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478A -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478A
KR20080093478A KR1020070037208A KR20070037208A KR20080093478A KR 20080093478 A KR20080093478 A KR 20080093478A KR 1020070037208 A KR1020070037208 A KR 1020070037208A KR 20070037208 A KR20070037208 A KR 20070037208A KR 20080093478 A KR20080093478 A KR 2008009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ouch input
input
mod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995B1 (ko
Inventor
정장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995B1/ko
Priority to TW097108704A priority patent/TWI459789B/zh
Priority to DE102008014081A priority patent/DE102008014081A1/de
Priority to US12/103,230 priority patent/US8842075B2/en
Priority to CN200810092246.0A priority patent/CN101291366B/zh
Publication of KR2008009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부의 입력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정 모드, 터치, 특정 기능, 특정 영역, 터치패드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entry of specific mode, and terminal thereof}
도1a 내지 도1c는 모드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2는 도1의 입력부의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3은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4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일예의 상태도이다.
도6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다른 예의 상태도이다.
도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8은 도2를 대체하는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9은 도8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상태도이다.
도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말기 110 : 표시부
120 : 입력부 130 : 발광체 모듈
140 : 메모리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입력부의 입력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의 기능들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입력방식이나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단말기의 입력방식이나 입력장치는 사용자들마다 편리한 경우도 있지만, 편리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입력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모드 진입시, 입력부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 구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정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특정 모드에 대응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모드와 특정모드란 용어가 사용된다. 일반모드와 특정모드는 상대적인 용어이다. 단말기가 음악파일의 재생을 주기능으로 하는 MP3플레이어인 경우 일반모드는 음악파일의 재생모드이다. 이 단말기가 음성통화가 가능한 경우 특정모드는 전화통화할 수 있는 통화모드이다. 반대로, 단말기가 전화통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일반모드는 통화모드이며, 특정한 기능,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 접속은 특정모드에 해당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c는 모드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1a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표시부(110)와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와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정면 상하에 위치한다.
표시부(110)는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나 테이터의 입력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대기상태나 일반 모드, 특정 모드의 기능이나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는 입력부(120)의 터치에 의해 단말기(100)의 동작이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에 표시된 메뉴들 중 하나를 터치에 의해 선택하므로 해당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음악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일반모드에서 메뉴선택이나 데이터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표시된 일반심볼(121)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기능이나 메뉴와 관련된 일반심볼(121)이 단말기(100)의 입력부(120)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으나, 일반모드에 진입함과 동시에 백라이트(123)가 켜지면서 일반 심볼(121)이 사용자의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된다.
도1c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특정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는 통화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특정모드에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영역 (122, 124)이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모드에 진입할 경우, 입력부(120)의 표면에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원형의 중심영역(122)과, 중심영역(122)의 외곽에 터치입력이 가능한 전화다이얼 형상의 외곽 영역(124)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중심영역(122)과 외곽 영역(124)이 표시된 것으로 특정모드에 진입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중심영역(122)과 외곽 영역(124)의 형상들을 통해 특정모드에 대응하여 입력부(120)에 어떠한 형태나 방식으로 입력할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중심영역(122)은 특정모드에서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키로 동작할 수 있다. 중심영역(122) 내에는 특정모드에서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키로 동작함을 의미하는 기호 또는 문자(126)가 표시된다. 한편, 외곽영역(124) 내에는 전화 다이얼들 각각에 전화번호 숫자를 의미하는 숫자들(128)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심영역(122)과 외곽 영역(124)이 표시된 것으로, 특정모드로 진입되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역역(122)과 외곽 영역(124) 내에 표시된 기호 또는 문자(126)와 숫자들(128)이 표시된 것으로, 특정모드가 통화모드라는 것과, 통화모드에 대응하는 전화다이얼링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하는지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도2는 도1의 입력부의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입력부(120)의 중심영역(122)와 외곽영역(124)을 표시하기 위해, 단말기(100)의 내부에 복수의 LED들(LED1, 2...n)과, 입력부(120)의 표면에 표시되는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129)을 이용한다.
단말기(100)가 특정모드에 진입하면, 복수의 LED들(LED1, 2...n)이 발광한다. 복수의 LED들(LED1, 2...n)이 발광하면, 특정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이 입력부(120)의 표면에 표시된다.
도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름(129)에는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에 대응하는 영역들 뿐만 아니라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 내에 표시되는 문자(126)과 숫자(128)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120)가 특정모드에 진입하면, 중심영역(122) 및 외곽영역(124) 내에 문자(126)와 숫자(128)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모드의 진입과 특정모드에서 입력부(120)의 사용방법 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3은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앞에서 설명한 표시부(110)와 입력부(120)와 함께, 발광체모듈(130), 통신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중 일부만 버스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모두가 공통버스없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나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현되는 표시장치이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 각종 화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나 명령의 입력 등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의 진행상황을 알 수 있다.
입력부(12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드(touchpad)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다수의 키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나, 각종 방향키들이 형성된 네비게이션키, 회전량에 따라 입력이 선택되는 조그장치, 음성인식장치가 내장된 음성입력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체모듈(130)은 앞에서 설명한 백라이트(123)와 다수의 LED들(LED1, 2...n)을 포함한다.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나 특정 모드에 진입하기 전 대기상태에서 백라이트(124)와 다수의 LED들(LED1, 2...n)이 발광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기(100)가 일반모드나 특정모드에 진입할 경우, 각각 백라이트(124)와 다수의 LED들(LED1, 2...n)이 발광한다.
통신부(140)는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나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이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소위,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웹페이지 접속, 데이터 송수신, 전화접속, 인스턴트 메신저 등 현재 또는 장래의 다양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단말기(100), 특히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가 일반 모드일 경우에 발광체 모듈(130)을 통해 백라이트를 발광시켜 입력부(120) 상에 일반 심볼(121)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단말기(100)가 특정 모드일 경우에 LED들(LED1, 2...n)을 발광시켜 입력부(120) 상에 특정 영역들(122, 124)과 특정 심볼(128)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100)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이외에도,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모듈, 무선인터넷망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모듈 및 각종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 대기상태(S10)를 유지한다. 이 대기상태(S10)는 단말기(100)의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므르 전력소모를 줄인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일반모드, 예를 들어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음악모드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2). 일반모드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 즉 일반모드의 진입 명령이 없는 경우 대기상태(S10)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반면에 단말기(100)가 일반모드에 진입한 경우 백라이트(123)를 발광시킨다(S14). 백라이트(123)가 발광되므로 입력부(120)의 표면에 일반심볼(121)이 구별된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20)을 통해 일반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을 입력받고, 이 명령에 따라 입력부(120)의 표면에 일반모드의 특성에 대응하는 일반심볼(121)이 구별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20)의 일반심볼 중 하나에 해당하는 위치가 터치되면, 단말기(100)는 그 일반심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그 수행되는 기능의 결과는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특정모드, 예를 들어 통화모드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6).
단말기(100)가 특정 모드에 진입하지 않았다면 이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반면에 단말기(100)가 특정모드에 진입한 경우, 복수의 LED들을 발광시킨다(S18). 복수의 LED들이 발광하므로, 입력부(120)의 표면에 터치입력 가능한 영 역들(122, 124)과 이 영역들(122, 124)에 위치하는 특정심볼들(126, 128)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영역들(122, 124)이 터치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0). 단말기(100)가 터치입력되지 않으면, 이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반대로, 단말기(100)가 터치입력되면 터치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행한다(S22).
위에서 단말기(100)가 일반모드 후 특정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특정모드 후 일반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가 특정모드 후 일반모드로 진입할 경우, S16 단계와 S18 단계가 수행된 후 S12 단계와 S14 단계가 수행된다. 도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두 경우 모두 일반모드와 특정모드 진입후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100)가 일반모드와 특정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각각 독립적일 수 있다. 이 경우 대기상태(S10)에서 일반모드와 특정모드 중 어떤 모드로 진입할지 판단하는 단계가 존재하고, 각각 일반모드 진입시 백라이트를 발광시키고(S14), 특정모드 진입시 복수의 LED들을 발광시킨다(S18). 이후 터치입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20), 입력을 수행한다(S22).
도5는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일예의 상태도이다. 도5는 도1c에 도시된 단말기 중 입력부만을 도시하였다.
도5를 참조하면, 특정모드, 예를 들어 통화모드에 진입한 경우, 위에서 설명 한 바와 같이 원형의 중심영역(122)과 다이얼형상의 외곽영역(124)이 표시된다. 또한,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 내에 위치하는 특정심볼(126, 128)도 표시된다.
이때, 외곽영역(124) 내에 특정심볼(128)에 해당하는 숫자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숫자 "7"에 표시된 다이얼형상의 외곽영역(124)을 터치하면, 입력부(120)를 통한 이 터치입력이 제어부(126)에 전달된다. 제어부(126)는 정해진 알고리즘이나 규칙, 메모리(125)에 저장된 터치입력방식에 따라 전화번호 중 하나인 숫자 "7"로 인식한다. 이 결과는 표시부(110)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특정심볼(128)에 해당하는 다른 숫자들이 표시된 다이얼형상의 외곽영역(124)이 터치되면, 단말기(100)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통화모드에서 입력부(120)의 외곽영역(124)을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단말기(10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한다.
도6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다른 예의 상태도이다. 도6은 도1c에 도시된 단말기 중 입력부만을 도시하였다. 도6은 도5와 터치입력하는 방식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도6을 참조하면, 외곽영역(124) 내에 특정심볼(128)에 해당하는 숫자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숫자 "7"에 표시된 다이얼형상의 외곽영역(124)를 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하는 방식으로 터치 슬라이드(Touch & Slide)하므로, 입력부(120)를 통 한 이 터치입력이 제어부(126)에 전달된다. 제어부(126)는 정해진 알고리즘이나 규칙, 메모리(125)에 저장된 터치입력방식에 따라 전화번호 중 하나인 숫자 "7"로 인식한다. 이 결과는 표시부(110)로 표시된다.
이때, 입력부(120)가 최종 터치입력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터치 후 슬라이드 동작이 터치된 외곽영역(124)를 벗어나거나 특정한 영역, 예를 들어 숫자 "0"에 해당하는 외곽영역까지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가 이와 같이 터치 슬라이드 방식으로 터치입력을 전달받으므로, 단말기(100)는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화 다이얼을 돌리는 일반 유선전화기와 같은 동작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므로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도 있다.
도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입력부(120) 상의 외곽영역(124)마다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문자 전송 메뉴, 화상 통화 메뉴 등의 메뉴가 각각 매칭되는 경우, 외곽영역(124)을 터치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메뉴(112)의 하부메뉴들(114)를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한다.
하부메뉴들(114)이 표시부(1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외곽영역(124)이 하부메뉴들(114) 각각에 매칭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하부메뉴들(114)이 표시부(1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외곽영역(124)이 터치되면, 각 외곽영역(124)에 매칭되는 하부메뉴가 실행된다.
도8은 도2를 대체하는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입력부(120)의 표면에 표시되는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에 대응하는 필름(129')은 중심영역(122)과 외곽영역(124) 내에 표시되는 특정심볼들(126', 128')이 인쇄되어 있다.
중심영역(122) 내에 인쇄된 특정심볼(126')은 모드의 변경을 의미하는 문자 "전환"이다. 외곽영역(124) 내에 인쇄된 특정심볼(128')은 외곽영역(124)에 대응하는 각각 다이얼마다 네 종류의 문자들이다. 이 네 종류의 문자들은 각각 숫자(0 내지 9), 영문 소문자(a, b, c....), 한글 자음(ㄱ, ㄴ, ㄷ...), 한글 모음(ㅏ, ㅓ, ㅗ...)이다. 숫자는 전화 통화나 메뉴 선택에 사용된다. 영문자와 한글자는 영문과 한글 입력에 각각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심영역(122)의 터치에 따라 숫자 입력 모드에서 한글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거나, 영문자 입력 모드로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중심영역(122)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입력모드에서 외곽영역(124)을 터치하므로 해당 입력모드의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도1c와 도8을 참조하면, 특정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은 도8에 도시한 필름(129')에 인쇄된 외곽영역(124) 내에 인쇄된 네 종류의 문자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고, 특정모드, 예를 들어 입력모드의 종류에 해당하는 문자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특정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에 네 종류의 문자들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은 도2의 LED들이 외곽영역(124)을 전체적으로 비추므로 가능하다. 한편, 특정 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에 네 종류의 문자들 중 입력모드의 종류에 해당하는 문자만이 표시되는 것은, 네 종류의 문자들마다 발광하는 복수의 LED들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므로 가능하다. 즉, 복수의 LED들을 네 종류의 문자들에 대향하게 위치시키고, 복수의 LED들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므로, 특정 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에 네 종류의 문자들 중 입력모드의 종류에 해당하는 문자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네개의 문자들을 서로 다른 형광 또는 인광재료로 필름(129')에 인쇄하고, 서로 다른 형광 또는 인광재료들이 발광할 수 있는 고유한 파장을 갖는 LED들을 발광하므로, 특정 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에 네 종류의 문자들 중 입력모드의 종류에 해당하는 문자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곽영역(124) 내에 특정심볼(128)의 갯수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갯수와 종류의 특정심볼(128)을 특정모드 진입시 입력부(120)의 표면에 표시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물론, 중심영역(122)은 이점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9는 도8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상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영역(122)의 터치에 따라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입력모드가 전환된 상태에서, 외곽영역(124)의 다이얼 형상들 중 하나를 터치 후 슬라이드하고, 중심영역(122)에서 드롭하므로, 외곽영역(124) 내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26)는 정해진 알고리즘이나 규칙, 메모리(125)에 저장된 터치입력방식에 따라 중심영역(122)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입력모드의 터치 슬라이드 엔 드롭한 외곽영역(124) 내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결과는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단말기(100)가 이와 같이 터치 슬라이드 엔 드롭 방식으로 터치입력하므로, 단말기(100)는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도1c와 특정모드 진입시 입력부의 표면에 터치가능한 영역들이 표시되는 점에서 동일하나, 터치가능한 영역들의 형상이 다르다.
단말기(200)는 표시부(210)와 입력부(220)를 포함한다.
입력부(220)는, 특정모드에 진입 전에는 도1a 및 도1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특정모드 진입시 입력부(220)는 표면에 터치입력이 가능한 중심영역(222)와 외곽영역(224)이 표시된다. 이때 중심영역(222)은 도1c와 동일한 형상이나, 외곽영역(224)은 지름이 작은 원과 큰 원이 중심점을 향하는 다수의 직선들에 의해 영두개의 원이 호형상으로 구획된 형상이다. 도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심영역(222)과 외곽영역(224) 내에는 특정모드와 관련된 특정심볼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중심영역(222)은 특정 기능이나 특정 모드의 전환을 위한 기능키로 동작하거나, 선택 기능이나 선택 메뉴를 실행시키는 기능키로 동작할 수 있다. 특정영역(224)은 두개의 원들이 구획된 각 영역들마다 특정모드와 연관된 서브 메뉴가 매칭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영역(2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 통화에 관한 기능,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에 관한 기능, 특수 문자와 기호 등의 입력에 관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하는 키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중심영역(222)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외곽영역(224)의 심볼이 다른 심볼로 전환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 특정모드로 통화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통화모드에서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이 각각 원형과 다이얼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특정모드는 통화모드 뿐만 아니라 메시지전송모드, 무선인터넷모드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은 이 특정모드의 특성(feature)에 맞게 디자인한 형상일 수 있다. 특정모드의 특성에 맞게 디자인된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모드의 특성과 입력방법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중심영역은 하나의 특정 모드에서 다른 특정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키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해당 특정모드의 실행키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중심영역과 외곽영역에 인 쇄되는 특정심볼도 특정모드의 특성에 맞도록 디자인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및
    특정 모드 진입시, 상기 입력부에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 구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특정 모드와 연관된 특정 심볼이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에는 일반적인 기능이나 메뉴와 관련된 일반 심볼이 표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일반 모드 진입시 상기 발광체를 통해 상기 일반 심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모드 진입시 상기 특정 모드와 연관된 정보가 상기 출력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체의 점등을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과 상기 특정 심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된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중심부를 갖는 동심원의 경계 내부에 다수로 위치하여 다이얼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별된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중심부를 갖는 동심원의 경계 외부에 위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드 상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심볼이 인쇄되어 특정 형상을 이루며, 상기 특정 심볼마다 각각 대응된 발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체를 상기 터치패드 상의 상기 특정 심볼과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다수의 특정 심볼이 특정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특정 심볼은 다수의 발광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체를 발광시켜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과 상기 특정 심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영역과 연관된 상기 특정 모드의 하부 메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심부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구별된 영역에 표시된 상기 특정 심볼이 다른 특정 심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중심부는, 통화에 관한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한 기능, 특수 문자와 기호 입력에 관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하는 키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터치된 영역과 연관된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별된 영역이 터치된 상태로 상기 중심부로 슬라이드(Slide)되어 드롭(Drop)되면, 상기 구별된 영역과 연관된 상기 특정 심볼을 입력받거나, 상기 구별된 영역과 연관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특정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모드에 대응되어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표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상기 특정 모드와 연관된 특정 심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중심부를 갖는 동심원의 경계 내부에 다수로 위치하여 다이얼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중심부를 갖는 동심원의 경계 외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방법.
KR1020070037208A 2007-04-17 2007-04-17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37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208A KR101379995B1 (ko) 2007-04-17 2007-04-17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TW097108704A TWI459789B (zh) 2007-04-17 2008-03-12 用於在終端機輸入區域上顯示符號之裝置與方法
DE102008014081A DE102008014081A1 (de) 2007-04-17 2008-03-13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zeigen von Symbolen im Eingabebereich eines Endgeräts
US12/103,230 US8842075B2 (en) 2007-04-17 2008-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ymbols on a terminal input area
CN200810092246.0A CN101291366B (zh) 2007-04-17 2008-04-17 在终端输入区上显示符号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208A KR101379995B1 (ko) 2007-04-17 2007-04-17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478A true KR20080093478A (ko) 2008-10-22
KR101379995B1 KR101379995B1 (ko) 2014-04-02

Family

ID=3976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208A KR101379995B1 (ko) 2007-04-17 2007-04-17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2075B2 (ko)
KR (1) KR101379995B1 (ko)
CN (1) CN101291366B (ko)
DE (1) DE102008014081A1 (ko)
TW (1) TWI4597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68A (ko) * 2008-09-11 201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8982105B2 (en) * 2008-12-09 2015-03-17 Sony Corporation Ergonomic user interfa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KR101593598B1 (ko) * 2009-04-03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102233728B1 (ko) * 2013-10-31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D769897S1 (en) * 2014-10-14 2016-10-2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sequenti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915142B (zh) * 2015-05-29 2018-12-25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幕拨号键盘实现的方法和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112A (en) * 1980-05-05 1984-10-23 Secure Keyboards Limited Secure input system
JPS5924452B2 (ja) * 1980-09-22 1984-06-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日本文入力装置
DE69432199T2 (de) *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US7417624B2 (en) * 2003-02-14 2008-08-26 Duff Michael J Zero-force key activation keyboard with dynamic individual key illumination
US20040221243A1 (en) * 2003-04-30 2004-11-04 Twerdahl Timothy D Radial menu interface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133030B2 (en) * 2003-07-31 2006-11-07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 hardware input device
KR100754687B1 (ko) * 2003-12-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입력부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39904B1 (ko) 2004-02-27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및 그 사용 방법
KR100641154B1 (ko) * 2004-06-03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08454A (ko) * 2004-07-20 200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 엘이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0606803B1 (ko) 2005-05-1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휠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KR20070037549A (ko) * 2005-10-01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0801104B1 (ko) * 2005-10-01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입력방법, 입력상태 전환방법
US7932840B2 (en) * 2007-05-11 2011-04-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characters associated with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995B1 (ko) 2014-04-02
TWI459789B (zh) 2014-11-01
US8842075B2 (en) 2014-09-23
US20080259047A1 (en) 2008-10-23
DE102008014081A1 (de) 2008-10-23
CN101291366B (zh) 2014-11-05
CN101291366A (zh) 2008-10-22
TW200845703A (en) 200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44B1 (ko) 휠 입력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가상 휠 인터페이스구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1782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94958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4761656B2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CN101267471B (zh) 用于移动终端的空闲屏幕布置结构和空闲屏幕显示方法
US20070273656A1 (en) Modular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perating same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9076111A (ja) キーボード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電子デバイス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KR101379995B1 (ko)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WO2011056246A1 (en) Virtual keyboard with visually enhanced keys
WO2003052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vailable input options of electronic terminal devices
WO2009100018A9 (en) Ergonomic user interface for hand held devices
US20110304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data input with an alphanumeric keypad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2279698A (zh) 虚拟键盘、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US20100123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mobile device
US78044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display screen region identified by permanent printing
CN1795661B (zh) 利用小型键盘输入字母的设备和方法
KR100906777B1 (ko) 영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510509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5258653A (j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文字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KR1011116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5787B1 (ko) 회전에 따라 문자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