비한다. 더욱, 제1 통신부(110)는 제1 단자부(112) 및 결합 수단(114)을 구비한다.
제1 단자부(112)는 디지타이저(200)의 제2 단자부(252)에 구비된 접속용 단자의 개수 및 형태와 대응하는 개수 및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단자부(252)와 제1 단자부(112)의 각각의 접속용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디지타이저(200)와 마우스(100)가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1 단자부(112) 중에는, 디지타이저(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의 각 단자의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의 기술적 재량에 따라 선택되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10)는 제2 통신부(250)의 결합 수단(254)에 대응하는 결합 수단(114)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통신부(250)와 제1 통신부(110)의 각각의 단자부(252 및 112)가 정확하게 위치맞춤 되어 접속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 수단(254 및 114)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과 자석에 붙는 물질(161, 261)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볼록한 부재(262)와 오목한 부재(162)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부재들의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마우스(100)에 제1 통신부(110)가 형성된 부분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263)을 타블렛(220)의 일측에 형성하고 마우스(100)를 홈(263)에 삽입하는, 크래들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제2 통신부(250)가 접속되면, 제2 제어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제1 제어부(130)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에서 출력하는 제1 위치 정보와 제1 통신부(110)로부터 입력받은 제2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부(134)를 구비한다. 스위칭부(134)는, 마우스(100)가 컴퓨터(300)에 연결되었으나 마우스(100) 단독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마우스용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후, 마우스(100)에 디지타이저(200)가 접속되어,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제2 위치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중단하고, 입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또한, 마우스(100)에 디지타이저(200)가 접속되는 경우, 제1 위치 정보 생성부(120)의 동작을 완전히 중지시킴으로써, 마우스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3 통신부(140)는 제1 제어부(130)에서 출력하는 마우스용 위치 정보 또는 디지타이저(200)용 위치 정보를 컴퓨터(300) 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3 통신부(140)는 컴퓨터(300)로부터 마우스(100) 및/또는 디지타이저(200)의 구동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형태 및 결합 수단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한다.
도 5에 의하면, 디지타이저(200)의 타블렛(220)은, 상술한 마우스(100)가 타블렛(220)과 분리되어 마우스에 의한 포인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마우스 패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블렛(220)의 적어도 감지부(232)의 상부측은 평평하고 넓은 형태를 가지며, 마우스(100)와 접하는 부분은 부드럽고 마찰이 적은 소재로 덮여 마우스(10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목 받침대와 같은 부재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타블렛(220)은 전자펜(210)을 세운 형태 또는 눕혀진 형태로 안착시키고 수납하기 위한 전자펜 고정 수단(264a, 264b)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펜(210)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블 권취용 릴(26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의 케이블은, 전자펜(210)이 타블렛(220)과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용 케이블일 수 있고, 타블렛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용 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전자펜(210)의 분실을 막기 위한 고 정용 케이블일 수도 있다. 이때의 릴(265)의 구성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태엽을 이용하는 등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블렛(220)은 디지타이저(200)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 버튼(266)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기능 버튼(266)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에는, 공지의 디지타이저(200)에 제공되는 기능들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이러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마우스가 컴퓨터에 연결되면, 마우스는, 마우스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컴퓨터의 포인터를 현재의 위치로부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시키는(제1 위치 정보에 의함) 포인팅 동작을 수행한다(S10). 동시에 마우스는, 디지타이저가 마우스에 접속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20). 그리고 마우스에 디지타이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디지타이저가 전자펜에 의한 포인팅에 관련한 신호(디지타이저용 위치 정보)를 출력되면, 마우스는 마우스에 의한 포인팅 동작을 중지하고, 디지타이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한 디지타이저에 의한 포인팅 동작으로 전환한다(S30).
이후, 마우스에서는 디지타이저의 접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S40), 디지타이저가 접속 해제되면, 마우스에 의한 포인팅으로 복귀한다(S50 및 S10).
상술한 설명에서,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는 마우스인 것으로 하고, 제2 위 치 정보 입력 장치는 디지타이저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반대인 경우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와 디지타이저가 아닌 다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에 의하면, 컴퓨터로의 연결단자를 별도로 형성함 없이도, 마우스와 디지타이저를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의 상기 제2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접속되는 제1 통신부와,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차단한 후 상기 입력받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제어부와, 스위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2 위치 정보 및 제1 위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정보 입력 장치 및 제1 위치 정보 입력 장치는, 각각 디지타이저와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통신 단자로 이루 어지는 제2 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출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 및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단자부와 제1 단자부가 정확히 접속되도록 위치 맞춤하는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볼록부재 및 오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의 공진 회로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구동부와, 상기 전자펜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위치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타블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은 상기 마우스가 놓여지는 패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전자펜을 안착시키기 위한 전자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권취수납하는 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11. 디지타이저와 통신하여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위치 정보 생성부와,
    전자펜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2 통신부;
    상기 접속에 의해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차단한 후 상기 입력받은 제2 위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12.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가 상기 마우스에 의한 제1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에 디지타이저가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타이저가 상기 마우스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마우스에 의한 제1 위치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디지타이저에 의한 제2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KR1020070043532A 2007-05-04 2007-05-04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KR20080098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532A KR20080098179A (ko) 2007-05-04 2007-05-04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532A KR20080098179A (ko) 2007-05-04 2007-05-04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179A true KR20080098179A (ko) 2008-11-07

Family

ID=4028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532A KR20080098179A (ko) 2007-05-04 2007-05-04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8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77B1 (ko) * 2013-08-14 2014-11-12 (주)이월리서치 스마트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에 따른 전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77B1 (ko) * 2013-08-14 2014-11-12 (주)이월리서치 스마트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에 따른 전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68173B (zh) 触控笔及电子设备组件
KR102358217B1 (ko) 스타일러스와 스타일러스 센서 컨트롤러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기초한 스타일러스 틸트 검출
KR102551801B1 (ko) 위치 지시기
US10324544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EP1840703B1 (en) Operating body,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3156959U (ja) バッテリレス無線ポインタ部材のデジタルボード
CN101165642B (zh) 通用输入设备、操作方法及电路
US20130020464A1 (en) Motion sensing switch
KR20090026728A (ko) 위치 검출장치 및 위치 검출방법
EP4116804B1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stylus pen
JP2021096884A (ja) 位置指示器
KR20160068099A (ko) 스타일러스 펜의 무선 충전용 송신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
JP2004132890A (ja) 非接触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非接触icカード、入力装置、及び非接触icカードの位置算出方法
KR20080098179A (ko) 위치 정보 입력 시스템, 디지타이저와 통신하는 마우스 및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입력 방법
JP2015079281A (ja) デジタイザ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83379B1 (ko) 데이터 저장장치를 갖는 펜 입력기
CN210466329U (zh) 输入系统
CN210466337U (zh) 输入系统
KR102348410B1 (ko) 전자기 펜
KR101469186B1 (ko) 비접촉 제스쳐 조작장치를 가지는 마우스
JP3169189U (ja) ペン式バーコード読取装置
KR20160096912A (ko) 스타일러스 펜 장치
JP2005196350A (ja) 情報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301146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알림 및 연결 방법
KR2023002315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