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447A -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447A
KR20080095447A KR1020070039939A KR20070039939A KR20080095447A KR 20080095447 A KR20080095447 A KR 20080095447A KR 1020070039939 A KR1020070039939 A KR 1020070039939A KR 20070039939 A KR20070039939 A KR 20070039939A KR 20080095447 A KR20080095447 A KR 2008009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ensing electrode
ground electrode
output signal
capacitiv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752B1 (ko
Inventor
이상철
곽희수
김복만
정상보
Original Assignee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반도체(주) filed Critical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to KR102007003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와 슬라이더(20)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에 설치되는 정전용량감지전극(112); 슬라이더(122)의 본체 대향면쪽에 설치되는 접지전극(122); 정전용량감지전극(112)과 접지전극(122)을 입력단자로 활용하여, 정전용량감지전극(112)이 접지전극(122)을 감지하는 경우에 개방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정전용량센서(100); 및 정전용량센서(100)의 개방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휴대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기능제어수단(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홀센서 방식에 비해, 자석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휴대폰 자체의 전자파나, 휴대폰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안테나의 자기장으로 인하여 오동작하지 않는다.
슬라이드 휴대폰, 정전용량센서, 접지전극, 자석, 자기장

Description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Slide type potable telephone which decides open-and-close using capacitance sensor}
도 1은 종래의 홀센서를 이용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 본체 20: 슬라이더
12: 자석 112, 112a, 112b: 정전용량감지전극
22: 홀센서 122: 접지전극
100: 정전용량센서 200: 기능제어수단
본 발명은 슬라이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슬라이더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휴대폰은 슬라이더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홀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홀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므로 항상 자석과 같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홀센서를 이용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슬라이드 휴대폰은 본체(10)와, 본체(10)를 슬라이딩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이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에는 자석(12)이 설치되며 슬라이더(20)에는 홀센서(22)가 설치된다. 슬라이더(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홀센서(22)가 자석(12)과 멀어지게 되고 이 때 생기는 자기장의 변화를 홀센서(22)가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신호는 본체(10)에 있는 기능제어수단(미도시)으로 전달되어 휴대폰의 기능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홀센서 감지방식은 가격이 비싸고 휴대폰 자체의 전자파나 휴대폰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안테나의 자기장으로 인해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홀 센서 대신에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슬라이더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은, 본체와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으로서,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을 입력단자로 하여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의 근접 여부에 따라 개방출력신호 및 폐쇄출력신호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정전용량센서; 및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휴대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기능제어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은 상기 본체와 슬라이더에 서로 나누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이 상기 접지전극을 잘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은 상기 본체와 슬라이더의 상호 대향면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면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이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을 감지하게 되어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슬라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이 서로 맞닿고,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면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이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을 통하여 상기 접지전극이 멀어졌음을 감지하여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다단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감지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개방출력신호의 단계마다 휴대폰의 기능모드를 변환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2는 간단한 블록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에는 정전용량센서(100)가 설치되며 본체(10)의 슬라이더 대향면에는 정전용량센서(100)의 정전용량감지전극(112)이 설치된다. 슬라이더(20)의 본체 대향면에는 정전용량센서(100)의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접지전극(122)이 설치된다.
정전용량센서(100)는 신체가 정전용량감지전극(112)에 닿을 때에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지만, 정전용량감지전극(112)에 기준전압(ground)을 가진 전극, 즉 접지전극(122)이 접근하거나 근접하여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휴대폰이 닫힌 경우에는 정전용량감지전극(112)과 접지전극(122)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정전용량감지전극(112)이 접지전극(122)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한다. 슬라이더(2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정전용량감지전극(112)과 접지전극(122)이 서로 접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정전용량센서(100)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정전용량감지전극(112)을 통해 정전용량센서(100)가 접지전극(122)을 비로소 감지하면 정전용량센서(100)는 개방되었음을 알리는 출력신호를 내보낸다. 본체(10)에는 기능제어수단(200)이 설치되며 기능제어수단(200)은 정전용량센서(100)의 개방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휴대폰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열림 구조의 슬라이더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전용량감지전극(112a, 112b)이 슬라이더(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다채널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거나 정전용량센서를 여러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슬라이더(20)가 위로 올라갈 경우에 맨 밑에 있는 정전용량감지전극(112b)부터 차례로 접지전극(122)을 감지하게 되어 정전용량센서(100)는 1단과 2단의 출력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따라서 기능제어수단(200)은 슬라이더(20)의 개방을 1단과 2단으로 구분하여 휴대폰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1단계 개방에서는 화면확인모드(LCD 화면 켜짐)를 작동시키고, 2단계 개방에서는 통화모드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홀센서 방식에 비해, 자석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휴대폰 자체의 전자파나, 휴대폰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안테나의 자기장으로 인하여 오동작하지 않는다.

Claims (5)

  1. 본체와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에 있어서,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을 입력단자로 하여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의 근접 여부에 따라 개방출력신호 및 폐쇄출력신호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정전용량센서; 및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휴대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기능제어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은 상기 본체와 슬라이더에 서로 나누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은 상기 본체와 슬라이더의 상호 대향면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면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이 맞닿게 되어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접지전극이 서로 맞닿고,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면 상기 정전용량감지전극과 상기 접지전극이 이격되어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개방출력신호를 다단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감지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개방출력신호의 단계마다 휴대폰의 기능모드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
KR1020070039939A 2007-04-24 2007-04-24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KR101003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939A KR101003752B1 (ko) 2007-04-24 2007-04-24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939A KR101003752B1 (ko) 2007-04-24 2007-04-24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47A true KR20080095447A (ko) 2008-10-29
KR101003752B1 KR101003752B1 (ko) 2010-12-23

Family

ID=4015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939A KR101003752B1 (ko) 2007-04-24 2007-04-24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3623A (zh) * 2018-06-08 2018-11-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组件的滑动控制方法、装置和电子装置
CN109040350A (zh) * 2018-06-08 2018-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262990A (zh) * 2018-11-30 2020-06-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盖式终端、滑盖状态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005231A1 (ko) * 2020-07-02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자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4213471A1 (en) * 2022-01-18 2023-07-19 STMicroelectronics S.r.l. Screen state detection using an electrostatic charge variation sensor
US11921548B2 (en) 2021-10-25 2024-03-05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detecting an open or closed state of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558A (zh) * 2018-10-31 2020-05-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盖式终端、滑盖状态检测方法及装置
WO2021132740A1 (ko) * 2019-12-23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562812B (zh) * 2020-04-29 2022-03-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3623A (zh) * 2018-06-08 2018-11-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组件的滑动控制方法、装置和电子装置
CN109040350A (zh) * 2018-06-08 2018-1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262990A (zh) * 2018-11-30 2020-06-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盖式终端、滑盖状态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005231A1 (ko) * 2020-07-02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자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921548B2 (en) 2021-10-25 2024-03-05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detecting an open or closed state of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4213471A1 (en) * 2022-01-18 2023-07-19 STMicroelectronics S.r.l. Screen state detection using an electrostatic charge variation sensor
US11989065B2 (en) 2022-01-18 2024-05-21 Stmicroelectronics S.R.L. Screen state detection using an electrostatic charge varia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752B1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752B1 (ko) 정전용량센서를 통하여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슬라이드휴대폰
KR101983008B1 (ko)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및 이동 디바이스
KR101483346B1 (ko) 정전용량 감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70045136A (ko) 방향 측정 및 스위칭을 위한 자기장 센싱 장치
US9007306B2 (en) Folding electronic apparatus with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etecting open and closed modes thereof
KR101858634B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58173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olst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CN103543870A (zh) 触摸屏面板及其驱动方法
EP3144769B1 (en) Electronic device
CN103376971A (zh) 基于电容式触摸屏的近距离感应方法和装置以及通信终端
US9432490B2 (en) Portable sliding electronic device operable to disable a touchscreen displa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evice
CN104750292A (zh) 触控装置及其触控模式切换方法
US20050141702A1 (en) Detection method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630767B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US10649499B1 (en) Electronic device and detachable base
JP2014174631A (ja) 携帯情報端末
CN204925917U (zh) 电子装置
KR101640664B1 (ko) 다채널 스위치 모듈
JP2013239237A (ja) 容量結合型センサ
CN112532771A (zh) 一种感应传感器
KR20030096643A (ko) 스피커의 자석을 이용한 개폐 감지 장치
KR20040105134A (ko)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단말기의 폴더 개폐 인식 장치
KR20040105462A (ko) 광 인식장치를 이용한 단말기의 폴더 개폐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21

Effective date: 201008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