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691A -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691A
KR20080094691A KR1020087019961A KR20087019961A KR20080094691A KR 20080094691 A KR20080094691 A KR 20080094691A KR 1020087019961 A KR1020087019961 A KR 1020087019961A KR 20087019961 A KR20087019961 A KR 20087019961A KR 20080094691 A KR20080094691 A KR 2008009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rail
following
rail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1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4691A/ko
Publication of KR2008009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는 답단롤러를 가지는 복수의 답단, 답단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답단롤러의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답단은 무단상의 순환경로가 이동된다.순환경로는 왕로 측 경로와, 왕로 측 경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귀로 측 경로를 가지고 있다. 또, 귀로 측 경로는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이동되는 귀로 측 이행부를 가지고 있다. 이상검출장치는, 답단이 귀로 측 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답단롤러의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escalator)나 움직이는 보도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각 답단(踏段 : step)은 승객을 반송하기 위한 왕로(往路) 측과, 왕로 측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귀로(歸路) 측을 순환이동한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왕로 측이 이동될 때의 각 답단 사이에 고무슈의 토우(toe of rubber shoe) 등이 끼여지면, 답단의 전륜(前輪)이 안내레일로부터 들려 올라가는 일이 있다.
종래, 답단의 전륜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기 위해서, 안내레일의 위쪽에 배치된 가동레일과, 가동레일의 변위에 의해 동작되는 슈침입 검출기구(shoe intrusion detecting mechanism)를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슈침입 검출기구는 가동레일이 답단의 전륜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답단의 전륜의 들려 올려짐은 슈침입 검출기구의 작동에 의해 검출된다.
가동레일은 고무슈의 토우 등이 각 답단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왕로 측을 이동할 때의 답단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의 위쪽에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답단의 전륜의 들려 올려짐은 답단이 왕로 측을 이동할 때만 검 출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실공소63-4645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귀로 측을 답단이 이동될 때는 답단의 전륜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할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코인 등의 이물이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truss) 내에 낙하하고, 귀로 측을 이동하는 답단 사이에 이물이 낀 경우에는 답단은 전륜이 들려 올라간 채로 이동되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답단이 예를 들면 트러스 등에 충돌하여 에스컬레이터의 기기가 파손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트러스 내에서의 기기의 파손의 방지를 보다 확실히 도모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는 답단롤러를 가지고, 무단상(無端狀)의 순환경로를 이동하는 복수의 답단, 답단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답단롤러의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開離)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를 구비하며, 순환경로는 왕로 측 경로와, 왕로 측 경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귀로 측 경로를 가지고, 귀로 측 경로는 인접하는 각 답단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이동되는 귀로 측 이행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상검출장치는 답단이 귀로 측 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답단롤러의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각 답단 사이에 이물이 끼여서 일부의 답단이 들려 올라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V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는 도 7의 Ⅷ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트러스(메인 프레임(main frame)(1)의 상단부에는 구동기(2)와, 구동기(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켓 바디(sprocket body)(3)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켓 바디(3)는 서로 일체로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켓(4) 및 상부 답단 스프로켓(5)을 가지고 있다. 트러스(1)의 하단부에는 하부 답단 스프로켓(6)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켓(4)에는 구동 체인(7)이 감겨져 있다. 구동기(2)의 구동력은 구동 체인(7)을 통하여 구동 스프로켓(4)에 전달된다. 구동 스프로켓(4) 및 상부 답단 스프로켓(5)은 구동 스프로켓(4)이 구동기(2)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것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트러스(1)에는 답단 체인(8)에 의해 무단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답단(9)이 지지되어 있다. 답단 체인(8)은 상부 답단 스프로켓(5) 및 하부 답단 스프로켓(6) 사이에 감겨져 있다. 각 답단(9)은 상부 답단 스프로켓(5)의 회전에 의해 무단상의 순환경로가 이동된다. 무단상의 순환경로는 승객을 반송하기 위한 왕로 측 경로(10)와, 왕로 측 경로(10)에 연속함과 동시에 왕로 측 경로(1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귀로 측 경로(11)로 구성되어 있다.
왕로 측 경로(10)는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경사방향으로 늘어선 채로 트러스(1)의 중간부를 이동하는 왕로 측 경사부와,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채로 트러스(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이동하는 왕로 측 상단 수평부 및 왕로 측 하단 수평부와, 왕로 측 상단 수평부 및 왕로 측 하단 수 평부의 각각과 왕로 측 경사부와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면서 각각 이동되는 왕로 측 상단이행부 및 왕로 측 하단이행부를 가지고 있다.
귀로 측 경로(11)는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경사방향으로 늘어선 채로 트러스(1)의 중간부를 이동하는 귀로 측 경사부와,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채로 트러스(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이동하는 귀로 측 상단 수평부 및 귀로 측 하단 수평부와, 귀로 측 상단 수평부 및 귀로 측 하단 수평부의 각각과 귀로 측 경사부와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면서 각각 이동되는 귀로 측 상단이행부 및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Ⅱ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Ⅱ부에는 귀로 측 하단이행부가 나타나고 있다. 도에 있어서, 각 답단(9)은 답단본체(12)와, 답단본체(12)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돌출하며, 답단 체인(8)이 접속된 답단축(13)과, 각 답단축(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14)와, 답단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추종롤러(답단롤러)(15)를 가지고 있다.
트러스(1)(도 1)에는 구동롤러(14)를 안내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과, 추종롤러(15)를 안내하는 한 쌍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이 배치되어 있다. 각 답단(9)이 순환경로를 이동할 때에는 구동롤러(14)가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로 안내되고,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 안내된다. 즉, 각 답단(9)은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 및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각각에 안내되면서 순환경로가 이동된다.
각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은 구동롤러(14)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하부규제부(16a)와, 구동롤러(14)의 위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상부 규제부(16b)와, 하부규제부(16a) 및 상부 규제부(16b) 사이를 잇는 연결부(16c)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구동롤러(14)는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통상시의 각 구동롤러(14)는 하부규제부(16a)에 실려 안내된다.
각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은 추종롤러(15)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하부규제부(17a)와, 하부규제부(17a)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17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추종롤러(15)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아래쪽으로의 변위만이 규제된다. 통상시의 각 추종롤러(15)는 하부규제부(17a)에 실려 안내된다.
여기서,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이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므로, 트러스(1) 내로 낙하한 예를 들면 코인 등의 이물이 각 답단(9) 사이에 끼이기 쉽게 된다. 각 답단(9) 사이에 이물이 끼이면, 일부의 답단(9)이 들려 올라가는 일이 있다.
도 4는, 도 2의 각 답단(9) 사이에 이물이 끼어 일부의 답단(9)이 들려 올라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 사이에 이물(18)이 끼어 답단(9)이 들려 올라가고 있을 때에는 추종롤러(15)는 추 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위쪽으로 개리되고 있다(들려 올라가고 있다).
각 답단(9) 사이에 이물(18)이 끼인 상태로 각 답단(9)이 이동되면,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가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각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 중 어느 한쪽에는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21)가 판 모양의 부착부재(20)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21)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상검출장치(21)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막대 모양의 가동편(변위체)(22)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편(22)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23)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동편(22)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24)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가동편(22)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25)를 가지고 있다.
가동편(22)은 하부규제부(17a)로부터의 간격이 소정치가 되는 통상위치와, 통상위치보다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진 검출위치와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가동편(22)이 부착부재(20)에 대해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통상위치와 검출위치와의 사이가 변위된다. 또, 가동편(22)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편(22)은 통상위치로부터 위쪽 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가동편(22)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해서 배치되어 있다.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동편(22)의 위치는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가 이동될 때 추종롤러(15)가 통과하는 구간(귀로 측 하부검출위치 설정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편(2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과의 사이를 추종롤러(15)가 통과할 때에는 답단(9)은 귀로 측 하단이행부 내를 이동한다(도 2 및 도 4).
통상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편(22)과 하부규제부(17a)와의 사이의 간격은 추종롤러(15)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가동편(22)이 통상위치에 있고, 또한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접촉하면서 전동될 때에는 추종롤러(15)가 가동편(22)에 접촉하지 않고(즉, 가동편(22)로부터 떨어진 채로) 가동편(22)과 하부규제부(17a)와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편(22)은 스토퍼(24)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통상위치에 유지된다.
검출스위치(25)는 가동편(2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스위치(25)는 가동편(2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가동편(22)의 위치가 검출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검출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가동편(22)은 추종롤러(15)로 밀리는 것에 의해, 가압스프링(23)의 가압력에 거슬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 향(위쪽)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편(22)은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되면서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로 밀려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이상검출장치(21)는 검출스위치(25)가 가동편(2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를 검출한다.
도 5는 도 1의 V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V부에는 귀로 측 상단이행부가 나타나고 있다. 도에 있어서, 각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 중 어느 한쪽에는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31)가 판 모양의 부착부재(30)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31)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상검출장치(31)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막대 모양의 가동편(변위체)(32)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편(32)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33)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동편(32)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34)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가동편(32)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35)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편(변위체)(32), 가압스프링(33), 스토퍼(34) 및 검출스위치(35) 의 각각의 구성은 가동편(변위체)(22), 가압스프링(23), 스토퍼(24), 검출스위치(25)의 각각의 구성과 같다.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동편(32)의 위치는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가 이동될 때 추종롤러(15)가 통과하는 구간(귀로 측 상부검출위치 설정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편(3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과의 사이를 추종롤러(15)가 통과할 때에는 답단(9)은 귀로 측 상단이행부 내를 이동한다(도 2).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도 귀로 측 하단이행부가 이동될 때와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각 답단(9) 사이에 이물이 끼이는 것에 의해, 일부의 답단(9)이 들려 올라가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위쪽으로 개리되는(들려 올라가는) 일이 있다.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가 이동될 때에는 가동편(32)은 추종롤러(15)로 밀리는 것에 의해, 가압스프링(33)의 가압력에 거슬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위쪽)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편(32)은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되면서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가 이동될 때에 추종롤러(15)로 밀려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이상검출장치(31)는 검출스위치(35)가 가동편(3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를 검출한다.
각 검출스위치(25, 35)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로 전송된다. 제어장치는 각 검출스위치(25, 35)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각 검출스위치(25, 35)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았을 때에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각 검출스위치(25, 35)의 각각으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수신이 모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계속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답단(9) 사이에 이물(18)이 끼지 않은 통상시에는 각 답단(9)은 구동롤러용 안내레일(16) 및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 안내되면서 순환경로를 이동한다. 이때, 추종롤러(15)가 가동편(22, 32)에 접촉하지 않고, 가동편(22, 32)은 통상위치에 유지된 채로 있다.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의 하강운전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이동방향 앞쪽의 답단(9)이 이동방향 뒤쪽의 답단(9)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되면서 이동된다(도 2). 따라서, 이때에 앞쪽의 답단(9)과 뒤쪽의 답단(9)과의 사이에 이물(18)이 끼이면, 앞쪽의 답단(9)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뒤쪽의 답단(9)이 들려 올라간다. 이것에 의해, 뒤쪽의 답단(9)의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위쪽으로 개리된다(도 4).
이 후,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이동되어 추종롤러(15)가 가동편(22)의 위치에 이르면, 추종롤러(15)가 가동편(2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편(22)은 가압스프링(23)의 가압력에 거슬러 밀어 올려진다. 즉, 가동편(22)은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가동편(22)이 검출위치로 변위되면, 검출스위치(25)로부터 제어장치로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지된다.
또,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의 상승운전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이동방향 앞쪽의 답단(9)이 이동방향 뒤쪽의 답단(9)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되면서 이동된다(도 5). 따라서, 이때에 앞쪽의 답단(9)과 뒤쪽의 답단(9)과의 사이에 이물이 끼이면, 앞쪽의 답단(9)의 아래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앞쪽의 답단(9)이 들려 올라간다. 이것에 의해, 앞쪽의 답단(9)의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위쪽으로 개리된다.
이 후,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이동되어 추종롤러(15)가 가동편(32)의 위치에 이르면, 추종롤러(15)가 가동편(32)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편(32)은 가압스프링(33)의 가압력에 거슬러 밀어 올려진다. 즉, 가동편(32)은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가동편(32)이 검출위치로 변위되면, 검출스위치(35)로부터 제어장치로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 및 귀로 측 하단이행부의 각각을 이동할 때에 이상검출장치(21, 31)가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귀로 측 경로(11) 중에서도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이 발생하기 쉬운 귀로 측 상단이행부 및 귀로 측 하단이행부에 있어서,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의 발생을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종롤 러(15)가 들려 올라간 채로 각 답단(9)이 귀로 측 경로(11)를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예를 들면, 답단(9)의 충돌에 의한 트러스(1) 내의 기기의 파손)의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이상검출장치(21, 31)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추종롤러(15)로 밀려 위쪽으로 변위되는 가동편(22, 32)과, 가동편(22, 32)의 위쪽으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25, 35)를 가지고 있으므로,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간단한 구성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가동편(22, 32)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되고 있을 때에 가동편(22, 32)에 추종롤러(15)를 보다 확실히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어, 이상검출장치(21, 31)의 오류검출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21)와,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31)가 모두 에스컬레이터에 이용되고 있지만, 이상검출장치(21) 및 이상검출장치(31) 중 어느 하나만을 에스컬레이터에 이용하여,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 및 귀로 측 상단이행부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한쪽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는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41)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도 8은 도 7의 Ⅷ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이상검출장치(41)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부착부재(39, 40)를 통하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장착되어 있다. 각 부착부재(39, 40)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41)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가동레일(변위체)(4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레일(42)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스프링(43)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동레일(42)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재(44)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가동레일(42)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45)를 가지고 있다.
가동레일(42)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가동레일(42)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42)은 하부규제부(17a)에 대향하는 레일수평부(42a)와, 레일수평부(42a)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일수직부(4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레일(42)은 하부규제부(17a)와 레일수평부(42a)와의 간격이 소정치가 되는 통상위치와, 통상위치보다 추종롤러 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진 검출위치와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동레일(42)의 위치는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가 통과하는 구간(귀로 측 하부검출위치 설정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레일(4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과의 사이를 추종롤러(15)가 통과할 때에는 답단(9)은 귀로 측 하단이행부 내를 이동한다(도 7).
한쪽의 규제부재(44)는 부착부재(39)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규제부재(44)는 부착부재(40)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42)의 양단부에는 각 규제부재(44)에 각각 접리가능한 한 쌍의 맞닿음부재(46)가 고정되어 있다. 각 맞닿음부재(46)는 각 규제부재(44)에 맞닿게 되는 방향으로 각 가압스프링(43)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가동레일(42)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각 맞닿음부재(46)가 각 규제부재(44)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가동레일(42)은 각 맞닿음부재(46)가 각 규제부재(44)에 맞닿게 되어 있을 때에 통상위치로 유지된다.
가동레일(42)이 통상위치에 있을 때의 레일수평부(42a)와 하부규제부(17a)와의 사이의 간격은 추종롤러(15)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가동레일(42)이 통상위치에 있고, 또한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접촉하면서 전동될 때에는 추종롤러(15)가 가동레일(42)에 접촉하지 않고(즉, 가동레일(42)로부터 떨어진 채로) 레일수평부(42a)와 하부규제부(17a)와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검출스위치(45)는 한쪽의 부착부재(39)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42)의 중간부에는 가동레일(42)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한 변위에 의해 검출스위치(45)를 조작하는 조작부재(47)가 고정되어 있다.
검출스위치(45)는 조작부재(47)의 조작에 의해, 가동레일(4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한다. 검출스위치(45)는 가동레일(4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가동레일(42)이 검출위치로부터 벗어나고 있을 때에 검출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가동레일(42)은 추종롤러(15)로 밀리는 것에 의해, 각 가압스프링(43)의 가압력에 거슬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위쪽)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레일(42)은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되면서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로 밀려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이상검출장치(41)는 검출스위치(45)가 가동레일(42)의 검출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를 검출한다.
가동레일(42)이 추종롤러(15)에 의해 밀리고 있을 때에는 추종롤러(15)는 레일수평부(42a)에 접촉하면서 전동된다. 이것에 의해,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가 가동레일(42)의 길이의 범위 내(소정의 범위 내)에서 검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한쪽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는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5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51)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한다.
도 11은 도 10의 XI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이상검출장치(51)는, 복수(이 예의 예에서는 2개)의 부착부재(49, 50)를 통하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부착되어 있다. 각 부착부재(49, 50)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상검출장치(51)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가동레일(변위체)(5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동레일(52)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스프링(53)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동레일(52)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재(54)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가동레일(52)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55)를 가지고 있다.
가동레일(52)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가동레일(52)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52)은 하부규제부(17a)에 대향하는 레일수평부(52a)와, 레일수평부(52a)의 가장자리에 수직으 로 설치된 레일수직부(52b)를 가지고 있다.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동레일(52)의 위치는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가 통과하는 구간(귀로 측 상부검출위치 설정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레일(52)과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과의 사이를 추종롤러(15)가 통과할 때에는 답단(9)은 귀로 측 상단이행부 내를 이동한다(도 10).
또한, 가동레일(52)의 다른 구성은 가동레일(42)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각 가압스프링(53), 각 규제부재(54) 및 검출스위치(55)의 각각의 구성은 각 가압스프링(43), 각 규제부재(44), 검출스위치(45)의 각각의 구성과 동일하다.
한편의 규제부재(54) 및 검출스위치(55)는 부착부재(49)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규제부재(54)는 부착부재(50)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레일(52)의 양단부에는 각 규제부재(54)에 각각 접리가능한 한 쌍의 맞닿음부재(56)가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레일(52)의 중간부에는 가동레일(52)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한 변위에 의해 검출스위치(55)를 조작하는 조작부재(57)가 고정되어 있다. 각 맞닿음부재(56) 및 조작부재(57)의 각각의 구성은 각 맞닿음부재(46) 및 조작부재(47)의 각각의 구성과 동일하다.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개리된 채로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는 가동레일(52)은 추종롤러(15)로 밀리는 것에 의해, 각 가압스프링(53)의 가압력에 거슬러,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위쪽)으로 변위된다. 즉, 가동레일(52)은 추종롤러(15)가 추종롤러용 안내레 일(17)로부터 개리되면서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로 밀려 통상위치로부터 검출위치로 변위된다.
각 검출스위치(45, 55)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로 전송된다. 제어장치는 각 검출스위치(45, 55)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는 각 검출스위치(45, 55)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았을 때에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각 검출스위치(45, 55)의 각각으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수신이 모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계속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변위체가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에 따라서 배치된 가동레일(42, 52)로 되어 있으므로, 추종롤러(15)의 추종롤러용 안내레일(17)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가동레일(42, 52)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귀로 측 경로(11)가 이동되는 각 답단(9)의 들려 올려짐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41)와, 각 답단(9)이 귀로 측 상단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51)가 모두 에스컬레이터에 이용되고 있지만, 이상검출장치(41) 및 이상검출장치(51) 중 어느 하나만을 에스컬레이터에 이용하여, 각 답단(9)이 귀로 측 하단이행부 및 귀로 측 상단이행부 중 어느 하나만을 이동할 때에 추종롤러(15)의 들려 올려짐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 등의 승객 컨베이어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답단(踏段)롤러를 가지고, 무단상(無端狀)의 순환경로가 이동되는 복수의 답단,
    상기 답단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상기 답단롤러의 상기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경로는 왕로 측 경로와, 상기 왕로 측 경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귀로 측 경로를 가지며,
    상기 귀로 측 경로는 서로 인접하는 각 상기 답단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면서 이동되는 귀로 측 이행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상검출장치는 상기 답단이 상기 귀로 측 이행부를 이동할 때에 상기 답단롤러의 상기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장치는 상기 안내레일로부터 개리되었을 때의 상기 답단롤러로 밀려 상기 안내레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변위체와, 상기 안내레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변위체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검출스위치가 상기 변위체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답단롤러의 상 기 안내레일로부터의 개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는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해서 배치된 막대 모양의 가동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안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체는 상기 안내레일에 따라서 배치된 가동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안전장치.
KR1020087019961A 2008-08-14 2006-07-25 승객 컨베이어 KR20080094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9961A KR20080094691A (ko) 2008-08-14 2006-07-25 승객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9961A KR20080094691A (ko) 2008-08-14 2006-07-25 승객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691A true KR20080094691A (ko) 2008-10-23

Family

ID=4015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961A KR20080094691A (ko) 2008-08-14 2006-07-25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46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0729B (zh) 乘客输送机
US6152280A (en) Articulated conveyor
JP4309123B2 (ja) マンコンベア乗降口の安全装置
JP2008189450A (ja) 乗客コンベア
WO2008012866A1 (fr) Convoyeur de passagers
JP4935708B2 (ja) 乗客コンベアの注意喚起装置
JPH093843A (ja) プラットホ−ムの簡易可動柵
EP0653373B1 (en) A step platform for an escalator
KR20080094691A (ko) 승객 컨베이어
CN100515907C (zh) 乘客传送装置
CN101209797A (zh) 乘客输送机的入口安全装置
EP2457865A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US20090166942A1 (en) Workpiece Support System
US10065839B2 (en) Brak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s
US10954103B2 (en) People conveyor and method of determining power for driving a handrail element of a people conveyor
CN102256891A (zh) 用于链传动的乘客输送机的活动裙边机构
CN108163689B (zh) 扶手摩擦检测装置
EP0801021A2 (en) Safety apparatus for a passenger conveyor
EP1704109B1 (en) Device for restraining the rise of a step roller of a people conveyor
EP1939127B1 (en) Safety device for transport systems
AU2002301338B2 (en) A handrail-forming device for a high-speed moving walkway of the like
CN112520531B (zh) 电梯以及电梯的控制方法
US7124875B2 (en) Escalator with high speed inclined section
JP2009190897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H06171884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