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839A -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839A
KR20080097839A KR1020070043191A KR20070043191A KR20080097839A KR 20080097839 A KR20080097839 A KR 20080097839A KR 1020070043191 A KR1020070043191 A KR 1020070043191A KR 20070043191 A KR20070043191 A KR 20070043191A KR 20080097839 A KR20080097839 A KR 2008009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substrate
crystal display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우진
우수한
유재진
윤용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839A/ko
Publication of KR2008009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정전기를 방지하는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과, 제1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1 배향막과, 제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2 배향막을 포함하되, 제1 및 제2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SiOR)n(SiO 2)m
(단, R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 n, m은 정수를 나타낸다.)
액정 표시 장치, 배향막

Description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organic inorganic alignment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배향막을 형성하는 물질의 성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정전기 분산 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과 일반적인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정전기 현상을 비교한 사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절연 기판 26: 게이트 전극
30: 게이트 절연막 40: 반도체층
55, 56: 저항성 접촉층 65: 소스 전극
66: 드레인 전극 70: 제1 패시베이션막
80: 화소 전극 210: 제2 절연 기판
220: 블랙 매트릭스 230: 컬러 필터
240: 제2 패시베이션막 250: 공통 전극
404: 제1 배향막 405: 제2 배향막
410: 기본 골격 420: 사이드 체인
500: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개의 기판과 그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은 행렬 형태로 배열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제2 기판은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판의 내부, 다시 말하면, 제1 기판과 액정층 사이 및 제2 기판과 액정층 사이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 기판 외부에는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배향막은 액정층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편광판은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통과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광량을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제조 과정에서 정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판에서 이형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시킬 때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한 정전기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파손시키거나 오동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편광판에 열처리를 하거나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증가시킨다. 또한, 정전기의 방지를 위해서 배향막의 전도도를 높이는 방법 이 있을 수 있으나, 이 때에는 배향막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2 배향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SiOR)n(SiO 2)m
(단, R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 n, m은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500)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1 기판(401) 및 제2 기판(40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판(401, 402) 사이에는 액정층(4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500)는 제1 기판(401)과 액정층(403) 사이에 형성된 제1 배향막(404), 및 제2 기판(402)과 액정층(403) 사이에 형성된 제2 배향막(405)을 더 포함한다.
제1 기판(401)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으며, 형렬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이에 각각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기판(401)은 제1 절연 기판(10)을 베이스 기판으로 하여, 제1 절연 기판(10) 상에 형성된 배선들을 포함한다.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미도시),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미도시)을 포함한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은 서 로 교차하지만, 이들 사이에는 절연막이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개재되는 절연막으로는 게이트 절연막(30)이 예시된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에 의해 구획된 영역은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화소 영역을 포함한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의 교차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26), 소스 전극(65), 및 드레인 전극(66)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26)은 게이트선으로부터 유래하고, 소스 전극(65)은 데이터선으로부터 유래한다. 드레인 전극(66)은 게이트 전극(26)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65)과 이격되어 대향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26)과 소스/드레인 전극(66)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층(40)을 더 포함한다. 반도체층(40)은 소스 전극(65)으로부터 드레인 전극(66)에 이르기까지 반도체층(40)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반도체층(40)은 게이트 전극(2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optionally) 반도체층(40)과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65, 66)에는 저항성 접촉층(55, 56)이 개재된다. 저항성 접촉층(55, 56)은 반도체층(40) 상의 소스/드레인 전극(65, 66)의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오버랩된다. 나아가, 저항성 접촉층(55, 56)은 데이터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오버랩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26)과 반도체층(40)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30)이 개재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게이트 절연막(30)이 게이트 전극(26)과 반도체층(40) 사이 뿐만 아니라, 게이트선을 전부 덮으면서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게이트 절연막(30)은 필요에 따라 기판을 노출하도록 패터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예컨대, 게이트 전극용 콘택).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등의 배선과,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패시베이션막(70) 에 의해 보호된다. 제1 패시베이션막(70) 상에는 각 화소별로 화소 전극(8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80)은 드레인 전극(6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 제1 패시베이션막(70) 은 드레인 전극(66)을 노출하는 콘택홀(7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판(401)의 표면, 다시 말하면, 제1 기판(401)의 화소 전극(80) 상에는 제1 배향막(40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404)은 액정층의 배향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거나 내부에서 유발된 정전기를 분산시키는 것에 관계된다. 제1 배향막(40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제2 기판(402)은 제1 기판(401)에 대향하는 기판으로서, 컬러 필터(230)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기판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기판(402)은 컬러 필터(230) 뿐만 아니라, 블랙 매트릭스(220), 및 공통 전극(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402)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기판(402)은 제2 절연 기판(210)을 베이스 기판으로 하여 제2 절연 기판(210) 상에 형성된 컬러 필터(230)를 포함한다. 컬러 필터(230)는 화소 영역을 점유하며, 제1 기판의 화소 전극(80)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컬러 필터(230)는 적, 녹, 청의 세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행방향 및/또는 열방향으로 교대로 반복 배열된다. 도 1에는 적색 및 녹색의 컬러 필터(230R, 230G)가 도시되어 있지만, 전체 구조는 청색 의 컬러 필터까지 포함하여 세가지 색상의 컬러 필터들이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컬러 필터(230)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20)가 형성되어 있다. 블랙 매트릭스(220)는 제1 기판(401)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블랙 매트릭스(220)는 제1 기판(401)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20)는 빛샘을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역할에 관계된다.
컬러 필터(230)와 블랙 매트릭스(220) 상에는 공통 전극(25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50)은 제1 기판(401)의 화소 전극(80)과는 달리, 제2 절연 기판(21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250)은 화소 전극(80)과 함께 액정층(403)에 전계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optionally), 컬러 필터(230)와 블랙 매트릭스(220) 및 공통 전극(250) 사이에는 제2 패시베이션막(240)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막(240)은 컬러 필터(230)와 블랙 매트릭스(220)의 패턴에 의한 단차를 완화함으로써, 공통 전극(250)이 평탄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평탄한 공통 전극(250)은 액정층에 형성되는 전계의 균일성 및 예측성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한다.
제2 기판(402)의 표면, 다시 말하면 공통 전극(250) 상에는 제2 배향막(40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배향막(405)은 상술한 제1 배향막(404)과 마찬가지로 액정층(403)의 배향 및, 정전기 분산에 관계된다.
제1 배향막 및 제2 배향막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2 배향막 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진 유기 배향막일 수 있다.
<화학식>
(SiOR)n(SiO 2)m
(단, R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 n, m은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에서 SiOR은 유기 성분이고, SiO2는 무기 성분이다. 상기 무기 성분은 제1 및 제2 기판의 표면(예컨대, 제1 기판의 화소 전극, 제2 기판의 공통 전극 등)과의 친화력이 높아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이 제1 및 제2 기판(401, 402)의 표면에 신뢰성 있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배향막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유기 성분은 액정층의 배향 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배향막을 구성하는 물질의 구체적인 예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향막을 구성하는 물질은 무기 성분의 기본 골격(410)과 유기 성분의 사이드 체인(420)으로 이루어진다. 무기 성분의 기본 골격(410)은 실리콘 옥사이드로 실리카겔 형태일 수 있다. 유기 성분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기일 수 있다.
실리콘 옥사이드는 일반적으로 유기 성분보다 제1 및 제2 기판(402)의 표면에 대한 친화력이 높기 때문에, 제1 및 제2 기판(402)의 표면에 강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롤 프린트 방식으로 코팅에 따른 인쇄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실리콘 옥사이드는 격자 구조로 촘촘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막으로부터의 아웃가 스(outgas)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며, 전압 보지율도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옥사이드는 전자의 이동 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제1 및 2 배향막(404, 405)의 전도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의 전도도는 예컨대, 10-14 내지 10-11S/㎝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유기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유기 배향막에 비해 높은 전도도를 갖는다. 높은 전도도를 갖는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 옥사이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기 성분의 사이드 체인(420)은 액정층(403)의 액정 분자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지지 체인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러빙처리를 하지 않고서도,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은 수직 방향으로의 액정 배향 특성을 갖게 된다. 러빙 처리는 정전기 발생을 수반하는데, 상기와 같이, 사이드 체인(420)을 구비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은 러빙 처리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정전기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의 두께는 예를 들어 400 내지 700Å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제1 기판(401)과 액정층 사이의 제1 배향막(404), 제2 기판(402)과 액 정층 사이의 제2 배향막(405)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이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제1 배향막(404)과 제2 배향막(405) 중 어느 하나가 통상의 배향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기판(401)의 화소 전극(80) 상에는 통상의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 배향막이 형성되고, 제2 기판(402)의 공통 전극(250) 상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4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401) 상의 제1 배향막(404)과 제2 기판(402) 상의 제2 배향막(405) 사이에는 액정 분자(290)를 포함하는 액정층(403)이 개재되어 있다. 액정 분자(290)는 상술한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에 포함된 유기 성분의 사이드 체인(420)이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지지 역할을 함에 따라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어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기판(401, 402) 바깥 면에는 각각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500)는 제조 과정 및 다른 물체와 접촉되거나 마찰된 후 격리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정전기는 액정 표시 장치(500)의 바깥 면에 형성되는 편광판 부착 시 이형 필름 및 보호 필름을 박리시킬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500)의 제1 및 제2 절연 기판(10, 210)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 액정 표시 장치에 나타나는 정전기 현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정전기 분산 정도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과 일반적인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정전기 현상을 비교한 사진들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정전기 현상을 나타내고, b는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정전기 현상을 각각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은 초기 상태의 사진이고, 도 5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보호 필름을 떼었을 때의 정전기 현상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사진과 b 사진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배향막과 일반적인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정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은 초기 상태이므로 두 사진 모두 얼룩이 생기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에서 제1 기판의 보호 필름을 떼었을 때,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정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a 사진은 얼룩이 인식되지 않는 반면, 일반적인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정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b사진은 얼룩이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자면, 일반적인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정전기가 유입되는 위치의 배향막에 전하 가 집중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얼룩으로서 인식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배향막(404, 405)의 유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정전기가 유입되는 즉시 집중된 전하는 10-14 내지 10-11S/㎝ 의 전도성이 높은 제2 배향막(405)에 골고루 분산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얼룩이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도 6은 제2 기판의 보호 필름을 떼었을 때의 정전기 현상을 비교한 사진이며, 도 7은 기판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의 정전기 현상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7에서도 도 5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에 대한 원인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이 높은 유무기 배향막을 사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제조 시 유입되는 정전기의 전하를 효과적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로 인한 액정 표시 장치(500)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파손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유기 성분과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전도성이 높은 유무기 배향막을 구비함으로써 정전기 유입 시 정전기의 전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유입으로 인한 오동작을 개선하여 우수한 화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처리를 요하지 않음에 따른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1 배향막;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2 배향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화학식>
    (SiOR)n(SiO 2)m
    (단, R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 n, m은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 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배향막의 전도도는 10-14 내지 10-11S/㎝인 액정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 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배향막의 두께는 400 내지 700Å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 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배향막은 수직 배향막인 액정 표시 장치.
  5. 복수의 화소 전극, 복수의 화소 전극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 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1 배향막; 및
    상기 컬러 필터 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된 제2 배향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화학식>
    (SiOR)n(SiO 2)m
    (단, R은 탄소 원자수가 18 내지 20인 알킬기 또는 콜레스테릴, n, m은 정수를 나타낸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 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배향막의 전도도는 10-14 내지 10-11S/㎝인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043191A 2007-05-03 2007-05-03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97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91A KR20080097839A (ko) 2007-05-03 2007-05-03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191A KR20080097839A (ko) 2007-05-03 2007-05-03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839A true KR20080097839A (ko) 2008-11-06

Family

ID=4028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191A KR20080097839A (ko) 2007-05-03 2007-05-03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8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6039B2 (en) 2013-09-02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59671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소자
WO2016159672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소자
US20180373084A1 (en) * 2015-03-31 2018-12-27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US20180373068A1 (en) * 2015-03-31 2018-12-27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6039B2 (en) 2013-09-02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59671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소자
WO2016159672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소자
US20180373084A1 (en) * 2015-03-31 2018-12-27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US20180373068A1 (en) * 2015-03-31 2018-12-27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US10663828B2 (en) * 2015-03-31 2020-05-26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US10663825B2 (en) 2015-03-31 2020-05-26 Lg Chem, Ltd. Liquid cryst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028B2 (en) Active device array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JP2012073644A (ja) 垂直配向型液晶表示装置
KR10133204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416356C (zh) 液晶显示屏板和液晶显示装置
KR2016007021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97839A (ko) 유무기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9874778B2 (en) Color filte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WO2015158052A1 (zh) 大板加电线路及其制造方法
KR101257929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4112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13211A (ko) 표시 장치
CN106773340A (zh) 显示面板
KR10145087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211195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70205661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4940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72391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0267598A (ja) アレイ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53029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621459B1 (ko) 배향막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100707030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1142584A2 (ko)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662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6019574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65082B1 (ko)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