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813A -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 - Google Patents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813A
KR20080096813A KR1020087021557A KR20087021557A KR20080096813A KR 20080096813 A KR20080096813 A KR 20080096813A KR 1020087021557 A KR1020087021557 A KR 1020087021557A KR 20087021557 A KR20087021557 A KR 20087021557A KR 20080096813 A KR20080096813 A KR 20080096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rope
high strength
polyethylene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162B1 (ko
Inventor
그레고리 에이 데이비스
바바라 엠 코스테인
랄프 클라인
Original Assignee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361,180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202328A1/en
Application filed by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3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amino group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25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comprising high modulus, or high tenacity, polymer filaments or fibres, e.g. liquid-crystal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96Rope or cable structures braid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12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42Strand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44Strand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1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1Polyolefins
    • D07B2205/2014High performance polyolefins, e.g. Dyneema or Spectra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30Inorganic materials
    • D07B2205/3017Silicon carb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61Ship moo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향상된 로프는 고강도 섬유,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형성된다. 섬유 및/또는 로프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된다. 상기 로프는 심해 리프팅에서와 같은 해양 분야에서 유용하고,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피로 저항성을 가진다.
로프,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고강도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Description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이 출원은 2006년 2월 24일에 출원된 출원일련번호 11/361,180 및 2006년 7월 6일에 출원된 출원일련번호 11/481,872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로프의 향상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선박 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강도 합성로프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 로프류는 다양한 선박분야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왔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로프의 한 유형은 고모듈러스 폴리올레핀 섬유 및/또는 야안으로부터 만들어진 로프이다.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는 확장된 사슬 또는 고분자량 섬유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섬유 및 야안은 예를 들어,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의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야안인 SPECTRA®로 이용가능하다.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로부터 형성된 로프류는 선박분야에 사용을 위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병합되는 개시로, Ryan의 미국특허 5,901,632 및 5,931,076를 참조.
몇몇의 선박 분야에서,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로프는 그들이 사용될 때마다 시브(sheave), 도르레(pulleys) 또는 기둥 위에서 반복적으로 구부려진다. 몇몇의 합성로프들은 시브상에서 반복된 굽힘을 하게 했을 때, 조기 마모를 경험하게 되며, 특히, 해양산업분야에 사용된 합성로프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경험하게 된다.
많은 선박 분야에서 합성로프들은 스틸 와이어로 교체가 계속되었다. 합성로프들은 많은 사이클릭 벤드-오버 시브(cyclic bend-over sheave; CBOS) 적용처에서 스틸 와이어의 교체로 진보함에 따라, 고성능 합성로프의 피로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가 있다. 특히, 고성능 폴리올레핀 섬유 및 야안으로부터 제조된 로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가 있다.
향상된 특성을 가진 로프를 제공하기 위한 제안된 해결책이 Knudsen 등의미국특허 6,945,153에 개시되며, 상기 개시는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병합된다. 상기 특허는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액정 폴리머 섬유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큰 직경의 로프를 개시한다. 이러한 로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시브상에서 반복된 굽힘 등, 특히 젖은 적용처에 대해 향상된 내마모성을 가지고 이의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는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 로프를 제조하는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무거운 리프팅 적용처, 예를 들어, 해저 왕복(to and from seabed)에 사용을 위한 적합한 로프를 제공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진 로프로, 상기 로프는 고강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및/또는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neutralized)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는 로프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진 로프로,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와 폴리올레핀 섬유가 아닌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로프 및/또는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는 로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진 로프로, 상기 로프는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와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고강도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로프 및/또는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어 있는 로프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섬유로부터 로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프 및/또는 이러한 로프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를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프의 CBOS 피로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합성섬유 로프를 사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해저로부터 리프팅하고 그리고, 해저에 놓는 방법에 있어, 향상은 상기 로프로서 고강도 섬유를 포함하는 로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고강도 섬유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고 로프로 형성된 경우, 또는, 이러한 비코팅된 섬유로 형성된 로프가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경우, 이러한 로프의 사이클릭 벤드-오버 시브 저항성이 예기치않게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고강도 섬유가 다른 고강도 섬유와 혼합된 경우, 그리고, 상기 혼합 섬유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고 로프로 형성된 경우, 또는 이러한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로프가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경우, 이러한 로프의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저항성이 예기치않게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섬유는 폭과 두께의 치수보다 훨씬 더 큰 길이 치수 신장체(elongate body)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 "섬유(fiber)"는 단일필라멘트, 다중필라멘트, 리본, 스트립, 스테플 및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횡단면을 가지는 잘게 썬(chopped) 절단 또는 불연속적인 섬유 등의 기타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섬유"는 앞서 말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복수를 포함한다. 야안은 많은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꼬임이다. 또한, 섬유는 리본, 스트립 또는 슬릿 필름 또는 테이프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유용한 섬유의 단면(cross-sections)은 광범위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들은 원형, 평면(flat)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상기 섬유의 선축(linear axis) 또는 세로축(길이축, longitudinal axis)으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로브(lobe)를 가지는 불규칙 또는 규칙 멀티-로브(multi-lobal) 단면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실질적으로 원형, 평면 또는 타원형의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모듈러스 폴리올레핀 섬유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야안을 포함하는 로프류는 선박 분야에 사용을 위해 제안되었다. 상기 로프류의 이러한 일용도는 해저에서 물체의 무거운 리프팅 및 정박을 위한 것이다. 다른 적용처는 해양석유 및 가스 탐사, 해양학, 지진 및 기타 산업 분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로프에 가장 바람직한 적용처는 심해 리프팅 및 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로프 구조물에 사용된 섬유는 고강도 섬유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고강도 섬유(high tenacity fiber)"는 약 7g/d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섬유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섬유는 ASTM D2256에 의해 측정된 바에 따라 적어도 약 150g/d의 초기인장모듈러스 및 적어도 약 8J/g의 파괴에너지(energises-to-break)를 가진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초기인장모듈러스(initial tensile modulus)", "인장 모듈러스(tensil modulus)" 및 "모듈러스(modulus)"는 야안을 ASTM 2256에 의해 측정된 바에 따른 신축성의 모듈러스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섬유는 약 10g/d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g/d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2g/d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8g/d 이상의 강도를 가진다.
고강도 섬유는 홀로 로프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프 구조물에 화학적 조성이 다른 둘 이상의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로 사용된다.
여기에 유용한 고강도 섬유는 고배향된 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섬유, 특히, 고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벤즈옥사졸(PBO) 및 폴리벤조티아졸(PBT)와 같은 폴리벤즈아졸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액정 코폴리머 섬유, 유리섬유(glass fibers), 탄소섬유 또는 현무암(basalt) 또는 기타 미네랄 섬유뿐만 아니라 경성 폴리머 막대 섬유(rigid rod polymer fiber),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 및 블렌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유용한 고강도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들의 블렌드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 및 블렌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로프를 형성한 야안은 둘 이상의 이러한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로프를 형성하는 야안은 단일한 고강도 섬유 타입으로부터 형성되고, 둘 이상의 다른 섬유 타입의 야안이 로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블렌드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의 블렌드 및, 고강도 섬유와 액정 코폴리머 섬유의 블렌드 뿐만 아니라, 아라미드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블렌드이다.
로프 구성물에 이용된 섬유는 확장된 사슬(또한, 고분자량 또는 고모듈러스로 알려짐) 폴리올레핀 섬유, 특히 고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한다.
미국특허번호 4,457,985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논하고, 상기 특허의 개시는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적합한 섬유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적어도 약 150,0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0,00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00,000 내지 약 5,000,000인 것들이다. 이러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는 용액에서 방사(미국특허번호 4,137,394 및 미국특허번호 4,356,138 참조)될 수 있으며, 또는, 필라멘트가 용액으로부터 방사되어 겔 구조물을 형성(미국특허번호 4,413,110, 독일 Off. 번호 3,004,699 및 영국특허번호 2051667)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는 압연 및 연신공정(미국특허번호 5,702,657)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폴리에틸렌은 100개의 주쇄 탄소 원자(main chain carbon atom)당 5개의 개질화 유닛을 초과하지 않는 미량의 측쇄화 또는 코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알켄-1-폴리머,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틸렌, 1차 모노머로서 모노-올레핀, 산화된 폴리올레핀, 그라프트(graft) 폴리올레핀 코폴리머 및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코폴리머류, 또는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항산화제, 윤활제, UV 차단제, 색소 등과 같은 저분자량 첨가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 첨가제를 약 50중량% 미만으로 함께 혼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우세한 선형 폴리에틸렌 물질을 의미한다.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 뉴저지 모리스타운에 위치한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의 상표명 SPECTRA® 섬유 및 야안을 이용할 수 있다.
형성 기술, 연신율 및 온도 그리고, 기타 다른 조건들에 따라, 이들 섬유들에 다양한 특성들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의 강도는 적어도 약 7g/d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g/d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g/d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5g/d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g/d이다. 이와 유사하게, 인스트론 인장 테스트 기계로 측정된 바에 따른 상기 섬유의 초기인장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300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0g/d,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0g/d,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200g/d이다. 초기인장모듈러스 및 강도의 최대값은 일반적으로 오로지 용액 성장 또는 겔방사 공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많은 필라멘트는 상기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중합체의 용융점보다 더 높은 용융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약 150,000, 약 1,000,000 및 약 2,000,000 분자량의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벌크(bulk)에서 138℃ 용융점을 가진다.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진 상기 고도로 배향된 폴리에틸렌 필라멘트는 약 7℃ 내지 약 13℃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용융점에서 근소한 증가는 상기 벌크 중합체와 비교하여 상기 필라멘트의 결정 퍼펙션(crystalline perfection) 및 고결정 배향을 반영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천 개의 탄소 원자당 약 하나 보다 적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 개의 탄소 원자당 약 0.5보다 적은 메틸기를 가진 폴리에틸렌이고, 다른 구성성분의 약 1중량% 미만이다.
유사하게, 중량평균분자량이 적어도 약 200,0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0,000인 고배향된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사슬 폴리프로필렌은 상기에 나타낸 다양한 참조에 상술된 기술에 의해, 특히, 미국특허번호 4,413,110의 기술에 의해 적당히 잘 배향된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보다 매우 낮은 결정화 물질이며, 펜던트(pendant) 메틸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으로 성취할 수 있는 강도 값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에 대응하는 값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다. 따라서, 적당한 강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8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1g/d이다. 폴리프로필렌의 초기인장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60g/d,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g/d이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점은 일반적으로 배향공정에 의해 몇도 올라가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는 바람직하게는 주용융점이 적어도 168℃,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0℃이다. 상기에 기술된 매개변수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최종 물품에 향상된 성능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매개변수(모듈러스 및 강도)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와 결합된 적어도 약 2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최종 물품에 향상된 성능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확장된 사슬 폴리에틸렌 섬유의 경우에 있어서, 겔-방사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및 연신은 미국특허 4,413,110; 4,430,383; 4,436,689; 4,536,536; 4,545,950; 4,551,296; 4,612,148; 4,617,233; 4,663,101; 5,032,338; 5,246,657; 5,286,435; 5,342,567; 5,578,374; 5,736,244; 5,741,451; 5,958,582; 5,972,498; 6,448,359; 6,969,553 및 미국출원공개 2005/0093200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개에 기술되고, 상기 개시는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병합된다.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로부터 형성된 적절한 섬유는 미국특허번호 제3,671,542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개시는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적어도 약 20g/d의 강도, 약 400g/d의 초기인장모듈러스, 및 8J/g의 파괴에너지를 가지는데, 특히,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적어도 약 20g/d의 강도 및 적어도 약 20J/g의 파괴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아라미드 섬유는 적어도 약 23g/d의 강도, 적어도 약 500g/d 초기인장모듈러스, 및 적어도 약 30J/g의 파괴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하게 고인장모듈러스와 강도의 값을 가지는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필라멘트가 탄도 저항 복합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예로는 1000 데니어를 가지는 Teijin의 Twaron® T2000이 있다. 다른 예로는 초기인장모듈러스와 강도의 값이 각각 500g/d 및 22g/d를 가지는 Kevlar®29과 아울러, 듀퐁(du Pont)에서 400, 640 및 840 데니어로 상용화한 Kevlar®129 및 KM2가 있다. 다른 제조자의 아라미드 섬유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코-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3,4' 옥시디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co-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3,4' oxydiphenylene terephthalamide))와 같은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의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퐁에 의해 판매되는 상표명 Nomex®인 폴리(m-페닐렌 이소테레프탈아미드)섬유도 유용하다.
고인장모듈러스를 가지는 고분자량 폴리비닐알코올(PV-OH) 섬유는 Kwon 등의 미국특허번호 4,440,711에 기술되고, 상기 개시는 이로써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고분자량 PV-OH 섬유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적어도 약 200,000이어야 한다. 특히, 유용한 PV-OH 섬유는 적어도 약 300g/d의 모듈러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g/d,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4g/d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7g/d의 강도, 및 적어도 약 8J/g의 파괴에너지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PV-OH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4,599,267에 기술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의 경우에 있어서, PAN 섬유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적어도 약 400,000이어야 한다. 특히, 유용한 PAN 섬유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0g/d의 강도 및 적어도 약 8g/d의 파괴에너지를 가져야 한다. 적어도 약 400,000의 분자량, 적어도 약 15 내지 20g/d의 강도 및 적어도 약 8J/g의 분자량을 가지는 PAN 섬유가 가장 유용하고; 이러한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4,535,027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적합한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3,975,487; 4,118,372 및 4,161,470에 개시된다.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의 명칭(designation) Vectran®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적합한 폴리벤즈아졸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5,286,833, 5,296,833, 5,296,185, 5,356,584, 5,534,205 및 6,040,050에 개시된다. 폴리벤즈아졸 섬유는 토요보 코포레이션의 명칭 Zyron®로 이용가능하다.
경성 막대 섬유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5,674,969, 5,939,553, 5,945,537 및 6,040,478에 개시된다. 이러한 섬유는 마젤란 시스템 인터내셔널의 명칭 M5®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로프에 둘 이상의 고강도 섬유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한가지 타입의 고강도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섬유이다. 로프에서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의 퍼센트는 사용된 다른 타입의 고강도 섬유와 원하는 섬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로프에서 고강도 섬유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70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는 약 80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2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아라미드 섬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3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아라미드 섬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6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아라미드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구현예에서, 로프는 로프에서 고강도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70중량% 내지 55중량%의 아라미드 섬유 및 이에 대응하는 약 30중량% 내지 약 45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로프에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섬유가 아라미드 섬유로 형성된다.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와 함께 접합부에 사용되는 경우, 로프는 약 80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20중량% 내지 약 80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3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 내지 약 6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상응하게, 약 60중량% 내지 약 40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구현예에서, 로프는 로프에서 고강도 섬유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70중량% 내지 55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상응하게, 약 30중량% 내지 약 45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로프에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섬유가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다.
원하는 경우, 다른 타입의 섬유가 상기에 언급된 고강도 섬유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프구조물에 고강도 섬유와 함께 존재할 수 있는 또 다른 타입의 섬유는 플루오로폴리머로 형성된 섬유이다. 이러한 플루오로폴리머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바람직하게,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터폴리머 포함) 모두),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머 등뿐만 아니라, 상술한 것들의 둘 이상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플루오로폴리머 섬유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특히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로부터 형성된 것들이다. 이러한 섬유는 예를 들어, Lensing Plastics GmbH & Co. KG 및 WL Gore & Associates로부터 이용가능하다.
고강도 섬유와 함께 혼합되는 플루오로폴리머 섬유의 분획은 플루오로폴리머의 타입과 최종 이용 적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드에서 플루오로폴리머 섬유의 양은 혼합된 섬유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상응하게, 고강도 섬유의 양은 혼합된 섬유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60중량% 내지 약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중량% 내지 95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프에서 다른 타입의 유용한 섬유는 어떠한 적절한 수단으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가지 타입의 섬유의 꼬임은 또 다른 타입의 섬유의 꼬임으로 꼬아져서 결합 꼬임을 형성한 후, 로프로 브레이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섬유는 이성분 섬유로서 결합될 수 있고, 쉬스(sheath) 및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섬유는 로프에서 어떠한 소정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프는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플루오로폴리머 섬유와 함께 둘 이상의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프는 브레이드된(braided) 로프, 트위스트된(twisted) 로프, 와이어-레이(wire-lay) 로프, 평행 코어 로프 등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구조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로프는 브레이드된 로프이다. 로프는 어떠한 적절한 지름일 수 있고, 원하는 섬유 및/또는 야안으로부터 어떠한 적절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드된 로프를 형성하는데에, 다수의 야안 보빈(bobbins)을 가지는 통상적인 브레이딩 기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보빈이 움직임에 따라, 야안은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직조되고, 마침내, 테이크 업 릴(take-up reel)에 수집된다. 브레이딩 기계 및 이로부터 로프의 형성에 대한 상세설명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 상세하게 개시되지 않는다.
일타입의 고강도 섬유로 제조된 야안은 서브로프(subrope)로 형성된 후, 다른 타입의 고강도 섬유로 제조된 야안으로 형성된 서브로프와 함께(브레이딩에 의해서와 같이) 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브로프는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서브로프는 이런 다른 서브로프 또는 다른 타입의 서브로프를 사용하여 브레이딩 또는 어떠한 기타 소정의 기술에 의해 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로프를 형성하는 고강도 야안은 어떠한 적절한 데니어일 수 있고, 플루오로폴리머 섬유의 야안은 고강도 섬유의 야안에 비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강도 야안은 약 50 내지 약 5000 데니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2000 데니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2000 데니어,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0 내지 약 1500 데니어일 수 있다. 플루오로폴리머 야안은 약 50 내지 약 2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160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코팅 조성물이 로프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개개의 섬유 또는 야안, 또는 섬유 또는 야안의 블렌드 중 하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후, 로프가 상기 코팅된 섬유 또는 야안으로부터 형성되거나, 로프가 우선 형성된 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다. 코팅 조성물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가지 성분은 약 1 내지 약 99중량%의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의 상응하는 양과 같이 어떠한 소정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달리 표시된 바가 없다면, 모든 %는 조성물의 총중량의 중량에 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응하게 약 10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와 함께 약 3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약 15중량% 내지 약 4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와 함께, 코팅 조성물의 약 55중량% 내지 약 85중량%와 같은 코팅의 주요성분이다. 조성물은 원하는 최종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모듈러스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몇몇의 고강도 섬유는 일반적으로 형성된 경우, 적용된 방사 마감재를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여기에 사용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때때로 오버피니쉬 조성물로 의미된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은 바람직하게 에멀젼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멀젼은 실리콘 수지의 약 20 내지 약 40중량%을 포함하고, 약 4.5 내지 약 6.5 범위의 pH를 가진다. 상기 에멀젼은 바람직하게, 비이온계 유화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에멀젼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이 완전하게 중화된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또한 폴리에틸렌 왁스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왁스 분산물로 칭해진다. 본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또한 수지라 불리는 이러한 폴리에틸렌 왁스는 일반적으로 약 6000 달톤(Dalton)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달톤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00 달톤 이하,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3000 달톤 사이의 분자량을 가진다.
코팅 조성물은 어떠한 적절한 수단으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에멀젼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기타 비활성의 용기의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바람직하게 저전단 조건(층류)하에서 적절한 혼합을 위한 교반기가 장착될 수 있다.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에멀젼을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pH를 염기성으로 유지시킨다. 선택적으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에멀젼에 첨가될 수 있다. 혼합은 어떠한 적절한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은 적어도 약 25중량%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중량%에 포함되는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형물 함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팅 조성물의 고형물 함량은 약 33 내지 약 35중량%이다. 높은 고형물 함량 코팅 에멀젼의 사용은 섬유/야안 또는 로프상에서 코팅 조성물을 더 높게 포착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성물이 직접적으로 섬유 또는 야안에 코팅되는 경우, 어떠한 적절한 코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장치의 예로는 윤활유 롤(lube roll), 키스 롤(kiss rolls), 담금조(dip baths) 및 마감 어플리케이터(finish applicator)를 포함한다. 시스템의 점도는 온도 차이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가 균일한 도포 및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로프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로프는 초과 조성물을 짜낸 후 공기 건조하면서,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에 담궈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로프를 코팅한 다음, 건조가 빨리 되도록 가열장치에 통과시킨 후, 공기건조될 수 있다.
섬유/야안 또는 로프상에 코팅 고형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포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최종 포착이 적어도 약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이다.
이어지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나타내는 것이다. 앞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기재된 특정 기술, 조건, 재료, 비율 및 기재된 데이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퍼센트는 중량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 1
브레이드 로프를 고강도 폴리에틸렌 야안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야안으로부터 형성하였다. 사용된 폴리에틸렌 야안은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의 SPECTRA® 1000 야안이고, 1300 데니어, 35g/d 강도 및 1150g/d 모듈러스를 가진다.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야안은 쿠라레이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의 Vectran® HT 타입 97 야안이고, 1500데니어, 25g/d 강도, 및 600g/d 모듈러스를 가진다. 상기 야안은 오버피니쉬 조성물로 코팅된다.
상기 오버피니쉬 조성물은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었다. 상기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는 35중량%의 실리콘 함량, pH 4.5~6.5를 가지고, 다우 코닝(2-8818 에멀젼)으로 이용가능한 비이온성 유화제가 포함된 에멀젼이었다.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중화된 비이온계 폴리에틸렌 왁스 에멀젼(아폴로 케미칼의 Fluftone® 1566)이며, 고형분 함량이 29% 내지 31% 사이이고, pH는 9.0 내지 11의 범위를 가진다.
코팅 조성물은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에 혼합하여, 결과 조성물이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70중량%으로 포함하게 제조되었다. 상기 야안을 실온에서 오버피니쉬 조성물에 상기 섬유를 담궈 코팅하였다. 야안에 코팅의 포착 양은 대략 15%였다.
코팅된 야안을 약 5mm 직경의 지름의 12-스트랜드 로프로 브레이드하였다. 야안은 우선 코팅된 세 가닥의 야안을 함께 코드에 인치당 0.5 선회점으로 꼬아서 로프로 브레이드되었다. 코드는 "S" 방향 및 "Z" 방향으로 꼬여졌다. 12 코드는 그 후, 선택적인 방식(S, Z, S, Z 등)으로 12-스트랜드 브라이더(braider)에 로드되었다. 그 후, 상기 코드는 결과 12-스트랜드 브레이드 로프에서 함께 브레이드되었다. 로프는 약 63중량%의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약 37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포함되었다.
로프는 이의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CBOS) 저항성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이 테스트에서, 로프는 자유 회전 시브 또는 도르레에서 약 180도로 구부러지게 된다. 로프는 로프가 정지에 다다르기까지, 로드 및 사이클 오버 시브 아래에 놓인다. 상기 테스트는 1.3인치(3.3cm) 도르레에서, D:d의 비율이 10으로, 1분당 75 주기의 속도로, 시브 하중 100kg (로프 한 쪽의 장력 50kg)로 실행되었다. 사이클의 수는 로프의 정지 전 5 포지션의 평균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비교)
실시예 1에 대한 제한에 따라, 브레이드 로프를 같은 수단으로 형성하였지만 오버피니쉬 조성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 로프는 이의 CBOS 저항성에 대해 테스트되었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코팅 정지까지 사이클
1 97,295
2* 57,457
*비교
표 1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로프가 현저하게 더 높은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로프를 4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60중량%의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한 것과 약 40mm의 지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알게 되었다.
실시예 4
로프를 40중량%의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60중량%의 아라미드 섬유로 형성한 것과 약 40mm의 지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알게 되었다.
실시예 5
비코팅된 야안으로 형성한 후, 실온에서 로프를 오버피니쉬 조성물에 담궈 로프의 구조물이 오버피니쉬 조성물로 코팅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를 반복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이 현저하게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지는 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이들의 로프는 해저로부터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과 같은 해양 적용처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한 것은 그러한 발명을 자세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어서 그것을 엄격하게 고수하기 위한 것은 아니므로, 상기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cyclic bend-over sheave;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지는 로프로, 상기 로프는 고강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는 로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분자량 폴리올레핀, 아라미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벤즈아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액정 폴리에스테르, 유리(glass), 탄소, 현무암(basalt), 미네랄 섬유 및 경성 막대 섬유(rigid rod fibers), 및 이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들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올레핀 섬유가 아닌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서 상기 고강도 섬유의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약 40 내지 약 6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다른 섬유는 약 60중량% 내지 약 4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로프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5중량%의 양으로 상기 로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주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5중량% 내지 약 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완전하게 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2. 제 4 항에 있어서, 플루오로폴리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브레이드(braided)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적어도 약 16g/d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6.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지는 로프로, 상기 로프는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와 폴리올레핀이 아닌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는 로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고강도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서 상기 고강도 섬유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는 약 40 내지 6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다른 고강도 섬유는 약 60중량% 내지 약 4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5중량% 내지 약 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완전하게 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20. 향상된 CBOS 피로 저항성을 가지는 로프로, 상기 로프는 고강도 폴리올레핀 섬유와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고강도 섬유는 아라미드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되는 로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 준으로 약 55중량% 내지 약 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완전하게 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22. 고강도 섬유로부터 로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로프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를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프의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CBOS) 피로 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섬유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와 다른 고강도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고강도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로 코팅한 상기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5중량% 내지 약 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완전하게 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약 25중량%의 고형물 함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는 에멀젼의 형태로, pH가 약 9 내지 약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로 코팅한 상기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5 내지 약 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완전히 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합성섬유 로프를 사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해저로부터 리프팅하고, 그리고, 해저에 놓는 방법에 있어, 향상은 상기 로프로서 고강도 섬유를 포함하는 로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로프 및/또는 상기 섬유는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 수지 및 중화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코팅된 것인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및 액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1557A 2006-02-24 2007-02-21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 KR101390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61,180 2006-02-24
US11/361,180 US20070202328A1 (en) 2006-02-24 2006-02-24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US11/481,872 2006-07-06
US11/481,872 US20070202329A1 (en) 2006-02-24 2006-07-06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PCT/US2007/062494 WO2007101035A2 (en) 2006-02-24 2007-02-21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813A true KR20080096813A (ko) 2008-11-03
KR101390162B1 KR101390162B1 (ko) 2014-05-13

Family

ID=3845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557A KR101390162B1 (ko) 2006-02-24 2007-02-21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70202329A1 (ko)
EP (1) EP1991733B1 (ko)
JP (1) JP2009527661A (ko)
KR (1) KR101390162B1 (ko)
AR (1) AR059632A1 (ko)
AU (2) AU2007220843B2 (ko)
BR (1) BRPI0707967B1 (ko)
CA (1) CA2643049C (ko)
ES (1) ES2640476T3 (ko)
NO (1) NO344273B1 (ko)
PE (1) PE20071276A1 (ko)
RU (1) RU2431708C2 (ko)
WO (2) WO200710103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173B1 (ko) * 2009-09-17 2010-04-20 동양제강 주식회사 혼합로프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9801B1 (ko) * 2010-10-21 2015-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로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9788B2 (ja) 2008-03-25 2013-12-25 株式会社クラレ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ープ構造体の製造方法
US7858180B2 (en) * 2008-04-28 2010-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strength
SI2462275T1 (sl) 2009-08-04 2016-10-28 Dsm Ip Assets B.V. Oplaščena vlakna, prameni in vrvi z visoko trdnostjo in postopek njihove izdelave
JP5889556B2 (ja) * 2011-07-06 2016-03-22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消防用ホースの暴れ防止装置
WO2014064157A1 (en) * 2012-10-23 2014-05-01 Dsm Ip Assets B.V. The use of a bending optimized product such as rope
EP2943612B1 (en) 2013-01-14 2018-12-05 Actuant Corporation Rope having a low-friction strand
US20160145796A1 (en) * 2013-06-20 2016-05-26 Zhengzhou Zhongyuan Defense Material Co., Ltd High-strength rigg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RU2569650C1 (ru) * 2014-02-17 2015-11-27 Борис Васильевич Накашидзе Арматурный канат
US20190119850A1 (en) * 2016-05-17 2019-04-25 Hampidjan Hf Long lived synthetic rope for powered blocks
CN112779778B (zh) * 2019-11-08 2024-04-30 霍尼韦尔特性材料和技术(中国)有限公司 涂料组合物及其应用
WO2023036491A1 (en) 2021-09-07 2023-03-16 Dsm Ip Assets. B.V. Net for fish farming,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3448A (en) * 1960-09-12 1963-09-10 Process for treating synthetic continu-
NL7605370A (nl) * 1976-05-20 1977-11-22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continu vervaardigen van vezelvormige polymeerkristallen.
NL177759B (nl) * 1979-06-27 1985-06-17 Stamicarbo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polyetheendraad, en de aldus verkregen polyetheendraad.
US4356138A (en) * 1981-01-15 1982-10-26 Allied Corporation Production of high strength polyethylene filaments
US4413110A (en) * 1981-04-30 1983-11-01 Allied Corporatio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NL8104728A (nl) * 1981-10-17 1983-05-16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polyetheen filamenten met grote treksterkte.
US4551296A (en) * 1982-03-19 1985-11-05 Allied Corporation Producing high tenacity, high modulus crystalline article such as fiber or film
US4536536A (en) * 1982-03-19 1985-08-20 Allied Corporatio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US4457985A (en) * 1982-03-19 1984-07-03 Allied Corporation Ballistic-resistant article
EP0115192B2 (en) * 1982-12-28 1992-07-2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stretched filaments of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JPS59216912A (ja) * 1983-05-20 1984-12-07 Toyobo Co Ltd 高強度・高弾性率ポリエ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CA1208863A (en) * 1984-04-24 1986-08-05 Wire Rope Industries Ltd. - Industries De Cables D'acier Ltee D'acier Ltee Plastic filled wire rope
US4663101A (en) * 1985-01-11 1987-05-05 Allied Corporation Shaped polyethylene articles of intermediate molecular weight and high modulus
DE3675079D1 (de) * 1985-06-17 1990-11-29 Allied Signal Inc Polyolefinfaser mit hoher festigkeit, niedrigem schrumpfen, ultrahohem modul, sehr niedrigem kriechen und mit guter festigkeitserhaltung bei hoher temperatu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032338A (en) * 1985-08-19 1991-07-16 Allied-Signal Inc. Method to prepare high strength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olefin articles by dissolving particles and shaping the solution
US4767646A (en) * 1985-10-24 1988-08-30 Allied Corporation Wet abrasion resistant yarn and cordage
US5286435A (en) * 1986-02-06 1994-02-15 Bridgestone/Firestone, Inc. Process for forming high strength, high modulus polymer fibers
US5246657A (en) * 1987-12-03 1993-09-21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of making polyolefin fiber
US5199253A (en) * 1990-07-16 1993-04-06 American Manufacturing Company, Inc. Nylon rope having superior friction and wearing resistance
US5342567A (en) * 1993-07-08 1994-08-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high tenacity and high modulus polyethylene fibers
US5702657A (en) * 1994-12-27 1997-12-30 Nippon Oil Co., Ltd.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ethylene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high modulus of elasticity
JPH1037079A (ja) * 1996-07-23 1998-02-10 Toray Ind Inc シートベルト用低摩擦化処理剤
US5931076A (en) * 1997-06-10 1999-08-03 Puget Sound Rope Corporation Rope construction
US5901632A (en) * 1997-06-10 1999-05-11 Puget Sound Rope Corporation Rope construction
US6132866A (en) * 1998-01-28 2000-10-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Yarn blend for friction applications
JP2954925B1 (ja) * 1998-04-30 1999-09-27 株式会社ゴーセン 釣糸及びその製造方法
US6448359B1 (en) * 2000-03-27 2002-09-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enacity, high modulus filament
US20030024770A1 (en) * 2001-08-03 2003-02-06 O'donnell Hugh James Elevator belt assembly with waxless coating
US7247266B2 (en) * 2002-04-10 2007-07-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Lubricating coating and application process for elastomeric electrical cable accessories
US6945153B2 (en) * 2002-10-15 2005-09-20 Celanese Advanced Materials, Inc. Rope for heavy lifting applications
US6901192B2 (en) * 2002-11-18 2005-05-31 Neptco Incorporated Cable strength member
US20040176546A1 (en) * 2003-01-10 2004-09-09 Greer Robert W. Secondary coatings and fiber glass strands having a secondary coating
US7344668B2 (en) * 2003-10-31 2008-03-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drawing gel-spun polyethylene yarns
FR2865481B1 (fr) * 2004-01-22 2006-03-03 Rhodia Industrial Yarns Ag Composition pour fils ; fils a proprietes ameliorees et utilisation de ces fils.
US20050274101A1 (en) * 2004-06-14 2005-12-15 Chin-Fa Wang Rope structure
JP2006030159A (ja) * 2004-06-15 2006-02-02 Canon Inc ピエゾ抵抗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69553B1 (en) * 2004-09-03 2005-1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rawn gel-spun polyethylene yarns and process for drawing
US7296394B2 (en) * 2005-02-11 2007-11-20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AU2006319492B2 (en) * 2005-12-02 2012-01-19 Dsm Ip Assets B.V. Rope containing high-performance polyethylene fib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173B1 (ko) * 2009-09-17 2010-04-20 동양제강 주식회사 혼합로프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9801B1 (ko) * 2010-10-21 2015-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7967A2 (pt) 2011-05-17
JP2009527661A (ja) 2009-07-30
WO2007101032A2 (en) 2007-09-07
AU2007220843B2 (en) 2010-05-13
AU2007220840A1 (en) 2007-09-07
WO2007101035A3 (en) 2007-12-06
BRPI0707967B1 (pt) 2023-05-16
EP1991733A2 (en) 2008-11-19
CA2643049A1 (en) 2007-09-07
NO20083700L (no) 2008-09-22
RU2431708C2 (ru) 2011-10-20
RU2008137942A (ru) 2010-03-27
WO2007101035A2 (en) 2007-09-07
CA2643049C (en) 2013-10-29
AU2007220843A1 (en) 2007-09-07
KR101390162B1 (ko) 2014-05-13
PE20071276A1 (es) 2008-01-14
WO2007101032A3 (en) 2007-11-29
EP1991733B1 (en) 2017-08-02
NO344273B1 (no) 2019-10-21
US20070202329A1 (en) 2007-08-30
AR059632A1 (es) 2008-04-16
ES2640476T3 (es)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162B1 (ko) 향상된 사이클릭 벤드 오버 시브 성능을 지닌 로프
US20070202331A1 (en)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US10329698B2 (en)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US7296394B2 (en)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JP4834859B2 (ja) モノフィラメント様製品の製造方法
US20070098985A1 (en)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EA021519B1 (ru) Высокопрочные волокна с силиконовым покрытием, канат, стренга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1630224A (zh) 具有中心芯构件的小直径纤维编织物
US7858180B2 (en)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strength
AU2015339637B2 (en) Optimized braid construction
WO2017060461A1 (en) Composite lengthy body
US20070202328A1 (en)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WO2017090270A1 (ja) 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2008010429A (en) High tenacity polyolefin ropes having improved cyclic bend over sheave performance
AU2015202643B2 (en) Fluoropolymer fiber composite bu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