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621A -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621A
KR20080096621A KR1020070031315A KR20070031315A KR20080096621A KR 20080096621 A KR20080096621 A KR 20080096621A KR 1020070031315 A KR1020070031315 A KR 1020070031315A KR 20070031315 A KR20070031315 A KR 20070031315A KR 20080096621 A KR20080096621 A KR 2008009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sleep state
mat
sleep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7103B1 (ko
Inventor
이상학
신준호
조수형
윤정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취침용 매트에 고르게 배치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침자에게 번거로움을 주지않고,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하여 최적의 취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수면상태 감지, 매트, 압력 센서, 센서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Description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Sleeping mat System for sensing sleeping status and Method performing in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감지 매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수집 게이트웨이 장치 110 : 매트 내장 압력 센서
120 : 근거리 센서 망 130 : 홈네트워크 서버
140 : 근거리 무선 망 150 : 홈네트워크 연결 조명기기
160 : 홈네트워크 연결 오디오 170 : 홈네트워크 연결 오디오
180 : 홈네트워크 연결 냉난방장치 170 : 홈네트워크 연결 가습기
211 : 센서네트워크 접속부 212 : 압력센서 데이터 수집부
213 : 수면상태 분석 수단 214 : 패킷 생성 수단
215 : 근거리 무선망 접속부
본 발명은 수면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네트워크 서버와 연결된 매트에 압력 센서를 복수 개 배치하여 거주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여, 거주자가 취침 중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수면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 행위 중 수면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되풀이하는 생리적인 의식상실과 흡사한 상태로, 과학적으로 취급할 때는 뇌파를 감지하여 수면상태를 파악한다. 뇌파는 수면이 깊어짐에 따라 그 주파수가 느려지는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 최근 상당히 깊은 수면이라고 생각되는 시기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는데 이를 파라(para)수면이라 부른다. 파라수면은 REM수면이라 불리는데 약 1시간 반의 간격으로 하룻밤에 3~5회 규칙적으로 수면단계가 나타나며 새벽이 될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보통수면인 오르토(ortho)수면은 새벽에 주로 일어나며 수면의 심도가 얕아진다.
현대인들은 평온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약물 복용, 심리 치료, 취침 환경 조성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경우가 많다.
숙면을 위한 취침 환경 조성과 관련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04-33551호에는 시청자의 수면상태를 감지하여 방송녹화 등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응조치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 수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는데, 시청자의 뇌파에 따라 수면상태를 판단하여 수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면감지부, 수면감지부에서 무선방식으로 출력된 수면감지신호 및 시청자의 리모콘신호를 수신하여 수면감지장치 내부처리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 수면감지 모드 설정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 모리부, 방송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부, 녹화부에 녹화된 방송 또는 일반 방송을 화면출력 및 음성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음성 처리부, 영상/음성 처리부의 출력을 화면표시 및 음성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수면감지장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그리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수면감지신호 및 메모리부의 수면감지 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녹화, 전원 '오프' 및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녹화부, 전원부 및 영상/음성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시청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보고자 했던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처럼 시청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제품 수명단축을 방지하며, 시청자가 잠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특허출원 제1999-32971호에는 인간의 수면을 유도 및 촉진시킬 수 있는 수면유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디지털 타이머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정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수면유도를 위한 자연의 소리 및/또는 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의 자연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다수개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임의로 선택하여 주기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인간의 뇌신경을 이완시켜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수면유도장치와; 여러 가지의 자연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수단을 디지털 타이머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수면 유도에 적당한 자연의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인간의 뇌신경을 이완시켜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뇌파를 감지하여 수면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행위(예컨대, 뇌파 감지 센서 부착 행위)를 요구함으로써 실제 사용에 제약을 두거나(한국특허출원 제2004-33551호), 또는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무시하고 사전에 선택한 수면 보조 음향을 사전에 설정한 시간에 따라 발생시키는 방식(한국특허출원 제1999-32971호)을 취하는 등, 사용자의 현재 수면상태를 고려한 최적 취침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런 일상 생활을 하는 중에,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최적의 취침 환경을 제공하는 수면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취침용 매트에 고르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 신하는 센서 네트워크 접속부와, 상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배열된 압력 센서 위치에 따라 정렬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정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수면상태 분석부와, 상기 수면상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취침관련 기기를 제어할 제어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는 상기 매트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 정보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여 매트의 압력 분포를 파악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가 자신의 식별자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의 식별자와 각 센서의 매트내 위치를 대응시키는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과 압력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여 매트의 압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수면상태 감지 방법에 있어서, 매트내에 복수 개의 압력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매트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수면상태에 따라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면상태 분석 단계는, 상기 정렬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취침자의 시간별 움직임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별 움직임을 상기 취침자의 평균 취침 움직임과 비교하여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 센서 네트워크, 홈네트워크를 활용해 취침을 하려하는 자에게 보다 쾌적한 취침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트에 거주자가 누우면 격자로 구성된 압력센서가 거주자가 누워있는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짧은 시간 내에 이전 위치와 달라진 경우나 온전히 누워있지 않은 경우 수면상태에 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홈서버를 통해 조명, 오디오, 냉난방장치, 가습기를 조절해 쾌적 취침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거주자가 일정 시간동안 동일한 자세로 누워있는 센싱 값이 들어오면 거주자가 취침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해 홈서버를 통해 조명, 오디오 등의 전원을 끄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압력 센서의 배치는 센싱하고자 하는 정확도(Accuracy) 에 따라 보다 많은 센서를 매트에 배치할 수 있다. 읽어 들인 센서 값은 이전 기준 시간의 센서 값과 비교하여 일정 기준 값 이상 변경이 일어났을 경우 거주자가 뒤척임으로 판단해 홈서버에 연결된 취침 환경과 관련된 여러 기기들을 취침하기에 보다 좋은 조건으로 유지한다.
아울러 취침 중 움직임이 장시간 전혀 없거나, 통상의 기상 시간을 과도하게 넘긴 경우에는 수면상태가 아니라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것일 수 있으므로 응급 구호 메시지를 자동으로 외부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감지 매트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침대 매트에 내장된 압력 센서들(110)과 센서 네트워크(120)를 구성해 센서 값을 주기적으로 읽어 들인다. 게이트웨이 장치(100)는 가정 내 가전 및 각종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 서버(130)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되어 거주자의 취침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기기들을 제어하는 메시지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무선 송신한다.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조명기기(150), 오디오(160), 냉난방장치(170), 가습기(180) 등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와 유무선 홈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기들의 상태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는 센서 네트워크 접속부(211), 데이터 수집부(212), 수면상태 분석 수단(213), 패킷 전송수단(214), 근거리 무선망 접속부(215)로 구성된다.
센서 네트워크 접속부(211)는 센서 네트워크(120)를 통해 압력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센서값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압력 센서(100)는 통신수단을 포함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수집부(212)는 센서 네트워크(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읽어 들인 네트 워크 패킷으로부터 센서 값들을 분리하고 이를 모든 센서에 대해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렬 방식으로서는, 압력 센서(110)를 매트에 내장 배치할 때, 센서 네트워크 접속부(211)에 배치되는 센서 수만큼의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각 접속 단자별로 각 센서(110)를 연결하고, 데이터 수집부(212)에 각 접속 단자별 매트내 위치를 매핑하는 테이블을 두어 각 센서(110)로부터의 데이터가 매트내 어느 위치의 압력 데이터인지를 파악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110)가 자체적인 처리기능과 통신장치를 구비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인 경우, 압력 센서(110)는 상기 매트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 정보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00)에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212)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고 매트의 압력 분포를 파악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110)가 자신의 식별자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00)에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212)가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110)의 식별자와 각 센서의 매트내 위치를 대응시키는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과 압력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여 매트의 압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수면상태 분석 수단(213)은 시간별로 수집된 센서 값으로부터 거주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수집부(212)로부터 전달된 시간별 매트의 압력 분포를 파악하면, 취침자의 몸의 움직임을 매우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 터 수면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시간 취침자가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숙면상태에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근소한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는 가수면 상태라고 판단하고, 또는 빈번한 몸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수면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예컨대, 3시간 이상) 몸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통상의 기상시간을 과도하게 초과한 경우에는 수면 상태가 아닌 의식 불명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취침자별로 수면 패턴이 상이하므로, 획일적 시간 기준을 적용하면 취침자의 수면상태 파악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상태 분석부(213)는 취침자의 취침 중 매트내 압력 분포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내 저장된 압력 분포 정보에 따라 취침자의 취침 패턴을 파악하여 현재의 취침 상태를 판단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면상태 분석부(213)는 평균적인 취침 중 매트내 압력 분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적 압력 분포와 취침자에 의한 매트내 압력 분포를 비교하여 취침자의 잠버릇을 파악하고, 취침자의 잠버릇에 문제점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패킷 전송수단(214)은 분석된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기반으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숙면상태에 진입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모든 조명을 소등하고, 실내 온도를 낮추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구성한다(취침 모드 제어).
또는, 가수면 상태나 비수면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조명을 은은하게 하고 숙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조명기기 및 오디오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수면 증진 모드 제어).
만약, 수면상태 분석부(213)이 취침자의 잠버릇의 문제점을 감지한 경우에는 별도의 안내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이를 안내하도록 제어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패킷 전송수단(214)는 취침 중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할 응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망 접속부(215)는 홈네트워크 서버와의 근거리 통신망(140)을 경유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무선망 접속부(215)를 통해 복수의 게이트웨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가 상충될 경우, 예컨대 오디오 기기(160)를 끄라는 제어 메시지와 켜라는 제어 메시지가 각각의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100)에서 근접한 시간내에 전송될 경우, 이를 중재하여 각 기기를 제어한다. 중재 규칙으로서는 동일 제어 내용이 많은 제어 메시지에 따라 기기를 제어하는 다수결 원칙을 취할 수 있으나, 각 취침자의 연령, 수면 개시 시간, 수면 지속 시간 등을 고려하여 중재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홈네트워크 서버(130)는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100)로부터 응급 메시지를 받을 경우, 외부의 응급 구호 기관이나 사전에 지정한 보호자에게 이를 전달하여 구호가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감지 매트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자가 센서가 내장된 매트에 누우면 압력 센서가 동작하여 감지 데이터가 생성되기 시작한다(S31). 게이트웨이 장치는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한다(S32).
이후, 수집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는데(S33), 이 분석 단계에서 수집된 감지 데이터를 매트내 배치된 위치에 따라 정렬하여 취침자의 시간별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분석 결과, 취침자가 가수면 상태거나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 시스템(100)은 수면에 도움이 되도록 조용한 클래식 음악이 송출되도록 오디오를 제어하거나, 가습기, 공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네트워크 서버(130)에 전송하고, 홈네트워크 서버는 이에 따라 취침 환경과 관련된 각 기기(150, 160, 170, 180)을 제어한다(S35).
분석 결과, 취침자가 평온한 수면상태이면 각 취침 환경이 수면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예컨대, 완전 소등, 소음차단, 온도 하강)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한다(S36).
취침자가 기상하기까지 위 과정은 계속 반복하여 진행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 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최적 취침 환경 제공을 위한 수면상태 감지 네트워크 매트 시스템 및 방법은 가정 내 침실에서 거주자가 수면에 들어가려 할 때 이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면증 환자나 쉽게 숙면에 들어가지 못하는 거주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취침용 매트에 고르게 배치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매트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여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를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센서 네트워크 접속부와,
    상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배열된 노드 위치에 따라 정렬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정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수면상태 분석부와,
    상기 수면상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취침관련 기기를 제어할 제어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매트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 정보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달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
    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는 자신의 식별자와 압력 감지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달하는 것이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압력 센서의 식별자와 각 센서의 매트내 위치를 대응시키는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과 압력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
    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 분석부는 취침자의 취침 중 매트내 압력 분포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내 저장된 압력 분포 정보에 따라 취침자의 수면 패턴을 파악하여 현재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 분석부는 평균적인 취침 중 매트내 압력 분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평균적 압력 분포와 취침자에 의한 매트내 압력 분포를 비교하여 취침자의 잠버릇을 파악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잠버릇을 통지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는 침실 내 조명기기, 오디오 기기, 공조기, 가습기를 포함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전송부는 취침자의 수면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를 수면 증진 모드 또는 취침 모드로 제어하도록 제어용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전송부는 취침 중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응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사전에 지정된 보호자 또는 외부의 응급기관으로 이상상태를 통지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복수 개의 수면상태 감지 매트로부터 상기 제어용 패킷을 복수 개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제어 메시지의 제어 내용이 상충될 경우 다수 취침자에 적합하도록 상기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를 제어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13. 수면상태 감지 방법에 있어서,
    매트내에 복수 개의 압력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매트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취침자의 수면상태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수면상태에 따라 취침 환경과 관련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 분석 단계는,
    상기 정렬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취침자의 시간별 움직임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별 움직임을 상기 취침자의 평균 취침 움직임과 비교하여 수면상태 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수면상태 감지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 분석 결과, 이상상태로 판단된 경우 미리 지정된 보호자 또는 외부의 응급기관으로 구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면상태 감지 방법.
KR1020070031315A 2007-03-30 2007-03-30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KR10086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15A KR100867103B1 (ko) 2007-03-30 2007-03-30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15A KR100867103B1 (ko) 2007-03-30 2007-03-30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621A true KR20080096621A (ko) 2008-10-31
KR100867103B1 KR100867103B1 (ko) 2008-11-06

Family

ID=4015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315A KR100867103B1 (ko) 2007-03-30 2007-03-30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1838A (zh) * 2011-09-14 2013-03-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传感器设备标识的生成及使用方法、系统和相关设备
CN105953355A (zh) * 2016-04-26 2016-09-21 深圳市思立普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睡眠质量的环境控制系统
WO2017026611A1 (ko) * 2015-08-07 2017-02-1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베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
WO2018000291A1 (zh) * 2016-06-30 2018-01-04 宋英楠 智能家具的控制方法和系统
KR20190052469A (ko) * 2017-11-08 2019-05-1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스마트 베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21516599A (ja) * 2018-03-07 2021-07-08 アイシービーエ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強化学習を利用した睡眠環境調節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5452A1 (en) * 2015-05-08 2016-11-17 Eight Sleep Inc. Vibrating alarm system and operating methods
KR20210047517A (ko) 2019-10-22 2021-04-30 윤득종 수면 상태 감지용 매트
KR20210112545A (ko) 2020-03-05 2021-09-15 윤득종 수면 상태 감지용 매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6051A (ja) * 1991-01-14 1992-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就寝装置
JPH0592040A (ja) *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就寝装置
JP2003322383A (ja) * 2002-04-30 2003-11-14 Daikin Ind Ltd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カプセルベッド
KR20060032440A (ko) * 2004-10-12 2006-04-17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홈 제어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1838A (zh) * 2011-09-14 2013-03-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传感器设备标识的生成及使用方法、系统和相关设备
CN103001838B (zh) * 2011-09-14 2015-12-1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传感器设备标识的生成及使用方法、系统和相关设备
WO2017026611A1 (ko) * 2015-08-07 2017-02-16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베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방법
US10219749B2 (en) 2015-08-07 2019-03-05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Smart bed and user state monitoring system and user stat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953355A (zh) * 2016-04-26 2016-09-21 深圳市思立普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睡眠质量的环境控制系统
WO2018000291A1 (zh) * 2016-06-30 2018-01-04 宋英楠 智能家具的控制方法和系统
KR20190052469A (ko) * 2017-11-08 2019-05-1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스마트 베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21516599A (ja) * 2018-03-07 2021-07-08 アイシービーエ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強化学習を利用した睡眠環境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103B1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03B1 (ko) 수면상태 감지 매트 시스템 및 감지 방법
TWI663936B (zh) 一種智慧床及其控制流程
KR101793835B1 (ko)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
CN111467644B (zh) 用于睡眠管理的方法和系统
CN110456846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自适应多感官睡眠辅助系统
CN103519597A (zh) 一种多功能办公椅
CN107811453B (zh) 一种智能床垫
CN202788030U (zh) 居住用设施
CN109965846A (zh) 一种具有睡眠管理功能的智能床垫
CN110553358A (zh) 一种基于智能穿戴设备的空调控制方法、系统及空调器
US20110267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leep quality feedback
JP2019519277A (ja) 睡眠監視
US7106662B1 (en) Thermal alarm clock
CN105319976A (zh) 智慧家居的控制系统
KR101857572B1 (ko) 스마트 베개
CN205283778U (zh) 一种带探测板的耳机
KR100923967B1 (ko)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KR101765659B1 (ko) 수면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676659A (zh) 一种带智能检测和物联功能的毯或被及其应用的智能家居系统
KR20110032605A (ko) 근거리 통신 망에서 주변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14753A (ko) 수면관리장치를 이용한 온수매트
CN106937189A (zh) 一种带探测板的耳机及其控制方法
WO2021170674A1 (en) Sleep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vibration sensors
KR20130079774A (ko) 뇌전도 베개를 이용한 수면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2212173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장치를 이용한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