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307A -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307A
KR20080093307A KR1020070037091A KR20070037091A KR20080093307A KR 20080093307 A KR20080093307 A KR 20080093307A KR 1020070037091 A KR1020070037091 A KR 1020070037091A KR 20070037091 A KR20070037091 A KR 20070037091A KR 20080093307 A KR20080093307 A KR 2008009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
pixel
pixel array
repeating unit
sub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225B1 (ko
Inventor
김윤태
김창용
박두식
이승신
최원희
이주형
박종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225B1/ko
Priority to US11/923,971 priority patent/US8400480B2/en
Publication of KR2008009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적어도 5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A-a), 각각 적어도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A-b)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A)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Color display apparatus}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화소 배열 반복단위
110, 210, 310, 410: 제1 부화소(적색 부화소)
120, 220, 320, 420: 제2 부화소(녹색 부화소)
130, 230, 330, 430: 제3 부화소(청색 부화소)
140, 240, 340, 440: 제4 부화소(백색 부화소)
본 발명은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색역 및 고휘도 표현이 가능하고, 컬러 표현을 위한 화소 패턴의 구현이 단순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OLED, PDP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LCD 장치의 경우, 통상 패널 상에 컬러 필터를 배치하여 컬러 영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컬러 필터는 화소에 대응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 등의 컬러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OLED 및 PDP의 경우에는 별도의 컬러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각 화소에서 색상을 발현함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에 대응한 3 개의 부화소들이 조합되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하나의 영상 화소를 구성한다. 상기 영상 화소는 각 부화소들의 전압 또는 전류의 조절, 또는 각 부화소들의 턴-온 시간을 제어하여(시구동 방식)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최근에는, 하나의 영상 화소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R, G 및 B로 이루어지는 3-컬러 방식의 부화소 조합 외에, 백색 부화소(W)를 포함하여 R, G, B 및 W로 이루어지는 4-컬러 방식의 부화소 조합(RGBW)이 개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소 패턴은 'RGB' 또는 'RGBW'의 특정 조합으로 이루어진 영상 화소들이 독립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화소 구동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폭 확장되고 있는 최근 추세를 고려할 때 야외 활동을 감안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개선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요구를 감안한 것으로서, 화소 패턴의 구현 및 구동이 간단하여 효율적이며 고휘도 특성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적어도 5 개의 부화소 들로 구성되며(A-a), 각각 적어도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A-b)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A)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갖는다.
상기 제4 부화소의 점유율은 전체 부화소들 대비 20% 이하이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화소는 서로 다른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하기 위하여 공유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5N(N은 자연수)개의 부화소들을 포함하여, 2N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 중 적어도 어느 두 종의 부화소들의 개수는 서로 다르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부화소들은 일렬 또는 이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상기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및 제3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두 개씩 포함하고,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2 개의 제4 부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 함하여, 총 10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 각각 4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총 5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 각각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CD의 경우, 액정 표시 패널의 화소 구성과 이에 대응한 컬러 필터의 컬러 패턴의 대응관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구현한다.
상기 OLED의 경우, 단위 유기발광 소자의 컬러 배열을 통하여, 화소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PDP의 경우에도, 방전 셀의 배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와 무관하게 화소 패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서술할 실시예들을 통하여 당업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및 구동 방식에 따라, 용이하게 본 발명의 화소 패턴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 패턴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패턴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부화소들(110, 120, 130, 140)의 집합인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1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1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130)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 이상의 색상이 혼합된 혼합색을 갖는 제4 부화소(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부화소(140)로서는 백색을 표시하는 배색 부화소(W)가 사용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소 패턴은 기본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4원색으로 이루어진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부화소(140)으로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용도를 고려하여 백색 이외에도 녹색 및 청색의 혼합색, 적색 및 청색의 혼합색, 적색 및 녹색의 혼합색 등을 표시하는 부화소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제1 부화소(R)(110) 3 개, 제2 부화소(G)(120) 3개, 제3 부화소(B)(130) 2개 및 제4 부화소(W) 2 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 내 각 부화소들의 색상 비율(R:G:B:W)은 3:3:2:2 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이루는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 내의 적어도 2 종의 부화소들은 서로 개수가 다르게 된다. 이는 후술될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총 10개의 부화소들로서, 4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한다. 즉, 2.5개의 부화소들이 하나의 영상 화소를 구현하며 따라서 일부의 부화소들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영상 화소에 공유된다.
따라서, 4개의 R, G 및 B 조합이 4개의 독립된 영상 화소로 구현되는 종래의 2?2 방식 화소 패턴 대비 5/6의 소스 IC만으로도 화소 구동이 가능하여 효율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의 구체적인 구동 신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의 부화소들은 5 개씩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R, G, B가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배열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동종의 색상을 표현하는 부화소들을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모자이크 방식).
본 실시예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2열 및 4각형의 구조를 가지나, 이와 다르게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열의 부화소들의 개수가 다른 2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소 패턴은 전기적인 구동 신호를 고려하여,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형상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인접한 두 개의 제4 부화소(140)들을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색을 표시하는 부화소(140)을 포함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4 부화소(140)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 내 점유율은 0.2이며, 후술할 실시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제4 부화소(140)의 점유율은 20% 이하로 설계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4 개의 영상 화소들은 구동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일렬로 인접하는 2.5 개의 부화소들이 하나의 영상화소를 구현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열에 배열되어 있으나 인접한 어느 2.5 개의 부화소들이 하나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을 운영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현되는 영상 화소는 가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3 개 또는 4 개의 부화소들로 이루어진 독립된 영상 화소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와 구별되는 점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R, G, B 등의 기본 조합의 반복 단위가 아닌,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를 배열의 기본 반복 단위로 한 화소 패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1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110)의 점유율이 0.3이므로 적색의 채도 표현력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스트라이 형상을 가짐으로 수직선 방향 성분 표현에 장점을 갖는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의 화소 패턴은 부화소들의 배열 외의 다른 구성은 도 1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2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2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2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2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W)(240)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200)는 제1 부화소(R)(210) 3 개, 제2 부화소(G)(220) 3개, 제3 부화소(230)(B) 2개 및 제4 부화소(W) 2 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200) 내 각 부화소들의 색상 비율(R:G:B:W)은 3:3:2:2 이다.
본 실시예에서, 같은 종류의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소 패턴은 부드러운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200)는 모자이크 형상을 갖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의 화소 패턴은 부화소들의 개수 및 배열 외의 다른 구성은 도 1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3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3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320), 청색을 표시하 는 제3 부화소(B)(3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340)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200)는 제1 부화소(R)(310) 2 개, 제2 부화소(G)(320) 4개, 제3 부화소(B)(330) 2개 및 제4 부화소(W) 2 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300) 내 각 부화소들의 색상 비율(R:G:B:W)은 2:4:2:2 이다.
또한, 모든 종류의 부화소들은 같은 색상을 표시하는 2 개의 부화소들끼리 쌍을 이루어 일렬로 수직 배열되어 있다(스트라이프형).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300)는 제2 부화소(G)(320)가 전체 부화소 대비 0.4의 점유율을 갖기 때문에, 고휘도 표현에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300)는 스트라이프 형이므로 수직 방향 성분 표현에 유리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의 화소 패턴은 도 2a의 화소 패턴과 비교하여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4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4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4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4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400)는 도 2a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300)와 비교하여 부드러운 계조 표현에 유리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의 화소 패턴은 부화소들의 개수 및 배열 외의 다른 구성은 도 1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5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5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5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540)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는 제1 부화소(R)(510) 3 개, 제2 부화소(G)(520) 3개, 제3 부화소(B)(530) 3개 및 제4 부화소(W) 1 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 내 각 부화소들의 색상 비율(R:G:B:W)은 3:3:3:1 이다.
또한, 모든 종류의 부화소들은 같은 색상을 표시하는 2 개의 부화소들끼리 쌍을 이루어 일렬로 수직 배열되어 있다(스트라이프형).
한편, 본 실시예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는 1 개의 제4 부화소(5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는 제4 부화소(540)의 점유율이 0.1이므로, 상대적으로 고휘도 표현이 약화되지만, 제1 부화소(510), 제2 부화소(530) 및 제4 부화소(540)의 점유율이 각각 0.3이므로 고채도 표현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500)는 R, G 및 B 화소의 점유율이 동일하므로 색상 밸런싱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의 화소 패턴은 도 3a의 화소 패턴과 비교하여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도 3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6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6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6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6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6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600)는 도 3a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600)와 비교하여 부드러운 계조 표현에 유리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의 화소 패턴은 부화소들의 개수 및 배열 외의 다른 구성은 도 1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7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7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7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740)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는 제1 부화소(R)(710) 3 개, 제2 부화소(G)(720) 4개, 제3 부화소(B)(730) 2개 및 제4 부화소(W)(740) 1 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 내 각 부화소들의 색상 비율(R:G:B:W)은 3:4:2:1 이다.
또한, 모든 종류의 부화소들은 같은 색상을 표시하는 2 개의 부화소들끼리 쌍을 이루어 일렬로 수직 배열되어 있다(스트라이프형).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는 제4 부화소(W)(740)가 전체 부화소 대비 0.1의 점유율을 가지나, 제2 부화소(G)(720)의 점유율이 0.4이므로 고휘도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는 제1 부화소(R)(710)의 점유율이 0.3이므로 고채도 표현에 유리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의 화소 패턴은 도 4a의 화소 패턴과
비교하여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배열을 제외하고는 도 4a의 화소 패턴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800)는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R)(810),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G)(820),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B)(830) 및 백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8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소 배열 반복단위(800)는 도 4a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700)와 비교하여 부드러운 계조 표현에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디스프레이 장치는 2.5개의 부화소들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영상 화소를 표현하도록 그룹핑된 화소 배열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있어 화소 패턴의 구현이 경제적이며, 나아가 고휘도 표현에 유리하다.
따라서, 특히 야회 사용이 빈번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되면 효 과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7)

  1.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적어도 5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A-a),
    각각 적어도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A-b)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A)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화소는 백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화소의 점유율은 전체 부화소들 대비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화소는 서로 다른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하기 위하여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5N(N은 자연수)개의 부화소들을 포함하여, 2N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 중 적어도 어느 두 종의 부화소들의 개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부화소들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 내의 부화소들은 2열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상기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및 제3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두 개씩 포함하고,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상기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및 제3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두 개씩 포함하고,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2 개의 제4 부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부화소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2.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총 10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
    각각 4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를 각각 3:3:2:2의 개수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를 각각 2:4:2:2의 개수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를 각각 3:3:3:1의 개수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배열 반복단위는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및 제4 부화소를 각각 3:4:2:1의 개수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17. 적색을 표시하는 제1 부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제2 부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제3 부화소, 및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종의 색상의 혼합색을 표시하는 제4 부화소를 각각 적어도 1종 포함하여, 총 5 개의 부화소들로 구성되며,
    각각 2 개의 영상 화소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 배열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화소 패턴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37091A 2007-04-16 2007-04-16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9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91A KR100892225B1 (ko) 2007-04-16 2007-04-16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23,971 US8400480B2 (en) 2007-04-16 2007-10-25 Color display apparatus having pixel pattern including repeating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91A KR100892225B1 (ko) 2007-04-16 2007-04-16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07A true KR20080093307A (ko) 2008-10-21
KR100892225B1 KR100892225B1 (ko) 2009-04-09

Family

ID=3985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91A KR100892225B1 (ko) 2007-04-16 2007-04-16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0480B2 (ko)
KR (1) KR100892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66A2 (ko) * 2011-04-11 2012-10-18 Lee Jong Oh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 입체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US9424771B2 (en) 2013-07-09 2016-08-23 Samsung Display Co., Ltd. Unit pixel including sub-pixels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522598B2 (en) 2015-04-28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column of pixels and a white column of pixel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34B1 (ko) 2010-10-21 2017-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890832B2 (ja) * 2011-07-13 2016-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
KR101987383B1 (ko) * 2011-11-11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4원색 표시장치 및 그의 픽셀데이터 랜더링 방법
KR102031763B1 (ko) * 2013-01-11 2019-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WI522992B (zh) * 2013-10-30 2016-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彩色顯示面板之畫素陣列結構
CN103745684B (zh) * 2013-11-13 2016-09-2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阵列、呈现图像于显示器上的方法及显示器
KR102196903B1 (ko) * 2013-11-22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3777393B (zh) * 2013-12-16 2016-03-0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KR101934088B1 (ko) 2014-07-31 2019-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521271B (zh) * 2014-07-31 2016-0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
EP3043558B1 (en) 2014-12-21 2022-11-02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arge-format display systems having color pixels and white pixels
TWI557719B (zh) 2015-01-27 2016-11-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顯示裝置
CN105989787B (zh) * 2015-02-05 2019-07-19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US20200081293A1 (en) * 2018-09-07 2020-03-12 HKC Corporation Limited Pixel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CN110444574B (zh) * 2019-08-14 2022-01-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EP3817375A4 (en) * 2019-09-09 2021-08-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MAGE SENSOR,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E METHOD
CN110632767B (zh) * 2019-10-30 2022-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066B2 (en) * 2001-05-09 2007-02-27 Clairvoyant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b-pixel rendering with adaptive filtering
JP3870807B2 (ja) * 2001-12-20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88203A1 (en) * 2002-04-11 2003-10-23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Color display devices and methods with enhanced attributes
KR100878280B1 (ko) * 2002-11-20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KR100915238B1 (ko) * 2003-03-24 200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542994B1 (ko) 2003-07-29 2006-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95022B1 (ko) * 2003-12-13 2010-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KR101110056B1 (ko) * 2003-12-24 2012-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JP4623498B2 (ja) * 2003-12-26 2011-02-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005903B1 (ko) * 2004-05-31 201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7515122B2 (en) * 2004-06-02 2009-04-07 Eastman Kodak Company Color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pixel pattern
JP4610562B2 (ja) 2004-08-19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66236B1 (ko) * 2004-08-19 2008-10-3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다원색 표시 장치
JP4476076B2 (ja) * 2004-08-26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276797A (ja) * 2005-03-30 2006-10-12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117980B1 (ko) 2005-05-12 2012-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4120674B2 (ja) * 2005-09-09 2008-07-1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268499B (zh) * 2005-09-21 2011-03-0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滤色基片
US8018476B2 (en) * 2006-08-28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pixel layouts for high brightness displays and syste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66A2 (ko) * 2011-04-11 2012-10-18 Lee Jong Oh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 입체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WO2012141466A3 (ko) * 2011-04-11 2013-01-10 Lee Jong Oh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 입체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US9424771B2 (en) 2013-07-09 2016-08-23 Samsung Display Co., Ltd. Unit pixel including sub-pixels arranged in a rhombus shap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522598B2 (en) 2015-04-28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column of pixels and a white column of pixel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225B1 (ko) 2009-04-09
US20080252558A1 (en) 2008-10-16
US8400480B2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25B1 (ko)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902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KR100883734B1 (ko) 다원색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RU2011107236A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 несколькими основными цветами
CN103472608B (zh) 显示面板的像素与子像素配置
CN104465712B (zh) 一种像素排布结构及应用其的有机发光显示面板
KR2011012953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WO2016169293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1636775B (zh) 显示装置
CN103529586B (zh) 彩色滤色膜、彩色滤色膜显示单元及其阵列结构
US10373540B2 (en) Display panel
CN106023819A (zh) 像素结构、阵列基板、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JP2007041578A5 (ko)
ATE397775T1 (de) Subpixel-anordnung für displays mit mehr als drei primärfarben
CN103985735A (zh) 一种显示面板
WO2016027247A1 (en) Image device with improved chrominance quality
CN104299557A (zh) 一种像素结构、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9927561B2 (en) Display panel and pixel structure
WO2017197935A1 (zh)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及像素结构的驱动方法
CN105938708B (zh) 显示面板以及具有显示面板的显示设备
RU2011115818A (ru) Схема преображения сигнала и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 множеством основных цветов, снабженное ею
CN107610644A (zh) 像素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驱动方法
CN105182639A (zh) 像素结构、显示方法及显示面板
EP3147892A1 (en) Display panel, display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2001407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1